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768B1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Google Patents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768B1 KR101542768B1 KR1020140146301A KR20140146301A KR101542768B1 KR 101542768 B1 KR101542768 B1 KR 101542768B1 KR 1020140146301 A KR1020140146301 A KR 1020140146301A KR 20140146301 A KR20140146301 A KR 20140146301A KR 101542768 B1 KR101542768 B1 KR 101542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
- panel
- post frame
- fram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티션은 제1포스트 프레임과, 제2포스트 프레임, 제1포스트 프레임과 제2포스트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 상부 판 플레이트와 하부 판 플레이트, 상기 상부 판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납함과, 포스트 프레임의 판넬 걸이홈에 끼워걸어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납함이 파티션에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조립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is disclosed.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st frame, a second post frame, a height adjustment post coupled between the first post frame and the second post frame, an upper plate plate and a lower plate plate, The housing frame being formed of a door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post fram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post frame and one or more panels mounted on the panel frame by engaging with the panel hooking grooves of the post frame, So that not only space utilization can be maximized, but also robustness and supportability are greatly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포스트 프레임 자체에 다수의 걸이홈을 형성한 파티션에 그 높이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인테리어 기구로서, 구획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일체로 부착되는 판넬을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이 단위체를 일렬로 연결하거나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공간을 분할한다.In general, a partition is an interior mechanism widely used for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purposes, and includes a frame constituting a frame of a compartment and a panel integrally attached to the frame, each constituted of a single unit, Or connected in series or in a T shape to divide the space into a desired shape.
종래의 파티션의 제조 방법은 우선 다양한 소재로 파티션의 틀을 만든 후, 내부 공간을 벌집모양의 허니콤재 등으로 채우고 양측면에 합판이나 철판을 붙여서 그 외피를 천이나 도색으로 마감하여 하나의 파티션 단위체가 완성된다. 그리고, 파티션 단위체끼리를 별도로 구비되는 공지의 다양한 조립 부품 등으로 연결시킨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artition, first, a partition frame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the interior space is filled with a honeycomb material like honeycomb, and a plywood or an iron plate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rtition. Is completed. Then, the partitioning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various known assembling parts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파티션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이외에 파티션 단위체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로 조립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재료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고, 그 연결 방법 또한 번거롭고 까다롭다. 그리고, 파티션의 조립 또는 연결이 일단 한번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외관을 변경하기 어려워 사무소 등의 분위기 전환을 위해서는 별도의 파티션을 조립하거나 기존의 파티션을 전면적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등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tition, in addition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skeleton, a separat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partition unit bodies is required, which causes a rise in the material cost, and the connection method is cumbersome and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assembly or connection of the partitions is performed onc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partition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office, it is necessary to assemble a separate partition or replace the existing partitions entirely. There were various problems.
그러나, 종래의 파티션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이외에 파티션 단위체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로 조립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재료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고, 그 연결 방법 또한 번거롭고 까다롭다. 그리고, 파티션의 조립 또는 연결이 일단 한번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외관을 변경하기 어려워 사무소 등의 분위기 전환을 위해서는 별도의 파티션을 조립하거나 기존의 파티션을 전면적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등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tition, in addition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skeleton, a separate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partition unit bodies is required, which causes a rise in the material cost, and the connection method is cumbersome and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assembly or connection of the partitions is performed onc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ppearance of the partition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office, it is necessary to assemble a separate partition or replace the existing partitions entirely. There were various problems.
