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793B1 - Growing Bed - Google Patents
Growing B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0793B1 KR101540793B1 KR1020140136064A KR20140136064A KR101540793B1 KR 101540793 B1 KR101540793 B1 KR 101540793B1 KR 1020140136064 A KR1020140136064 A KR 1020140136064A KR 20140136064 A KR20140136064 A KR 20140136064A KR 101540793 B1 KR101540793 B1 KR 101540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rient solution
- main body
- fixing
- crops
- cultiv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1 hydroponic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2 pumi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250 Chrysanthe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97 Dianthus caryophy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55 Dianthus caryophy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5332 Gerb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01 Ranunc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09329 Rosa xanth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49 Taraxacum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작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무기양분을 양액을 통하여 공급하는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재배용 베드에 있어서, 보온수단과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작물이 생장하는데 적절한 배지온을 제공해주며, 양액공급장치를 통해 작물에 양액을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공급한 양액은 공간부와 배수공간부 사이에 그물망이 구비되어 있어 양액이 원활하게 배수가 되도록 상토를 넣어 담을 수 있는 상부 개구형 공간부를 포함하며, 저면부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배수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와 너비를 가지는 배수공간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재배용 베드본체; 상기 공간부와 배수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상토가 상기 배수공간부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반면 물의 배출은 가능케 하는 그물망; 상기 공간부의 바닥부 일측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설된 보온수단;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 측면부와 저면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배지온을 계절이나 밤낮에 따라 적합한 적정온도로 조절 및 유지가 용이하고, 재배 작물에 양액이 충분히 공급되고 원활히 순환되어 작물에 유용한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재배 작물이 생장하여 줄기가 뻗어나가고 잎이 무성해짐에 따라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나 가지를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하는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ing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ltivating bed used for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in which inorganic nutrients necessary for growing various crops are supplied through a nutrient solution, comprising a warming means and a temperature adjusting means,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rop through the nutrient supply device.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is provided with a mesh between the space part and the drainage part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drained smoothly. And a drainage spac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as to be drained downward in a central part of the bottom part; A mesh between the space portion and the drain hole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down to the drain hole portion while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space part, there is provided a heat keeping mean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ecure the discharge of crops; At least one supporting table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in a state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edestal for separating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from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edestal so as to easily control and maintain the exhaust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ason or day and night, Sufficient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cultivated crops and it circulates smoothly to maximize the useful growth environment for crops. Supports stem or branches so that cultivated crop grows and stem grows and leaves grow properly. And to induce a growth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작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양분을 양액을 통하여 공급하는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재배용 베드에 있어서, 보온수단과 온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작물이 생장하는데 적절한 배지온을 제공해주며, 양액공급장치를 통해 작물에 양액을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공급한 양액은 공간부와 배수공간부 사이에 그물망이 구비되어 있어 양액이 원활하게 배수가 되고, 줄기나 가지를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하는 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ing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ltivating bed used for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in which nutrients necessary for growing various crops are supplied through a nutrient solution,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rop is supplied through the nutrient supply device. Also, since the nutrient solution is provided with the mesh between the space part and the drainage par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drained smoothly, And inducing a growth direction.
양액재배란 용액재배(solution culture)라고도 하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별개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燻炭),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固形培地)를 이용하여 작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작물을 생육하는 재배법을 말한다. 이는 무토양재배를 원칙으로 하며, NFT(nutrient film technique)나 담액수경(湛液水耕), 분무경(噴霧耕), 모관수경(毛管水耕) 등과 같은 수경재배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는 탱크농법(tank farming), 베드농법(bed farming)이라고도 한다.Nutrient solution culture, also called solution culture, is a solid culture medium made of peatmoss, pearlite, vermiculite, rock, pumice, smoke coal, sawdust, gravel and sand apart from supplying nutrients necessary for crop growth. (Solid medium) is used to cultivate crops by artificially creat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rop grows. This is the principle of non-soil cultivation and includes hydroponic cultivation such as NFT (nutrient film technique), submerged hydroponics, spray cultivation, and capillary hydroponics. Also known as tank farming or bed farming.
