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101B1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1101B1 KR101541101B1 KR1020140131758A KR20140131758A KR101541101B1 KR 101541101 B1 KR101541101 B1 KR 101541101B1 KR 1020140131758 A KR1020140131758 A KR 1020140131758A KR 20140131758 A KR20140131758 A KR 20140131758A KR 101541101 B1 KR101541101 B1 KR 101541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ank
- processor
- flocculation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를 포함한 방류수 내에 잔류하며, 부영양화의 주 원인물질인 미량의 총 인(Total P)과 미량의 용존성 유기물질을 극미량 이하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방류수를 공업 용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집 슬러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높여 공업용수로의 재활용성을 증대시킨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재활용성을 높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rocessing system for effluent discharg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treating effluent discharg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comprises a total amount of total phosphorus (P) and a trace amoun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which remain in effluent including sewage and waste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rocessing system for effluent water discharg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in which effluent water can be quickly reused as industrial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olid-liquid separation of flocculated sludge, and to improve the recyclability of effluent water of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has enhanced recyclability of industrial waterway.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 기술 분야 중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를 포함한 방류수 내에 잔류하며, 부영양화의 주 원인물질인 미량의 총 인(Total P)과 미량의 용존성 유기물질을 극미량 이하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방류수를 공업 용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plant re-treatment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treating effluent discharg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rocessing system for effluent water discharg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in which dissolved organic materials can be quickly removed to a lesser extent and reused as industrial wastewater.
일반적으로 하수 및 폐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 처리장치에 있어서, 부영양화의 주 원인이자, 조류 증식의 제한 물질인 인(인산)은 지금까지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나, 응집제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In general, phosphorus (phosphoric acid), which is the main cause of eutrophication and is a limiting factor for algal growth, has been mainly treated by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and chemical treatment methods using coagulants in the total phosphorus treatment apparatus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그러나, 생물학적 공정은 시설 운영이 어려우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유출수질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However, biological processes are difficult to operate, and it is not easy to obtain sustained and stable effluent quality.
또 다른 전기분해/응집에 의한 인 제거기술은 화학적인 제거 기술이 갖고 있는 장점을 살리고 화학 약품 침전법이 갖고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하나이나 전극 부식등의 문제점이 있다. 패각의 재이용은 배기가스제거 및 산성토양의 개량제, 중금속 흡착, 고농도 인제거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굴 패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탄산칼슘은 수처리에 적용시 슬러지 발생량이 많고, 다량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문제점 때문에적정한 소성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Another electrolytic / flocculent phosphorus removal technology is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chemical removal technology and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 but it has problems such as electrode corrosion. The reuse of shell is used for removing exhaust gas, improving agent of acid soil, adsorption of heavy metals, high concentration of phosphorus, etc. However, calcium carbonate,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 oyster shell, has a large amount of sludge generated in water trea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an appropriate firing process is required due to a problem.
또한, 정석 탈인법(晶析脫燐法)은 하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방법 중 실용화되어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의 하나로 통상의 하수 이차 처리수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탈인 성능은 설정 pH, 칼슘농도, 수온, 원수중의 방해물질, 접촉시간, 접촉재의 성능 등에 의해 상이하며, 또한 제거 대상이 용해성 정 인산이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인(폴리인산, 유기인산, 현탁성 인)은 여과 등의 부차적인 기능에 의해 제거하여야 한다. In addition, the crystallization dephosphorization method is one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methods that have been put to practical use among methods of removing phosphorus in sewage, and it is possible to treat ordinary sewage secondary treatment water. However, Other forms of phosphorus (polyphosphoric acid, organophosphorus, suspended solids), such as pH, calcium concentration, water temperature, disturbances in raw water, contact time, performance of the contact material, It should be removed by secondary functions such as filtration.
조립 탈인법은 하수에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하는 것으로 인산마그네슘 암모니아(MAP)의 결정물로서 인을 회수 하지만 방류수를 처리하기에는 부적당한 문제점이 있다.In the assembly and dismantling method, magnesium is added to sewage to regulate the pH, thereby recovering phosphorus as a crystal of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MAP), but it is not suitable for treating discharged water.
특히 기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혐기와 호기의 생물학적인 제거 공정은 인이 미생물의 세포내 물질인 다중 인산으로 전환되는데 휘발성 지방산과 탄소원 같은 유기물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하수와 같이 유기물 구성비가 낮은 경우 질소 제거 시 필요로 하는 메탄올 등 탄소원의 유기물 요구와 경쟁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생물학적 인과 질소 동시 공정으로 개선시키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어렵다.In particular, the biological removal processes of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which are widely used, are converted into polyphosphoric acid, which is an intracellular substance of phosphorus microorganisms, and organic materials such as volatile fatty acids and carbon sources must be supplied. It is not economic and difficult to improve the biological phosphorus and nitrogen simultaneous process because it competes with the carbon source organic matter such as methanol which is required for nitrogen removal.
