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90B1 -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0090B1 KR101540090B1 KR1020080102708A KR20080102708A KR101540090B1 KR 101540090 B1 KR101540090 B1 KR 101540090B1 KR 1020080102708 A KR1020080102708 A KR 1020080102708A KR 20080102708 A KR20080102708 A KR 20080102708A KR 101540090 B1 KR101540090 B1 KR 101540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alarm
- widget
- display unit
-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85205 Prenanthella exig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알람 시간과, 알람과 연계된 정보 위젯을 설정받고, 설정된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정보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 시간의 도달시, 알람 신호와 특정 위젯이 제공하는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n alarm widget and an information widget associated with the alarm and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execution of the information widget when the alarm widget reaches the set alarm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on arrival of an alarm time, an alarm signal and information provided by a specific widget can be output together.
위젯, 알람, 휴대 단말기 Widgets, alarms, mobile terminals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람 신호의 출력과 함께 특정 위젯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n alarm signal and information provided by a specific widge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diversified, the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playing music files and video files, receiv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and wireless internet, and have developed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나 위젯(Widgets) 기능의 제공 등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a complicated function, a mobile terminal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is being applied variously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example, there is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or a widget function for searching for or selecting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그런데,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위젯 기능과 알람 기능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 신호의 출력과 함께 특정 위젯의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However, the widget function and the alarm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are independent functions and are not link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widget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at the alarm time set by the user i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provided.
이에 따라, 아침에 일어나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그날의 날씨를 확인하거나 다른 나라의 주식 시세 등을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는, 특정 시간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알람 기능을 설정하고, 알람 신호가 출력되면 원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다시 조작해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주기적으로 일정 시간에 휴대 단말기를 통해 주식 시세나 교통 정보의 변화 등을 알고 싶은 경우에도, 별도의 조작 과정이 필요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wakes up in the morning and confirms the weather of the day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or inquires the stock quotes of other countries or the like, an alarm function is set so that an alarm signal is output at a specific time.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operated again to display the information. Likewise, when a user desires to periodically know a change in stock quotes or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time,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operation procedure, which is cumbersome to use.
그러므로, 휴대 단말기에서 위젯 기능과 알람 기능을 연계시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특정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specific widget at a time set by the user by linking the widget function and the alarm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설정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알람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together with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execution of a widget set in an alarm time set by a user,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알람 시간을 설정받는 단계, 알람과 연계된 정보 위젯을 설정받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시간의 도달시, 상기 정보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n alarm time; setting an information widget associated with an alarm;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정보 위젯을 설정받는 단계, 소정 시간동안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위젯의 실행을 통해 수신받은 정보에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receiving an information widget; switching the display to an off state when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n state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hange is detected to be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부, 및 알람 시간 및 알람과 연계된 정보 위젯이 설정되면, 상기 알람 시간의 도달시, 상기 정보 위젯의 실행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when a display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rovides an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information widget associated with an alarm time and an alarm are set, when the alarm time arrives,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information widget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정보 위젯을 설정받고, 소정 시간동안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정보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에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et a display unit and an information widget, to turn off the display unit when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display unit to the on state an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when a change is detected above the refer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 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execute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알람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알람 신호의 출력과 함께 설정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없이 알람 신호의 출력과 함께 특정 위젯이 제공하는 정보를 볼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의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 alarm time is reached,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widget set together with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Therefor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pecific widget can be seen along with the output of the alarm signal without any special oper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its functional compone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the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 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 압력센서(143), 및 가속도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 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The
가속도 센서(145)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5)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5)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lso, the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 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 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et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where the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While the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 록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Like the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a wheel-type fifth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second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 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서 위젯 알람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widget alarm function in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알람 설정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위젯 알람 설정을 위한 알람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S205). Referring to FIG. 4, when an alarm setting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200), the
여기서, 위젯 알람은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설정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알람 신호를 함께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위젯(Widgets)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작은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즉, 위젯은 독립 실행가능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및 배포하기가 용이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와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되어, 관련있는 컨텐츠나 정보만 제공할 수 있도록 꾸밀 수 있다. 위젯의 종류에는, 시계나 달력 등과 같은 액세서리 위젯, 게임이나 주소록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위젯, 기상이나 주식 등과 같은 정보 위젯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Here, the widget alarm means a function of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et widget when the alarm time set by the user is reached. Widgets are small applications designed to provide easy access to frequently used functions or information. Widgets are easy to develop and deploy as stand-alone web applications, can be combined with a variety of applications and services, optimized for user interfaces, and can be tailored to provide relevant content or information. Types of widgets can be classified into accessory widgets such as clocks and calendars, application widgets such as games and address books, and information widgets such as weather or stocks.
