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3017B1 -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017B1
KR101543017B1 KR1020080097602A KR20080097602A KR101543017B1 KR 101543017 B1 KR101543017 B1 KR 101543017B1 KR 1020080097602 A KR1020080097602 A KR 1020080097602A KR 20080097602 A KR20080097602 A KR 20080097602A KR 101543017 B1 KR101543017 B1 KR 10154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granular
cosmetic formula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578A (ko
Inventor
박성희
김진웅
유재원
박우람
심종원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9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0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무수 제형의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불안정한 수용성 활성성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점증 현상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과립 입자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활성 성분의 용해 시점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화가 가능한 제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과립, 화장료, 수용성 활성성분, 점증제, 알부틴, 코지산, 아데노신, 코엔자임 Q10, 비타민 C, 글루타치온, 폴리 감마 글루탐산, 항산화

Description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Formulations of Granule Typ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무수 제형의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활성성분, 예를 들어 비타민 C의 경우에는, 물이 있는 환경에서는 변색이 나타나고, 불안정화되어 역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로 P/S(polyol in silicone)제형을 이용하여 폴리올 상에 비타민 C를 넣어서 에멀젼 형태로 안정화시키거나, 오일 상에 비타민 C를 넣고 점증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폴리올에 비타민 C를 넣을 경우 비타민 C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기는 하지만, 폴리올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결국 고온에서 변색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폴리올의 흡습성 때문에 변색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일에 비타민C를 혼합하여 점증을 시키는 경우는 외부에서의 수분 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비타민C를 안정화시킬 수는 있지만, 화장품으로서의 사용감이 매우 나빠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안정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성분들을 파우더 형태로 단순 혼합하 여 사용시 에센스 용액과 섞어서 흔들어 줌으로서 녹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원료의 단순혼합 상태로 장기 보관시 케익킹 현상, 즉 덩어리져 굳어짐 때문에 용해에 바람직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무수 제형의 과립형 화장료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조방법은, (a) 분말 상태의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 (b) 점증제를 용매에 용해시켜 점증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c) (b) 공정의 점증제 용액을 (a) 공정의 혼합분말에 분사하면서 5 내지 200 rpm에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함유하고, 과립의 입자크기가 300 내지 1000 ㎛이고, 과립의 밀도가 0.3 내지 0.4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수분이 없는 입자 형태로서 불안정한 수용성 활성성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점증 현상에 의해서 시각적으로 소 비자에게 과립 입자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활성 성분의 용해 시점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화가 가능한 제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 방법은,
(a) 분말 상태의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공정;
(b) 점증제를 용매에 용해시켜 점증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c) (b) 공정의 점증제 용액을 (a) 공정의 혼합분말에 분사하면서 5 내지 200 rpm에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무수 제형의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화장료 원료를 단순 혼합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케이킹 현상, 즉 덩어리져서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립형 화장료 제형을 사용시, 물에 용해시키면서 점증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영양감 있는 성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흐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제조된 과립형 입자는, 일실시예에서 과립의 입자크기가 300 내지 1000 ㎛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과립의 밀도가 0.3 내지 0.4 g/cm3일 수 있다. 상기 과립형 입자의 크기 및 밀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와 사용감을 최적화하기 위한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알부틴, 코지산, 아데노신, 코엔자 임 Q10, 비타민 C 및 글루타치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화장료 원료들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코엔자임 Q10은, 벤조퀴논(benzoquinone)에 이소프레노이드(isoprenoid) 곁가지가 반복하여 붙어있는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서 6 내지 12 개의 이소프레노이드 곁가지가 반복되는 형태가 존재하며, 이중 가장 흔한 종류가 10 개의 이소프레노이드 곁가지를 갖고 있는 코엔자임 Q10이다. 코인자임 Q10의 화학명은 2,3-dimethoxy-5-methyl-6decaprenyl-1,4-benzo-quinone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Xanthan Gum) 및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 공정에서 혼합되는 점증제는, 불안정한 수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키고, 물 또는 수용액에 용해시키면 점증이 이루어지면서 젤 또는 그와 유사한 성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b) 공정에서는, 점증제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a) 공정의 혼합분말에 분사, 혼합함으로써 과립형 제형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활성 성분의 함량은 10.0 내지 7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20.0 내지 50.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40.0 중량%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수용성 활성성분과 증점제의 함량은, 화장 료 제형의 안정화된 제형을 형성하고 수용액 등에 대한 용해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편리성과 사용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a) 공정 이전에,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의 입도를 800 메쉬 이상의 미분으로 가공하는 전처리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원료물질를 미분의 파우더 형태로 가공하는 공정으로, 원료물질간의 균일한 혼합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a) 공정에서, 부형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4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만니톨(mannitol)일 수 있다.
