[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3418B1 -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418B1
KR101543418B1 KR1020130128948A KR20130128948A KR101543418B1 KR 101543418 B1 KR101543418 B1 KR 101543418B1 KR 1020130128948 A KR1020130128948 A KR 1020130128948A KR 20130128948 A KR20130128948 A KR 20130128948A KR 101543418 B1 KR101543418 B1 KR 10154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nel
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016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3012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418B1/ko
Priority to PCT/KR2014/009554 priority patent/WO2015064929A1/ko
Publication of KR2015004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4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02B2027/013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of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5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with depth sampling, i.e. the volume being constructed from a stack or sequence of 2D image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의 입체영상과 2차원의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관람하는 관람창이 형성된 본체, 상기 관람창에 구비되어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영상패널, 상기 메인영상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메인영상패널을 통해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입체영상유닛, 상기 광원과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회전시켜 상기 메인영상패널로 상기 광원의 빛을 제공하거나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회전기구, 및 상기 회전기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2차원과 3차원의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감이 향상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장치{A Multi Display}
본 발명은 3차원의 입체영상과 2차원의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2차원의 평면영상이 아닌 3차원의 입체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입체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2차원과 3차원의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3067호(2010.3.29.공개)의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를 위치시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와, 3차원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선택함으로써,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관람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2차원과 3차원 겸용 영상 표시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렌티큘러렌즈를 사용하여 2차원의 영상을 3차원으로 변환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입체감의 표현이 미흡하고, 시야각에 따라 3차원의 영상을 느끼기에는 다소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차원과 3차원의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켜 제공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관람하는 관람창이 형성된 본체, 상기 관람창에 구비되어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영상패널, 상기 메인영상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메인영상패널을 통해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입체영상유닛, 상기 광원과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회전시켜 상기 메인영상패널로 상기 광원의 빛을 제공하거나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회전기구, 및 상기 회전기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체영상유닛은 다각뿔 형태의 반투과체로 형성되고, 각 면에 투영된 영상이 내부에서 합성되어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영상합성체, 및 상기 영상합성체의 각 면에 영상을 투영시키는 서브영상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상패널은 상기 영상합성체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합성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영상합성체의 각 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광원이 위치되는 공간 및 상기 입체영상유닛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된 회전케이스,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케이스의 회전된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광원과 상기 입체영상유닛이 구획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영상패널은 상기 회전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메인영상패널의 후면에서 겹쳐지도록 상기 회전케이스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영상패널과 입체영상유닛을 이용하여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영상을 선택적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유닛을 이용하여 입체감이 향상된 3차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서브영상패널에서 영상합성체의 각 면으로 합성될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입체영상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입체영상유닛에서 서브영상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입체영상유닛의 측면도로서, 입체영상의 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는 회전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2차원의 영상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거나, 그 반대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2차원의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입체영상을 선택적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본체(30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될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0)의 어느 한 면에는 영상을 관람하는 투시창(3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영상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영상패널(100)은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메인영상패널(100)은 LCD 패널, PLAZMA 패널, OLED 패널, PLED 패널일 수 있으며, 이 패널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메인영상패널(100)은 본체(300)의 투시창(310)을 밀폐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투시창(310)은 본체(300)의 외측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영상패널(100)은 사물이 투과되어 보이는 투명한 메인영상패널(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광원(230)은 메인영상패널(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빛을 제공하여 밝은 영상을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원(230)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일 수 있으며, LED 또는 CCF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230)은 도광판(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도광판(231)은 광원(230)의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메인영상패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광판(231)에는 빛을 메인영상패널(10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광원(230)은 도광판(231)의 둘레또는 도광판(231)의 일면에 복수 개의 광원(230)이 설치되어 도광판(231)에 빛을 제공할 수 있고, 도광판(231)을 대치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프리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입체영상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입체영상유닛(250)은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입체영상유닛(250)은 예컨대, 각 면으로 제공되는 영상을 합성하는 형태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입체영상유닛(250)은 영상합성체(251)와 서브영상패널(253)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합성체(251)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영상합성체(251)의 외면은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는 반투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영상합성체(251)은 반투과체로 형성된 다각뿔 형상의 프리즘(prism)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영상합성체(251)는 반투과체의 판 예컨대, 하프미러(half-mirror)를 사각뿔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때, 영상합성체(251)는 바닥 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면을 반투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서브영상패널(253)은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영상합성체(251)에서 합성될 영상을 영상합성체(25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서브영상패널(253)은 영상을 표시하는 LCD 패널, OLED 패널, PLAZMA 패널, PLED 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서브영상패널(253)이 LCD 패널일 경우, LCD 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상기의 광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영상패널(253)은 다각뿔의 형상을 가지는 영상합성체(251)의 상단 꼭지점(P)에 서브영상패널(253)의 중앙이 위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에 투영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도 4 참조).