또한, 기존 물리 및 화학적 처리장치는 약품의 과다 사용 및 슬러지 처리 처분에 애로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apparatuses have difficulties in overuse of chemicals and disposal of sludge treatment.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가 박기영 등에 의해 2007년 6월 27일자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2007-0063413호로 출원되어 2008년 10월 2일자에 공고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61554호(2008.09.26.)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One of the measur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 entitled " Filtration and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Entrainm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stewater, " issued Jun. 27,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1554 filed on Oct. 2, 2008 (filed as -2007-0063413) (Sep. 26, 2008), in detail in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water" Lt; / RTI >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여과 처리 장치의 전 여과장치부와 여과ㆍ흡착 장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A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onstruction of a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d water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B is a cross- Fig. 7 is a view showing an adsorption device section. Fig.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처리장치에서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다단계의 조를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filtration and adsorption multistage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d water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d water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is treated through a multistage tank.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처리장치에서, 방류수는 2차 침전지에서 배출되어 유량 조절부(10)로 유입되고, 시스템에 적당한 유량으로 합성수지여재로 구성된 전 여과장치부(20)로 공급된다. 유입된 방류수의 유량, 부유물질 및 총인에 따라 체류시간이 조절되어야 하는 경우 유량 조절부(10)가 필요하다. 전 여과장치부(20)는 상향류식이며, 유입수는 하단부로 유입되어 전 여과장치부(20)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통과한 후, 여과ㆍ흡착 장치부(30)로 유입된다. 여기서,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처리하기 위한 인 여과와 흡착 장치로서 장치의 내부에 여재가 2단으로 구성된다. 전단의 전 여과장치부(20)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 여재에 의해 여과되며, 후단의 여과ㆍ흡착 장치부(30)는 0.7 ㎜ 내외의 입자상 인 흡착제를 사용하여 상향류로 운전하게 된다. 또한, 하수처리장의 3차 처리로 사용될 경우 소독조부(50)로 유입되어 대장균 등의 병원균이 소독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he total phosphorus of the discharged water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ischarg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flows into the flow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에서는 2단의 여과 처리 장치를 거쳐 방류수의 부유물 여과 처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he total phosphorus of the discharged water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uspension filtr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through the two-stage filtration treatment apparatus.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에서는 2단으로 설치된 여재를 통해 총인이 상당히 제거되지만, 방류수에 잔류하는 총인의 양이 대략 1 mg/L 정도의 값을 가지며, 또한 총인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filtration and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he total amount of the discharged water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hown in Figs. 1A and 1B, the total phosphorus is considerably remove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installed in two stages, The amount of total phosphorus is about 1 mg / L,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removal of the phosphorus is considerably long.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의 여과처리 실험 장치의 총인 제거결과를 나타내는 결과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C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removing the total phosphorus from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filtration treatment of a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d water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유입되는 방류수의 총인의 농도가 대략 30일 동안 대략 2.7 내지 4.2 mg/L(대략적인 평균 3 mg/L)을 유지하며, 총인 제거 후의 잔류 총인의 양은 대략 0.8 내지 1.2 mg/L (대략적인 평균 1 mg/L)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C, in the prior art,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in the incoming effluent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2.7 to 4.2 mg / L (approximately 3 mg / L) for approximately 30 days and the amount of residual phosphorus after total phosphorus removal is approximately 0.8 To 1.2 mg / L (approximately 1 mg / L on average).
평균 1 mg/L 정도의 총인을 갖는 방류수는 예를 들어 공업용수 등으로 재이용되기에는 충분하지만, 평균 1 mg/L 정도의 총인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대략 30일 정도이고, 그 이하인 대략 평균 평균 0.3 mg/L 정도의 총인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략 40일 정도 후에 달성된다.The effluent having a total phosphorus of about 1 mg / L is sufficient for reuse, for example in industrial water, but it takes about 30 days to maintain a total phosphorus of about 1 mg / L, It is achieved after about 40 days in order to maintain a total phosphorus of about 0.3 mg / L.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총인을 극미량(평균 대략 1 mg/L)으로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 사용되는 인 흡착제의 양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어 총인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경제성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since the time required to remove the total phosphorus by a very small amount (approximately 1 mg / L on average) is very long, the amount of the phosphorus adsorbent to be used increases considerably, Ultim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2010년 2월 26일자로 개정 및 공포된 대한민국 하수도법 시행규칙에따르면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해 2012년부터 방류수 내의 총인의 수질 기준이 기존의 2 mg/L에서 0.2 mg/L로 대폭 강화되었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은 방류수 내의 총인의 새로운 수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Also,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Sewer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revised and promulgated on February 26, 2010,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otal water in discharged water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ed from 2 mg / L to 0.2 mg / L in 2012 to improve river water quality. Accordingly,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oes not satisfy the new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total person in the discharged water.
따라서, 방류수 내의 총인 및 용존성 유기물질을 극미량 이하로 신속하게 제거하여 예를 들어 공업용수로 재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방류수 내의 총인(T-P)의 새로운 수질 기준인 0.2 mg/L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not only the total phosphorus and dissolved organic substances in the discharged water can be quickly removed to a trace amount or less, for example, it can be reused as industrial water, and it is also maintained as a new water quality standard of TP of 0.2 mg / L or less A new approach is required.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6734호(2011.03.28.)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6734 (Mar. 23, 2011)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Reusing Waste Water" has been discl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재 이용수의 경우 활용처에 따라 병원균이 없어야 하고, 미분해된 유해물이 없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처리가 미진하여 이에 대한 개선을 통해 공업용수로의 재활용성을 더욱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gistered paten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n the case of reusable water, there is no pathogenic bacterium according to the use place and there is no undegraded pest. However, such a treatment is insufficient to improve the recyclability of the industrial water channel There was a need to increase it furth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특히 응집 슬러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높여 병원균과 미분해된 유해물을 제거하므로 공업용수로의 재활용성을 증대시킨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olid-liquid separation of flocculated sludge and remove pathogens and undissolved harmful substances, There is a main purpose in providing a reprocessing system for effluent water.