상기 (c) 공정은 제조된 점증제 용액을 (a) 공정의 혼합분말에 분사하면서 혼합하게 된다. 상기 점증제 용액은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로서 작용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증제 용액은 잔탄검 또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물 또는 수용액에 용해시켜, 점증제 용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의 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증제 용액의 첨가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공정은 낮은 회전수에서 회전시키면서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c) 공정은 5 내지 200 rpm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80 rpm에서 회전시키면서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정은 일반적인 펠렛화 공정과 유사하나, 과립화된 활성성분이 물에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 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에서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입자 형성과정에서, 회전수가 높아지게 되면 구성성분들의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물 또는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함유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물에 대한 용해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사용시에 물에 용해시키게 되면 점증이 이루어지고, 영양감 있는 성상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사용시 물에 녹여서 피부에 도포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과립 0.5 g/수용액(물) 5 g의 농도로 20℃ 물에 녹이면 3000 내지 5000 g/cm·s의 점도를 나타내는 제형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입자는, 20℃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과립형 입자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우수하고 물에 녹이게 되면 점증이 일어나게 되며, 용해도가 60 초과시에는 겔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과립의 입자크기는 300 내지 1000 ㎛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과립의 밀도는 0.3 내지 0.4 g/cm3일 수 있다. 상기 과립형 입자의 크기 및 밀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와 사용감을 최적화하기 위한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알부틴, 코지산, 아데노신, 코엔자 임 Q10, 비타민 C 및 글루타치온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화장료 원료들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Xanthan Gum) 및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불안정한 수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키고, 물 또는 수용액에 용해시키면 점증이 이루어지면서 젤 또는 그와 유사한 성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활성 성분의 함량은 10.0 내지 7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20.0 내지 50.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40.0 중량%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수용성 활성성분과 증점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의 안정화된 제형을 형성하고 수용액 등에 대한 용해도를 최적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편리성과 사용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과립형 화장료 제형은,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4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만니톨(mannitol)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효과를 예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과립형 입자의 제조
아래의 제형들은 모두 무수 제형이다.
원료명(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알부틴(arbutin) 5.0 5.0 5.0 5.0
코지산(kojic acid) 2.0 5.0 2.0 5.0
아데노신(adenosine) 1.0 5.0 1.0 5.0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2.0 2.0 2.0 2.0
비타민 C(ascorbic acid) 30.0 20.0 30.0 20.0
글루타치온(glutathion) 5.0 3.0 5.0 3.0
아미노코트(aminocoat) 5.0 5.0 5.0 5.0
엔-아세틸-디-글루코사민(N-acetyl-D-Glucosamine) 5.0 5.0 5.0 5.0
트레할로오스(trehalose) 5.0 5.0 5.0 5.0
폴리감마글루탐산 (polygamma glutamic acid) 5.0 5.0 5.0 5.0
잔탄검(xanthan Gum) 5.0 20.0 5.0 20.0
디-만니톨(D-Mannitol) 30.0 20.0 30.0 20.0
총 계(Total)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 2>
1) 상기 표 1에 따른 원료물질을 확인하고 전처리 공정을 거쳤다. 상기 전처리 공정을 통해, 원료물질의 입도는 80 mesh 이상의 미분의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아미노코트(aminocoat)와 트레할로오스(trehalose)는 분쇄공정 거쳐 입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2) 메인 로터 챔버(Rotor Chamber) 안에 원료 물질(Arbutin/Kojic acid/Adenosine/Coenzyme Q10/Ascorbic acid/Glutathion/Aminocoat/N-Acetyl-D-Glucosamine/Trehalose/Polygamma glutamic acid/Xanthan Gum/D-mannitol)을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균일하게 혼합하여 투입하였다.
3) 잔탄검 0.5 중량%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0.8%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4) 3)에서 제조한 잔탄검 수용액을 로터 챔버 안으로 노즐 분사하면서, 로터 챔버를 회전시켰다. 로터 챔버의 회전수는 70 rpm을 유지하였다.
