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48B1 -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 Google Patents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9648B1 KR101539648B1 KR1020140008094A KR20140008094A KR101539648B1 KR 101539648 B1 KR101539648 B1 KR 101539648B1 KR 1020140008094 A KR1020140008094 A KR 1020140008094A KR 20140008094 A KR20140008094 A KR 20140008094A KR 101539648 B1 KR101539648 B1 KR 101539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plate
- lower plate
- hole
- plate
- elas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275 binding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9/00—Garment suspend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F19/00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sleev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츠의 소매단(15)이나, 신발끈(16)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의류나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의류 및 신발 결속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and a shoe binding member configured to be able to wear clothing or shoes conveniently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leeve end (15) of the shirt or the shoelace string (16).
Description
본 발명은 셔츠의 소매단(15)이나, 신발끈(16)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의류나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의류 및 신발 결속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and a shoe binding member configured to be able to wear clothing or shoes conveniently b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leeve end (15) of the shirt or the shoelace string (16).
일반적으로 셔츠와 같은 의류의 소매단(15)은 단추가 부착되어 소매 단을 벌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신발은 신발끈(16)을 매듭짓거나 풀러 신발을 편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the
그러나 단추를 잠그거나 풀 때 또는 신발끈(16)을 매듭짓거나 풀 때 많은 손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의 특허 제1315194호(2013.09.30 등록)인 "신발끈 조임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However, since many hand movements are required when locking or unlocking the button or when knotting or loosening the
본 발명 출원인의 선특허 받은 특허 제1315194호의 "신발끈 조임장치"의 구성은 레버의 하판걸림홈이 하판의 레버탄성돌기에 끼워지고, 레버의 상판걸림홈이 상판의 걸림돌기에 끼워져 상판, 레버, 하판이 절첩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판, 레버 및 하판이 차례로 절첩되어 결속되거나 펼쳐지도록 한 구성이나,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작은 외력으로도 의도치 않게 결속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1315194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latching groove of the lever is fitted to the lever elastic projection of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latching groove of the lever is fitted in the latching projection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the lever, and the lower plate are folded or unfolded in a folded manner so that the lower plate is fixed while being folded. However, the structur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a problem that unintentional engagement is unintentionally released even with a small external force has occur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원하지 않는 외력에는 결속이 해제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시에는 신속히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의류 및 신발 결속구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thes and a shoe bind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t is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11)과 하판(31)이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결속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nding mechanism for folding or unfolding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31)
상판(11)의 일측 하단에는 하판(31)의 걸림구멍(33)을 통과하는 삽입부(14)가 형성되고, 하판(31)의 일측 하단에는 끼움공(32)이 형성되며, "ㄷ"자 형태로 굽어진 탄성봉(21)의 일측단이 끼움공(32)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상판(11)의 회동통공(13)에 관통되어 상판(11)과 하판(31)이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하되,An
상판(11)과 하판(31)을 절첩할 때 탄성봉(21)이 하판(31)의 걸림구멍(33)에 억지로 통과된 후 걸림구멍(33)의 하측에 걸리도록 탄성봉(21)의 중간에 볼록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신발 결속구이고,When the
탄성봉(21)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트임홈(18)이 형성된 회동통공(13)을 상판(11) 하부의 일측에 다수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의 회동통공(13)에 탄성봉(21)을 끼워 결속구의 좌, 우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신발 결속구이다.
