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858B1 -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 Google Patents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858B1 KR101538858B1 KR1020130144081A KR20130144081A KR101538858B1 KR 101538858 B1 KR101538858 B1 KR 101538858B1 KR 1020130144081 A KR1020130144081 A KR 1020130144081A KR 20130144081 A KR20130144081 A KR 20130144081A KR 101538858 B1 KR101538858 B1 KR 101538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ceiver
- unit
- signal
- snow
- snowf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3/00—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적설된 눈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설량 측정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적설된 눈 표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눈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부 및 상기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에 각각 수집되는 상기 신호의 정보를 연산하여 눈이 적설된 높이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결과값인 적설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more accurately measuring snow height from a ground.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a first transceiver portion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ground surface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ground surface,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ye surface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eye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f the signal collected by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And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height. Her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nowfall amount, which is a result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적설된 눈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적설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more accurately measuring snow height from a ground.
최근, 전국적인 폭설과 기습적인 남부지방의 강설 현상으로 국가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 그러나, 즉각적인 대설주의보나 강설주의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지역마다의 즉각적이고 정확한 적설측정이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한정된 제설장비의 투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상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기상관측의 일환으로 적설 측정 및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In recent years, national heavy snowfall and surprise southern regional snowfall have caused massive losses nationwide. However, the immediate snowfall and snowfall warning was not achieved, and because the immediate and accurate snowfall measurement was not performed in each area, the limited snow removal equipment could not be efficiently input. Therefore, the necessity of snowfall measurement and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as a part of efficient weather observation for prevention of such a meteorological disaster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일반적으로 겨울에 눈이 내려 쌓인 적설량과 단위시간당 눈이 내리는 적설 정도인 적설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적설량계 등을 사용한 사람의 육안에 의한 계측방법을 사용하여 왔다.In general, in order to measure the snow accumulation accumulated in winter and snowfall intensity such as snow falling per unit hour, a measurement method by a human using a snowfall meter has been used.
일반적으로 적설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적설높이를 측정하는 방식과, 일정 면적에 쌓인 눈의 질량 혹은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적설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초음파 적설계, 레이저 등의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한 광학식 적설계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초음파 방식은 적설 표면의 일정 높이에 위치한 초음파 센서로부터 수직으로 초음파를 적설표면에 입사시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시간을 측정한 뒤 온도를 보정함으로써 적설깊이를 측정하는 방식이다.Generally, there are a method of measuring the snowfall height and a method of measuring the mass or volume of snow accumulated in a certain area. Ultrasonic design, optical design using distance measurement sensor such as laser, etc. Among them, the ultrasonic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ultrasonic wave is vertically receiv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located at a certain height of the snow surface, receives the reflected ultrasonic signal, measures the transmission time, and corrects the temperature to measure the snow depth.
한편, 종래에도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해 특허출원(KR) 제2005-0035885호(공개번호2006-0113053호)[특허문헌]가 출원된바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Application (KR) No. 2005-0035885 (Publication No. 2006-0113053) [Patent Document] has been filed for a snowfall telemetry system and method.
도1은 종래의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nowfall telemetry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으로 영상적설시스템(100), 메인서버(200), 네트워크(300) 및 클라이언트(4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technique is a snowfall telemetry system, which includes a
영상적설시스템(100)은 기준자(110), CCD 카메라(130), 제어부(150), 감시카메라(170), AWS 시스템(190)으로 구성된다.The video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적설시스템(100)은 노상에 매설되고 소정 간격의 일정 눈금으로 표시되어 적설량을 표시하는 기준자(110), 기준자(110)로부터 소정 거리에 설치되어, 기준자(110)의 영상을 촬영하되 렌즈를 줌 인/아웃하여 특정 영역의 영상을 주/야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130), 카메라(130)의 렌즈의 줌 인/아웃 및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130)에서 입력된 영상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적설량, 적설 강도 및 일정 시간에 따른 적설 수치 변화를 연산하며, 연산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적설측정서버(150), 적설측정서버(150)를 원격 제어하고, 적설측정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적설량 데이터 및 적설 영상을 제공받아 특정 지역의 적설량을 원격 감시함과 아울러 특정 지역에 따른 적설량 정보를 제공하는 메인서버(200) 및 적설측정서버(150)에서 연산된 적설량 및 디지털화된 영상자료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고, 메인서버(200)의 제어신호를 적설측정서버(150)로 전송하는 유/무선 네트워크(300)로 구성됩니다.More specifically, the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카메라를 사용하다 보면 고가의 비용이 들게 되고 또한 밧데리의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기준거리를 측정하고, 눈이 쌓이면서 생기는 거리의 변화를 표시하지 못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when using a camer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high cost and consumes much power of the battery. In addition, a reference distance may be measured using an ultrasonic sensor, and a change in the distance caused by accumulation of snow may not be displayed, so that accurate measurement can not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쌓이는 눈의 높이를 자동으로 수집 처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적설량을 관측할 수 있는 적설량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nowfall amount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llecting snow heights accumulated from the ground and allowing the user to easily observe the snowfall amount.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정확한 적설 심도를 측정하는 적설량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which measures an accurate snow depth in a wide area by measuring snow height by an automatic method rather than a manual opera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적설된 눈 표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눈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부 및 상기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에 각각 수집되는 상기 신호의 정보를 연산하여 눈이 적설된 높이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결과값인 적설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support por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ground surface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ground surface A second transceiver unit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now surface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eye surface; and a second transceiver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eye surface, And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f a signal and calculating a snow height. Here,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nowfall amount, which is a result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 각각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시간을 왕복거리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culation unit converts the round trip time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unit and the second transceiver unit into a round trip dist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송수신부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와 상기 제2송수신부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를 이용하여 적설된 눈의 높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snow height using the round trip distance of the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round trip distance of the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second transceiver.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송수신부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transceiver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송수신부는 전자기파 중에서 X선, 자외선, 라디오파,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transceiver uses X-rays, ultraviolet rays, radio waves, and microwaves among electromagnetic waves.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2송수신부는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econd transceiver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laser signal.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s rotated from the support.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각도는 30°~ 50°사이의 각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ement angle at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measured at an angle between 30 ° and 5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면으로부터 쌓이는 눈의 높이를 자동으로 수집 처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적설량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정확한 적설 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height of snow piled up from the ground is automatically collected and proces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snowfall amount. In addition, accurate snow depth can be measured over a wide area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now in an automated, rather than manual, manner.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쌓이는 눈의 높이를 자동으로 수집 처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적설량을 관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w height accumulated from the ground is automatically collected and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snowfall amount.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정확한 적설 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urate snow depth can be measured over a wide area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now in an automated, rather than manual, manner.