5) 원료물질이 완전히 펠렛화되기 전단계에서,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2>
1) 상기 표 1에 따른 원료물질을 확인하고, 별도의 전처리나 입도 확인 과정은 거치지 않았다.
2) 파우더 상태의 원료물질(Aminocoat/N-Acetyl-D-Glucosamine/ Trehalose/Polygamma glutamic acid/XanthanGum/D-mannitol)을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혼합분말을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미립자 상태로 얻었다.
[실험예 1] 용해도 비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입자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용해 현상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과 2의 경우에는, 과립형 입자 0.5 g을 이용하였다. 관찰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찰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용해현상 O O X X
O: 있다, X: 없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2에서는 용해 현상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과 2에서는 용해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예 2] 용해 후 잔존물 유무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입자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상 용액에 넣어서 용해시켰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시료들을 각각 0.5 g씩 취해서, 5 g의 수상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경우는 용해 시간과 용해시 흔든 횟수를 달리하였다.
먼저, 각 시료들을 수상 용액에 투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교반공정 없이 자발적인 용해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용해가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시료들을 수상 용액에 투입한 상태에서, 천천히 아래위로 손으로 흔들어서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흔든 횟수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별로 용해과정이 완료된 후, 잔존물 유무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관찰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용해시간 1분 20초 1분 40초 40분 20초 40분 40초
용해하기 위해서 흔든 횟수 5회 9회 100회 100회
용해 후 잔존물 유무 X X O O
O: 있다, X: 없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교반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을 때에, 실시예 1과 2는 2 분 이내로 비교적 빠른 시간에 자발적인 용해가 이루어 졌다. 그러나, 비교예 1과 2는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4 분 이상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잔존물이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손으로 흔들어 용해를 시킨 경우에도, 실시예 1과 2에 비해서, 비교예 1과 2에서는 흔든 횟수가 현저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점증현상 유무 실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입자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상 용액에 넣어서 용해시켜, 점증현상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시료들을 각각 0.5 g씩 취해서, 5g의 수상 용액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시료들이 완전히 용해된 이후, 점증현상의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관찰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점증현상 O O X X
O: 있다, X: 없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2에서는 점증현상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으나, 비교예 1과 2에서는 점증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의 중량에 따른 용해 후 잔존물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의 과립형 입자의 중량을 0.5, 1.0 및 1.5 g으로 달리하여, 각각의 시료를 5 g의 수상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한 시료들이 용해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잔존물 유무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관찰 항목 실시예 1의 과립 중량
0.5 g 1.0 g 1.5 g
용해시간 1분 40초 2분 10초 2분 30초
용해 후 잔존물 유무 X X X
O: 있다, X: 없다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과립형 입자의 중량을 2 배, 3 배로 늘려서 관찰한 결과, 용해되는 시간의 차이가 조금씩 있었으나, 용해 후 잔존물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의 농도를 높이고자 할 때는 과립의 중량을 늘림으로써 가능하고, 다만, 용해시간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길어지나 잔존물이 남는 문제점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시각적 차별성 및 사용상 편리성 비교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입자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0.5 g의 과립 형태의 입자로 만든 것을 이용하였으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모두 0.5 g의 시료를 5.0 g의 수상 용액에 넣어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30 명의 실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시각적 차별성 및 사용의 편리성 품평을 실시하였다. 시각적 차별성에 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고, 사용상 편리성에 대한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품평은 상대 평가로 실시하였다.
관찰항목 응답수(명)
실시예 1 비교예 1
시각적 차별화가 있다 27 1
시각적 차별화가 없다 1 26
모르겠다/무응답 2 3
관찰항목 응답수(명)
실시예 1 비교예 1
편리하다 19 2
불편하다 4 23
모르겠다/무응답 7 5
상기 표 6과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시각적 차별성이 있다는 응답이 90%, 사용이 편리하다는 응답이 63%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립 형태의 입자 타입의 실시예 1의 경우가, 시각적 차별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9)

  1. (a) 알부틴, 코지산, 아데노신, 코엔자임 Q10, 비타민 C 및 글루타치온으로 이루어진 분말 상태의 수용성 활성성분 및; 잔탄검(Xanthan Gum)과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으로 이루어진 점증제를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
    (b) 점증제로 잔탄검(Xanthan Gum)을 용매에 용해시켜 점증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c) (b) 공정의 점증제 용액을 (a) 공정의 혼합 분말에 분사하면서 5 내지 200 rpm에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과립형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a) 공정 이전에,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입도 800 메쉬 이상의 미분으로 가공하는 전처리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을 통해 형성된 과립형 입자의 밀도는 0.3 내지 0.4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형 화장료 제형에 있어서, 화장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의 함량은 10.0 내지 70.0 중량%이고,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5.0 내지 5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정에서, 분말 상태의 부형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만니톨(mann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정의 점증제 용액의 농도는, 점증제 용액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의 제조방법.