A large number of pivoting through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체결력이 뛰어나고, 좌, 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각종 의류나 신발의 결속구로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easy to manufacture, convenient to use, excellent fastening force, and adjustable left and right lengths, so that it can be applied variously to various clothes or shoe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조립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절첩되어 결속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속이 해제되어 펼쳐지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결속이 해제되어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셔츠의 소매단 결속구로 사용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신발의 신발끈 결속구로 사용된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좌우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bound;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and unfolded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and unfolde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leeve end binding means of a shirt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hoelace binding member of a shoe;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justed;
본 발명은 상판(11), 탄성봉(21) 및 하판(31)이 연결 및 회동되어 절첩 상태에서 결속되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예시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상판(11)의 일측 하단에는 하판(31)의 걸림구멍(33)을 통과하는 삽입부(14)가 형성되고, 삽입부(14)에는 탄성봉(21)의 일측이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회동통공(13)이 형성되며, 상판(11)의 타측에는 의류나 신발끈(16)이 연결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된다.An
하판(31)은 몸체 중앙에 삽입부(14) 및 탄성봉(21)이 통과되는 걸림구멍(33)이 형성되고, 하판(31)의 일측 하단에는 탄성봉(21)의 말단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끼움공(32)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의류나 신발끈(16)이 연결되는 고정공(12)이 형성된다.The
탄성봉(21)은 걸림구멍(33)에 통과될 수 있도록 금속봉을 "ㄷ"자 형태로 절곡한 것으로, 말단은 끼움공(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되고, 타단은 회동통공(13)에 관통되어 끼워지며, 중간에는 절첩될 때 탄성봉(21)이 하판(31)의 걸림구멍(33)에 억지로 통과된 후 걸림구멍(33)의 테두리 하측에 맞닿아 걸리도록 볼록부(23)가 형성된다.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탄성봉(21)의 말단이 끼움공(32)에 끼워져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통공(13)에 관통되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판(11)과 하판(31)이 탄성봉(21)에 의해 절첩되어 결속되거나 결속이 해제되어 펼쳐질 수 있는데, 우선, 절첩되어 결속되는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pper end of the
상판(11)과 하판(31)이 맞닿도록 절첩될 때, 탄성봉(21)이 걸림구멍(3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봉(21)의 볼록부(23)가 하판(31)의 걸림구멍(33) 테두리에 맞닿아 걸리게 되나, 상판(11)과 하판(31)이 맞닿도록 외력을 가하면 걸림구멍(33)의 테두리에 맞닿은 볼록부(23)의 안내에 의해 탄성봉(21)의 폭이 좁아지면서 걸림구멍(33)을 억지로 통과하게 되고, 통과된 후에는 탄성봉(21)이 다시 복원되면서 탄성봉(21)의 볼록부(23)가 걸림구멍(33)의 테두리 하측에 위치되어 걸리기 때문에, 상판(11)과 하판(31)이 탄성봉(21)에 의해 절첩되어 결속된다.When the upper and
따라서, 이러한 절첩 상태에서는 상판(11)과 하판(31)이 억지로 벌어지도록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에는 절첩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 채 결속된다. Therefore, in such a folded state, the folded state remains unchanged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본 발명이 결속이 해제되어 펼쳐지는 과정은 도 4 내지 도 6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절첩된 본 발명의 상판(11)과 하판(31)이 벌어지도록 상판(11) 좌측을 억지로 들어올리면, 도 5에서와 같이 하판(31)의 걸림구멍(33) 테두리 하측에 맞닿아 걸려있던 볼록부(23)의 안내에 의해 탄성봉(21)의 폭이 좁아지면서 탄성봉(21)이 걸림구멍(33)에 억지로 통과된 후, 탄성봉(21)이 다시 복원되면서 회동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상판(11), 탄성봉(21) 및 하판(31)이 펼쳐지게 된다. 4 to 6, the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셔츠 소매단(15)의 결속구로 사용하거나, 도 8에서와 같이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끈(16)의 결속구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as a binding means for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이 회동통공(13)의 하측에 탄성봉(21)이 쉽게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입구가 좁은 트임홈(18)을 형성하고, 이러한 트임홈(18)이 형성된 회동통공(13)을 좌, 우로 다수 형성하도록 구성하면, 9, the lower end of the
본 발명은 적절한 위치의 회동통공(13)에 탄성봉(21)을 끼우거나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나 신발에 따라 본 발명 결속구의 좌, 우의 전체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의류나 신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elastic rod (21) can be inserted or removed in the pivoting hole (13) at a suitable position, the entir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clothes or shoes, Can be used.
11: 상판
12: 고정공
13: 회동통공
14: 삽입부
15: 소매단
16: 신발끈
18: 트임홈
21: 탄성봉
23: 볼록부
31: 하판
32: 끼움공
33: 걸림구멍11: Top plate
12: Fixed ball
13: Rotating hole
14:
15: The sleeve
16: shoelace
18: Top home
21: Elastic rods
23:
31: Lower plate
32: insert ball
33:
Claims (2)
상판(11)의 일측 하단에는 하판(31)의 걸림구멍(33)을 통과하는 삽입부(14)가 형성되고, 하판(31)의 일측 하단에는 끼움공(32)이 형성되며, "ㄷ"자 형태로 굽어진 탄성봉(21)의 일측단이 끼움공(32)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상판(11)의 회동통공(13)에 관통되어 상판(11)과 하판(31)이 절첩되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하되,
상판(11)과 하판(31)을 절첩할 때 탄성봉(21)이 하판(31)의 걸림구멍(33)에 억지로 통과된 후 걸림구멍(33)의 하측에 걸리도록 탄성봉(21)의 중간에 볼록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신발 결속구.