양액재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자연환경의 지배를 훨씬 덜 받기 때문에 농경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일단 병원균이 침투하면 단기간에 전염되며 작물에 대한 세심한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경부터 양액재배가 시작되어 1985년에는 재배면적이 4ha에 이르렀으며 1994년에는 59.5ha에 달하였다. 그 가운데 70% 정도는 고형배지를 이용하는 것이며, 30% 정도는 담액수경재배 방식을 취한 것이다. 해당 작물은 오이, 토마토, 방울토마토, 고추 등의 과채류, 상추, 미나리, 앤다이브잎, 파, 들깨 등의 엽채류, 장미, 거베라, 국화, 카네이션 등의 화훼류이다. 재배방식은 1990년을 전후하여 이전에는 NFT, 역경재배(礫耕栽培), 훈탄재배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그 후부터는 NFT를 제외하고는 암면재배, 펄라이트재배로 바뀌어 가고 있다.Hydroponic cultivation can be harvested in areas where agriculture is impossible, because it can harvest a large amount of crop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s much less dominated by natural environments than soil cultivation. However, it requires a lot of capital, and once infected with pathogens, it is transmit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careful management of the crops is necessary. In Korea, the cultivation area began to grow from 1980 to 1985, reaching 4 ha. In 1994, it reached 59.5 ha. Approximately 70% of them use solid medium, and about 30% of them use a hydroponic culture method. The crops are fruits and vegetables such as cucumbers, tomatoes, tomatoes, peppers and lettuce, lettuce, buttercups, dandelion leaves, leafy vegetables such as parsley and perilla, roses, gerberas, chrysanthemums and carnations. NFT, gravel cultivation, and honey cultivation were the main cultivation methods before and after 1990, except for NFT, they have been changed to rocky and pearlite cultivation.
이러한 양액재배를 구현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각종 작물의 생육에 유효한 양액 성분의 조성, 병원균의 감염 관리, 그리고 양액의 공급과 작물의 생육을 원활이 할 수 있는 양액베드 등이다.The most important key technologies to realize such a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are the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ingredients effective for the growth of various crops, the infection control of pathogens, and the nutrient solution bed which can supply nutrients and grow crops smoothly.
특히, 시설하우스내 양액재배에 있어서, 온도관리는 작물의 생육과 생산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재배기술의 하나이며, 기온 관리 뿐만 아니라 지온 관리는 작물 뿌리의 신장, 뿌리군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양수분 흡수에 관여하고 토양 미생물에도 영향을 미쳐 간접적으로 생육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작물재배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temperature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ivation techniques because it controls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crops in the facility house. Temperature management, as well as temperature management, directly affects the growth of crop roots and the formation of roots It is very important for crop cultivation management because it i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biomass, affects soil microorganisms and indirectly affects the growth.
종래의 양액베드는 지온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물 뿌리의 신장, 뿌리군의 형성이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The conventional nutrient solution bed has a problem that the geothermal management is not performed smoothly, and thus the elongation of the root of the crop and the formation of the root group are adversely affected.