특히, 종래의 파티션은 하나의 파티션 단위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판넬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 파티션 판재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 상승, 가공성 및 작업 능률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partition, since the frame and the panel, which form one partition unit, are integrally form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move the entire one partition plate, the cost increases, the workability and the work efficiency are lowered.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번호 10-0794286호(조립식 파티션)에 대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 configura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shown in Fig. 1 for a registration number 10-0794286 (prefabricated partitio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으로, 포스트 프레임(30), 포스트 연결바(40), 및 판넬(50)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의 조립 상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은 포스트 프레임(30) 자체에 포스트 연결바 걸이홈(60)과 판넬 걸이홈(70)이 형성하여 조립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파티션 형성에 필요한 포스트 연결바(40)와 판넬(50)을 작업자가 끼워걸어 조립/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parti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은 연결바 걸이홈(60)과 판넬 걸이홈(70)에 판넬걸이부(51)와 연결바걸이부(90)를 고리 형상으로 구성하여 각각 끼워 걸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판넬의 하중에 의하여 고리가 무디어져 버리는 경우에는 교체하기가 쉽지 않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partition, since the
또한, 판넬걸이부(51)와 연결바걸이부(90)가 연결바 걸이홈(60)과 판넬 걸이홈(70)에 각각 삽입된 다음 고리 형상의 크기만큼 아래로 당겨져 고정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판넬간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생긴 판넬간의 공간을 미관을 고려하여 후처리하여야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Since the
그리고, 도 2의 종래의 포스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포스트프레임(30)은 레벨볼트와 레벨너트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볼트의 높이 만큼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길이 이상의 높낮이(볼트 높이 이상의)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2, the
한편, 일반적으로, 캐비넷(cabinet)이라 함은 사무용 서류나 물품 따위를 넣어 보관하기 위하여 주로 함체 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으로, 사무용 서류나 물품 등을 보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In general, a cabinet is a cabinet-shaped cabinet for storing office documents or items, and is used to store office documents, articles, and the like.
이러한 캐비넷은, 함체 형으로 구성하는 몸체와, 이 몸체의 내부에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구획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 몸체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하면과 좌우 및 후면이 막힌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목재와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Such a cabinet is constituted by a body constituted by an enclosure type and a compartment forming a compartment space inside the body. Usually, the body is constituted in such a state that the front surface is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left and right and rear surfaces are closed It is made of wood and injection-molded synthetic resin.
이와 같은 종래 캐비넷의 경우 몸체가 함체 형으로 조립된 상태로 양산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함체형의 몸체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몸체의 부피에 의해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어 운반비용의 가중됨은 물론 보관에 있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밖에 없어 공간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abinet, since the body is mass-produced and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with a body, it is necessary to occupy a lot of space due to the volume of the body when carrying or storing the body of th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utilization is greatly reduced because it occupies a lot of spa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넬에 간단한 구조의 판넬걸이구를 형성하여 손쉽게 포스트 프레임의 걸이홈에 끼워걸어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prefabricated storage box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by engaging with a hook groove of a post frame.
또한, 본 발명은 파티션이 설치할 공간에 따라 1차로 높이 조절 포스트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2차로 하부베이스에서 미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prefabricated storage box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rtition using a height adjusting post firstly accor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partition is to be installed and fin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cond lower base do.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캐비넷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티션과 일체로 시공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는 조립식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prefabricated cabine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artition to firmly support the cabine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은, 소정 깊이의 하부삽입홈을 상부에 구비하고,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판넬걸이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바 걸이홈 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하나 이상의 레벨러브라켓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포스트 프레임과, 상부판 플레이트의 일면의 양단과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의 일면의 양단은 서로 다른 제2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판플레이트의 타측 양단과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의 타측 양단은 각각 서로 다른 수납함지지바로 결합되고, 수납함지지바의 하부에는 레벨러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함 내의 제2포스트 프레임 각각과 수납함지지바의 각각에는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지지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판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되는 수납함과, 상부 고정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판넬걸이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바걸이홈 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상부삽입홈을 구비한 제1포스트 프레임과, 소정 높이의 몸체를 구비하고 하부는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상부는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부재로 결합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와, 양단에 수평바걸이구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바걸이구를 상기 제1 포스트프레임의 수평바걸이홈에 끼워 걸어 상기 제1 포스트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연결바와 외주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판넬걸이구를 구비하고, 상기 판넬 걸이구를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판넬 걸이홈에 끼워걸어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프레임에 수납함을 결합하고, 수납함이 결합된 제2 포스트프레임의 하부삽입홈에 상기 높이조절포스트의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높이 조절 포스트의 상부에 상기 제1 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삽입홈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inser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a plurality of paneling grooves formed on one side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At least one second pos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 catching grooves or screw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surface which is not formed and one or more leveler bracket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opposite ends of the upper plate plate and the lower plate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pposite ends of the lower plate plate, A leveler bracket is coupled, each of the second post frames in the receptacle and the receptacle support bar each support a shelf A storage box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wire ring is inserted and a do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plate and the lower plate plate;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 hooking grooves or screw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aneling grooves are not formed and on the opposed surface thereof, A first post frame and a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and fixed in a lower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ost fram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an upper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a horizontal bar girder at both ends of the first post frame, and the horizontal bar girder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catch groov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at least one panel hanger having at least one panel hanger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hanger, the panel hanger having at least one panel engaged with the panel hanger groov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the upper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ost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by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in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ost frame to which the housing is coupled, .