제어부(180)는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해, 알람 시간과, 알람과 연계된 위젯을 설정받고(S210), 알람 관련 정보를 설정받는다(S220). 알람 설정과 관련된 사항은 메모리(160) 등에 저장된다. The
이때, 설정받는 알람 관련 정보에는, 월요일에서 금요일, 월요일에서 토요일, 및 날마다 등과 같은 알람 주기, 혹은 날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 관련 정보에는 한번 울림, 2번 울림, 3번 울림, 4번 울림 등과 같은 알람 횟수나, 5분, 10분, 30분 등과 같은 알람 간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알람 신호를 벨소리, 진동, 미리 선국된 라디오 방송, 음성 중 어느 것으로 할 것인지 등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사항에 변경이 있는 없는 경우, 알람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S220). At this time, the alarm-related information to be set may include an alarm cycle such as Monday through Friday, Monday through Saturday, and day, or a date. In addition, the alarm-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n alarm frequency such as one ringing, two ringing, three ringing, four ringing, etc., and an alarm interval such as five minutes, ten minutes, and thirty minutes. The alarm signal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such as ring tones, vibration, preset radio broadcast, and audio.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etting items, the alarm setting process is terminated (S22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서 알람 시간 도달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an alarm time is reached in an opera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알람 시간이 도래하면, 설정된 위젯의 실행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받도록 제어한다(S305). 제어부(180)는 내부나 혹은 별도로 구비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된 알람 시간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alarm time arrives, the
제어부(180)는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정보를 제공받은 후에는,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10).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나 표시 형태 등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화가능하다.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through execution of the widget, the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에는, 제어 부(180)는 설정된 알람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설정된 유형의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150).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나 알람 신호의 출력은, 출력 종료가 선택된 경우나 혹은 기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까지 지속된다(S32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에 도달한 경우, 알람 신호의 출력과 함께 설정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fter displaying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execution of the widget,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정보 위젯이 설정된 후(S400), 일정 시간내에 터치입력이나 키입력 등과 같은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S410). 그러나. 일정 시간동안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S405),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오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415).Referring to FIG. 6, when an information widget is set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400), if there is an input signal such as a touch input or a key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is performed (S410). But. If there is no inpu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405), the
디스플레이(151)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설정된 정보 위젯의 실행을 통해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S420). 만일, 수신된 정보에 기준 이상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고(S430), 수신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430). 수신된 정보에 기준 이상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의 예로는, 기상 상태가 급변하거나, 주식 시세나 교통 사황 등이 급변하는 경우 등이다.In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설정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급변하는 경우,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별도의 조작없이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t widget changes rapidly,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도 7은 위젯 알람 설정메뉴에서 알라밍 타입(alarming type)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알라밍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500)에는, 알람 시간의 도달시 출력되는 알람 신호의 유형을 설정할 수 있는 알라밍 타입 목록(510)이 표시된다. 알라밍 타입 목록(510)에는, 벨소리 출력, 라디오 방송 출력, 날씨 정보와 함께 벨소리 출력, 날씨 정보와 함께 라디오 방송 출력, 날씨 정보와 함께 음성 출력, 날씨 정보 및 오늘의 일정과 함께 음성 출력 등이 포함된다. 알라밍 타입 목록(510)에서 어느 한 항목이 설정되면, 알람 시간의 도달시 설정된 타입의 알람 신호가 출력된다. 7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n alarming type in the widget alarm setting menu. Referring to FIG. 7, in the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알람 신호의 출력시 다향한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벨소리나 진동 대신에 그 날의 날씨를 대변할 수 있는 비소리나, 새소리 등과 같은 배경 사운드와 함께 현재 날씨 상태를 음성으로 읽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various options when outputting the alarm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reading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 by voice, in addition to a background sound such as a bell sound, a bird sound or the like, which can represent the weather of the day instead of a general ring or vibration.