또한, 종래의 양액베드는 급배수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아 영양분이 용이하게 작물에 공급되지 못하여 작물의 생육이 위축되거나, 양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염 등으로 병원균에 쉽게 노출되어 감염 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nutrient solution bed is not smooth i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so nutrients are not easily supplied to the crops, so the growth of the crops is shrunk or the nutrient solution is not circulated well. There are also problems such as
또한, 종래의 양액베드는 각종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생장하도록 유도할 수가 없어, 줄기나 잎이 중구난방으로 비효율적으로 뻗어 나가게 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nutrient solution bed can not induce the growth in the right direction even if the size of the nutrient solution grows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various crop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tem or leaf is ineffectively extended to the middle heating.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온을 계절이나 밤낮에 따라 적합한 적정온도로 조절 및 유지함에 따라 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켜 농가의 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재배용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season or day and night to increase the yield of the crop, In order to provide a cultivating b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배 작물에 양액이 충분히 공급되고 원활히 순환되어 작물에 유용한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급배수 구조가 구현되어 있는 재배용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ltivation bed in which efficient nutrient solution is sufficiently supplied to a cultivated crop and circulated smoothly to maximize a useful growing environment for a crop.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 작물이 생장하여 줄기가 뻗어나가고 잎이 무성해짐에 따라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나 가지를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하여 주는 유인고정장치가 구비된 재배용 베드를 제공함에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racting device for supporting a stem or a branch and inducing a growth direction so that a stem grows and a stem grows and a leaf grows smoothly evenly, Thereby providing a cultivating b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토를 넣어 담을 수 있는 상부 개구형 공간부를 포함하며, 저면부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배수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와 너비를 가지는 배수공간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재배용 베드본체; 상기 공간부와 배수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상토가 상기 배수공간부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반면 물의 배출은 가능케 하는 그물망; 상기 공간부의 바닥부 일측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설된 보온수단;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 측면부와 저면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ltivating bed main body including a top opening-type space part capable of containing soil, and a drain spac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mesh between the space portion and the drain hole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down to the drain hole portion while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space part, there is provided a heat keeping mean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ecure the discharge of crops; At least one supporting table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in a state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edestal which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separates the cultivating bed body from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 측면부 내부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다수개의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cultivating bed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mperature adjusting means for secur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rop.
또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더 구비결합된 상태로 성장하는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측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인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mmobilization device for guiding the stem and branch of the growing crop to the sid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each side of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또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의 각 측면 상면에는 상기 유인고정장치를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형태의 고정부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each side of the cultivating bed body further includes a rail-shaped fixed portion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ving and fixing the attracting unit.
이때, 상기 유인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부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유인고정부와; 상기 유인고정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측면으로 유도하는 유인줄을 고정하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고정걸이가 형성된 유인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ttracting and fixing device includes: an attracting and fixing unit to be fit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member groove; And an attracting fixtur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attracting and fix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hook formed in a ring shape for fixing the hook and the stem of the crop to the side.
그리고,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와 지지대 사이에는, 무기양분의 제공을 위한 양액공급장치가 길이방향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for providing inorganic nutrients is furthe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and the support platform.
이때, 상기 양액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이동시키는 양액이동부; 상기 양액을 상토에 흡수되도록 떨어뜨리는 양액공급부; 및 상기 양액이동부와 양액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액이동부를 통해 이동한 양액을 상기 양액공급부로 전달하는 양액전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nutrient solution feeding device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moving part for mov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A nutrient supply part for dropping the nutrient solution so as to be absorbed into the soil; And a nutrient solution conveying part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nutrient solution moving part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ing part and delivers the nutrient solution moved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part 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ing part.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양액이동부를 둘러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걸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hook portion for surrounding and fixing the nutrient solution.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재배용 베드는 배지온을 계절이나 밤낮에 따라 적합한 적정온도로 조절 및 유지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cultivation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control and maintain the medium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season, day and night.
또한, 재배 작물에 양액이 충분히 공급되고 원활히 순환되어 작물에 유용한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sufficiently supplied to cultivated crops and circulated smoothly, thereby maximizing the growth environment useful for crops.