예컨대, 서브영상패널(253)은 영상합성체(251)에서 합성되어 보여 질 입체영상의 실물이 영상합성체(251)의 내부에 위치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실물이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에서 정투상되는 영상을 서브영상패널(253)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합성체(2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볼 때 각 면이 꼭지점(P)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하나의 서브영상패널(253)에서 각 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꼭지점(P)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서브영상패널(253)에서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으로 제공할 영상을 한 번에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합성체(251)는 합성되는 입체영상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람자가 영상을 관람하는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면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나머지 면에만 영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영상합성체(2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으로 제공되는 영상이 일부는 투과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을 바라볼 때, 바라보는 면에서 반사되는 영상과 이 외의 면에서 투과되는 영상이 서로 겹쳐보이는 형태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회전기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기구(200)는 광원(230)과 입체영상유닛(250)이 설치되어 회전기구(200)가 회전함에 따라 광원(230)을 메인영상패널(100)로 제공하여 빛을 공급하거나, 입체영상유닛(250)에서 표시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기구(200)는 회전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케이스(210)는 광원(23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211)과 입체영상유닛(25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213)이 격벽(215)에 의해 구획되어 회전케이스(210)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영상패널(100)에 광원(230)의 빛을 제공하거나, 입체영상유닛(250)에 표시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관람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회전케이스(210)는 원통 형상의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케이스(21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절반은 광원(230)이 위치되고, 나머지 절반에는 입체영상유닛(250)이 위치될 수 있으며, 회전케이스(210)에는 복수 개의 입체영상유닛(2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광원(230)은 회전케이스(210)의 절반의 둘레 면에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회전케이스(210)의 절반의 둘레 면에 도광판(231)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영상패널(100)의 후방에 회전케이스(210)가 일부 삽입되어 겹쳐질 수 있도록 메인영상패널(100)의 곡률은 회전케이스(210)의 곡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원(230)과 입체영상유닛(250)이 회전케이스(210)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절반이라고 표현하였지만, 각각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 이하 즉, 회전케이스(21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180°이하의 각도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230)과 입체영상유닛(250) 중 어느 하나는 180°이상의 각도 범위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케이스(210)의 중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2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케이스(210)는 본체(300)에 구비된 지지대(219)에 회전축(217)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기구(200)는 구동모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270)는 회전케이스(210)의 회전축(217)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7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케이스(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기구(200)는 브레이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브레이크(280)는 회전하는 회전케이스(210)를 원하는 각도에서 정확히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280)는 전자적인 브레이크(280)일 수 있으며, 기계적인 브레이크(280)일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28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기구(200)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부(290)는 회전기구(200),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케이스(2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메인영상패널(100)에 광원(230)이 위치되거나, 입체영상유닛(250)이 위치되도록 구동모터(270)를 제어하여 회전케이스(210)를 회전시키거나, 회전케이스(21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구동모터(270)를 제어하여 회전케이스(210)를 회전 또는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정지 시에는 브레이크(280)를 제어하여 정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290)는 임의의 지점에서 구동모터(270) 또는 브레이크(280)를 온/오프 시키는 리미트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90)는 센서(2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290)는 센서(291)에서 측정된 회전케이스(210)의 회전된 각도정보를 제공받아 그 각도정보를 기초로 구동모터(270) 또는 브레이크(280)를 제어하여 회전케이스(210)를 회전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300)의 투시창(310)에 메인영상패널(100)이 위치되고, 본체(300)의 내부에는 회전기구(200)가 설치된다.
