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270B1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Google Patents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3270B1 KR101543270B1 KR1020150063022A KR20150063022A KR101543270B1 KR 101543270 B1 KR101543270 B1 KR 101543270B1 KR 1020150063022 A KR1020150063022 A KR 1020150063022A KR 20150063022 A KR20150063022 A KR 20150063022A KR 101543270 B1 KR101543270 B1 KR 101543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fiber
- main body
- teeth
- fiber bundle
- air g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1126 phototherap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4513 dentit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6346 tooth erup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428 photodynamic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5157 Or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0194 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4 photosensit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194019 Streptococcus mu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386 Bone Resorp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035 D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151 Stomatognath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987 Streptococcus sobr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544 Tooth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70 biofilm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279 bone re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32 chronic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5 deminer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28 demine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68 d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8 infect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773 low birth 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33 low birth weigh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3 spinal nerve r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77—Beam delivery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전면부와 결합되고,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섬유 다발이 본체 및 후면부 상에 치아의 내측과 외측을 모두 조사할 수 있도록 배열되므로 치아의 전면을 멸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therapy device which is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and emits light, the device comprising: a front face portion of a dentition shape in which an optical fiber bundle is drawn; A main body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the optical fibers of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being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being penetrated; And a rear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arranged such that the optical fibers penetrating the body face the inside of the 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fiber bundle is arranged 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part so that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can be irradi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tooth can be steril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인입된 다심의 광 프로브가 구강의 전면을 효율적으로 멸균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therapy apparatus in the form of a mouthpiece in which an optical probe of a multi-cor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sterilize the entire surface of the oral cavity.
치주 질환은 심혈관 질환, 저체중 조산,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신장 질환, 상기도폐 질환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이는 구강 내 국소염증이 전신의 염증에 영향을 주고받아 사망에 이르는 전신 질환의 발병과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치과 질환의 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periodontal disease affects cardiovascular disease, low birth weight infancy, rheumatoid arthritis, chronic kidney disease, and upper respiratory disease. This suggests that local inflammation in the oral cavity affects the inflammation of the whole body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ystemic disease leading to death.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dental disease.
구강 질환은 크게 충치와 그 외 구강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충치(dental caries)는 감염성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감염성 질환중의 하나이다. 충치는, 치아에 형성되는 바이오 필름인 플라그(plaque)에서 자라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차츰 이가 탈회되는 병이다. 플라그의 세균은 당분을 분해하여 산을 분비하고, 이산에 의해 치아 표면의 에나멜질에 demineralization이 일어나 충치가 악화된다. 성인의 35% 이상이 고통 받고 있다고 추정되는 치은염, 치주염 등도 역시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이며, 구강 내 바이오 필름의 멸균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Oral diseases are largely divided into tooth decay and other oral diseases.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infectious bacteria. The tooth cavity is a disease in which the tooth is gradually demineralized by the action of the bacteria that grow in the plaque, which is a biofilm formed on the teeth. The germs of the plaque degrade sugar to secrete acid, and the disinfection results in demineralization of the enamel on the tooth surface,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ooth decay.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which are estimated to affect more than 35% of adults, are also disease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s, and the sterilization of biofilms in the oral cavity plays an important role.
구강 내의 바이오 필름 형성은 서로 다른 500여종의 세균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고 많은 연구들이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광역학 치료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가 구강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는데, 이는 광 조사(illumination)가 치주 질환의 활성위치로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Biofilm formation in the oral cavity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about 500 different bacteria, a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ef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on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al disease. Photodynamic therapy (PDT) has been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of removing oral bacteria because of its easy access to the active site of periodontal disease.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광 감각제를 사용한다. 광 감각제는 세균의 세포벽에 친화성이 있어 광원에 의해 활성화된 분자는 세균을 손상시킬 수 있는 활성 산소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여 항균 효과가 발생한다. 항생제와 광역학 치료를 병용하면 항생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더 큰 효과가 있어 항생제를 적은 양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hotodynamic therapy (PDT) uses a photosensitizer that absorb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The photosensitizer has an affinity for bacterial cell wall, and the molecule activated by the light source generates active oxygen or free radical which can damage the bacteria, and the antibacterial effect is generated. Combined use of antibiotics and photodynamic therapie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less antibiotics as it has greater efficacy than antibiotics alone.
