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1291B1 -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291B1
KR101541291B1 KR1020130084382A KR20130084382A KR101541291B1 KR 101541291 B1 KR101541291 B1 KR 101541291B1 KR 1020130084382 A KR1020130084382 A KR 1020130084382A KR 20130084382 A KR20130084382 A KR 20130084382A KR 101541291 B1 KR101541291 B1 KR 10154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ignal
mri apparatus
connection path
sig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884A (ko
Inventor
한정호
반대현
오금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91B1/ko
Priority to EP14177322.6A priority patent/EP2827166A1/en
Priority to US14/334,175 priority patent/US20150022201A1/en
Publication of KR2015000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3In-circuit-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6Electrical details, e.g. matching or coupling of the coil to the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43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MR system, e.g. setting of acquisition parameters prior to or during MR data acquisition, dynamic shimming, use of one or more scout images for scan plane prescri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Y MRI APPARATUS, AND RADIO FREQUENCY COIL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Y RF COIL}
본 발명은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MRI 장치는 특정 세기의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한 MR(Magnetic Resonance) 신호의 세기를 명암 대비로 표현하여 대상체의 단층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대상체를 강력한 자기장 속에 눕힌 후 특정의 원자핵(예컨대, 수소 원자핵 등)만을 공명시키는 RF 신호를 대상체에 순간적으로 조사했다가 중단하면 상기 특정의 원자핵에서 MR 신호가 방출되는데, MRI 장치는 이 MR 신호를 수신하여 M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MR 신호의 크기는 대상체에 포함된 소정의 원자(예컨대, 수소 등)의 농도, 이완시간 T1, 이완시간 T2 및 혈류 등의 흐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MRI 장치는 다른 이미징 장치들과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미지의 획득이 감지 하드웨어(detecting hardware)의 방향에 의존하는 CT와 같은 이미징 장치들과 달리, MRI 장치는 임의의 지점으로 지향된 2D 이미지 또는 3D 볼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는, CT, X-ray, PET 및 SPECT와 달리, 대상체 및 검사자에게 방사선을 노출시키지 않으며, 높은 연부 조직(soft tissue) 대조도를 갖는 이미지의 획득이 가능하여, 비정상적인 조직의 명확한 묘사가 중요한 신경(neurological) 이미지, 혈관 내부(intravascular) 이미지, 근 골격(musculoskeletal) 이미지 및 종양(oncologic) 이미지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관련된 기술 문헌에는 일본공개특허 2005-0304940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를 촬영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RF 코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컬러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RF 코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유선 또는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RF 코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는, RF 코일의 장착 부위, 채널 수, 크기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 및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컬러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커넥터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 2 RF 코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유선 또는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MRI 장치는,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RF 코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소정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소정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은,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RF 코일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상기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소정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소정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MRI 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경고음 및 경고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RF 코일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신호를 투과시키는 신호 투과부와, 상기 신호 투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투과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RF 코일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RF 코일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상기 RF 코일의 접촉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게 되며,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는,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RF 코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MRI 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 및 경고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부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신호를 투과시키는 신호 투과부와, 상기 신호 투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투과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부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RF 코일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MRI 장치에 접촉되는 상기 RF 코일의 접촉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MRI 장치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MRI 장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를 반사하여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2 신호가 흐르게 하는 신호 반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가 반사됨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은,
MRI 장치에 장착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1 신호 연결로;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2 신호 연결로; 및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 상기 제 2 신호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은,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RF 코일이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은,
MRI 장치에 장착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1 신호 연결로;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2 신호 연결로; 및 상기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촉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 상기 제 2 신호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상기 RF 코일은,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로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와 MRI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RF 코일이 MRI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RF 코일의 측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위치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스위치를 구비한 머리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b)는 스위치를 구비한 척추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신호 반사부와 접촉부가 접촉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MRI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의 선택만, 또는 B의 선택만, 또는 A와 B의 선택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예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A의 선택만, 또는 B의 선택만, 또는 C의 선택만, 또는 A와 B의 선택만, 또는 B와 C의 선택만, 또는 A와 B와 C의 선택을 포괄할 수 있다. 더 많은 항목들이 열거되는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는 이산적인 이미지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이미지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X-ray, CT, MRI, 초음파 및 다른 의료 영상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의료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체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구형(sphere)의 팬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자기 공명 영상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이란 핵자기 공명 원리를 이용하여 획득된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펄스 시퀀스"란, MRI 장치에서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신호의 연속을 의미한다. 펄스 시퀀스는 RF 펄스의 시간 파라미터, 예를 들어, 반복 시간(Repetition Time, TR) 및 에코 시간(Time to Echo, 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펄스 시퀀스 모식도"란, MRI 장치 내에서 일어나는 사건(event) 들의 순서를 설명한다. 예컨대, 펄스 시퀀스 모식도란 RF 펄스, 경사 자장, MR 신호 등을 시간에 따라 보여주는 모식도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00)와 MRI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RF 코일(2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MRI 장치(100)에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RF 코일(200)이 연결 및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 연결되었다는 것은, RF 코일(200)과 MRI 장치(1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간에 대상체를 촬영하는데 필요한 소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RI 장치(100)는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고, MRI 장치(100)에 연결되지 않은 RF 코일(200)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촬영할 수는 없다. 대상체를 촬영하는 데 필요한 소정 정보는 MRI 장치(100)가 RF 코일(200)에게 전송하는 RF 신호의 타이밍 정보,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게 전송하는 MR 신호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이 MRI 장치(100)에 장착되었다는 것은,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MRI 장치(100)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I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RF 코일(200)은 머리 RF 코일, 다리 RF 코일, 척추 RF 코일, 복부 RF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머리 RF 코일이라도 채널 수, 크기, 용도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머리용 RF 코일이 있을 수 있다.