한편, 회전기구(200)에는 회전케이스(210)의 내부에 광원(230)과 입체영상유닛(250)이 서로 구획되도록 위치되고, 회전케이스(210)는 구동모터(27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회전케이스(210)에는 회전케이스(210)가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28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회전케이스(210)는 제어부(290)에 의해 회전 또는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영상유닛(250)은 다각뿔 형태로 형성된 영상합성체(251)의 꼭지점(P)에 부분에 서브영상패널(253)의 중앙이 위치되어 서브영상패널(253)에서 각 면으로 영상합성체(251)에서 합성될 입체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회전케이스(210)에서 광원(230)이 메인영상패널(100)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경우, 입체영상유닛(250)은 상,하가 뒤집어지도록 회전케이스(210)에 위치되어 입체영상유닛(250)이 메인영상패널(100)과 마주하도록 회전케이스(210)가 회전할 경우,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정상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300)에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서브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제공모듈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회전케이스(210)가 회전하여 광원(230)이 메인영상패널(100)과 마주한 상태에서는 광원(230)의 빛이 메인영상패널(100)에 제공되어 메인영상패널(100)에서 표시되는 2차원의 영상이 관람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270)가 회전하여 광원(230)과 입체영상유닛(250)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도록 회전케이스(210)를 회전시키고, 제어부(290)는 회전케이스(210)가 회전하면 메인영상패널(100)과 마주하는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을 정지하도록 구동모터(270) 또는 브레이크(280)를 제어한다.
그리고, 회전케이스(210)가 메인영상패널(100)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면, 서브영상패널(253)에서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으로 제공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합성체(251)에서는 각 면에서 일부의 영상은 반사시키고, 나머지 일부의 영상을 투과하여 영상합성체(251)의 내부에서 3차원의 입체영상을 합성시켜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관람자에게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메인영상패널(100)은 영상을 White로 표시하여 투명 상태가 되므로 관람자는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입체영상유닛(250)에서 제공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한편, 입체영상유닛(250)을 통해 3차원의 영상이 제공될 때에 메인영상패널(100)에서도 2차원의 영상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영상과 2차원의 영상이 합성되어 관람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메인영상패널(100)은 자연광 또는 입체영상유닛(250)에서 발생되는 빛에 의해 3차원의 영상과 함께 메인영상패널(100)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예컨대, 게임기에 적용할 경우에는 메인영상패널(100)에서 2차원의 게임 영상을 제공하고, 게임 상에서 이벤트가 발생 시 순간적으로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회전기구(200)의 회전에 따라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유닛(250)에 의해 입체감 있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브영상패널(253)에서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으로 합성될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실시예의 회전기구(200)를 차단판(400)으로 대체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300)의 투시창(310)에 메인영상패널(100)이 설치되고, 메인영상패널(100)과 대응되는 본체(300)의 내부의 위치에 차례로 광원(230), 차단판(400), 입체영상유닛(250)이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차단판(400)은 반투과성의 재질 즉,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판(400)은 하프미러(half mirror) 또는 전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변화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메인영상패널(100)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곡면 형상의 curved panel일 수 있으며, 광원(230)은 빛을 광원(230)의 빛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도광판(231)이 메인영상패널(100)의 후면에 겹쳐지고, 도광판(231)의 후면에 차단판(400)이 겹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광원(230)에서 도광판(231)을 통해 메인영상패널(100)에 빛을 제공하면 관람자는 메인영상패널(100)에서 표시되는 2차원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이때, 차단판(400)의 후면에 배치된 입체영상유닛(250)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관람자는 메인영상패널(100)에서 표시되는 2차원의 영상만 관람할 수 있다.
한편, 광원(2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입체영상유닛(250)을 작동시키면, 서브영상패널(253)에서는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과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고, 영상은 각 면에서 투영되어 관람자는 영상합성체(251)에서 합성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유닛(250)이 작동하면 차단판(400)의 후면에 배치된 입체영상유닛(250)에서 밝은 빛의 영상이 재생되기 때문에 관람자는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입체영상유닛(25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판(400)이 PDLC로 구현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불투명과 투명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영상패널(100)의 영상을 관람할 때에는 불투명으로 변화시켜 광원(230)의 빛을 메인영상패널(100)에 제공하는 형태로 메인영상패널(100)에세 제공되는 2차원의 영상을 관람하고, 3차원의 입체영상을 관람하기 위해서는 차단판(400)을 투명으로 변화시켜 입체영상유닛(250)에서 제공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메인영상패널(100)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도 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입체영상유닛(250)에서 제공되는 3차원의 입체영상과 메인영상패널(100)에서 제공되는 2차원의 영상을 함께 제공하여 관람자는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입체영상을 합성하여 관람할 수도 있다.