따라서,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에 의하면, 판넬걸이구를 접시머리 나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포스트 연결바와 판넬을 제1포스트 프레임에 아주 간편하게 끼워걸어 조립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hanger can be formed in a plate-headed shape, so that the post connection bar and the panel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first post frame.
또한, 판넬내부의 공간에 흡음재를 충진하고, 판넬간의 틈새를 판넬인서트부재로 마감함으로써,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어 설치 공간을 완벽히 방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panel and the gap between the panels is closed with the panel insert member, there is no gap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completely soundproofed.
또한,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에 의하면 제1포스트 프레임에 높이 조절 포스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할 조립식 파티션의 높이에 큰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1차로 높이 조절 포스트를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2차로 하부베이스의 높낮이조절구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규격에 관계없이 여러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adjusting pos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ost frame, even if a large step is generated in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partition to be installed,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finely by using the height adjuster of the lower base of the second ord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heights regardless of the standard.
그리고,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에 의하면, 수납함이 파티션에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조립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rage box is closely attached to the partition so as to be integrally assembled, the space utilization is maximized, and the robustness and supportability are greatly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포스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어를 오픈한 상태의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일 구성요소인 포스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연결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에 있어서, 포스트 프레임, 포스트 연결바, 및 판넬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높이 조절 포스트를 사용한 높낮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과 도 11은 상하부 플레이트와 도어의 힌지 결합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2는 레벨러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스트 연결바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parti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st frame,
FIG. 3 illustrates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partition in a state where a door is opened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 frame, which is a component of a prefabricate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t connection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ost frame, a post connection bar, and a panel are assembled in the prefabricated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by using the height adjusting posts,
10 and 11 are enlarged views of the hinge joint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door,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ler,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14 to 16 are post connection ba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part, "" module, " .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Also,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어를 오픈한 상태의 파티션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은 개별화된 모든 구성부품(요소)들이 간단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는 넉다운 방식의 파티션과 수납함으로 구성한다.FIG. 3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partition in a state where a door is opened in FIG. 3, and FIG. 5 is a side view As shown, the prefabricated partition with th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nockdown type partition and a storage box in which all individual components (elements) can be assembled in a simple manner quickly.
본 발명의 파티션은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포스트 프레임(130), 제1 포스트 프레임(130)의 하부에 결합된 높이 조절 포스트(180), 높이조절 포스트(180)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2 포스트프레임(120), 제2 포스트프레임에 형성된 수납함(160), 포스트 연결바(140), 및 판넬(1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즉, 본 발명의 파티션은 천정 등과 같은 상부 고정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판넬을 걸기위한 판넬걸이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이홈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상부삽입홈을 구비한 제1포스트 프레임(130)과, 소정 깊이의 하부삽입홈을 상부에 구비하고,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판넬걸이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이홈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하나 이상의 레벨러브라켓이 결합되는 제2포스트 프레임(120), 소정 높이의 몸체를 구비하고 그 상부는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삽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삽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180), 상부 판 플레이트와 하부 판 플레이트 및 상부 판 플레이트와 하부 판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납함(160), 외주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판넬걸이구를 구비하고, 상기 판넬 걸이구를 상기 제1 포스트프레임 또는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판넬 걸이홈에 끼워걸어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판넬(150), 그리고, 제1 포스트프레임(130)과 제2포스트 프레임(120), 판넬(15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제1 또는 제2 포스트 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연결바(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at is,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installed on an upper fixing surface such as a ceiling, and has a plurality of paneling grooves for hanging the panel, A first