뿐만 아니라, 재배 작물이 생장하여 줄기가 뻗어나가고 잎이 무성해짐에 따라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나 가지를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supporting the stem or branches and guiding the growth direction so that the stem grows and the leaves become smooth as the cultivated crops gr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 베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 베드의 A부분 확대 모습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a cultivat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 베드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 베드의 A부분 확대 모습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A part of a cultivat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 베드는, 상토를 넣어 담을 수 있는 상부 개구형 공간부(110)를 포함하며, 저면부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배수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와 너비를 가지는 배수공간부(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재배용 베드본체(100), 상기 공간부(110)와 배수공간부(120) 사이에는, 상기 상토가 상기 배수공간부(120)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반면 물의 배출은 가능케 하는 그물망(130), 상기 공간부(110)의 바닥부 일측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설된 보온수단(140),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 측면부와 저면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대(200)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cultivat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opening-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는 작물이 생장할 수 있는 배지가 되는 토양 또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구형 공간부(110)가 구비되어 있고, 아래쪽에는 상기 공간부(110)에 공급되었던 물이나 양액(540)등이 배수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와 너비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배수공간부(120)가 구비되어 있다.The cultivating bed
이때, 상기 공간부(110)에서 배수공간부(120)로 물이나 상기 양액(540)이 아래로 흐르면서 상기 공간부(110)에 담겨져 있는 상토가 씻겨 상기 배수공간부(120)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공간부(110)와 배수공간부(120) 사이에는 상기 그물망(130)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water or the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 측면과 아래쪽을 감싸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지지대(200) 아래쪽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주는 상기 받침대(300)로 이루어져 있다.The
이때, 상기 공간부(110)의 바닥부과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 측면부 내부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서 각각 보온수단(140)과 온도조절수단(15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온수단(140)은 지온관 또는 히팅열선으로, 상기 온도조절수단(150)은 냉,온수 공급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At this time, the bottom portion of the
여러 작물 중 딸기의 경우, 배지온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 13 ~ 23도 정도의 배지온에서 저온일수록 지하부의 생육이 좋아지고 고온일수록 지상부의 생육이 촉진된다. 그러므로 배지온은 야간은 낮게, 주간은 높게하여 일교차가 있으면 지상부도 지하부도 생육이 좋아진다. 야간의 근온을 낮게하고 주간의 근온을 23도 정도로 했을 때, 생산수량, 뿌리량, 잎, 화방등의 성장이 좋아지며, 특히, 야간 근온은 5도 정도, 주간 근온은 25도 정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배지온 이라고 할 수 있겠다. In the case of strawberries among various crops, there is a difference in growth between the ground and undergroun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In the medium temperature of 13 ~ 23 degree,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part is better as the temperature is lower, and the growth of the surface part is promoted as the temperature is higher. Therefore, the badge temperature is low at night and the daytime is high, so if there is a daytime difference, the growth of the ground part and the underground part also becomes better. When the near-term nighttim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daytime near-day temperature is set at about 23 degrees, the growth rate of production quantity, root quantity, leaves, and flower buds is improved. In particular, the nighttime near- It is the most desirable badge on.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재배용 베드는 두 가지의 수단으로 배지온을 조절 및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온수단(140)의 경우 꾸준히 작물의 뿌리부분에 열을 공급해 주고, 상기 온도조절수단(150)의 경우에는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 측면 내부에 다수개의 냉온수라인을 구비하여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를 감싸듯하여 배지온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바람직한 배지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To this end, the cultivation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and maintains the exhaust temperature by two means.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150, a plurality of cold / hot water lines are provided inside the side of the cultivation bed
또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에서 생육하는 작물이 점차 자라면서, 줄기나 가지가 생장하는 경우, 무성해진 줄기나 잎이 하부에서 상부로 고르게 생육되도록 하기 위해서 줄기나 잎을 좌우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의 각 측면 상단에 유인고정장치(400)를 상기 유인고정장치(400)를 이도 및 고정하기 위해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의 각 측면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형태의 고정부홈(600)이 더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crops growing in the cultivating bed
여기서 상기 유인고정장치(400)는, 상기 고정부홈(6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유인고정부(410)와, 상기 유인고정부(410)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측면으로 유도하는 유인줄(440)을 고정하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고정걸이(420)가 형성되어 있는 유인고정구(430)로 이루어져 있다.The attracting and