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방류수가 유입되며, 응집제가 주입되어 상기 방류수와 응집 반응 처리가 행해지는 응집 반응조; 상기 응집 반응 처리된 응집 반응수가 유입되며, 중화제가 주입되어 중화 반응 처리가 행해지는 중화조; 상기 중화 반응 처리된 중화수가 유입되며, 응집 보조제가 유입되어 플럭을 형성하는 플럭 형성조; 상기 플럭 형성조로부터 월류된 플럭 형성수가 이송되며, 상기 플럭 형성수 내의 응집 슬러지가 고·액 분리되어 배출되고 또한 상기 응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침전조; 오존이 투입되어 상기 처리수 내에 잔존하고 있는 미량의 총인 및 용존 유기물을 제거하고 냄새, 색도, 탁도, 중금속, 및 대장균을 처리하여 재이용수를 생성하는 오존 접촉조; 및 상기 응집 반응조, 상기 중화조, 상기 플럭 형성조, 및 상기 오존 접촉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응집 반응조, 상기 중화조, 상기 플럭 형성조, 및 상기 오존 접촉조 내로 각각 나노 기포를 발생시키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응집제를 저장하는 응집제 저장조; 상기 응집제 저장조로부터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응집 반응조 내로 유입하는 제 1 정량 펌프; 상기 중화제를 저장하는 중화제 저장조; 상기 중화제 저장조로부터 상기 중화제를 상기 중화조 내로 유입하는 제 2 정량 펌프; 상기 응집 보조제를 저장하는 응집 보조제 저장조; 및 상기 응집 보조제 저장조로부터 상기 응집 보조제를 상기 플럭 형성조 내로 유입하는 제 3 정량 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응집 반응조 내에서 상기 방류수와 상기 응집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 1 교반기; 상기 중화조 내에서 상기 응집 방류수와 상기 중화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 2 교반기; 및 상기 플럭 형성조 내에서 상기 중화수와 상기 응집 보조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 3 교반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오존 접촉조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는 재이용수 저류조로 저수되고, 상기 재이용수 저류조의 배출단에는 재처리유닛을 추가로 설치하되, 상기 재처리유닛 상기 배출단에 연결되는 제1처리기와, 상기 제1처리기에 접속되는 제2처리기 및 상기 제2처리기에 접속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처리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구비되고, 일단면에는 상기 배출단이 접촉되고; 상기 제1처리기의 타단면에는 상기 제2처리기의 삽입단이 일정깊이 삽입되며; 상기 삽입단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단이 관통되는 제1처리기의 타단면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되어 긴밀하게 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처리기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단 접속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다수쌍 배열되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은 모두 원판 형태로 구성되고; 각 판면에는 재이용수의 흐름을 위해 각각 양전극통수공, 음전극통수공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음전극에는 상기 양전극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은 각각 파워서플라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처리기의 삽입단에는 상기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기는 물론 상기 제1처리기는 모두 절연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처리기의 내주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접지전극이 내장되고; 상기 접지전극의 표면인 즉 제2처리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면에는 유전체가 부착되며; 상기 유전체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방전전극이 삽입되고; 상기 방전전극은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전전극의 일단에는 상기 유전체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전극통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전전극(660)의 몸체는 상기 플랜지(F)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선단에는 스프링이 끼워져 삽입단 측으로 항상 밀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지전극과 방전전극은 각각 상기 파워서플라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rocessing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water, comprising: A flocculation reaction tank into which effluent water is introduced, a flocculant is injected therein, and flocculation reaction treatment is performed with the effluent water; A neutralization tank in which the flocculation reaction treated flocculation reaction water is introduced and a neutralization agent is injected to perform a neutralization reaction treatment; A flocculation tank into which the neutralization-treated neutralized water flows and into which a coagulation aid flows to form a floc; A sedimentation tank through which the flocculated sludge is transferred from the flocculation sludge tank, the flocculation sludge in the fl uid forming water is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the treated sludge is removed; An ozone contact tank that removes a small amount of total phosphorus and dissolved organic matter remaining in the treated water into which ozone is injected to treat odor, color, turbidity, heavy metals, and E. coli to generate reused water; And a nano bubble generat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flocculation tank, the neutralization tank, the flocculation tank, and the ozone contact tank and generates nano bubbles respectively in the flocculation tank, the neutralization tank, Generating device; A flocculant reservoir for storing the flocculant; A first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flocculant into the flocculation tank from the flocculant reservoir; A neutralizer reservoir for storing the neutralizer; A second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neutralizing agent from the neutralizing agent storage tank into the neutralization tank; A flocculation assistant reservoir for storing the flocculant aid; And a third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coagulation aid from the coagulation aid reservoir into the bath; A first agitator for mixing the effluent and the flocculant in the flocculation tank; A second agitator for mixing the flocculated effluent and the neutralizing agent in the neutralization tank; And a third agitator for mixing said neutralization water and said flocculation aid in said flocking tank; Wherein the treatmen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end of the ozone contact tank is stored in a reused water storage tank and a reprocess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at a discharge end of the reused water storage tank, A second processor connected to the first processor, and a discharge guide connected to the second processor; Wherein the first processo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terior hollow, the one end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end; An inserting end of the second processor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face of the first processor at a certain depth; An O-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and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cessor through which the insertion end passes, and is configured to closely seal; A plurality of pairs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arranged inside the first processor at intervals from the discharge end connection portion; Wherei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formed in a disc shape;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water holes and negative electrode water holes are formed on each of the plate surfaces for the flow of the reused water;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needles protruding toward the positive electrod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o receive a voltage required for discharging, respectively; The tapered surface is formed at an inserting end of the second processor; The first processor as well as the second processor are all constructed of an insulator; A semicircular ground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cessor at intervals; A dielectric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that is, the surface disposed inside the second processor; A slidable discharge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dielectric; The discharge electrode having a conical shape; A flange sliding along a slot formed in the dielectric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electrode; A plurality of electrod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at interval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ody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응집 슬러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높여 병원균과 미분해된 유해물을 제거하므로 공업용수로의 재활용성을 증대시킨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재활용성을 높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solid-liquid separation of flocculated sludge is increased to remove pathogens and undissolved harmful substances, thereby improving the recyclability of effluent water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increases the recyclability of the industrial waterway.