치아우식증은 어린이의 구강질환중 가장 흔한 범발성 질환이며, 진행과정이 서서히 이루어져가는 만성 질환이기도 하다.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내 관련된 여러 세균 중에서 그람양성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가 치아우식증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Dental caries is the most common oral disease among children's oral diseases and is a chronic disease that progresses slowly. It is well known that Streptococcus mutans, a gram-positive bacterium, is directly related to dental caries among many bacteria involved in dental caries.
구강 내 정상세균총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우식유발세균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강력한 항생요법이 필요하며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매우 유용한 치료방법의 하나이다.Photodynamic therapy (PD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and it requires powerful antibiotic therapy that is selective for only the caries-inducing bacteria without affecting the normal flora in oral cavity.
구강 내에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병원성구강세균이 군집하면 치주염과 유사한 임플란트주위염의 발생가능성이 증가한다. 임플란트에 바이오필름이 부착되면 임플란트 인접조직에 염증과 골흡수가 나타나며, 이것은 임플란트의 실패와 직결된다. Clustering of pathogenic oral bacteria in dental implants placed in the mout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periplasmic perimetry similar to periodontitis. When the biofilm is attached to the implant, inflammation and bone resorption appear in the adjacent tissue of the implan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failure of the implant.
수복과 보존치과학의 가장 오래된 임상적 딜레마중 하나는 와동 형성 후 생균(livebacteria)의 잔존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육안으로 와동 형성이 깨끗해 보일 때라도, 탐침은 단지 단단한 에나멜과 상아질만 탐지 할 수 있으며,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는 에나멜과 치아조직 내에 잠복하여, 수복물이 장착되자마자 충치를 유발할 준비를 하게 된다. 충전재가 충전 되면, 박테리아는 치아의 큰 침식부위가 골절되어 함몰될 때 까지 발견되지 않고 아무런 방해 없이 치아 조직을 공격할 수 있다.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ne of the oldest clinical dilemmas of dentistry is the question of whether livebacteria remain after vortex formation. Even when the vortex formation appears to be clear to the naked eye, the probe can only detect hard enamel and dentin, and the invisible bacteria lie in the enamel and dental tissues, ready to cause tooth decay as soon as the restoration is mounted. Once the filler is charged, the bacteria can attack the tooth tissue without being interrupted and not found until the large erosion of the tooth fractures and sinks.
최근 레이저보다 Light emitting diode(LED)를 이용한 의료영역이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저출력레이저의 대체광원으로서 레이저와 비교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LED는 열에 의한 손상이나 직접적인 조직손상이 거의 없어 안전하고, 다양한 파장의 빛을 넓고 평이하게 배열(large, flat arrays) 할 수 있어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다. Recently, medical field using light emitting diode (LED) has been widening rather than laser. LED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omparable to lasers as an alternative light source for low power lasers. In other words, LED is safe and economical because it can treat large area because it can secure large and flat arrays of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with little heat damage or direct tissue damage.
LED 광원은 구강 내에 세균에 따라 광감각제의 종류, 조사파장, 광조사세기(mW/㎠), 광 조사시간(min), 광조사주기(Hz)의 조건에서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병원성세균의 살균에 효과적이며, 방사조도(mW/㎠)에 의한 에너지(J/㎠)가 증가 할수록 세균의 사멸율은 더 높아지고 400nm 파장이상의 가시광선파장의 빛은 높은 에너지에서 사용되었을 때 UV와 비슷한 살균의 효과를 나타낸다.The LED light source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hotosensitizer, the irradiation wavelength, the irradiation intensity (mW / cm 2), the irradiation time (min), and the irradiation period (Hz) It is effective for sterilization. As the energy (J / ㎠) by radiation intensity (mW / ㎠) increases, the bacterial death rate becomes higher and the light of visible light wavelength of 400nm wavelength or more is used at high energy. Effect.