상기 고정걸이(420)는 상기 유인고정구(430) 상에 고리형태로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걸이(420)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각 고정걸이(420)마다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420)에는 상술한 유인줄(440)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유인줄(440)에 작물의 가지나 열매가 겹쳐질 수 있도록 하여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유인고정장치(400)의 유인고정부(410)는 일직선 구조로 형성되거나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의 외측으로 휘어져 만곡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xing hooks 420 are formed on the
그리고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와 지지대(200) 사이에는, 무기양분의 제공을 위한 양액공급장치(50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cultivation bed
상기 양액공급장치(5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양액(540)을 이동시키는 양액이동부(510)와, 상기 양액(540)을 상토에 흡수되도록 떨어뜨리는 양액공급부(520) 및 상기 양액이동부(510)과 양액공급부(520) 사이에 위차하며, 상기 양액이동부(510)을 통해 이동한 상기 양액(540)을 상기 양액공급부(520)로 전달하는 양액전달부(530)로 이루어진다.The nutrient
상기 양액이동부(510)은 LD호스로, 상기 양액전달부(530)은 양액(540)튜브로, 상기 양액공급부(520)은 애로우드립프로 이루어져, 작물에게 정해진 일정양의 양액(540)을 공급해 주게 된다. The nutrient
또한, 상기 양액이동부(510)과 양액전달부(530)의 연결부분에는 압력보상이 되는 점적버튼(혹은 점적단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drop button (or a drop button) which is pressure-compens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nutrient
이렇게 구성된 상기 양액공급장치(500)이 안정적으로 작물에게 상기 양액(540)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The nutrient
따라서, 상기 지지대(200)에는 상기 양액공급장치(500) 중 양액이동부(510)을 둘러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걸이(420)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100)와 상기 지지대(20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된다.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재배용 베드본체
110 - 공간부
120 - 배수공간부
130 - 그물망
140 - 보온수단
150 - 온도조절수단
200 - 지지대
300 - 받침대
400 - 유인고정장치
410 - 유인고정부
420 - 고정걸이
430 - 유인고정구
440 - 유인줄
500 - 양액공급장치
510 - 양액이동부
520 - 양액공급부
530 - 양액전달부
540 - 양액
600 - 고정부홈100 - Cultivating bed body
110 -
120 - drainage officer
130 - Network
140 - Heating means
150 - Temperature control means
200 - Support
300 - Pedestal
400 - Attractor fixing device
410 - Manned Government
420 - Fixed hook
430 - Manned fastener
440 - manned line
500 - Nutrient solution supply
510 - Nutrient solution
520 -
530 -
540 - Nutrient solution
600 - high government home
Claims (8)
상기 공간부와 배수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상토가 상기 배수공간부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반면 물의 배출은 가능케 하는 그물망;
상기 공간부의 바닥부 일측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부설된 보온수단;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 측면부와 저면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주는 받침대;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의 각 측면 상단에 성장하는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측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구비결합된 유인고정장치; 및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의 각 측면 상면에는 상기 유인고정장치를 이동 및 고정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형태의 고정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And a drainage spac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drained downward in a central part of the bottom part;
A mesh between the space portion and the drain hole portion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down to the drain hole portion while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art of the space part, there is provided a heat keeping mean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ecure the discharge of crops;
At least one supporting table for supporting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in a state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bed main body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A pedestal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separates the cultivation bed body from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height;
A manhole fixation device coupled to the sides of the cultivating bed body for guiding stem and branches of the growing crop to the sides; And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each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ng bed body includes a rail-shaped fixing member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and fix the tow-fixing device.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 측면부 내부에는, 작물의 배지온 확보를 위해 다수개의 온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emperature adjusting means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ng bed main body in order to secure the temperature of the crop.
상기 유인고정장치는,
상기 고정부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유인고정부와;
상기 유인고정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작물의 줄기와 가지를 측면으로 유도하는 유인줄을 고정하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고정걸이가 형성된 유인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racting apparatus includes:
An attracting and fixing unit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ed member groove so as to be detachable;
And a manhole fixtur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attracting and fixing unit and having at least one fixing hook formed in a ring shape for fixing a manhole for guiding a stem and a branch of the crop to the side.
상기 재배용 베드본체와 지지대 사이에는, 무기양분의 제공을 위한 양액공급장치가 길이방향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for providing inorganic nutrients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cultivation bed body and the support.