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여과 처리 장치의 전 여과장치부와 여과ㆍ흡착 장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의 여과처리 실험 장치의 총인 제거 결과를 나타내는 결과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총인 제거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1A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d water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 view showing a pre-filtration unit and a filtration and absorption unit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C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removing the total phosphorus from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filtration treatment of a filtration / adsorption multi-stag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removing total phosphorus from discharged water in a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ing apparatus for reusing discharged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showing data showing the results of the gun removal test using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reusing the discharge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ure 4 shows a fur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26734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26734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described prior-art patent No. 1026734 as it is. Therefore,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re all describ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6734.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02673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embodiment portion in which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partially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26734 is the most essential configuration feature.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2673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devi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ll be referred to as the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26734, and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e rear en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는 방류수가 유입되며, 응집제가 주입되어 상기 방류수와 응집 반응 처리가 행해지는 응집 반응조(40); 상기 응집 반응 처리된 응집 반응수가 유입되며, 중화제가 주입되어 중화 반응 처리가 행해지는 중화조(41); 상기 중화 반응 처리된 중화수가 유입되며, 응집 보조제가 유입되어 플럭을 형성하는 플럭 형성조(42); 상기 플럭 형성조(42)로부터 월류된 플럭 형성수가 이송되며, 상기 플럭 형성수 내의 응집 슬러지가 고·액 분리되어 배출되고 또한 상기 응집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침전조(60); 오존이 투입되어 상기 처리수 내에 잔존하고 있는 미량의 총인 및 용존 유기물을 제거하고, 냄새, 색도, 탁도, 중금속, 및 대장균을 처리하여 재이용수를 생산하는 오존 접촉조(70); 및 상기 응집 반응조(40), 상기 중화조(41), 상기 플럭 형성조(42), 및 상기 오존 접촉조(7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응집 반응조(40), 상기 중화조(41), 상기 플럭 형성조(42), 및 상기 오존 접촉조(70) 내로 각각 나노 기포를 발생시키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는 상기 응집제를 저장하는 응집제저장조(30); 상기 응집제 저장조(30)로부터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응집 반응조(40) 내로 유입하는 제 1 정량 펌프(31); 상기 중화제를 저장하는 중화제 저장조(32); 상기 중화제 저장조(32)로부터 상기 중화제를 상기 중화조(41) 내로 유입하는 제 2 정량 펌프(33); 상기 응집 보조제를 저장하는 응집 보조제 저장조(34); 및 상기 응집보조제 저장조(34)로부터 상기 응집 보조제를 상기 플럭 형성조(42) 내로 유입하는 제 3 정량 펌프(3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는 상기 응집 반응조(40) 내에서 상기 방류수와 상기 응집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 1 교반기(21); 상기 중화조(41) 내에서 상기 응집 반응수와 상기 중화제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 2 교반기(22); 및 상기 플럭 형성조(42) 내에서 상기 중화수와 상기 응집 보조제를 혼합 반응시키기 위한 제 3 교반기(2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량 펌프(31,33,35), 상기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 및 상기 오존 발생 장치(7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 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 그래머블논리 회로(PL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하수 및 폐수 처리장에서 생물학적으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가 저류조(10) 내로 유입된다. 그 후 방류수는 유입 펌프(11)의 유량계(미도시)의 전류신호에 따라서 일정하게 응집 반응조(40)내로 유입된다. 이 때, 염화철과 같은 응집제를 저장하는 응집제 저장조(30)로부터 응집제가 제 1 정량 펌프(31)에 의해 응집 반응조(40) 내로 유입된다. 제 1 정량 펌프(31)는 방류수의 유입 유량과 농도에 비례하여 응집제를 응집 반응조(40) 내로 비례제어 방식으로 자동 주입시킨다. 응집 반응조(40)에서는 방류수와 응집제가 제 1 교반기(21)에 의해 혼합되어 응집 반응이 이루어진다.Referring back to FIG. 2, first, effluent water that is biologically treated and discharged at a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flows into the
그 후, 응집 반응조(40) 내에서 응집 반응된 응집 반응수가 중화조(41) 내로 유입된다. 이 때, pH 조정 및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중화제를 저장하는 중화제 저장조(32)로부터 중화제가 제 2 정량 펌프(33)에 의해 중화조(41) 내로 유입된다. 제 2 정량 펌프(33)는 응집 반응수의 PH 측정 조절 감지 장치(PHIC) 및 산화 환원 전극 장치(ORP) (미도시)를 통해 응집 반응 처리된 방류수인 응집 반응수의 유량 및 농도에 비례하여 중화제를 중화조(41) 내로 비례제어 방식으로 자동 주입시킨다. 중화조(41)에서는 응집 반응수와 중화제가 제 2 교반기(22)에 의해 혼합되어 중화 반응이 이루어져 응집 반응수의 pH가 조정된다.Thereafter, the coagulation reaction water in the coagulation reaction tank (40) is introduced into the neutralization tank (41). At this time, the neutralizing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그 후, 중화조(41) 내에서 중화 반응된 중화수가 플럭 형성조(42)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중화 반응된 화합물의 플럭을 크게 생성시켜 침전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고분자 응집제와 같은 응집 보조제를 저장하는 응집 보조제 저장조(34)로부터 응집 보조제가 제 3 정량 펌프(35)에 의해 플럭 형성조(42) 내로 유입된다. 제 3 정량 펌프(35)는 중화 반응된 방류수인 중화수의 유량 및 농도에 비례하여 응집 보조제를 플럭 형성조(42) 내로 비례제어방식으로 자동 주입시킨다. 플럭 형성조(42)에서는 중화수와 응집 보조제가 제 3 교반기(23)에 의해 혼합되어 플럭이 형성된다.Thereafter, neutralized water neutralized in the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응집 반응조(40), 중화조(41), 및 플럭 형성조(42) 내에서 방류수의 처리가 행해질 때, 응집 반응조(40), 중화조(41), 및 플럭 형성조(42)와 각각 연결되어 나노 기포를 발생시키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가 사용된다.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에서 발생된 나노 기포는 상술한 응집 반응조(40) 내에서의 응집반응 처리, 중화조(41) 내에서의 중화 반응 처리, 및 플럭 형성조(42) 내에서의 플럭 형성시에 총인(T-P)과 미량의 용존성 유기물을 최대로 제거한다. 그 후, 플럭 형성조(42)에서 월류되는 플럭 형성수는 침전조(60)로 이송되며 침전조(60)에서는 침전조(60)에 연결된 슬러지 이송펌프(61)에 의해 응집 슬러지의 고·액 분리되어 슬러지 농축 처리 장치(미도시)로 배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ffluent water is treated in the
그 후, 침전조(60)에서 응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오존 접촉조(70)로 유입된다. 이 때,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에서 발생된 나노 기포와 오존 발생 장치(71)에서 발생된 오존이 오존 접촉조(70) 내로 함께 투입된다.Thereafter,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 aggregated sludge has been removed in the sedimentation tank (60) flows into the ozone contact tank (70). At this time, the nano bubbles generated in the
오존 접촉조(70) 내로 투입된 나노 기포와 오존에 의해 상등수인 처리수 내에 잔존하고 있는 미량의 총인 및 용존 유기물을 제거하고 또한 냄새, 색도, 탁도, 중금속, 및 대장균을 처리하여 생성된 재이용수가 재이용수 저류조(72) 내로 유입된다.The nano bubbles introduced into the
오존 접촉조(70) 내에서의 냄새, 색도, 탁도, 중금속 및 대장균 처리에 따른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The mechanism according to odor, color, turbidity, heavy metal and coliform treatment in the
- 냄새 처리- Deodorizing
방류수의 냄새는 탄화수소 및 유황 성분의 메르캅탄 화합물에 의해 냄새가 발생하며, 용존 오존으로 2 내지 6mg/L로 처리 가능하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The odor of the discharged water is odorous due to the mercaptan compound of the hydrocarbon and the sulfur component, and can be treated with dissolved ozone at 2 to 6 mg / L. The reaction formula is as follows.
nCxHySz + O3 -> nCO2 +nzSO2 + nyH2O nCxHySz + O 3 -> nCO 2 + nzSO 2 + nyH 2 O
- 색도 처리- Color processing
방류수의 색도는 미량의 유기물 탄화수소 이중결합에 의해 색도를 띠게 되는데 용존 오존으로 2 내지 4 mg/L로 처리 가능하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The chromaticity of the effluent water is chromatic due to a very small amount of organic hydrocarbon double bonds, and it can be treated with dissolved ozone at 2 to 4 mg / L. The reaction formula is as follows.