제1포스트 프레임(130)은 일직선의 프레임 형태로서 천정에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프레임의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바걸이홈(133)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타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판넬 걸이홈(132)이 형성된다(도6 참조).The first
판넬 걸이홈(132)은 판넬(150)의 판넬걸이구(151)가 끼워걸어 고정되는 것이며, 수평바걸이홈(133)은 포스트 연결바(140)의 수평바걸이구(141)를 끼워걸어 제1 및 제2 포스트 프레임(120,130)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게 하는 것이다.The
이를 위하여 판넬걸이홈(132)은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삽입홀과 삽입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홀의 폭보다 좁은 걸림부로 구성하여 접시머리 나사로 구성된 판넬(150)의 판넬걸이구(151)가 삽입되어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한다.For this purpose, the
제2포스트 프레임(120)은 본 발명의 수납함(160)이 결합되는 지지부로서, 제1 포스트 프레임(130)과 동일하게 높이 조절 포스트(180)가 삽입고정되는 하부삽입홈을 상부에 구비하고,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판넬걸이홈(132)이 다수개 형성되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판넬 걸이홈(132)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하나 이상의 레벨러브라켓(123)이 결합된다.The
이러한 제2포스트 프레임(120)은 상부 판 플레이트(121)와 하부 판 플레이트(122), 상부 판 플레이트(121)와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70)로 구성되어 수납함(160)을 구성한다. The
높이 조절 포스트(180)는 제1포스트 프레임(130)과 제2포스트 프레임(120)사이에서 포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를 위하여 높이 조절 포스트(180)의 상부는 제1포스트 프레임(130)의 하부에 삽설되어 고정되고, 그 하부는 제2 포스트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For this,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의 일 구성요소인 포스트 프레임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제1포스트 프레임(130)의 하부는 높이조절 포스트(180)와 결합된 나사공(182)이 형성되어, 제1포스트 프레임(130)의 하부에 삽설된 높이조절 포스트(180)는 결합수단인 나사(181)를 통하여 결합된다.6, a lower portion of the
도 6의 상부 도면은 제1포스트 프레임(130)에 결합된 높이조절 포스트(180)에 대한 평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좌측이 정면도이고 우측이 측면도이다.6 is a top plan view of a
또, 높이조절 포스트(180)의 하부는 제2포스트 프레임(120)의 상부에 삽설되어 용접이나 기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이러한 높이 조절 포스트(180)는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할 공간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높이 조절 포스트(180)를 선택하면 된다.The
예를 들어, 도 9의 높이 조절 포스트를 사용한 높낮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설치할 공간의 높이에 따라 "z"와 "z1"의 높이를 갖는 높이 조절 포스트(180)를 사용하면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ing process using the height adjusting posts of FIG. 9, if the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2포스트 프레임(120)이 결합된 높이 조절 포스트(180)를 다수 개 구비하면 그때 그때 상황에 맞추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Preferably, if the
즉, 높이 조절 포스트(180)는 1차적으로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할 공간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미세한 높이의 조절은 제2 포스트프레임(120)의 레벨러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at is, the
본 발명에서는 제1 포스트 프레임과 높이 조절 포스트를 겹합수단으로 결합하고, 제2포스트 프레임에는 높이 조절 포스트가 삽설 지지되도록 설명하였으나, 결합수단을 제2포스트 프레임에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결합수단없이 삽설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t frame and the height adjusting post are combined by the overlapping means, and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post frame. However, the engaging mean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st frame, Of course,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도 12의 레벨러의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에서 "C"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제2포스트 프레임(120)의 하부에 나사홀(123a)이 형성된 레벨러브라켓(123)을 형성하고, 나사홀(123a)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볼트(124)와 볼트의 머리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24a)으로 구성된 레벨러에 의하여 회전시켜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포스트 프레임(120)의 높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구성한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ler of FIG. 12, in which the "C" portion is enlarged in FIG. 5, and a
즉, 본 발명은 1차로 높이 조절 포스트(180)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2차로 제2포스트 프레임(120)의 볼트를 이용하여 미세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That is,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eight is adjusted by using the
수납함(160)은 상부판 플레이트(121)의 일면의 양단과 하부 판 플레이트(122)의 일면의 양단은 서로 다른 제2포스트 프레임(120)에 결합되고, 상부 판플레이트의 타측 양단과 하부 판 플레이트의 타측 양단은 각각 서로 다른 수납함지지바(173)로 결합되고, 수납함 내의 제2포스트 프레임 각각과 수납함지지바의 각각에는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지지구(174)가 결합된다.Both ends of one surface of the
이러한 선반지지구(174)와 선반지지구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들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s for joining the