구강 내에 병원성세균의 효과적 살균을 위한 방사조도(mW/㎠)의 세기는 광조사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방사조도는 환자의 치료부위에서 5-10 cm정도 거리에서 수분의 1이나 수십 분의 1로 세기가 약해지는 특성이 있다.The intensity of irradiance (mW / ㎠) for effective sterilization of pathogenic bacteria in the oral cav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range of light irradiation, and the irradiation intensity is 1 to 1/10 of the water at a distance of 5-10 cm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trength is weakened.
LED을 이용한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에 있어, 구강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구강 내 치아나 잇몸 안과 밖의 모든 부위 전체를 10mm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높은 세기의 방사조도(mW/㎠)로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병원성세균의 살균력을 높일 수 있다. In photodynamic therapy (PDT) with LED, an effective method for removing oral bacteria is to use a high intensity irradiance (mW / cm 2) at a distance of 10 mm or less in all or part of the teeth or gums in the oral cavity,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ilizing power of pathogenic bacteria.
종래의 광 치료를 이용한 마우스피스 특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78118호가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치료 장치 내에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가 구비될 수 있는 구조의 마우스피스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개시된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내측 외측으로 치료용 광을 정밀하게 조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orean Patent No. 10-1478118 is known as a mouthpiece patent using conventional phototherapy.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mouthpie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 light source can be provided in a treatment apparatus. However, the disclosed mouthpiece ha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light can not be accurately irradiated to the inner side of the teeth.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치아의 광 역학 치료는 높은 세기의 방사조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선 치아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광이 고르게 조사될 수 있어야 하며, 조사되는 광의 거리가 가까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의 종래기술은 마우스피스 내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였다. 마우스피스 내부에 광원이 구비되는 경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광의 출력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as described above, photodynamic treatment of teeth requires high intensity illumination. For this, the light should be uniformly irradiated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teeth, and the distance of the irradiated light should be close. To this end,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provided a light emitting element inside the mouthpiece. When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inside the mouthpie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put of light can not be increased due to heat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원이 외부에 배치되어야 하고, 광원으로부터 치료용 광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광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 전면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심의 광 섬유가 마우스피스 내로 인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심의 광 섬유를 치열구조에 따라 치아 및 잇몸 안과 밖에 LED광 조사가 가능하도록 배열되어야 하고 조사거리를 5mm이내로 유지하여 기존방식에 비해 방사조도(mW/㎠)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마우스피스가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should be disposed outside and use optical fibers capable of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therapeutic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 order to illuminate the entire surface of the tooth, the optical fibers of the multi-core must be introduced into the mouthpie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optical fibers of the multi-core to be able to irradiate the LED light inside and outside the tooth and the gum according to the dental structure, and to maintain the irradiation distance within 5 mm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irradiance (mW / A mouthpiece of the structure is required.