(CxHy = CxHy) + O3 -> nCO2 + mH2O (CxHy = CxHy) + O 3 -> nCO 2 + mH 2 O
- 탁도 처리- turbidity treatment
방류수의 탁도는 미량의 유기성 또는 무기성 탄화수소, 미생물의 워시아웃(wash out), 콜로이드 입자 및 색도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데 용존 오존에 의한 OH- 등의 프리 라디칼의 화학적 산화와 전하의 중성화의 조합에 의하여 제거되며, 콜로이드 입자들은 오존에 의하여 음전하 입자들을 중화 시키면서 투명도가 강화된다.Turbidity of effluent water is evidenced by trace organic or inorganic hydrocarbons, wash outs of microorganisms, colloid particles and chromaticity, by the combination of chemical oxidation of free radicals such as OH - by dissolved ozone and neutralization of charge And the colloidal particles are enhanced in transparency by neutralizing the negatively charged particles by ozone.
- 중금속 처리- heavy metal treatment
방류수의 미량의 중금속 류의 금속 이온들은 불용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Fe2+ 상태의 철 이온은 수중에서 응집제 형태인 Fe(OH)3이온을 형성하여 핑크 빛을 띠게 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Trace amounts of heavy metal ions in the effluent may be present in an insoluble form. Iron ions in the Fe 2+ state form Fe (OH) 3 ions in the form of flocculent in the water and become pinkish. The reaction formula is as follows.
Fe2+ + O3 + H2O -> Fe3+ + O2 + 2OH- Fe 2+ + O 3 + H 2 O -> Fe 3+ + O 2 + 2OH -
Fe3+ + 3H20 -> Fe(OH)3 + 3H+ Fe 3+ + 3H 2 O -> Fe (OH) 3 + 3H +
또한, 망간의 용해성 염들은 물에 불용성의 형태인 이산화 망간(MnO2)으로 산화된다.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soluble salts of manganese are oxidized to manganese dioxide (MnO 2 ), which is insoluble in water. The reaction formula is as follows.
Mn2+ + O3 + H2O -> Mn4+ + O2 + 2OH- Mn 2+ + O 3 + H 2 O -> Mn 4+ + O 2 + 2OH -
Mn4+ + 4H20 -> Mn(OH)4 + MnO2 + 2H20Mn 4+ + 4H 2 0 -> Mn (OH) 4 + MnO 2 + 2H 2 O
- 대장균 처리- Escherichia coli treatment
대장균 처리(또는 살균 매커니즘)는 오존을 이용하여 대장균 구성체의 유기분자를 산화시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오존의 OH- 등의 프리 라디칼이 대장균 원형질 내의 유화수소(Sulfuric Hydroxy)를 산화 처리하여 세포벽과 원형질막의 지방산 이중결합을 화학적으로 분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원형질이 분해되어 살균된다.E. coli treatment (or sterilization mechanism) is to oxidize organic molecules of the E. coli organism using ozone. More specifically, free radicals such as OH - of ozone oxidize sulfuric acid in coliform plasmids and chemically decompose the double bond of fatty acids in the cell wall and plasma membrane to ultimately degrade and sterilize the protoplasts.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 접촉조(70)에서 나노 기포와 오존에 의해 방류수 내에 잔존하고 있는 미량의 총인 및 용존 유기물이 제거하고 또한 냄새, 색도, 탁도, 중금속, 및 대장균이 처리된 처리수(즉, 재이용수)는 재이용수 저류조(72) 내로 이송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 후, 재이용수는 재이용수 저류조(72)에 연결된 이송 펌프(73)에 의해 용도에 따라 예를 들어 공업 용수로 재이용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상술한 유입 펌프(11), 제 1 내지 제 3 정량 펌프(31,33,35),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 및 오존 발생 장치(71)의 동작은 제어 장치(20)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20)는 기존의 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방류수의 유량 및 농도에 비례하여 주입하는 비례 제어 방식으로 제 1 내지 제 3 정량 펌프(31,33,35)를 각각 자동 제어함으로써 응집제, 중화제, 및 응집 보조제가 각각 응집 반응조(40), 중화조(41), 및 플럭 형성조(42) 내로 자동 주입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inflow pump 11, the first to third metering pumps 31, 33 and 35, th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200)에서는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를 이용하여 생성된 나노 기포가 응집 반응조(40), 중화조(41), 및 플럭 형성조(42) 내에서 방류수의 총인 및 미량의 유기물 처리 시에 사용되며, 또한 오존 접촉조(70) 내에서 오존과 함께 처리수 내에 잔존하고 있는 극미량의 총인 및 용존 유기물 및 냄새, 탁도, 색도를 처리하는데 반응효과를 높여 오존의 주입량을 적게 하여 경제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사용된다.In the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에 의해 생성되는 나노 기포는 물리적인 자극(물의 유동과정에서 생기는 압축이나 팽창, 와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대기 중의 공기를 급격하게 단열, 압축하여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초 고압 및 초고온의 극한 반응 하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초 고압 및 초고온의 극한 반응에 의해 발생된 나노 기포는 물 분자를 분해시켜 OH- 등의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을 형성시킨다. 프리 라디칼은 매우 강한 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난 분해성 유해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 등을 분해 가능하게 하여 산화 반응에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는 예를 들어 김정태에 의해 2008년 5월 23일자로 "나노 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2008-0047863호로 출원되어 2008년 12월 2일자에 공고된 대한민국 특허 제 10-0871352호(이하 "352 특허"라 합니다)에 개시된 나노 기포 발생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nano bubbles generated by the