즉, 다양한 종류의 RF 코일(200)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는 복수의 RF 코일(200) 중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200)을 선택하고 선택한 RF 코일(200)을 MRI 장치(100)에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적절한 RF 코일인지를 계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적절하지 않은 RF 코일이 MRI 장치(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상체를 촬영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아 대상체를 재촬영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00)들은 MRI 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RF 코일(20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은, RF 코일(200)이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F 코일(200) 중 MRI 장치(100)에 접하여야 할 부분 모두가 MRI 장치(100)에 접해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RF 코일(200)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촬영하는 경우, 이미지의 질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MRI 장치(100)로부터 RF 코일(200)을 제거하는 경우, RF 코일(200)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RF 코일(200)의 커넥터가 MRI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RF 코일(200)이 제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00)는,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 RF 코일(200)의 정상 장착 또는 커넥터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S220 단계에서, MRI 장치는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는, RF 코일의 장착 부위, 채널 수, 크기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MRI 장치는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한다.
S24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MRI 장치에 의해 출력된 알림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MRI 장치에 연결된 RF 코일이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MRI 장치는 갠트리 또는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RF 코일이 적절한 RF 코일인지 여부를 오퍼레이팅 룸에서 별도로 확인할 필요없이 MRI 장치에 RF 코일을 연결한 즉시 갠트리 또는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RI 장치(100)는 대상체(10)가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갠트리(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상체(10)의 복부를 촬영하기 위한 복부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복부 RF 코일(200)은 유선 RF 코일로서, MRI 장치(100)와 커넥터(206) 및 커넥터 라인(207)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유선 RF 코일이 무선 RF 코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갠트리(101)와 RF 코일(200)에는 스피커(104, 204)와 디스플레이(102, 202)가 부착될 수 있다. MRI 장치(100)는 갠트리(101) 또는 RF 코일(200)에 부착된 스피커(104, 204) 및 디스플레이(102, 20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적절한 RF 코일인 경우와 적절한 RF 코일이 아닌 경우 각각에 대응하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적절한 RF 코일인 경우, 어떠한 사운드나 화면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MRI 장치(100)에 연결된 RF 코일(200)이 적절한 RF 코일이라고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MRI 장치에 연결된 RF 코일이 유선 RF 코일인 경우에 수행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S41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 및 병명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MRI 장치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 및 병명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S42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 및 병명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S430 단계에서, MRI 장치는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의 커넥터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S440 단계에서, MRI 장치는 측정된 커넥터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커넥터의 저항값은 RF 코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MRI 장치는 미리 임의의 RF 코일과 해당 RF 코일의 커넥터 저항값을 매칭하여 저장한 뒤, 제 2 RF 코일의 커넥터 저항값에 대응하는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MRI 장치가 제 2 RF 코일로부터 커넥터를 통해 직접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S450 단계에서, MRI 장치는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한다.
S460 단계에서, MRI 장치는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제 2 RF 코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가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MRI 장치는 초록색의 광 신호를 제 2 RF 코일로 전송하고, 알림 정보가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빨간색의 광 신호를 제 2 RF 코일로 전송할 수 있다.
MRI 장치는 광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제 2 RF 코일은 수신된 광 신호에 대응하는 컬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알림 정보를 쉽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 2 RF 코일의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MRI 장치로부터 수신된 광 신호의 컬러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MRI 장치가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갖는 전기 신호를 제 2 RF 코일로 전송하고, 제 2 RF 코일이 수신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소리 또는 특정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51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MRI 장치는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대상체의 병명 또는 촬영 부위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S520 단계에서, MRI 장치는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 2 RF 코일이 유선 RF 코일인 경우, MRI 장치는 제 2 RF 코일의 커넥터 저항값을 측정하여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 2 RF 코일로부터 커넥터를 통해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제 2 RF 코일이 MRI 장치와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연결된 무선 RF 코일인 경우,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제 2 RF 코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S530 단계에서, MRI 장치는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한다.
S540 단계에서, MRI 장치는 S530 단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MRI 장치는 제 2 RF 코일이 적절한 RF 코일인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거나, 어떠한 알림 정보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제 2 RF 코일이 적절한 RF 코일이라는 것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MRI 장치는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로 전송한다. MRI 장치는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 방법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RFID 등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들 각각은 자신의 정보와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들 중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RF 코일은 소리, 빛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어느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소리, 빛 등을 출력하고 있는 RF 코일을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 것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MRI 장치가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2 RF 코일 스스로 자신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RF 코일은 MRI 장치로부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자신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기초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600)는 정보 획득부(610), 비교부(630) 및 출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610) 및 비교부(6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획득부(610)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MRI 장치(600)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획득부(610)는 대상체의 병명 및 촬영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610)는 MRI 장치(600)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의 커넥터의 저항값 측정을 통해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 2 RF 코일로부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비교부(630)는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는 RF 코일의 장착부위, 크기, 채널수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650)는 MRI 장치(600)의 갠트리 또는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는, 제 2 RF 코일이 유선 RF 코일인 경우, 출력부(650)는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제 2 RF 코일로 전송하고,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컬러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600)는 정보 획득부(610), 비교부(630), 출력부(650) 및 통신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610), 비교부(630) 및 출력부(650)에 대해서는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670)는 유선 또는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MRI 장치(600)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MRI 장치(600)에 연결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로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들 각각은 자신의 정보와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들 중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RF 코일은 소리, 빛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어느 RF 코일이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소리, 빛 등을 출력하고 있는 RF 코일을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 것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는 RF 코일은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S710 단계에서, RF 코일은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MRI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S720 단계에서, RF 코일은 수신된 소정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비교한다.
