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162B1 - 각속도 센서 - Google Patents
각속도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0162B1 KR101540162B1 KR1020130160579A KR20130160579A KR101540162B1 KR 101540162 B1 KR101540162 B1 KR 101540162B1 KR 1020130160579 A KR1020130160579 A KR 1020130160579A KR 20130160579 A KR20130160579 A KR 20130160579A KR 101540162 B1 KR101540162 B1 KR 101540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portion
- frame
- axis
- axis direction
- mass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719—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using planar vibrating masses driven in a translation vibration along an axis
- G01C19/5733—Structural details or topology
- G01C19/5755—Structural details or topology the devices having a single sensing mass
- G01C19/5762—Structural details or topology the devices having a single sensing mass the sensing mass being connected to a driving mass, e.g. driving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속도 센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각속도 센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선에 따른 각속도 센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질량체 및 제1 프레임의 운동가능한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질량체의 운동가능한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질량체가 제1 프레임에 대해서 제2 가요부가 연결된 축 기준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1 프레임의 운동가능한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4에 도시된 제1 프레임이 제2 프레임에 대해서 제4 가요부가 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속도 센서가 각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속도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속도 센서의 원리 및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로서, 도 12의 (a)는 하나의 가요부에 대한 것이고, 도 12의 (b)는 한 쌍의 가요부에 대한 그래프.
질량체의 운동 방향(제1 프레임 기준) | 가능 여부 |
X축을 기준으로 회전 | 제한 |
Y축을 기준으로 회전 | 가능 |
Z축을 기준으로 회전 | 제한 |
X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Y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Z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제1 프레임의 운동 방향(제2 프레임 기준) | 가능 여부 |
X축을 기준으로 회전 | 가능 |
Y축을 기준으로 회전 | 제한 |
Z축을 기준으로 회전 | 제한 |
X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Y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Z축 방향의 병진 | 제한 |
120: 제1 프레임 130: 제1 가요부
140: 제2 가요부 150: 제2 프레임
160, 160a, 160b: 제3 가요부
170: 제4 가요부
180: 감지수단 190: 구동수단
200 : 각속도 센서 210 : 질량체
220 : 제1 프레임 230 : 제1 가요부
240 : 제2 가요부 260 : 제3 가요부
270 : 제4 가요부
C: 질량체의 무게중심 t1: 제1 가요부의 두께
w1: 제1 가요부의 폭 t2: 제2 가요부의 두께
L1: 제2 가요부의 길이 w2: 제2 가요부의 폭
R: 회전축 t3: 제3 가요부의 두께
w3: 제3 가요부의 폭 L2: 제3 가요부의 길이
t4: 제4 가요부의 두께 w4: 제4 가요부의 폭
Claims (18)
- 질량체;
상기 질량체의 외측에 구비된 제1 프레임;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가요부;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가요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가요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4 가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부는 상기 질량체의 이동에 따라 변위 발생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요부는 상기 질량체를 회전변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제3 가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회전변위 가능하도록 제2 프레임에 고정하고, 일측 제3 가요부와 타측 제3 가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제3 가요부와 타측 제3 가요부는 상기 질량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인접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요부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3 가요부는 X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한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는 X축 방향으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4 가요부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는 X축 방향으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2 가요부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질량체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3 가요부는 X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4 가요부는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한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는 Z축 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고,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 빔이고, 상기 제1 가요부는 Y축 방향의 폭(w1)이 Z축 방향의 두께(t1)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요부는 X축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고 Y축 및 Z축에 의해 면이 형성된 힌지이고, 상기 제2 가요부(140)는 Z축 방향의 두께(t2)가 X축 방향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요부는 Y축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고 X축 및 Z축에 의해 면이 형성된 힌지이고, 상기 제3 가요부는 Z축 방향의 두께(t3)가 Y축 방향의 폭(w3)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요부는 Z축 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갖고,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 빔이고, 상기 제4 가요부는 X축 방향의 폭(w4)이 Z축 방향의 두께(t4)보다 크게 형성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에는 굽힘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2 가요부에는 비틀림응력이 발생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요부에는 굽힘응력이 발생하고, 상기 제3 가요부에는 비틀림응력이 발생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요부는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질량체의 무게중심보다 상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요부는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질량체의 무게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 및 제2 가요부는 상기 질량체를 상기 제1 프레임에 각각 양측 또는 일측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요부 및 상기 제4 가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제2 프레임에 각각 양측 또는 일측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부 또는 제2 가요부에는 상기 질량체의 변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요부 또는 제4 가요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을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속도 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요부 및 제3 가요부는 토션바(Torsion 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각속도 센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579A KR101540162B1 (ko) | 2013-12-20 | 2013-12-20 | 각속도 센서 |
US14/574,586 US20150176995A1 (en) | 2013-12-20 | 2014-12-18 | Angular velocity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579A KR101540162B1 (ko) | 2013-12-20 | 2013-12-20 | 각속도 센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909A KR20150072909A (ko) | 2015-06-30 |
KR101540162B1 true KR101540162B1 (ko) | 2015-07-28 |
Family
ID=533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5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0162B1 (ko) | 2013-12-20 | 2013-12-20 | 각속도 센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76995A1 (ko) |
KR (1) | KR1015401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13802A1 (de) * | 2017-08-08 | 2019-02-14 | Robert Bosch Gmbh | Drehratensenso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hratensensor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3667A (ja) * | 1993-09-14 | 1995-03-28 | Toshiba Corp | 角速度センサ |
JPH1089968A (ja) * | 1996-09-12 | 1998-04-10 | Murata Mfg Co Ltd | 角速度センサ |
JPH10267663A (ja) * | 1997-03-28 | 1998-10-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角速度センサ |
JP2010169401A (ja) * | 2009-01-20 | 2010-08-05 | Sony Corp | 検出素子、微小電気機械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579A patent/KR10154016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12-18 US US14/574,586 patent/US20150176995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3667A (ja) * | 1993-09-14 | 1995-03-28 | Toshiba Corp | 角速度センサ |
JPH1089968A (ja) * | 1996-09-12 | 1998-04-10 | Murata Mfg Co Ltd | 角速度センサ |
JPH10267663A (ja) * | 1997-03-28 | 1998-10-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角速度センサ |
JP2010169401A (ja) * | 2009-01-20 | 2010-08-05 | Sony Corp | 検出素子、微小電気機械装置および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76995A1 (en) | 2015-06-25 |
KR20150072909A (ko) | 2015-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9731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388814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366990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531093B1 (ko) |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 |
JP5864679B2 (ja) | センサ用検出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角速度センサ | |
KR101461332B1 (ko) | 센서용 검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각속도 센서 | |
US9035400B2 (en) |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device | |
US9879998B2 (en) | Angular velocity sensor | |
KR101540162B1 (ko) | 각속도 센서 | |
JP5816320B2 (ja) | Mems素子 | |
KR101521702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299729B1 (ko) | 센서 | |
KR101420534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516076B1 (ko) | 각속도 센서 | |
KR101540154B1 (ko) | 각속도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70229B1 (ko) | 각속도 센서 | |
KR20160085114A (ko) | 각속도 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