상술한 352 특허의 나노 기포 발생 장치에서는 발생되는 나노 기포는 그 직경이 0.1 내지 1 ㎛(즉, 100 내지 1,000 nm)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나노 기포는 그 직경이 클수록 나노 기포의 수명이 짧아지며, 직경이 작은 나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에서 생성된 나노 기포는 그 직경이 대략 100 내지 200 nm의 범위를 갖도록 제어된다. 대략 100 내지 200nm의 직경을 갖는 나노 기포는 방류수 내에서 상대적으로 장시간 안정하게 존재하여 인산 및 인 화합물, 및 유해 유기물 및 무기물과 반응하면서 응집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나노 기포의 직경이 감소되면, 나노기포 발생시에 농축되었던 이온류가 나노 기포를 감싸 나노 기포 내의 기체가 흩어져 없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나노 기포의 안정화(즉, 나노 기포의 수명의 연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나노 기포의 수명이 연장되면(즉, 나노 기포의 직경이 감소되면), 동일 체적에 대해 나노 기포의 수가 증가하여 전체 나노 기포와 오염된 하수 및 폐수의 표면적이 증대하여 하수 및 폐수의 체류 시간이 증가된다. 그 결과, 나노 기포 내의 기체 가스(공기 또는 공기와 기체 상태의 오염된 유기물)의 가압이 더 장시간 지속되어 기체 가스 및 액체 상태의 오염된 유기물의 가스 용해나 기체 및 오염된 유기물의 반응 및 하수 및 폐수 처리 시의 공정상 미생물 배양 등과 같은 공정 프로세스 상에도 고효율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나노 기포의 표면 부착 효과를 이용하여 포말 분리(나노 기포와 유기물이 달라 붙어 거품(scum) 형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방류수 내의 인산 및 인 화합물, 및 용존성 유기물을 극미량 이하로 처리한다.The nano bubbles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352 patented nano bubble generator have a diameter of 0.1 to 1 탆 (i.e., 100 to 1,000 nm).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firmed that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diameter of nano-bubbles and shorten the life of the nano-bubbles and to produce nano-bubbles having small diameters. Therefore, the nano bubbles generated i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총인 제거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howing data showing the result of the total phosphorus removal test using the treatment device for reusing the effluen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2010년 9월 2일부터 2010년 9월 8일까지 7일 동안 유입수(즉, 기존 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방류수)를 유입하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정시에 8회에 걸쳐 실시된 중간 처리수(도 2에 도시된 침전조(60)에서 배출되는 방류수) 및 최종 처리수(도 2에 도시된 오존 접촉조(70)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즉, 재이용수)) 내의 총인(T-P)의 제거 실험 결과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3, inflow water (i.e., effluent from existing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s inflowed for 7 days from September 2, 2010 to September 8, 2010, and is discharged from 10:00 am to 5:00 pm on a regular basis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입수의 총인의 양은 평균 2.35 mg/L였다. 매일 8회에 걸쳐 측정된 중간 처리수 내의 총인의 양은 평균 0.22 1mg/L(평균 최소 0.14 mg/L 및 평균 최대 0.35 mg/L)로 0.3 mg/L 이하를 유지하였고, 최종 처리수 내의 총인의 양은 평균 0.11 mg/L(평균 최소 0.04 mg/L 및 평균 최대 0.19 mg/L)로 0.2mg/L 이하를 유지하였다. 또한, 전체 측정치 중 중간 처리수 내의 최대 총인의 양은 0.4 mg/L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최종 처리수 내의 최대 총인의 양은 0.2 mg/L을 초과하지 않았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total amount of influent water was 2.35 mg / L on average. The total amou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intermediate treatment water measured 8 times daily was maintained at 0.3 mg / L or less with an average of 0.22 1 mg / L (mean minimum 0.14 mg / L and average maximum 0.35 mg / L) The amounts were maintained at less than 0.2 mg / L with an average of 0.11 mg / L (mean minimum 0.04 mg / L and mean maximum 0.19 mg / L).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intermediate treatment water did not exceed 0.4 mg / L and the maximum amount of total phosphorus in the final treatment water did not exceed 0.2 mg / 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입수의 유입 후 대략 1 내지 2 시간 내에 총인의 잔존량이 중간 처리수의 경우 평균 0.22 mg/L를 유지하면서 최대 0.4 mg/L 이하를 유지하였고, 최종 처리수의 경우 평균 0.11 mg/L을 유지하면서 최대 0.2 mg/L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훨씬 더 짧은 시간 내에 총인을 신속하게 제거하므로 응집제, 중화제, 및 응집 보조제의 사용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총인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충분히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amount of total phosphorus was maintained at a maximum of 0.4 mg / L or less while maintaining an average of 0.22 mg / L for the intermediate treated water within about 1 to 2 hours after the inflow of the influent water, Maintaining a maximum of 0.2 mg / L or less, while maintaining an average of 0.11 mg / L, quickly removes total phosphorus in a much shorter time than in the prior art,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use of flocculants, neutralizers, and flocculants. Accordingly, the cost for removing the gun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economica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종 처리수(즉, 재이용수)의 총인의 양도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값을 갖게 되어 총인 제거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vantage that the total amount of the final treated water (that is, the reused water) has a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at of the prior art, so that the total removal can be made very effici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포 발생 장치(50)에 의해 생성되는 나노 기포는 OH-의 산화반응과 표면적을 높여 유기 오염원과 응집약품 및 오존의 반응시간을 짧은 시간에 신속히 반응시켜 반응 효율을 높여주므로 방류수 내의 인산 및 인 화합물, 및 미량의 용존성 유기물을 처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후단에서 나노 기포와 소량의 오존을 오존 접촉조(70)에 함께 투입하여 색도, 냄새 및 대장균을 처리해 줌으로써 최종 방류수가 공업용수 등으로 재이용될 수 있는 정도로 총인의 양을 대략 0.2 mg/L 이하의 값으로 낮출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ano bubbles generated by th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이용수 저류조(72)의 배출단(DR)에 추가로 설치되는 재처리유닛(PLA)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fur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processing unit (PLA) further provided in the discharge end (DR) of the reused water reservoir (72), as shown in Fig.