S730 단계에서, RF 코일은 RF 코일이 소정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RF 코일이 소정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은 MRI 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이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리, 빛 등의 알림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어느 RF 코일이 소정 RF 코일에 대응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소리, 빛 등을 출력하고 있는 RF 코일을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 것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8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800)은 통신부(810), 비교부(830) 및 출력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코일(800)은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통신부(810)는 MRI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F 코일(800)은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신부(810)는 MRI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제 1 무선 통신 방법이 아닌,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소정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830)는 수신된 소정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RF 코일(800)에 관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출력부(850)는 RF 코일(800)이 소정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RF 코일(800)이 상기 소정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910 단계에서, MRI 장치는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MRI 장치는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920 단계에서, MRI 장치는 RF 코일로부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여부에 따라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MRI 장치는 RF 코일과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따라 RF 코일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는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으며, 광 신호 또는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RI 장치는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RF 코일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MRI 장치는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RF 코일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S930 단계에서, MRI 장치는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MRI 장치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RF 코일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MRI 장치는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을 상기 알림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을 통해 RF 코일의 커넥터가 MRI 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다는 것은 RF 코일이 MRI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RF 코일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은, RF 코일 중 MRI 장치에 접하여야 할 부분 모두 또는 일부가 MRI 장치와 접해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므로, 이는 사용자가 RF 코일을 제거하기 위해 MRI 장치를 이동시켰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MRI 장치에 의해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RF 코일의 커넥터를 MRI 장치로부터 분리한 이후에 RF 코일을 제거하거나, RF 코일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하여야 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가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여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준비 단계에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여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는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 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는 제 1 신호의 전송을 하지 않음으로써,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흐름이 MRI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는, MRI 장치의 갠트리 내에 정자기장이 형성된 상태, 경사자장이 형성된 상태 또는 대상체를 향하여 RF 신호가 조사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종료 후 소정 시간 내에는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지 않고, RF 코일이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바로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RF 코일의 커넥터를 MRI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가 MRI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RF 코일을 이동 또는 제거시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2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RF 코일(200)은 MRI 장치에 연결되는 커넥터(206), 제 1 신호 연결로(211), 제 2 신호 연결로(219) 및 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연결로(211)는 MRI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고, 제 2 신호 연결로(219)는 제 2 신호를 MRI 장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스위치(230)는 MRI 장치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230)는 MRI 장치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RF 코일(200)의 측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위치(230)가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30)는 MRI 장치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208)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위치(230)는 신호 차단부(234)와 신호 투과부(2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신호 투과부(232)는 신호 차단부(23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위치(230)가 MRI 장치에 접촉되지 않으면 스위치(230)의 신호 차단부(234)가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결국, 제 1 신호 연결로(211)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는 제 2 신호 연결로(219)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MRI 장치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흐르는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MRI 장치에 접촉되어야 할 RF 코일(200)의 스위치(230)가 MRI 장치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 MRI 장치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흐르는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MRI 장치는 RF 코일(200)이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스위치(230)가 MRI 장치에 접촉됨에 따라 스위치(230)는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스위치(230)가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된 경우, 스위치(208)의 신호 투과부(232)는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신호 연결로(211)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219)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MRI 장치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RF 코일(20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와 도 11(b)는 스위치(230)의 신호 투과부(232)가 신호 차단부(234)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신호 투과부(232)가 신호 차단부(234)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MRI 장치는 제 2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RF 코일(200)이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 2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는 RF 코일(200)이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하나의 스위치(230)가 RF 코일(200)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스위치가 RF 코일(200)에 구비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2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RF 코일(200)은 네 개의 스위치(231, 233, 235, 237)를 포함한다. 이 중 제 1 스위치(231)에 제 1 신호 연결로(211)가 연결되며, 제 4 스위치(237)에 제 2 신호 연결로(219)가 연결된다. 제 1 스위치(231)와 제 2 스위치(233) 사이에는 제 3 신호 연결로(213), 제 2 스위치(233)와 제 3 스위치(235) 사이에는 제 4 신호 연결로(215), 제 3 스위치(235)와 제 4 스위치(237) 사이에는 제 5 신호 연결로(217)가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스위치들(231, 233, 235, 237)은 MRI 장치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스위치들(231, 233, 235, 237)이 MRI 장치에 접촉되어 제 1 내지 제 4 스위치(231, 233, 235, 237) 모두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5 신호 연결로들(211, 213, 215, 217, 219)은 서로간에 모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신호 연결로(211)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219)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MRI 장치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RF 코일(200)이 MRI 장치에 정확하게 접촉되어 있는지, 다시 말하면 RF 코일(200)에 구비된 스위치(231, 233, 235, 237)가 모두 제 1 방향(208)으로 이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RF 코일 중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1310 단계에서, MRI 장치는 RF 코일과 연결된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한다.