이와 같이, 설정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함께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알람 시간의 도달시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alarm signal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t widget, usefu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alarm time is reached.
도 8은 설정된 알람 시간의 도달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는 날씨 웨젯의 설정에 따라 현재의 날씨 정보 배경 화면으로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8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arrival of the set alarm time. Fig. 8 shows that th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weather widget setting.
날씨 위젯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알람 시간에 도달한 경우, 맑음, 비, 눈, 안개 등과 같은 현재 날씨 상태를 배경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현재 날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필요한 날씨 정보를 현재 날씨 상태 를 반영한 사운드를 배경으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부재중 통화, 수신된 메시지나 이메일, 오늘의 스케쥴 등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If the weather widget is set, you can display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s such as sunny, rain, snow, fog, etc. as background when the set alarm time is reached. If it is set to output the current weather information by voice, the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can be outputted as a voice in the background of the sound reflecting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missed calls, received messages or e-mails, today's schedules, etc. can be displayed or output by voice.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600)에서 'Stop'을 선택한 경우 알람 신호의 출력이 종료되고, 'Snooze'가 선택된 경우에는 소정 시간 동안 알람 신호의 출력이 정지된 후 다시 출력된다.When 'Stop' is selected on the
도 9는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급변하는 경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된 화면(700) 상태에서, 설정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온 상태로 전환한 후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7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b)의 경우에는 날씨 정보가 급변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whe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execution of a widget changes rapidly in a state that the display unit is opened. 9 (a),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t widget in the state of the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설정된 위젯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급변하는 경우, 제공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을 별도의 조작없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효과나 진동 등과 함께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is turned off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t widget changes rapidly,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In addition, a screen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a sound effect, vibration, and the like, and the user's attention can be attract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me of which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mobile station modem (MSM).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서 위젯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widget alarm in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서 알람 시간 도달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when an alarm time is reached in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알라밍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an alamming type,
도 8은 알람 시간의 도달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n alarm time arrives, and
도 9는 디스플레이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위젯의 실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급변하는 경우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whe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execution of a widget changes rapidly in a state that the display unit is opened.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708A KR101540090B1 (en) | 2008-10-20 | 2008-10-20 |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2708A KR101540090B1 (en) | 2008-10-20 | 2008-10-20 |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612A KR20100043612A (en) | 2010-04-29 |
KR101540090B1 true KR101540090B1 (en) | 2015-07-29 |
Family
ID=422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27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0090B1 (en) | 2008-10-20 | 2008-10-20 |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00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3729A (en) | 2010-02-12 | 2011-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dge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
KR102018655B1 (en) * | 2012-11-12 | 2019-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1524059B1 (en) * | 2013-01-09 | 2015-06-02 | 주식회사 제일기획 | Contents Providing Method on Alarming Display and Contents Providing Server |
KR102149779B1 (en) * | 2013-11-04 | 2020-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alarm providing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3141A (en) * | 1999-03-02 | 2000-09-14 | Nec Telecom Syst Ltd | Battery consumption reducing device and its method |
KR20060120946A (en) * | 2005-05-23 | 2006-1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wake-up call function |
KR100747663B1 (en) * | 2007-05-04 | 2007-08-08 |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 | How to control widgets and mobile devices that can run widgets |
-
2008
- 2008-10-20 KR KR1020080102708A patent/KR1015400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3141A (en) * | 1999-03-02 | 2000-09-14 | Nec Telecom Syst Ltd | Battery consumption reducing device and its method |
KR20060120946A (en) * | 2005-05-23 | 2006-11-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wake-up call function |
KR100747663B1 (en) * | 2007-05-04 | 2007-08-08 | 주식회사 위즈커뮤니케이션 | How to control widgets and mobile devices that can run widge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3612A (en) | 2010-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1302B1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gesture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12768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1728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3309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37270B1 (en) |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29523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00797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88391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77029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15975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61945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00505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10008939A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a circular display unit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105775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540090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wedget alarm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26386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624528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057256A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608650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348357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573753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11830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32006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1506489B1 (en) |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n opera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029834A (en) |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