상기 재처리유닛(PLA)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단(DR)에 연결되는 제1처리기(500)와, 상기 제1처리기(500)에 접속되는 제2처리기(600) 및 상기 제2처리기(600)에 접속되는 배출가이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reprocessing unit PLA includes a
이때, 상기 제1처리기(5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구비되고, 일단면에는 상기 배출단(DR)이 접촉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1처리기(500)의 타단면에는 상기 제2처리기(600)의 삽입단(610)이 일정깊이 삽입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삽입단(610)을 상기 제1처리기(500)의 타단면과 일치되게 조립하지 않고, 도시된 예와 같이 일정길이 제1처리기(500)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한 이유는 재이용수가 곧바로 흘러가지 않고, 상기 삽입단(610)의 길이만큼 차오른 다음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체류시간을 더 길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처리효율을 높일 목적에서 의도적으로 설계된 것이다.The reason that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단(610)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단(610)이 관통되는 제1처리기(500)의 타단면 사이에는 오링(630)이 개재되어 긴밀하게 씰링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O-
아울러, 상기 제1처리기(5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단(DR) 접속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양전극(510)과 음전극(520)이 다수쌍 배열된다.In addition, a pair of positive and
이때, 상기 양전극(510)과 음전극(520)은 모두 원판 형태로 구성되며, 각 판면에는 재이용수의 흐름을 위해 각각 양전극통수공(514), 음전극통수공(524)이 다수 형성되며, 특히 상기 음전극(520)에는 상기 양전극(510)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침(522)이 구비된다.At this time, both the
이 경우, 상기 침(522)은 상기 양전극(510)과의 간극을 줄이면서 전하가 집중되게 하여 방전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양전극(510)과 음전극(520)은 각각 파워서플라이(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제2처리기(600)의 삽입단(610)에는 상기 테이퍼면(6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테이퍼면(612)은 삽입단(610)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구멍(620)의 선단에서 유입구멍(62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방전에 의해 1차 플라즈마 처리된 처리수가 보다 쉽고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The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처리기(600)는 물론 상기 제1처리기(500)의 외부를 구성하는 함체 형상은 모두 절연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처리기(600)의 내주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접지전극(640)이 내장되고, 상기 접지전극(640)의 표면, 즉 제2처리기(6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면에는 유전체(650)가 부착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enclosure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이때, 상기 유전체(650)는 상기 접지전극(6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650)에는 이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방전전극(660)이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dielectric 65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상기 방전전극(660)은 대략 원추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상기 유전체(650)에 형성된 슬롯(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랜지(F)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F)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전극통수공(662)이 형성되어 처리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특히, 상기 방전전극(660)의 몸체는 상기 플랜지(F)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선단에는 스프링(670)이 끼워져 삽입단(610) 측으로 항상 밀리도록 설치된다.Particularly, the body of the
그리고, 상기 접지전극(640)과 방전전극(660)은 각각 상기 파워서플라이(530)에 접속된다.The
그리하여, 재이용수의 재처리를 위해 재이용수가 배출단(DR)을 타고 제1처리기(500)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에서는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가 형성되면서 이때 발생된 다수의 라디칼들이 재이용수에 포함된 유해성분들을 1차 분해 제거하게 된다.Thus, when the reused water flows into the
이렇게 하여, 처리된 재이용수, 즉 처리수는 제2처리기(600) 내부로 들어 오는데, 이때 생기는 수압에 의해 상기 방전전극(660)은 스프링(670)을 압착하면서 반대쪽으로 밀려가게 된다.In this way, the treated reused water, that is, the treated water, enters the
이와 같이, 상기 방전전극(660)은 수압 변동, 즉 처리 수량에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일정 전압조건에 이르렀을 때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2차 처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 경우, 방전에 이르는 전기용량은 유전체(650)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를 조절하여 처리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electric capacity to reach the discharge is determined by the dielectric 65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processing by adjusting it.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2차 처리에 의해 처리수에는 유해성분이 거의 남아있지 않게 되고, 처리가 완료된 처리수는 배출가이드(700)를 타고 배출되어 활용처로 반송된다.
When this process is performed, the harmful component is hardly left in the treated water by the secondary treatment, and the treated water that has been treated is discharged on the
10: 저류조 11: 유입펌프
20: 자동제어부 21,22,23: 교반기
30: 응집제 저장조 31,33,35: 정량펌프
32: 중화제 저장조 34: 응집 보조제 저장조
40: 응집 반응조 41: 중화조
42: 플럭 형성조 50: 나노 기포 발생 장치
60: 침전조 61: 슬러지 이송펌프
70: 오존 접촉조 71: 오존 발생 장치
72: 재이용수 저류조 73: 이송 펌프10: Storage tank 11: Inflow pump
20: automatic control unit 21, 22, 23:
30:
32: Neutralization agent storage tank 34: Storage tank for coagulation aid
40: flocculation tank 41: neutralization tank
42: Flux forming tank 50: Nano bubble generating device
60: sedimentation tank 61: sludge transfer pump
70: ozone contact tank 71: ozone generator
72: Reused water storage tank 73: Feed pump
Claims (1)
상기 오존 접촉조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된 처리수는 재이용수 저류조로 저수되고, 상기 재이용수 저류조의 배출단에는 연결되는 재처리유닛이 더 포함되며,
상기 재처리유닛은 상기 재이용수 저류조의 배출단(DR)에 연결되는 제1처리기(500)와, 상기 제1처리기에 접속되는 제2처리기(600) 및 상기 제2처리기에 접속되는 배출가이드(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처리기(5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구비되고, 일단면에는 상기 배출단이 접촉되고; 상기 제1처리기의 타단면에는 상기 제2처리기(600)의 삽입단(610)이 일정깊이 삽입되며; 상기 삽입단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단이 관통되는 제1처리기의 타단면 사이에는 오링(630)이 개재되어 긴밀하게 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처리기(5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단 접속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양전극(510)과 음전극(520)이 다수쌍 배열되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은 모두 원판 형태로 구성되고; 각 판면에는 재이용수의 흐름을 위해 각각 양전극통수공(514), 음전극통수공(524)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음전극(520)에는 상기 양전극(51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양전극(510)과의 간극을 줄이면서 전하가 집중되게 하여 방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침(5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기(600)의 삽입단(610)에는 상기 삽입단(610) 내부에 형성된 유입구멍(620)의 선단에서 유입구멍(62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처리기(500)에서 1차플라즈마 처리된 처리수가 보다 쉽고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퍼면(6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기(600)는 물론 상기 제1처리기(500)는 모두 절연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처리기(600)의 내주면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반원형상의 접지전극(640)이 내장되고; 상기 접지전극(640)의 표면인 즉 제2처리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면에는 방전에 이르는 전기용량을 결정하여 처리 정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유전체(650)가 부착되며;
방전전극(660)의 일단에는 상기 유전체(650)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플랜지(F)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전극통수공(662)이 형성되며;
상기 유전체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원추형상의 방전전극(660)이 삽입되고; 상기 방전전극(660)의 몸체는 상기 플랜지(F)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선단에는 상기 방전전극(660)이 상기 삽입단(610) 측으로 밀리게 하는 스프링(670)이 끼워져 상기 방전전극(660)이 삽입단(6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압 변동과 처리 수량에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일정 전압조건에 이르렀을 때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2차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전압을 인가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전극과 방전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처리 시스템.