S1320 단계에서, MRI 장치는 RF 코일과 연결된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RF 코일로부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S1330 단계에서, MRI 장치는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MRI 장치에 의해 출력된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통해 RF 코일 중 어느 부분이 MRI 장치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하는 RF 코일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2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RF 코일(200)은 네 개의 스위치(231, 233, 235, 237)와, 네 개의 스위치(231, 233, 235, 237) 각각에 연결된 네 개의 제 1 신호 연결로(211a, 211b, 211c, 211d) 및 네 개의 제 2 신호 연결로(219a, 219b, 219c, 219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스위치들(231, 233, 235, 237)은 RF 코일(200) 중 MRI 장치에 접촉되어야 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RF 코일(200)이 MRI 장치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RF 코일(200)이 MRI 장치에 접촉되어 제 1 내지 제 4 스위치(231, 233, 235, 237) 모두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내지 제 4 스위치(231, 233, 235, 237)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신호 연결로(211a, 211b, 211c, 211d)와 제 2 신호 연결로(219a, 219b, 219c, 219d)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MRI 장치는 네 개의 제 1 신호 연결로(211a, 211b, 211c, 211d) 각각을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네 개의 제 2 신호 연결로(219a, 219b, 219c, 219d) 각각을 통해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네 개의 제 2 신호 연결로들(219a, 219b, 219c, 219d) 중 제 2 스위치(233)에 대응하는 제 2 신호 연결로(219b)로부터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2 스위치(233)가 MRI 장치에 접촉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MRI 장치는 제 2 스위치(233)의 위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RF 코일(200)이 제 2 스위치(233)의 위치에서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 12, 14는 제 1 신호 연결로와 제 2 신호 연결로가 커넥터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 1 신호 연결로와 제 2 신호 연결로가 커넥터 라인 이외의 별도의 라인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5(a)는 스위치를 구비한 머리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b)는 스위치를 구비한 척추 RF 코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에 구비되는 스위치(230)는 RF 코일 중 MRI 장치 또는 대상체와 접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머리 RF 코일의 경우에는, RF 코일의 저면(A)이 MRI 장치와 접하게 되므로, RF 코일의 저면(A)에 스위치(2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된 척추 RF 코일의 경우에는, RF 코일의 저면(C)이 MRI 장치와 접하고, RF 코일의 상면(B)이 대상체와 접하게 되므로, RF 코일의 저면(C) 또는 상면(B)에 스위치(2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2(b)는 척추 RF 코일의 상면(B)에 스위치(230)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머리 RF 코일과 척추 RF 코일을 제외한 기타 다른 RF 코일에 대해서도 대상체 또는 MRI 장치에 접하게 되는 면에 스위치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는 예시적인 RF 코일(20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신호 반사부(190)와 접촉부(240)가 접촉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에 도시된 RF 코일(200)은 제 1 신호 연결로(211), 제 2 신호 연결로(219) 및 접촉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MRI 장치(100)는 제 1 신호를 반사하는 신호 반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연결로(211)는 MRI 장치(100)와 연결되어 MRI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한다. 제 2 신호 연결로(219)는 MRI 장치(100)와 연결되어 제 2 신호가 MRI 장치(100)로 흐르게 한다.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접촉부(2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 1 신호 연결로(211)와 제 2 신호 연결로(219)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으므로, MRI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219)에 진입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MRI 장치(100)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도 16(b)를 참조하면, RF 코일(200)의 접촉부(240)가 신호 반사부(190)에 접촉되는 경우, 제 1 신호 연결로(211)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신호 반사부(190)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신호(1310)가 제 2 신호 연결로(219)에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MRI 장치(100)는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결국, MRI 장치(100)는 제 1 신호가 신호 반사부(190)에 의해 반사되어 제 2 신호 연결로(2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RF 코일(200)이 MRI 장치(100)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7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700)는 신호 송수신부(1710), 판단부(1730) 및 출력부(175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7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송수신부(1710)는 MRI 장치(1700)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710)는 RF 코일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송수신부(1710)는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는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고, 광 신호 또는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710)는 RF 코일과 연결된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RF 코일과 연결된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판단부(1730)는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신호 송수신부(1710)가 RF 코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한다.
출력부(1750)는 RF 코일이 MRI 장치(1700)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MRI 장치(1700)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RF 코일을 MRI 장치(1700)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750)는 MRI 장치(1700)의 갠트리 또는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1700)가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여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70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준비 단계에서 MRI 장치(1700)에 장착된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700)는 MRI 장치(1700)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 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는 제 1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흐름이 MRI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MRI 장치(170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 종료 후 소정 시간 내에는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지 않고, RF 코일이 MRI 장치(1700)에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바로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RF 코일의 커넥터를 MRI 장치(1700)로부터 분리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가 MRI 장치(17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RF 코일을 이동시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8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800)은 제 1 신호 연결로(1811), 제 2 신호 연결로(1819), 스위치(1830), 신호 송수신부(1850), 판단부(1870) 및 출력부(18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2, 도 14 및 도 15 등에서는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MRI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2 신호가 MRI 장치로 전송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800)은 제 1 신호 연결로(1811)를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신호 연결로(18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신호 송수신부(18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에 연결되는 RF 코일이 무선 RF 코일인 경우, 무선 RF 코일은 MRI 장치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무선 RF 코일의 신호 송수신부(1850)가 제 1 신호 연결로(1811)를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신호 연결로(18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스위치(1830)는,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신호 연결로(1811)와 제 2 신호 연결로(1819)를 서로 연결하여 제 1 신호 연결로(1811)를 흐르는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1819)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한다.