In a garment and shoe binding assembly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an upper plate (11) and a lower plate (31)
An insertion portion 14 is formed at on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11 to pass through the latching hole 33 of the lower plate 31. A fitting hole 3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lower plate 31, One end of the elastic bar 21 curved in the shape of a lett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and the other end is passed through the rotation hole 13 of the upper plate 11 to fold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31 Or < / RTI >
When the elastic bar 21 is forcibly passed through the retaining hole 33 of the lower plate 31 when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31 are folded and then the elastic bar 21 is hook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taining hole 33 And a convex portion (23) is formed in the middle.
탄성봉(21)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트임홈(18)이 형성된 회동통공(13)을 상판(11) 하부의 일측에 다수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의 회동통공(13)에 탄성봉(21)을 끼워 결속구의 좌, 우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및 신발 결속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rge number of pivoting through holes 13 in which the pivot holes 18 are 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elastic rods 21 are not separated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 so that the pivot holes 13 at appropriate positions are provided with elastic rods 21 And the entir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stening joint can be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094A KR101539648B1 (en) | 2014-01-23 | 2014-01-23 |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8094A KR101539648B1 (en) | 2014-01-23 | 2014-01-23 |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9648B1 true KR101539648B1 (en) | 2015-07-28 |
Family
ID=5387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80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9648B1 (en) | 2014-01-23 | 2014-01-23 |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964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342U (en) * | 1997-06-23 | 1999-01-25 | 유부열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JP2002516122A (en) * | 1998-05-26 | 2002-06-04 | ヴァ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Double working buckle |
KR101140424B1 (en) * | 2011-10-18 | 2012-05-15 | 주식회사 에스코니 | Device for straighten up a shoestring |
KR101315194B1 (en) * | 2013-07-09 | 2013-10-07 | 김은규 |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
-
2014
- 2014-01-23 KR KR1020140008094A patent/KR1015396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342U (en) * | 1997-06-23 | 1999-01-25 | 유부열 | Shoes with shoelace fasteners |
JP2002516122A (en) * | 1998-05-26 | 2002-06-04 | ヴァ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Double working buckle |
KR101140424B1 (en) * | 2011-10-18 | 2012-05-15 | 주식회사 에스코니 | Device for straighten up a shoestring |
KR101315194B1 (en) * | 2013-07-09 | 2013-10-07 | 김은규 |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345707A (en) | Decorative shoe lace keeper | |
KR20150002376U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KR101539648B1 (en) | Binding device for clothes and footwear | |
KR200418045Y1 (en) | Shoes with shoelace tightening | |
KR101635953B1 (en) | Laundry tongs fixed position fix is possible Drying clothes on the drying rod | |
KR100860708B1 (en) | Strap ties | |
JP6298827B2 (en) | Socks wearing aids | |
US20160286899A1 (en) | Shoe lace holder | |
KR200468319Y1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KR101844135B1 (en) | 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 |
US722891A (en) | Shoestring-fastener. | |
US10206459B2 (en) | Closure device for a sports footwear | |
KR200468320Y1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US20110088229A1 (en) | Bow Knot Clamp | |
KR101423206B1 (en) | A waist size adjusting device for clothes | |
KR101659936B1 (en) | Fastening apparatus for lace of footwear | |
WO2011157050A1 (en) | Shoelace tying device | |
KR20150029670A (en) | Buckle for garments | |
WO2007132495A3 (en) | Device for ageing clothes, particularly blue jeans | |
KR100650553B1 (en) | Ironing board with tongs | |
US1236797A (en) | Shoe-fastening. | |
US9839262B1 (en) | Cuff link accessory | |
KR200471213Y1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
US315811A (en) | Glove or shoe fastening | |
KR20160004246U (en) | 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