A flocculation reaction tank into which effluent water is introduced, a flocculant is injected therein, and flocculation reaction treatment is performed with the effluent water; A neutralization tank in which the flocculation reaction treated flocculation reaction water is introduced and a neutralization agent is injected to perform a neutralization reaction treatment; A flocculation tank into which the neutralization-treated neutralized water flows and into which a coagulation aid flows to form a floc; A sedimentation tank through which the flocculated sludge is transferred from the flocculation sludge tank, the flocculation sludge in the fl uid forming water is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the treated sludge is removed; An ozone contact tank that removes a small amount of total phosphorus and dissolved organic matter remaining in the treated water into which ozone is injected to treat odor, color, turbidity, heavy metals, and E. coli to generate reused water; And a nano bubble generat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flocculation tank, the neutralization tank, the flocculation tank, and the ozone contact tank and generates nano bubbles respectively in the flocculation tank, the neutralization tank, Generating device; A flocculant reservoir for storing the flocculant; A first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flocculant into the flocculation tank from the flocculant reservoir; A neutralizer reservoir for storing the neutralizer; A second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neutralizing agent from the neutralizing agent storage tank into the neutralization tank; A flocculation assistant reservoir for storing the flocculant aid; And a third metering pump for introducing the coagulation aid from the coagulation aid reservoir into the bath; A first agitator for mixing the effluent and the flocculant in the flocculation tank; A second agitator for mixing the flocculated effluent and the neutralizing agent in the neutralization tank; And a third agitator for mixing the neutralization water and the coagulation assistant in the flocking tank, the system comprising:
The treatmen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end of the ozone contact tank is further stored in the reused water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end of the reused water storage tank,
The reprocessing unit includes a first processor 500 connected to a discharge end DR of the reusing water storage tank, a second processor 600 connected to the first processor, and a discharge guide connected to the second processor 600 700); The first processor 5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ternal hollow state, and the discharge end is in contact with one end face; The insertion end 610 of the second processor 6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cessor at a certain depth; An O-ring (630)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and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cessor through which the insertion end passes, and is configured to closely seal;
In the first processor 500, a pair of positive electrodes 510 and negative electrodes 520 are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discharge end connection portion;
Wherei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formed in a disc shape;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water supply holes 514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water supply holes 524 are formed on each plate surface for the flow of the reused water;
The negative electrode (5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needles (522) protruding toward the positive electrode (510)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510)
The first processor 500 is formed at an insertion end 610 of the second processor 600 so as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let hole 620 at the tip of the inlet hole 620 formed in the insertion end 610, A tapered surface 612 is formed so that the treated plasma treated in the first plasma process can flow more easily and quickly;
The first processor 500, as well as the second processor 600, are all comprised of an insulator;
A semicircular ground electrode 640 is embedd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cessor 600 at intervals. A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640, that is, a surface disposed inside the second processor, is provided with a dielectric 650 for determining the capacitance to discharge and varying the degree of processing;
A flange F sliding along a slot formed in the dielectric 65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electrode 660; A plurality of electrode through holes 662 are formed in the flange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lidable conical discharge electrode 660 is inserted into the dielectric; The body of the discharge electrode 660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F and a spring 670 which is pushed toward the insertion end 610 side is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discharge electrode 660, And a second process is performed by generating a plasma while generating a discharge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condition is reached while reciprocating according to a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 and an amount of tre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ertion end 610;
And a power supply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pplying a voltage to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1758A KR101541101B1 (en) | 2014-09-30 | 2014-09-30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1758A KR101541101B1 (en) | 2014-09-30 | 2014-09-30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1101B1 true KR101541101B1 (en) | 2015-08-06 |
Family
ID=5388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1758A Active KR101541101B1 (en) | 2014-09-30 | 2014-09-30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11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341B1 (en) * | 2016-09-06 | 2017-02-22 | (주)신명건설기술공사 | Automatic Sewage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ozo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0240Y1 (en) * | 1999-08-28 | 2000-02-15 | 지종기 | High density plasma generating device |
KR100621419B1 (en) * | 2005-05-23 | 2006-09-07 |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 Plasma processing apparatus with large area multi-electrode array |
KR101026734B1 (en) * | 2010-11-23 | 2011-04-11 | 주식회사 티에스이앤씨 |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effluent |
-
2014
- 2014-09-30 KR KR1020140131758A patent/KR1015411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0240Y1 (en) * | 1999-08-28 | 2000-02-15 | 지종기 | High density plasma generating device |
KR100621419B1 (en) * | 2005-05-23 | 2006-09-07 |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 Plasma processing apparatus with large area multi-electrode array |
KR101026734B1 (en) * | 2010-11-23 | 2011-04-11 | 주식회사 티에스이앤씨 |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efflu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5341B1 (en) * | 2016-09-06 | 2017-02-22 | (주)신명건설기술공사 | Automatic Sewage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oz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4197B2 (en) | Electronic water pre-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s | |
KR101026734B1 (en) |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effluent | |
EP2834197B1 (en) |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nd drinking water | |
CN103304054B (en) | A kind for the treatment of process of dyeing waste water | |
CN102701496A (en) | Method and process for treating high-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difficult to degrade | |
Etchepare et al. | Application of flocculation–flotation followed by ozonation in vehicle wash wastewater treatment/disinfection and water reclamation | |
RU2094394C1 (en) | Method of purification of natural water and sewage and plant for its implementation | |
KR101162808B1 (en) | Eco bio reactive system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 |
Niza et al. | Removal of ammoniacal nitrogen from old leachate using batch electrocoagulation with vibration-induced electrode plate | |
WO2014165998A1 (en) |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 |
KR101221565B1 (en) | Electrolytic treatment of waste water | |
JP2015501923A (en) | Waste fluid treatment through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 |
KR101469891B1 (en) | Water-blending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
RU2480423C1 (en) | Combined method of treating waste water containing organic contaminants | |
CN106186274A (en) | The deep treatment method of coking chemical waste water biological treatment water outlet | |
Ahmad et al. | Comparison of coagulation, electrocoagulation and biological techniques for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 |
KR20160085101A (en) | A comprehensive method and system of treating sewage and rainwater | |
KR101541101B1 (en)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
KR101544604B1 (en) | SYSTEM FOR RECYClY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
KR101579156B1 (en) | System for reprocessing discharge water of sewage treatment plant | |
CN106430846A (en) | Efficient treatment integrated process for recalcitrant wastewater with low organic matter content | |
KR101017006B1 (en) | Reverse osmosis concentrated water treatment device and its treatment method | |
CN202116407U (en) | A device for treating catering wastewater | |
CN116216990A (en) | An electrochemical treatment system for landfill leachate | |
RU2315007C1 (en) | Method of purification of the water from the harmful impurities and the installation for the method real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3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