판단부(1870)는 신호 송수신부(1850)가 제 2 신호 연결로(18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RF 코일(1800)의 장착 상태를 판단한다.
출력부(1890)는 RF 코일(1800)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RF 코일(1800)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RF 코일(1800)이 유선 RF 코일인 경우, 출력부(1890)는 RF 코일(1800)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유선 RF 코일의 커넥터를 MRI 장치로부터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9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900)은 제 1 신호 연결로(1911), 제 2 신호 연결로(1919), 접촉부(1940), 신호 송수신부(1950), 판단부(1970) 및 출력부(1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MRI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2 신호가 MRI 장치로 전송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코일(1900)은 제 1 신호 연결로(1911)를 통해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신호 연결로(19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신호 송수신부(19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연결로(1911)와 제 2 신호 연결로(1919)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신호 송수신부(1950)로부터 접촉부(19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접촉부(1940)는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부(1940)가 신호 반사부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신호 연결로(1911)를 흐르는 제 1 신호가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제 2 신호 연결로(1919)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판단부(1970)는 신호 송수신부(1950)가 제 2 신호 연결로(1919)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RF 코일(1900)의 장착 상태를 판단한다.
출력부(1990)는 RF 코일(1900)이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RF 코일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RF 코일(1900)이 유선 RF 코일인 경우, 출력부(1990)는 RF 코일(1900)을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유선 RF 코일의 커넥터를 MRI 장치로부터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RF 코일(1800, 1900)이 제 1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RF 코일(1800, 1900)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시점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코일(1800, 1900)은 대상체에 대한 촬영 준비 단계에서 제 1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RF 코일(1800, 1900)은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는 제 1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제 1 신호와 제 2 신호의 흐름이 MRI 촬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RF 코일(1800, 1900)은 대상체에 대한 촬영 종료 후 소정 시간 내에는 자신이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지 않고, 자신이 MRI 장치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바로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RF 코일(1800, 1900)의 커넥터를 MRI 장치로부터 분리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가 MRI 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RF 코일(1800, 1900)을 이동시키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RI 장치(2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MRI 장치(2000)는 갠트리(gantry)(2010),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를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10)는 주 자석(2011), 경사 코일(2012), 고정식 RF 코일(2013) 및 착탈식 RF 코일(2016) 등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갠트리(2010) 내 보어(bore)에는 정자기장 및 경사자장이 형성되며, 대상체(10)를 향하여 RF 신호가 조사된다.
주 자석(2011), 경사 코일(2012) 및 고정식 RF 코일(2013)은 갠트리(2010)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방향은 동축 원통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의 수평축을 따라 원통 내부로 삽입 가능한 테이블(2019)상에 대상체(10)가 위치될 수 있다.
주 자석(2011)은 대상체(10)에 포함된 원자핵들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magnetic dipole moment)의 방향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자기장 또는 정자장(static magnetic field)을 생성한다. 주 자석에 의하여 생성된 자장이 강하고 균일할수록 대상체(10)에 대한 비교적 정밀하고 정확한 MR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경사 코일(Gradient coil)(2012)은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경사자장을 발생시키는 X, Y, Z 코일을 포함한다. 경사 코일(2012)은 대상체(10)의 부위 별로 공명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유도하여 대상체(10)의 각 부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은 환자에게 RF 신호를 조사하고,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은, 세차 운동을 하는 원자핵을 향하여 세차운동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RF 신호를 환자에게 전송한 후 RF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은 어떤 원자핵을 낮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높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하여 이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갖는 전자파 신호, 예컨대 RF 신호를 생성하여 대상체(10)에 인가할 수 있다.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에 의해 생성된 전자파 신호가 어떤 원자핵에 가해지면, 이 원자핵은 낮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높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이후에,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에 의해 생성된 전자파가 사라지면, 전자파가 가해졌던 원자핵은 높은 에너지 상태로부터 낮은 에너지 상태로 천이하면서 라모어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방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원자핵에 대하여 전자파 신호의 인가가 중단되면, 전자파가 가해졌던 원자핵에서는 높은 에너지에서 낮은 에너지로의 에너지 준위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라모어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가 방사될 수 있다.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은 대상체(10) 내부의 원자핵들로부터 방사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은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기능과 원자핵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 하나의 RF 송수신 코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원자핵의 종류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송신 RF 코일과 원자핵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수신 RF 코일로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착탈식 RF 코일(2016)은 머리 RF 코일, 흉부 RF 코일, 다리 RF 코일, 목 RF 코일, 어깨 RF 코일, 손목 RF 코일, 다리 RF 코일 및 발목 RF 코일 등을 포함한 대상체의 일부분에 대한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RF 코일(2016)은 MRI 장치(2000)에 연결된 RF 코일이 대상체(10)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 RF 코일의 정상 장착 또는 커넥터의 분리를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017)와 스피커(2018)를 구비할 수 있다.