또한, 상부 판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각각의 제2포스트 프레임(120)과 수납함지지바(173)에 지지브라켓(175)을 결합하여 상부 판 플레이트가 지지되게 구성하고, 하부 판 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의 제2포스트 프레임(120)과 수납함지지바(173)에 지지브라켓(175)을 결합하여 견고하게 겹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plate is supported by connecting the second post frames 120 and the support
수납함지지바(173)는 제2포스트 프레임(120)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대략 사각형의 수납함을 형성하는 지지바로서 구성되며, 그 하부에 나사홀(123a)이 형성된 레벨러브라켓(123)을 형성하고, 나사홀(123a)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볼트(124)와 볼트의 머리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24a)으로 구성된 레벨러에 의하여 회전시켜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높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구성한다.The storage
도어(170)는 상부 판 플레이트와 하부 판 플레이트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수납함지지바의 상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도 10과 도 11은 상하부 플레이트와 도어의 힌지 결합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은 도 5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B"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먼저 상부 판 플레이트(121)와 힌지결합되는 도어를 설명하면, 상부판 플레이트(121)의 일단부에 상부힌지브라켓(121a)과 상부힌지브라켓(121a)에 결합된 상부힌지(121b)가 도어(170) 내부에 설치된 상부베어링브라켓(171a)의 상부베어링(171b)에 삽설되어 상부힌지(121b)가 상부베어링(171b) 내에서 회동하게 구성된다. 10 and 11 are enlarged views of hinge joint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door,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in FIG. 5,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B" An
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도어(170) 내부에 설치된 하부힌지브라켓(172a)과 하부힌지브라켓(172a)에 결합된 하부힌지(172b)가 하부 판 플레이트(122)의 일단에 구비된 하부베어링브라켓(122a)의 하부베어링(122b)에 삽설되어 하부힌지(172b)가 하부베어링(122b) 내에서 회동하게 구성된다.The
따라서, 도어(170)는 상하부 판 플레이트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핸지 결합은 상하부 판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수납함지지바(173)에도 설치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힌지 결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의 회동에 관한 통상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the
포스트 연결바(140)는 제1 또는 제2 포스트 프레임(120,130)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프레임으로서, 제1포스트 프레임(130)과 제2포스트프레임(120), 판넬(15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연결바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포스트 연결바(140)는 수평바 걸이구(141)를 구비하여 이 수평바 걸이구(141)를 제1포스트 프레임(130)과 제2포스트프레임(120)의 수평바 걸이홈(133) 내에 끼워 걸어 두 개의 포스트 프레임에 수평으로 조립되어 본 발명의 조립식 파티션을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판넬(150)과 판넬(150) 사이의 틈새 공간을 완벽히 메우게 되며, 파티션 내부의 공간도 구획하게 된다.7, the
또한, 상하 좌우로 판넬(150)간에 생기는 틈새를 포스트 연결바(140)가 포스트 프레임간을 횡단하면서 그 틈새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수평바 걸이홈(133)이 상하로 인접한 판넬 걸이홈(132) 사이에 위치되는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판넬(150)은 사각 평판 형태로 외주 가장자리에 나사 형태의 판넬 걸이구(151)를 구비하고, 판넬 걸이구(151)를 각 포스트 프레임의 판넬 걸이홈(132)에 끼워걸어 각 포스트 프레임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다수 개 조립되는 플레이트로서, 파티션의 전후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과 연결바, 판넬은 견고성, 내화성, 방음성 등을 고려하여 모두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특히, 판넬은 유리 재질, 투명 플라스틱 재질, 화이트보드, 또는 칼라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the connecting bar, and the panel are made of iron in consideration of rigidity, fire resistance, soundproofness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the panel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glass material,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 white board, or a color board.
판넬 걸이구(151)는 삽입 깊이 조절용 단턱(SHOULDER)을 형성한 접시머리 나사로 구성하고, 접시머리나사는 판넬걸이홈(132)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이 판넬걸이홈(132)의 걸림부에 걸쳐져 지지되게 구성한다.The
또한 판넬걸이구(151)는 판넬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브라켓(152)에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판넬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Further, the
그리고 판넬(150)은 통상 포스트 프레임의 양측면에 조립될 수 있는 데 앞뒤의 판넬에 의해 형성되는 파티션의 내부 공간은 방음재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파티션에 있어서, 포스트 프레임, 포스트 연결바, 및 판넬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을 참고하면, 제1 포스트 프레임(130) 자체에 수평바 걸이홈(133)과 판넬 걸이홈(1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별도의 조립 또는 연결 부품을 필요로 하거나 조립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파티션 형성에 필요한 포스트 연결바(140)와 판넬(150)을 작업자가 아주 간편하게 끼워걸어 조립/해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post frame, the post connecting bar, and the panel are assembled. Referring to FIG. 8,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조립되는 판넬(150) 중 일부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유리 재질, 투명 플라스틱 재질, 화이트보드, 또는 칼라보드 판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분할/구획된 공간일지라도 내외에서 효과적으로 투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assembled
또한 판넬은 유리나, 화이트보드, 칼라 판넬 등과 같이 여러 종류를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판넬로 파티션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판넬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anel can be used by various choices such as glass, white board, color panel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need, and the partition can be formed by the same panel or the panel can be composed of different kinds.