본 발명은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의 내측 및 외측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ental treatment device with a mouthpiece shape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irradiate ligh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eeth.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삽입시 광의 발생으로 발열의 위험이 없는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therapy device which is free from the risk of heat genera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light upon insertion of the oral cavity.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삽입시 치아의 내측 및 외측으로 광 섬유가 근접하게 배열되어 충분한 방사조도가 확보될 수 있는 광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therapy device in which optical fibers are arranged clos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a tooth when the oral cavity is inserted, so that a sufficient radiation intensity can be secu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에 삽입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 치료 장치에 있어서,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전면부와 결합되고,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체; 및 본체에 결합되어 본체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ototherapy device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for irradiating light, the device comprising: a front face having a dentition shape in which an optical fiber bundle is drawn; A main body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the optical fibers of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being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being penetrated; And a rear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rranged so that the optical fibers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eeth.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는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trude a leading hole so that the bundle of optical fibers can be inserted and fix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는 본체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filling hole into which the filling material for bonding the body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광 섬유 다발 중 제1 광 섬유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1 공극부; 및 광 섬유 다발 중 제2 광 섬유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2 공극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air gap part through which the first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enetrate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teeth; And a second void portion penetrating the second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toward the outside of the underleath.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복수의 공극 중 본체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ir holes penetra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so that a part of the optical fibers are inserted, and the air gap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among the plurality of air holes may be formed to slant laterally.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ase surface on the inner side where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us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중앙부에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asse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후면부는 관통구에 결합되고, 관통구를 관통한 제3 광 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앞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a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penetrating the through-hole is inserted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후면부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3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ack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third air gap portion into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drawn inward is inserted to face the inside of the teeth.
바람직하게, 제3 공극부 중 후면부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ir gap provided at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third air gap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 장치는, 전면부, 본체, 및 후면부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rotective packing coupled up and down to enclose the front porti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용 광이 광 섬유 다발을 통해 조사되므로 광 출력에 따른 발열의 위험이 없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erapeutic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bundle of optical fibers, there is no risk of heat generation due to the light outpu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섬유 다발이 본체 및 후면부 상에 치아의 내측과 외측을 모두 조사할 수 있도록 배열되므로 치아의 전면을 멸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fiber bundle is arranged 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so that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can be irradi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tooth can be steril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나 후면부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이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전면부를 통해 인입된 광 섬유 다발이 꺾이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배열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gaps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main body or the back surface are slop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bundle of optical fibers introduced through the front