상기 양액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이동시키는 양액이동부;
상기 양액을 상토에 흡수되도록 떨어뜨리는 양액공급부; 및
상기 양액이동부와 양액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액이동부를 통해 이동한 양액을 상기 양액공급부로 전달하는 양액전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transferring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A nutrient supply part for dropping the nutrient solution so as to be absorbed into the soil; And
And a nutrient solution delivery portion for delivering the nutrient solu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nutrient solution feeding portion and the nutrient solution feeding portion, through the nutrient portion, 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portion.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양액이동부를 둘러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걸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 베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base further includes a fixing hook for fixing the nutrient solution around the n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064A KR101540793B1 (en) | 2014-10-08 | 2014-10-08 | Growing B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064A KR101540793B1 (en) | 2014-10-08 | 2014-10-08 | Growing B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0793B1 true KR101540793B1 (en) | 2015-07-31 |
Family
ID=5387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6064A Active KR101540793B1 (en) | 2014-10-08 | 2014-10-08 | Growing B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079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9897A (en) * | 2016-06-10 | 2017-12-20 | (주)창신아그멕 | Gu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3634U (en) * | 1997-09-24 | 1999-04-15 | 김정복 | Simple Vegetable Cultivation Device |
KR20110060482A (en) * | 2009-11-30 | 2011-06-08 | 태양그린에너지(주) | Hydroponic Cultivator |
KR20130021799A (en) * | 2011-08-24 | 2013-03-06 | 정우호 | Nutriculture for bed structure |
KR20140105355A (en) * | 2013-02-22 | 2014-09-01 | 박상숙 | Bed for nutrient culture |
-
2014
- 2014-10-08 KR KR1020140136064A patent/KR1015407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3634U (en) * | 1997-09-24 | 1999-04-15 | 김정복 | Simple Vegetable Cultivation Device |
KR20110060482A (en) * | 2009-11-30 | 2011-06-08 | 태양그린에너지(주) | Hydroponic Cultivator |
KR20130021799A (en) * | 2011-08-24 | 2013-03-06 | 정우호 | Nutriculture for bed structure |
KR20140105355A (en) * | 2013-02-22 | 2014-09-01 | 박상숙 | Bed for nutrient cul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9897A (en) * | 2016-06-10 | 2017-12-20 | (주)창신아그멕 | Gut |
KR101883153B1 (en) * | 2016-06-10 | 2018-07-30 | (주)창신아그멕 | Gu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32503T3 (en) | Cultivation system | |
KR101314657B1 (en) | Bed for nutrient culture | |
JP6566501B2 (en) | Hydroponic system | |
JP201303443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 |
JP2006191921A (en) | Variable space effective utilization type cultivation method | |
KR101845060B1 (en) | A plant for raising strawberry seedling | |
JP5984071B2 (en) | Method of hydroponics potato field in dry land using stationary liquid method | |
KR101540793B1 (en) | Growing Bed | |
KR101248356B1 (en) | Assembly Bed for solution culture | |
JP4744157B2 (en) | Bag culture method | |
KR101883153B1 (en) | Gut | |
JP2018164441A (en) | Greenhouse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horticultural crops | |
KR101911203B1 (en) | management container for cultivaton of plant | |
KR101766591B1 (en) | An individual seedling pot used for strawberry seedling and cultivation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 |
KR101314769B1 (en) | Bed for nutriculture | |
KR101210680B1 (en) | Strawberry Propagation Method using Closed Transplant Production Systems | |
RU194725U1 (en) | Multi-tier plant growing device | |
KR20140005388U (en) | Pipe hydroponics | |
KR20180054239A (en) | Smart-farm system for Sprout ginseng | |
JP6503865B2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JP3199233U (en) |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using wood chip fermentation heat | |
KR102045705B1 (en) | plant cultivation manager for transplant capable fo rearing activation | |
JP2020114188A (en) | Method for culturing salicornia europaea l. | |
JP5213971B2 (en) | Seedling method of vine plant for hydroponics | |
JP3078947U (en) | Aerial cultivation equipment and cultivation equipment for y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