그리고 본 발명은 판넬(150)이 제1 포스트 프레임(130)의 양측면에 모두 조립되기 이전에 파티션 내부 공간을 공지의 방음재나 단열재, 또는 내화재로 충전시킨 후, 판넬(150) 조립을 완료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이러한 구성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은 단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개 결합하여 사용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분하고 사용하 수 있다.The prefabricated partitions having a storage box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used as a single part, but if used in combination, space can be efficiently separated and u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 포스트 프레임에 수평바 걸이홈을 형성하고, 포스트 연결바(140)의 양단에 수평바 걸이구를 형성하여 걸이홈에 걸이구를 끼워 걸어 두 개의 포스트 프레임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걸이홈과 걸이구 대신에 간단한 나사홈을 형성하여 나사로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bar hook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or second post frame, a horizontal bar hook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 포스트 프레임에서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나사홈(133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포스트 연결바(140)에도 나사홀(141a)을 형성하고, 나사홈(133a)을 나사홀(141a)을 대향되게 위치시킨 다음 결합부재로 나사(141b)를 이용하여 손쉽게 결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4 to 16, a plurality of
도 13의 본 발명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설치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다수 개의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을 결합하여 사용하 수 있는 데, 필요한 경우 일부는 수납함을 구비한 것으로, 또 일부는 수납함이 없는 파티션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3,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r a combination of partitions without parti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20 : 제2포스트프레임
121 : 상부판플레이트 122 : 하부판플레이트
123 : 레베러브라켓 124 : 볼트
130 : 제1포스트프레임 131 : 끼움체결부
132 : 판넬걸이홈 133 : 수평바걸이홈
140 : 포스트연결바 141 : 수평바걸이구
150 : 판넬 151 : 판넬걸이구
152 : 판넬걸이구 지지 브라켓 160 : 판넬인서트부재
170 : 도어 180 : 높이조절 포스트
183 : 포스트지지바120: second post frame
121: upper plate plate 122: lower plate plate
123: Rebel Love Racket 124: Bolt
130: first post frame 131:
132: panel hanger groove 133: horizontal bar hanger groove
140: Post connection bar 141: Horizontal bargaining
150: Panel 151: Panel hanger
152: panel bracket support bracket 160: panel insert member
170: Door 180: Height adjustable post
183: Post support bar
Claims (7)
상부판 플레이트의 일면의 양단과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의 일면의 양단은 서로 다른 제2포스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판플레이트의 타측 양단과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의 타측 양단은 각각 서로 다른 수납함지지바로 결합되고, 수납함지지바의 하부에는 레벨러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함 내의 제2포스트 프레임 각각과 수납함지지바의 각각에는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지지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판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판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되는 수납함;
상부 고정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면과 그 대향면에는 판넬걸이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판넬걸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면과 그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바걸이홈 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상부삽입홈을 구비한 제1포스트 프레임;
소정 높이의 몸체를 구비하고 하부는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상부는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부재로 결합되는 높이 조절 포스트;
양단에 수평바걸이구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바걸이구를 상기 제1 포스트프레임의 수평바걸이홈에 끼워 걸어 상기 제1 포스트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는 포스트 연결바;
외주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판넬걸이구를 구비하고, 상기 판넬 걸이구를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판넬 걸이홈에 끼워걸어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판넬;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스트프레임에 수납함을 결합하고, 수납함이 결합된 제2 포스트프레임의 하부삽입홈에 상기 높이조절포스트의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높이 조절포스트의 상부에 상기 제1 포스트 프레임의 상부삽입홈이 결합되는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A plurality of panel hook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n opposite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 hooks are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paneling hooking grooves are not formed, One or more second post frames forming a groove or threaded groove and having at least one leveler bracket coupled thereto;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upper plate plate and the opposite ends of one side of the lower plate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econd post fram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guide rail for supporting the shelf is inserted in each of the second post frame and the support bar in the accommodating box, A storage box configured by a do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plate;
A plurality of panel hang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ide surfac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 hanging grooves Or a thread groove, and having an upper insertion groov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height regulating post having a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a lower portion inserted and fixed in a lower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ost fram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an upper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post frame and coupled with a coupling member;
A horizontal connecting bar provided at both ends thereof with horizontal bar galls,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being insert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post frames by fitting the horizontal bar galls into the horizontal bar hooking grooves of the first post frames;
At least one panel having one or more panel hangers at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the panel hangers being inserted into the panel hanging grooves of the first post frame to be assembled;
The lower post of the second post frame is coupled to the second post frame, and a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post frame to which the housing is coupled.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to which upper insertion grooves are coupled.