part is arranged so as not to be broken or dama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부, 본체, 후면부의 전후 결합 이후에 보호 패킹이 위아래로 결합되어 전면부, 본체, 후면부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acking is coupled up and down after front-rear coupling of the front porti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portion so that the front portion, the main body, and the rear portion can be firmly fix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를 포함한 광 치료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결합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 다심의 광섬유가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1 shows a phototherapy system including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fron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rea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combin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oto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a multi-core optical fiber is introduced into the optic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를 포함한 광 치료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치료 시스템은 광 치료 장치(1), 광 발생 모듈(7), 광 섬유(5)를 포함할 수 있다.1 shows a phototherapy system including a
광 발생 모듈(7)은 광 발생 장치(1)에 직접 실장되지 않고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어, 그 크기와 관계없이 고출력의 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 발생 모듈(7)은 방열판 및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으며, 멸균을 위한 특정 파장대의 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치아생체막에 대한 광역학 시술시 광민감제의 투여량과 함께 irradiance의 크기에 따라 치료효과는 다르게 나타나는데, 바람직하게 치아부분의 치료에는 50mW/㎠이상에서 치근부분의 치료에는 100mW/㎠이상에서 약 20 J - 50 J 광선량 증가에 따라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생체막내 혹은 주변의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조사거리는 가깝고 방사조도를 높게 출력해야 한다. For photodynamic treatment of dental biomembranes, treatment effects differ depending on the dose of irradiated minerals as well as the dose of the photosensitizer. For treatment of the dental portion, it is preferable to treat the root portion at a rate of about 20 mW / J - 50 J is known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with increasing light dose. In order to remove bacteria inside or around the dental biomaterial, the irradiation distance should be close and the radiation intensity should be high.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발생 모듈(7)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구강 내에 50mW/㎠ 이상의 방사조도로 광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는 광 발생 모듈(7)로부터 전달된 광을 조사거리 2 내지 5mm로 광 섬유를 배열시킬 수 있다.The
광 발생 모듈(7)은 우식원인균인 S. mutans와 S. sobrinus의 효과적인 살균을 위해서 청색 LED 파장 또는 녹색 LED 파장 대역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The
광 섬유(5)는 광 발생 모듈(7)로부터 전달된 치료광을 광 치료 장치(1)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섬유(5)는 다심의 광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치과 또는 의료기관에서 광을 이용한 멸균시 시술자는 단심의 광 프로브로 치료 지점에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는 임플란트가 시술된 특정 부위의 멸균을 위한 목적으로 타겟 지점의 멸균만 수행하기 때문이다. The
이 경우,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균은 구강내에서 쉽게 증식되므로 치아 전면에 대한 멸균이 수행되어야 하며, 시술자가 없이 환자가 가정에서 홀로 구강 치료를 행할 수 없다. 이에 착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섬유(5)는 치아의 전면인 내측 및 외측에 모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심(bundle)으로 광 치료 장치(1)에 연결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bacteria are easily proliferated in the oral cavity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so that sterilization of the entire tooth has to be performed, and the patient can not perform oral treatment alone in the home without the practitioner. The
광 치료 장치(1)는 전면부(10, 도 2), 본체(30, 도 3), 후면부(60, 도 4), 및 보호 패킹(91, 9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0, 도 2), 본체(30, 도 3), 후면부(60, 도 4)는 서로 전후 결합되며, 보호 패킹(91, 93)은 결합된 전면부(10, 도 2), 본체(30, 도 3), 후면부(60, 도 4)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패킹(91, 93)은 일체 형으로 제작되어 전면부(10, 도 2), 본체(30, 도 3), 후면부(60, 도 4)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1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부(10)는 치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면부(10)에는 광 섬유 다발(5)이 인입될 수 있다. 전면부(10)는 광 섬유 다발(5)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10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2 shows a
전면부(10)의 뒷면은 본체(30, 도 3)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전면부(10)와 본체(30, 도 3)는 분해되지 않도록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전면부(10)에는 본체(30, 도 3)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103)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30)를 나타낸다. 본체(30)는 전면부(10)와 결합되고, 광 섬유 다발(5) 중 일부의 광 섬유(511, 513, 도 6)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53)는 관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3 shows a
도 3을 참조하면, 본체(30)는 전면부(10)와 같이 치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30)에는 제1 공극부(301), 제2 공극부(303), 관통구(305)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제1 공극부(301)는 광 섬유 다발(5) 중 제1 광 섬유(511, 도 6)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본체(30) 상에 형성된다. 제1 광 섬유(511, 도 6)는 한가닥 이상인 다심의 광 섬유가 될 수 있다. 즉, 제1 공극부(301)는 치열 중 윗니에 대응되는 본체(30)의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 공극부(301)는 복수의 공극이 본체(3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The
제2 공극부(303)는 광 섬유 다발(5) 중 제2 광 섬유(513, 도 6)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본체(30) 상에 형성된다. 제2 광 섬유(513, 도 6)는 한가닥 이상인 다심의 광 섬유가 될 수 있다. 즉, 제2 공극부(303)는 치열 중 아랫니에 대응되는 본체(30)의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 공극부(303)는 복수의 공극이 본체(3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The