이때, 메인영상패널(100)은 자연광 또는 입체영상유닛(250)에서 발생되는 빛에 의해 3차원의 영상과 함께 메인영상패널(100)의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회전기구(200)의 회전에 따라 2차원의 영상과 3차원의 입체영상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유닛(250)에 의해 입체감 있는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서브영상패널(253)에서 영상합성체(251)의 각 면으로 합성될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메인영상패널 200: 회전기구
210: 회전케이스 211: 광원의 설치공간
213: 입체영상유닛의 설치공간 215: 격벽
217: 회전축 219: 지지대
230: 광원 231: 도광판
250: 입체영상유닛 251: 영상합성체
253: 서브영상패널 270: 구동모터
280: 브레이크 290: 제어부
291: 센서 300: 본체
310: 투시창 400: 차단판
P: 꼭지점

Claims (9)

  1. 영상을 관람하는 관람창이 형성된 본체,
    상기 관람창에 구비되어 2차원의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영상패널,
    상기 메인영상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메인영상패널을 통해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입체영상유닛,
    상기 광원과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회전시켜 상기 메인영상패널로 상기 광원의 빛을 제공하거나 상기 입체영상유닛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회전기구, 및
    상기 회전기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유닛은
    다각뿔 형태의 반투과체로 형성되고, 각 면에 투영된 영상이 내부에서 합성되어 3차원의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영상합성체, 및
    상기 영상합성체의 각 면에 영상을 투영시키는 서브영상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상패널은
    상기 영상합성체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합성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에 대응되는 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영상합성체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광원이 위치되는 공간 및 상기 입체영상유닛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된 회전케이스,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케이스의 회전된 상태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광원과 상기 입체영상유닛이 구획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영상패널은
    상기 회전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메인영상패널의 후면에서 겹쳐지도록 상기 회전케이스와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128948A 2013-10-29 2013-10-29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4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48A KR101543418B1 (ko) 2013-10-29 2013-10-29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14/009554 WO2015064929A1 (ko) 2013-10-29 2014-10-13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948A KR101543418B1 (ko) 2013-10-29 2013-10-29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16A KR20150049016A (ko) 2015-05-08
KR101543418B1 true KR101543418B1 (ko) 2015-08-11

Family

ID=5300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9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3418B1 (ko) 2013-10-29 2013-10-29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3418B1 (ko)
WO (1) WO20150649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71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토비스 회전 잔상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46B1 (ko) * 2017-06-27 2018-09-10 주식회사 토비스 입체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464B1 (ko) * 2011-09-28 2012-12-18 (주)코텍 다면 입체영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175A1 (en) * 2005-01-26 2008-06-19 Vizoo Invest Aps Display Device For Producing Quasi-Three-Dimensional Images
JP2008278087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 Ltd 表示装置
JP4850813B2 (ja) * 2007-11-16 2012-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464B1 (ko) * 2011-09-28 2012-12-18 (주)코텍 다면 입체영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71A (ko) *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토비스 회전 잔상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WO2021025325A1 (ko) * 2019-08-02 2021-02-11 주식회사 토비스 회전 잔상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KR102224652B1 (ko) * 2019-08-02 2021-03-08 주식회사 토비스 회전 잔상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US11978362B2 (en) 2019-08-02 2024-05-07 Tovis Co., Lt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rotation-based persistence of vision and game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16A (ko) 2015-05-08
WO2015064929A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3660B (zh) 光学系统和显示器
US7233441B2 (en) Stereoscopic display
US7537345B2 (en) Volumetric liquid crystal display for render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20080266523A1 (en) Display apparatus
US8950870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for projecting an input unit image
CN101344713A (zh) 一种双面显示屏及其三维显示装置
JP6184583B2 (ja) 立体映像装置
CN101339309B (zh) 一种可变换显示屏及其三维显示装置
KR101543418B1 (ko)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JP6927103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並びに遊技機
CN104714361A (zh) 一种多视点3d显示装置
CN204256278U (zh) 背投式裸眼多视点3d显示装置
CN109541815A (zh) 裸眼3d显示装置
JP200422906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KR20100035775A (ko) 입체 영상 투사 표시 장치
JP2018191853A (ja) 遊技機
JP4324845B2 (ja) 映像表示装置
JPH0522754A (ja) 投射式立体映像生成装置
KR101560063B1 (ko) 융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206224062U (zh) 360度显示设备
JP2005037636A (ja) 3次元画像表示装置
CN108469684B (zh) 一种透明显示器及一种显示系统
JP2016224185A (ja) ミラーディスプレイ、ハーフミラープレート及び電子機器
JP2005202126A (ja) 回転型表示装置及び回転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0468394Y1 (ko) 좌우구동형 라이트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