착탈식 RF 코일(2016)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 주파수 대역에 따른 듀얼 튠(dual tune)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RF 코일(2016)은 코일의 구조에 따라 새장형 코일(birdcage coil), 표면 부착형 코일(surface coil) 및 횡전자기파 코일(TEM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RF 코일(2016)은 용도에 따라, 송신 전용 코일, 수신 전용 코일 및 송/수신 겸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 RF 코일(2016)은 채널 수에 따라 16 채널, 32 채널, 72채널 및 144 채널 등 다양한 채널의 RF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10)는 갠트리(20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2014)와 스피커(2015) 또는 갠트리(20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10)의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MRI 장치(2000)에 장착된 착탈식 RF 코일(2016)이 대상체(10)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 또는 착탈식 RF 코일(2016)의 정상 장착 등을 가이드하는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또는 대상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갠트리(2010)는 착탈식 RF 코일(2016)로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착탈식 RF 코일(2016)로부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2030)는 소정의 MR 시퀀스에 따라 갠트리(2010) 내부, 즉 보어에 형성되는 경사자장을 제어하고, RF 신호와 MR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2030)는 경사자장 증폭기(2032), 송수신 스위치(2034), RF 송신부(2036) 및 MR 수신부(2038)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자장 증폭기(Gradient Amplifier)(2032)는 갠트리(2010)에 포함된 경사 코일(2012)을 구동시키며, 경사자장 제어부(2074)의 제어 하에 경사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를 경사 코일(2012)에 공급할 수 있다. 경사자장 증폭기(2032)로부터 경사 코일(2012)에 공급되는 펄스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X축, Y축, Z축 방향의 경사 자장이 합성될 수 있다.
RF 송신부(2036) 및 MR 수신부(2038)는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을 구동시킬 수 있다. RF 송신부(2036)는 라모어 주파수의 RF 펄스를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에 공급하고, MR 수신부(2038)는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이 수신한 M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스위치(2034)는 RF 신호와 MR 신호의 송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드 동안에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을 통하여 대상체(10)로 RF 신호가 조사되게 하고, 수신 모드 동안에는 고정식 RF 코일(2013)과 착탈식 RF 코일(2016)을 통하여 대상체(10)로부터의 MR 신호가 수신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송수신 스위치(2034)는 RF 제어부(207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50)는 갠트리(2010) 또는 갠트리(2010)에 장착된 기기들을 모니터링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50)는 시스템 모니터링부(2052), 대상체 모니터링부(2054), 테이블 제어부(2056)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058)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모니터링부(2052)는 정자기장의 상태, 경사자장의 상태, RF 신호의 상태, RF 코일의 상태, 테이블의 상태, 대상체의 신체 정보를 측정하는 기기의 상태, 전원 공급 상태, 열 교환기의 상태, 컴프레셔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대상체 모니터링부(2054)는 대상체(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대상체 모니터링부(2054)는 대상체(10)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카메라, 대상체(10)의 호흡을 측정하기 위한 호흡 측정기, 대상체(10)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CG 측정기, 또는 대상체(10)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고, 호흡 측정기, ECG 측정기, 체온 측정기 등은 갠트리(2010)에 착탈될 수 있다.
테이블 제어부(2056)는 대상체(10)가 위치하는 테이블(2019)의 이동을 제어한다. 테이블 제어부(2056)는 시퀀스 제어부(2072)의 시퀀스 제어에 따라 테이블(2019)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의 이동 영상 촬영(moving imaging)에 있어서, 테이블 제어부(2056)는 시퀀스 제어부(2072)에 의한 시퀀스 제어에 따라 지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테이블(2019)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갠트리의 FOV(field of view)보다 큰 FOV로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058)는 갠트리(2010)의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2058)는 갠트리(2010)의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의 온/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화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2010) 내측 또는 외측에 스피커가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부(2058)는 스피커의 온/오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시스템 제어부(2070)는 갠트리(2010) 내부에서 형성되는 신호들의 시퀀스를 제어하는 시퀀스 제어부(2072), 및 갠트리(2010)와 갠트리(2010)에 장착된 기기들을 제어하는 갠트리 제어부(2078)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제어부(2072)는 경사자장 증폭기(2032)를 제어하는 경사자장 제어부(2074), 및 RF 송신부(2036), MR 수신부(2038) 및 송수신 스위치(2034)를 제어하는 RF 제어부(2076)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제어부(2072)는 오퍼레이팅부(2090)로부터 수신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경사자장 증폭기(2032), RF 송신부(2036), MR 수신부(2038) 및 송수신 스위치(203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란, 경사자장 증폭기(2032), RF 송신부(2036), MR 수신부(2038) 및 송수신 스위치(2034)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경사 코일(2012)에 인가하는 펄스(pulse) 신호의 강도, 인가 시간, 인가 타이밍(timing)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부(2090)는 시스템 제어부(2070)에 펄스 시퀀스 정보를 지령하는 것과 동시에, MRI 장치(2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부(2090)는 입력부(2091), 출력부(2093), 영상 처리부(2095), 정보 획득부(2096), 비교부(2097) 및 판단부(209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091)를 이용하여 대상체 정보, 파라미터 정보, 스캔 조건, 펄스 시퀀스, 화상 합성이나 차분의 연산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091)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부, 제스처 인식부,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093)는 영상 처리부(2095)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또는 재구성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093)는 UI(user interface), 사용자 정보 또는 대상체 정보 등 사용자가 MRI 장치(2000)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093)는 스피커, 프린터,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FE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VFD 디스플레이, DLP 디스플레이, PFD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093)는 MRI 장치(2000)에 장착된 착탈식 RF 코일(2016)이 대상체(10)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인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 또는 착탈식 RF 코일(2016)의 정상 장착 또는 커넥터의 분리 등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 등의 소정의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2095)는 MR 수신부(2038)로부터 수신되는 MR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체(10)에 대한 MR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095)는 MR 수신부(2038)가 수신한 MR 신호에 증폭, 주파수 변환, 위상 검파, 저주파 증폭, 필터링(filtering) 등과 같은 각종의 신호 처리를 가한다.