본체(30)는 제1, 2 공극부(301, 303)와 같이 광 섬유 다발(5) 중 일부의 광 섬유(511, 513, 도 6)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공극 중 본체(3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301(a))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이란, 본체(10)의 중앙에 배치된 공극을 제외한 나머지의 공극들이 될 수 있다.The
즉, 제1 공극부(301) 중 본체(30)의 사이드에 배치된 공극은 본체(30)의 수직 방향으로 인입되는 광 섬유(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제2 공극부(303) 또한 마찬가지로 본체(30)의 사이드에 배치된 공극은 본체(30)의 수직 방향으로 인입되는 광 섬유(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측방향이란 본체(30)의 외측을 말한다.That is, the air gap disposed on the side of the
본체(30)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307)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기저면(307)은 광 치료 장치(1)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치아가 고정 및 지지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기저면(307)을 물게 됨으로써 윗니와 아랫니가 제1, 2 공극부(301, 303)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며, 광 치료 장치(1)가 고정된다. The
본체(30)는 중앙부에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53)가 관통되는 관통구(3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광 섬유(53)는 한가닥 이상의 광 섬유일 수 있다. 제3 광 섬유(53, 도 6)는 전면부(10)로 인입된 광 섬유 다발(5) 중 제1 광 섬유(511, 도6), 제2 광 섬유(513, 도 6)를 제외한 나머지의 광 섬유를 의미한다. 제3 광 섬유(53)는 후면부(60, 도 4)에 배열되어 치아의 내측으로 치료용 광을 조사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6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면부(60)는 본체(30)의 내측에 결합되어 본체(30)를 관통한 광 섬유(53)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시킬 수 있다. 4 shows a
후면부(60)는 본체(30)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구(305)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부(60)는 관통구(305)를 관통한 제3 광 섬유(53)가 인입되는 인입구(605)가 앞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입구(605)는 제3 광 섬유(53, 도6)의 삽입과 동시에 본체(30)와 체결되기 위해서 돌출 형성된다. 후면부(60)는 기저면(307)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며, 인입구(605)가 관통구(305)에 끼움 조립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후면부(60)는 내측으로 인입된 제3 광 섬유(53)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601, 6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 603)는 제3 광 섬유(53) 중 일부가 윗니의 내측을 향하도록 후면부(60)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공극(6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 603)는 제3 광 섬유(53) 중 나머지가 아랫니의 내측을 향하도록 후면부(60)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공극(6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극부(601, 603)의 공극들은 후면부(60)의 상하부에 각각 횡방향으로 정렬 배치 되도록 형성된다.The
제1, 2 공극부(301, 303)와 마찬가지로, 제3 공극부(601, 603) 중 후면부(6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601(a))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광 섬유(53)가 후면부(60) 내측에서 휘돌아 각각의 공극(601, 603)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면부(60)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601(a))이란, 후면부(60)의 정면에 형성된 공극을 제외한 나머지가 될 수 있다.Like the first and secon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1)의 결합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부(10), 본체(30), 및 후면부(60)는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후, 보호 패킹(91, 93)은 전면부(10), 본체(30), 및 후면부(60)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보호 패킹(91, 93)은 광 투과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보호 패킹(91, 93)은 실리콘 또는 EVA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Fig. 5 shows a coupling configuration diagram of 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에 다심의 광섬유(5)가 인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광 발생 모듈(7)에 연결된 다심의 광 섬유(5)가 전면부(10)에 인입되어, 본체(30)와 후면부(60)에 삽입된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 제1 광 섬유(511), 제2 광 섬유(513), 제3 광 섬유(531, 533)가 본체(30) 및 후면부(60)에 치아의 외측 및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은 도 2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6 shows a state in which a multi-cor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1: 광 치료 장치 10: 전면부
101: 리딩 홀 103: 충진 홀
30: 본체 301: 제1 공극부
303: 제2 공극부 305: 관통구
307: 기저면 60: 후면부
601, 603: 제3 공극부 605: 인입구
5: 광 섬유 51, 53: 광 섬유 다발
511: 제1 광 섬유 513: 제2 광 섬유
531, 533: 제3 광 섬유 7: 광 발생 모듈
91, 93: 보호 패킹1: Phototherapy device 10: Front surface
101: Leading hole 103: Filling hole
30: main body 301: first cavity portion
303: second void portion 305: through hole
307: base surface 60: rear surface
601, 603: third air hole portion 605: inlet
5:
511: first optical fiber 513: second optical fiber
531, 533: third optical fiber 7: light generating module
91, 93: Protective packing
Claims (11)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된 치열 형상의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는 치아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나머지의 광 섬유는 관통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관통한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A phototherapy device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for irradiating light,
A front portion of a dentition shape in which an optical fiber bundle is drawn;
A main body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wherein some of the optical fiber bundles are arrang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teeth, and the remaining optical fibers are penetrated; And
And a rear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rranged such that optical fibers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ar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eeth.