상기 판넬의 판넬걸이구는
삽입 깊이 조절용 단턱(SHOULDER)을 형성한 접시머리 나사로 구성하고, 상기 접시머리나사는 상기 제1포스트 프레임의 판넬걸이홈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판넬걸이홈의 걸림부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판넬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그 대향면에서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nel hanger of the panel
And the plate head screw is inserted into the panel hook groove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post frame so that the step is supported by the hook portion of the panel hook groove And a storage box having a bracket screwed to one side of the panel, the storage box being inserted into the bracket and screwed to the bracket.
상기 제2포스트 프레임은
그 하부에 나사홀이 형성된 레벨러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머리에 결합된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레벨러에 의하여 제2포스트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post frame
And a height of the second post frame is adjusted by a leveler formed of a bolt screwed into the screw hole and vertically adjusted in height and a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head of the bolt, A prefabricated partition with a storage box.
도어는
상부 판 플레이트와 하부 판 플레이트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함을 구비한 조립식 파티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oor
A prefabricated partition having a storage box hingedly coupled to an upper plate plate and a lower plate plate to be rotat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6301A KR101542768B1 (en) | 2014-10-27 | 2014-10-27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6301A KR101542768B1 (en) | 2014-10-27 | 2014-10-27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2768B1 true KR101542768B1 (en) | 2015-08-10 |
Family
ID=5388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6301A Active KR101542768B1 (en) | 2014-10-27 | 2014-10-27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7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247A (en) * | 2021-02-26 | 2022-09-02 | 김혜성 | Temporary wall member fix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691B1 (en) * | 2010-03-26 | 2010-10-29 | 주식회사 울타리 |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
KR101174115B1 (en) * | 2012-06-29 | 2012-08-14 | (주)혜덕 | Sectional partition |
-
2014
- 2014-10-27 KR KR1020140146301A patent/KR101542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691B1 (en) * | 2010-03-26 | 2010-10-29 | 주식회사 울타리 |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
KR101174115B1 (en) * | 2012-06-29 | 2012-08-14 | (주)혜덕 | Sectional parti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247A (en) * | 2021-02-26 | 2022-09-02 | 김혜성 | Temporary wall member fixing device |
KR102591230B1 (en) * | 2021-02-26 | 2023-10-18 | 김혜성 | Device for Fixing Temporary Wall Memb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2816B2 (en) |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 |
RU2700822C2 (en) | Cabinet | |
US20160235195A1 (en) |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 |
KR101478953B1 (en) | Prefabricated shelf | |
US20100090567A1 (en) | Storage furniture system and methods for assembling the storage furniture system | |
US20210120950A1 (en) | Modular closet system | |
CN100348137C (en) | Supporting spine structure for modular office furniture | |
KR100794286B1 (en) | Prefabricated partition | |
US20070182293A1 (en) |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elements | |
US20110088332A1 (en) | Modular Closet Unit | |
KR101542768B1 (en)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
KR101538375B1 (en) | Sectional partition having container box | |
KR100990691B1 (en) |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 |
JP2008190153A (en) | Wall surface structure | |
US20120187813A1 (en) | Cabinet Conversion Panels | |
US20080067303A1 (en) |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Baskets | |
US11564489B2 (en) | Furniture system | |
KR200439457Y1 (en) | Prefabricated partition | |
KR20190022962A (en) | Prefab partition | |
RU40862U1 (en) | SCREEN UNDER SHOWER PALLET (OPTIONS) | |
WO2019215689A1 (en) | A kit for assembling a furniture article framework | |
EP1804614A1 (en) | Universal bracket used to fix doors to cabinet pull-out elements | |
US10045620B2 (en) |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 |
JP7507029B2 (en) | Kitchen unit | |
KR20150111238A (en) | Closet Casement stru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