영상 처리부(2095)는, 예를 들어, 메모리의 k 공간 (예컨대, 푸리에(Fourier) 공간 또는 주파수 공간이라고도 지칭됨)에 디지털 데이터를 배치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2차원 또는 3차원 푸리에 변환을 하여 화상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095)는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data)의 합성 처리나 차분 연산 처리 등도 수행할 수 있다. 합성 처리는, 픽셀에 대한 가산 처리, 최대치 투영(MIP)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095)는 재구성되는 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합성 처리나 차분 연산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 또는 외부의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2095)가 MR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각종 신호 처리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RF 코일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MR 신호에 신호 처리를 병렬적으로 가하여 복수의 MR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정보 획득부(2096)는 대상체(10)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MRI 장치(2000)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획득부(2096)는 대상체(10)의 병명 및 촬영 부위 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2096)는 MRI 장치(2000)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의 커넥터의 저항값 측정을 통해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 2 RF 코일로부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비교부(2097)는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제 1 RF 코일에 대한 정보와 제 2 RF 코일에 대한 정보는 RF 코일의 장착부위, 크기, 채널수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098)는, 갠트리(2010)에 포함된 신호 송수신부가 MRI 장치(2000)와 연결된 착탈식 RF 코일(2016)로 제 1 신호를 전송한 후, 착탈식 RF 코일(2016)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 착탈식 RF 코일(2016)의 장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0는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를 서로 분리된 객체로 도시하였지만,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 각각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이 다른 객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2095)는, MR 수신부(2038)가 수신한 MR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고 전술하였지만, 이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은 MR 수신부(2038), 고정식 RF 코일(2013) 또는 착탈식 RF 코일(2016)이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갠트리(2010), 고정식 RF 코일(2013), 착탈식 RF 코일(2016),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는 서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서로 간의 클럭(clock)을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갠트리(2010), 고정식 RF 코일(2013), 착탈식 RF 코일(2016),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 사이의 통신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등의 고속 디지털 인터페이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의 비동기 시리얼 통신, 과오 동기 시리얼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저지연형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광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1은 도 20의 MRI 장치(2000)에 포함되는 통신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부(2100)는 도 20에 도시된 갠트리(2010), 신호 제어부(2030), 모니터링부(2050), 시스템 제어부(2070) 및 오퍼레이팅부(209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10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2170)와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2182), 외부의 의료 장치(2184), 또는 외부의 휴대용 장치(218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0)는 네트워크(2170)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CT, MRI, X-ray 등 다른 의료 장치(2184)에서 촬영한 의료 이미지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2100)는 서버(2182)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을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100)는 병원 내의 서버(2182)나 의료 장치(2184)뿐만 아니라, 의사나 고객의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장치(2186)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100)는 MRI 장치(2000)의 이상 유무 또는 의료 영상 품질 정보를 네트워크(2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100)는 MRI 장치(20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RF 코일로 대상체(10)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2110), 유선 통신 모듈(2130) 및 무선 통신 모듈(2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10)은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하는 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2130)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고, 그 밖에 당업자에게 자명한 유선 통신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150)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의 기지국, 외부의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600, 1700, 2000: MRI 장치
200, 800, 1800, 1900: RF 코일
2100: 통신부

Claims (53)

  1.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유선 또는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RF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컬러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RF 코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RF 코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관한 정보는,
    RF 코일의 장착 부위, 채널 수, 크기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 및 MRI 장치에 연결된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와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유선 또는 제 1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 RF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응하는 컬러를 갖는 광 신호를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로 전송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 상기 컬러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커넥터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 2 RF 코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 2 RF 코일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는,
    상기 제 2 RF 코일이 상기 제 1 RF 코일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RF 코일에 관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RF 코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17.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와 제2 RF 코일에 관한 제2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RF 코일이 상기 제1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RF 코일이 상기 제1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18. MRI 장치에 연결되지 않은 RF 코일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로부터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제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제1 RF 코일에 대한 제1 정보와 제2 RF 코일에 관한 제2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제2 RF 코일이 상기 제1 RF 코일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RF 코일이 상기 제1 RF 코일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19.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상기 RF 코일로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MRI 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경고음 및 경고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RF 코일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신호를 투과시키는 신호 투과부와, 상기 신호 투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투과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RF 코일로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RF 코일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상기 RF 코일의 접촉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게 되며,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가 반사되어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정보 제공 방법.