상기 전면부는,
상기 광 섬유 다발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리딩 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herein a leading hole is protruded so that the optical fiber bundle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전면부는,
상기 본체를 접착시키기 위한 충진물이 투입되는 충진 홀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herein at least one filling hole into which a filling material for bonding the body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1 광 섬유가 윗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1 공극부; 및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2 광 섬유가 아랫니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된 제2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cavity portion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enetrating the first optical fiber toward an outer side of the upper teeth; And
And a second air gap portion penetrating the second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so as to face the outside of the under eye.
상기 본체는,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일부의 광 섬유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상기 본체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voids penetrating the optical fiber bundle such that a part of the optical fibers are inserted,
Wherein a cavity provided on a side of the main body among the plurality of gaps is slanted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닿는 기저면이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base surf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us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본체는,
중앙부에 상기 광 섬유 다발 중 제3 광 섬유가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bundle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optical fiber bundle.
상기 후면부는,
상기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제3 광 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앞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ar portion
And an entrance port coupled to the through-hole and through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hole is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상기 후면부는,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제3 광 섬유가 치아의 내측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제3 공극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ar portion
And a third air gap portion into which the third optical fiber drawn inward is insert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teeth.
상기 제3 공극부 중 상기 후면부의 사이드에 마련된 공극은,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air gap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third air gap portion,
Wherein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 a slanting manner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전면부, 상기 본체, 및 상기 후면부를 감싸도록 위아래로 결합되는 보호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삽입형 광 치료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packing coupled up and down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the main body, and the rear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022A KR101543270B1 (en) | 2015-05-06 | 2015-05-06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PCT/KR2016/002062 WO2016178472A1 (en) | 2015-05-06 | 2016-03-02 | Oral insertion-type phototherap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3022A KR101543270B1 (en) | 2015-05-06 | 2015-05-06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3270B1 true KR101543270B1 (en) | 2015-08-12 |
Family
ID=5406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30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3270B1 (en) | 2015-05-06 | 2015-05-06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3270B1 (en) |
WO (1) | WO2016178472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78472A1 (en) * | 2015-05-06 | 2016-11-10 | 주식회사 지에이 | Oral insertion-type phototherapy device |
KR101777507B1 (en) | 2016-04-05 | 2017-09-12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ing device for physical bacteria using light or ultrasound of extra-corporeal source |
KR20180060698A (en) * | 2016-11-29 | 2018-06-0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elopment of photodynamic therap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
CN113995960A (en) * | 2021-11-23 | 2022-02-01 |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 Oral cavity light medical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09429B2 (en) | 2015-07-28 | 2024-10-08 | Know Bio, Llc | Phototherapeutic light for treatment of pathogens |
US10569097B2 (en) | 2015-07-28 | 2020-02-25 | Photonmd,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modulation of nitric oxide |
US12011611B2 (en) | 2020-03-19 | 2024-06-18 | Know Bio, Llc |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
US11147984B2 (en) | 2020-03-19 | 2021-10-19 | Know Bio, Llc |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
US11986666B2 (en) | 2020-03-19 | 2024-05-21 | Know Bio, Llc | Illumination devices for inducing biological effects |