  11. 수용성 활성성분 및 점증제를 함유하는 과립형 제형으로, 상기 과립형 제형은 20℃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내지 70이고, 과립 0.5 g/수용액 5 g의 농도로 20℃ 물에 녹이면 3000 내지 5000 g/cm·s의 점도를 나타내며,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은 알부틴, 코지산, 아데노신, 코엔자임 Q10, 비타민 C 및 글루타치온이고,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Xanthan Gum) 및 폴리감마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의 입자크기는 300 내지 1000 ㎛이고, 과립의 밀도는 0.3 내지 0.4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
  13. 삭제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활성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7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제형은, 화장료 제형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40.0 중량%의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화장료 제형.
  18. 삭제
  19. 삭제
KR1020080097602A 2008-10-06 2008-10-06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54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02A KR101543017B1 (ko) 2008-10-06 2008-10-06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02A KR101543017B1 (ko) 2008-10-06 2008-10-06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78A KR20100038578A (ko) 2010-04-15
KR101543017B1 true KR101543017B1 (ko) 2015-08-12

Family

ID=4221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602A Active KR101543017B1 (ko) 2008-10-06 2008-10-06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452B1 (ko) * 2013-01-14 2019-10-02 (주)아모레퍼시픽 과립과 젤을 포함하는 화장품
JP6873014B2 (ja) * 2017-09-22 2021-05-19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コエンザイムq10含有固形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728B2 (ja) 1993-11-08 2000-05-29 ロレアル 皮膚のメーキャップのための化粧用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メーキャップ製品
KR100836032B1 (ko) 2002-03-26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L-아스코빌산 함유 다중공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728B2 (ja) 1993-11-08 2000-05-29 ロレアル 皮膚のメーキャップのための化粧用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メーキャップ製品
KR100836032B1 (ko) 2002-03-26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L-아스코빌산 함유 다중공 고분자 마이크로캡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78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85562A (en) Effervescent compositions
WO2019009528A2 (ko) 미라베그론의 습식과립 조성물
KR101377313B1 (ko) 서플리먼트를 내포하는 뚜껑체와 서플리먼트 분산매를 충전한 보틀로 이루어지는 보틀에 들어 있는 음료
CN117642084A (zh) 负载尼古丁组合物
TWI791684B (zh) 在內相中穩定化高含量爐甘石的水包油型化妝料組合物及其化妝品
EP4094594A1 (en) A filing of a nicotine formulation, in particular a nicotine sachet and the method of its manufacture, and a mixture of nicotine salts and the method of its manufacture
KR101543017B1 (ko) 과립형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EP0808161B1 (en) Solid substances comprising valproic acid and sodium valproate
KR101230934B1 (ko)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발포형 알약 형태의 무수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S6115653A (ja) 飼料添加物
JP5485677B2 (ja) 口腔用組成物
CN103772719A (zh) 纤维素醚粉末的制备
JP2015034153A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US20170112732A1 (en) Encapsulation of oral care active agents
ES2820699T3 (es) Proceso para preparar mezclas que comprenden vainillina y etilvainillina
JP2024506735A (ja) キシリトールとアスパラギン酸カルシウムの混合物の固結防止方法
JP2015110634A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JP4819587B2 (ja) アスコルビン酸のグリセリン溶液の製造方法及びアスコルビン酸のグリセリン溶液並びにアスコルビン酸のグリセリン溶液からなる化粧料素材。
CN113712923A (zh) 一种复方阿莫西林可溶性粉及其制备方法
JP2002065213A (ja) 固形剤の製造法
EP2612656B1 (en) Process for producing drug block-copolymer composite and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ing same
KR20090028985A (ko) 백선토, 황토, 석고, 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팩 조성물
JP4191360B2 (ja) 粒状入浴剤
KR101330142B1 (ko)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888566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