  31. 제19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알림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2. MRI 장치와 커넥터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상기 RF 코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MRI 장치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분리할 것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경고음 및 경고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알림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MRI 장치에 의해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RF 코일로 제 1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RF 코일과 연결된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은,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부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신호를 투과시키는 신호 투과부와, 상기 신호 투과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신호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투과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 1 신호 연결부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RF 코일로부터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비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RF 코일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MRI 장치에 접촉되는 상기 RF 코일의 접촉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MRI 장치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MRI 장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제 1 신호를 반사하여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제 2 신호가 흐르게 하는 신호 반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상기 제 1 신호가 반사됨으로써,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RF 코일이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MRI 장치의 갠트리 또는 상기 RF 코일에 부착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4. MRI 장치에 장착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1 신호 연결로;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2 신호 연결로; 및
    상기 MRI 장치 또는 대상체에 접촉됨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 상기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은,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은,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 상기 RF 코일의 장착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RF 코일이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상기 RF 코일을 상기 MRI 장치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것을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와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각각을 통해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신호 연결로 중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 2 신호 연결로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0. MRI 장치에 장착되는 RF 코일에 있어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1 신호 연결로;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제 2 신호 연결로; 및
    상기 MRI 장치의 신호 반사부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촉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신호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 1 신호를 흐르게 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상기 MRI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MRI 장치로 상기 제 2 신호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RF 코일은,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로 상기 제 1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를 통해 흐르는 상기 제 2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연결로와 상기 제 2 신호 연결로는,
    광 섬유 또는 전기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코일.
KR1020130084382A 2013-07-17 2013-07-17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41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82A KR101541291B1 (ko) 2013-07-17 2013-07-17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EP14177322.6A EP2827166A1 (en) 2013-07-17 2014-07-16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using the same and radio frequency coil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using the radio frequency coil
US14/334,175 US20150022201A1 (en) 2013-07-17 2014-07-17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using the same and radio frequency coil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using the radio frequency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82A KR101541291B1 (ko) 2013-07-17 2013-07-17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84A KR20150009884A (ko) 2015-01-27
KR101541291B1 true KR101541291B1 (ko) 2015-08-03

Family

ID=5117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1291B1 (ko) 2013-07-17 2013-07-17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22201A1 (ko)
EP (1) EP2827166A1 (ko)
KR (1) KR101541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42B1 (ko) 2014-10-17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01417B2 (en) * 2015-08-03 2018-10-1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devices for RF coils in MRI systems
EP3553546A1 (en) * 2018-04-09 2019-10-16 Koninklijke Philips N.V. Automatic positioning of antenna connector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W202015621A (zh) 2018-07-19 2020-05-01 美商超精細研究股份有限公司 在磁共振成像中患者定位之方法及設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138A (ja) * 2003-08-15 2007-02-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ワイヤレス識別能力を備えるmriシステム
JP2012040310A (ja) 2010-08-23 2012-03-01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2245170A (ja) 2011-05-27 2012-12-13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430A (en) * 1994-08-05 1996-09-03 Picker International, Inc. RF coil identification and testing interface for NMR systems
US6362622B1 (en) * 2000-02-29 2002-03-26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mbed and retrieve attribute information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ils
CN1965320A (zh) * 2003-11-26 2007-05-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在医疗活动中使用的元件的存储空间
US8290569B2 (en) * 2007-11-23 2012-10-16 Hologic, Inc. Open architecture tabletop patient support and coil system
US20110169489A1 (en) * 2008-09-23 2011-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f coil docking station for magnetic resonance systems
DE102011004913B4 (de) * 2011-03-01 2019-04-25 Siemens Healthcare Gmbh Lokalspule für Magnetresonanzanwendungen und Magnetresonanzsystem
DE102012206066A1 (de) * 2012-04-13 2013-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Erkennung ungesteckter Lokalspulen in einem Kernspintomograph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138A (ja) * 2003-08-15 2007-02-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ワイヤレス識別能力を備えるmriシステム
JP2012040310A (ja) 2010-08-23 2012-03-01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2245170A (ja) 2011-05-27 2012-12-13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7166A1 (en) 2015-01-21
US20150022201A1 (en) 2015-01-22
KR20150009884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097B1 (ko) 의료 영상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의 위치 조절 방법
KR101806290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1857795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49449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545511B1 (ko) 의료 영상 재생 방법, 의료 영상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70103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parameters for capturing medical images
KR101541291B1 (ko) Mri 장치 및 mri 장치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및 rf 코일 및 rf 코일에 의한 알림 정보 제공 방법
KR101788742B1 (ko)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524466B1 (ko)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의 제공 방법, 대상체 추천 방법, 및 의료 영상 촬영 장치
KR101797674B1 (ko)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방법
KR101652047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KR101505832B1 (ko) 의료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03045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US10213131B2 (en) Method of generating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652048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의 생성 방법
KR101767214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쉬밍 방법
KR101755600B1 (ko) 자기공명 영상장치에 사용되는 rf 수신 코일 유닛
KR20150020946A (ko) Mri 촬영 프로토콜 리스트의 배열 방법 및 이를 위한 mri 장치
KR101750051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120649A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 획득 방법
KR101812661B1 (ko) Mri 장치
KR101786052B1 (ko)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 획득 방법
EP3062121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ri apparatus
KR101616029B1 (ko) 자기 공명 영상 처리 방법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