US12347337B2 (en) | 2020-12-10 | 2025-07-01 | Know Bio, Llc | Enhanced testing and characterization techniques for phototherapeutic light treatments |
US11654294B2 (en) | 2021-03-15 | 2023-05-23 | Know Bio, Llc | Intranasal illumination devices |
US12115384B2 (en) | 2021-03-15 | 2024-10-15 | Know Bio, Llc | Device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tissue to induce biological effec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438B1 (en) | 2006-06-05 | 2007-11-28 | 럭스프로(주) | Mouthpiece type periodontal disease phototherapy device |
KR101478118B1 (en) | 2013-09-05 | 2014-12-31 | (주)푸로맥스 |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44719B1 (en) * | 2002-09-24 | 2004-11-19 | Francois Duret | ELECTROCHEMICAL DEVICE FOR BLEACHING A BODY |
KR20130094127A (en) * | 2012-02-15 | 2013-08-23 | 최선일 | Laser device for mouth |
KR20120079828A (en) * | 2012-06-29 | 2012-07-13 | 메디럭스(주) | Movable optical cure apparatus for paradental disea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WO2015056034A1 (en) * | 2013-10-18 | 2015-04-23 | Institut Za Fiziku | Teeth whitening device with real time monitoring of whitening process |
KR101543270B1 (en) * | 2015-05-06 | 2015-08-12 | 주식회사 지에이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
2015
- 2015-05-06 KR KR1020150063022A patent/KR1015432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3-02 WO PCT/KR2016/002062 patent/WO201617847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438B1 (en) | 2006-06-05 | 2007-11-28 | 럭스프로(주) | Mouthpiece type periodontal disease phototherapy device |
KR101478118B1 (en) | 2013-09-05 | 2014-12-31 | (주)푸로맥스 |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78472A1 (en) * | 2015-05-06 | 2016-11-10 | 주식회사 지에이 | Oral insertion-type phototherapy device |
KR101777507B1 (en) | 2016-04-05 | 2017-09-12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ing device for physical bacteria using light or ultrasound of extra-corporeal source |
KR20180060698A (en) * | 2016-11-29 | 2018-06-07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elopment of photodynamic therap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
CN113995960A (en) * | 2021-11-23 | 2022-02-01 |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 Oral cavity light medical device |
CN113995960B (en) * | 2021-11-23 | 2023-12-08 |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 Oral cavity internal light medic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78472A1 (en) | 2016-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3270B1 (en) | Oral insertable light treatment device for mouthpiece type | |
US8240312B2 (en) | Method and means for exerting a phototoxic effect of visible light on microorganisms | |
KR101478118B1 (en) | Mouthpiece typ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light | |
US20170290648A1 (en) | Light-guiding mouthguard assembly | |
EP2420287A1 (en) | Method for enhancing viability of periodontal tissue cells | |
US20140147802A1 (en) | Device for Dentistry Treatments | |
KR20110132688A (en) | Mobile periodontal disease phototherapy device | |
Goyal et al. | Low level laser therapy in dentistry | |
Esper et al. |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planktonic cultures and Streptococcus mutans biofilms for prevention of white spot lesion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 in vitro investigation | |
CA2526657C (en) | Photo-activated disinfection | |
Romagnoli et al. | PBM. Theoretical and applied concepts of adjunctive use of LLLT/PBM within clinical dentistry | |
Mirhashemi et al. | Evaluation of the photodynamic therapy with riboflavin and curcumin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An in vitro study | |
Stein et al. | Influence of photobiomodulation therapy on gingivitis induced by multi-bracket appliances: a split-mout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RU2728108C1 (en) | Method for photodynamic therapy of oral diseases and dental gel-photosensitizer | |
de Souza et al. | In-office bleaching protocols using violet LED: A split mouth case report | |
Alpan et al. | Ozone in dentistry | |
Lang-Bicudo et al. | LED phototherapy to prevent mucositis: a case report | |
CN114796885A (en) | Device and method for sterilizing or whitening root canal | |
성조이 | The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 electric toothbrush on gingiv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JP2013066685A (en) | Apparatus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with uv irradiation | |
KR20180060698A (en) | Development of photodynamic therap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 |
KR20210067560A (en) | assistant apparatus for oral treatment | |
US20250018217A1 (en) | Photodynamic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oral disease | |
JP4728171B2 (en) | Intraoral light irradiator for the treatment of gingival inflammation | |
US20100143857A1 (en) | Photo-activated disinf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