도1은 종래의 적설량 원격 측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에서 적설심도를 측청하는 원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의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가 측정하는 측정각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nowfall telemetry system.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the principle of monitoring the snow depth in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measurement angles measured by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of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에서 적설심도를 측청하는 원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설량 측정장치에서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의 측정각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a principle of snowfall depth measurement in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measurement angles of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n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4을 참고하면, 적설량 측정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는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에 구비되며, 상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20), 상기 지지부(10)에 구비되며, 적설된 눈 표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눈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부(30) 및 상기 제1송수신부(20)와 제2송수신부(30)에 각각 수집되는 상기 신호의 정보를 연산하여 눈이 적설된 높이(h)를 계산하는 연산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40)를 통해 연산된 결과값인 적설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0)를 더 포함한다.2 to 4, the snowfall measuring apparatus includes a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는 일측이 지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제1송수신부(20) 또는 제2송수신부(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에 의해 상기 제1송수신부(20) 및 제2송수신부(3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제1송수신부(20)는 지지부(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신호가 지면에 산란되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송수신부(20)는 상기 지지부(1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송수신부(20)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특히, 상기 제1송수신부(20)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 장치로써, 전자기파 중에서 X선, 자외선, 라디오파,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또한, 제1송수신부(20)는 전자기파 신호를 지면에 송신한 후 상기 지면에 산란되어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왕복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산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송수신부(20)는 지면을 향해 전자기파를 송신 및 지면에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동시에, 전자기파를 송수신 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The
상기 제1송수신부(20)가 전자기파 신호의 송수신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할 때,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각도는 30°~ 50°사이의 각도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제2송수신부(30)는 지지부(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신호가 지면에 산란되어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송수신부(30)는 상기 지지부(1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송수신부(30)는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
또한, 제2송수신부(30)는 레이저 신호를 적설된 눈 표면에 송신한 후 눈 표면에 산란되어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왕복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산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송수신부(30)는 적설된 눈 표면을 향해 레이저 신호를 송신 및 눈 표면에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 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2송수신부(30)가 레이저 신호의 송수신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할 때,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각도는 30°~ 50°사이의 각도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연산부(40)는 제1송수신부(20)와 제2송수신부(30)에서 각각 전송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눈이 적설된 높이(h)를 계산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상기 연산부(40)는 제1송수신부(20)에서 전자기판 신호의 왕복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왕복시간을 왕복거리(h1)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40)는 제2 송수신부(30)에서 레이저 신호의 왕복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왕복시간을 왕복거리(h2)로 환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다음으로, 연산부(40)는 환산된 상기 제1송수신부(20)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h1)와 상기 제2송수신부(30)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h2)를 이용하여 적설된 눈의 높이(h)를 계산할 수 있다. 적설된 눈의 높이(적설심도)(h)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제1송수신부(20)의 신호의 왕복거리(h1)에서 제2송수신부(30)의 신호의 왕복거리(h2)를 뺀 거리에서 절반의 거리가 적설된 눈의 높이(h)로 환산될 수 있다.Next, the calculating
다시 말하면, 연산부(40)는 제1송수신부(20)에서 송수신한 신호의 왕복시간을 통해 지면에서 제1송수신부(20)까지의 왕복거리(h1)를 환산하고, 제2송신부에서 송수신한 신호의 왕복시간을 통해 적설된 눈의 표면에서 제2송수신부(30)까지의 왕복거리(h2)를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40)는 상기 각각의 왕복거리(h1, h2) 즉, 환산된 제1송수신부(20)의 왕복거리(h1)와 제2송수신부(30)의 왕복거리(h2)의 차의 절반의 거리를 계산한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은 적설된 눈의 높이(h)로 환산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연산부(40)에서 연산된 적설된 눈의 높이인 적설량을 전송 받아 외부로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적설량을 알려줄 수 있다.The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50)는 컴퓨터 모니터 장치 또는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측정된 결과값을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적설된 눈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지면으로부터 쌓이는 눈의 높이를 자동으로 수집 처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적설량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눈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정확한 적설 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height of snow piled up from the ground is automatically collected and proces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snowfall amount. In addition, accurate snow depth can be measured over a wide area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now in an automated, rather than manual, mann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지지부 100: 영상적설시스템
20: 제1송수신부 200: 메인서버
30: 제2송수신부 300: 네트워크
40: 연산부 400: 클라이언트
50: 디스플레이부 h: 적설심도10: support part 100:
20: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0: main server
30: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network
40: operation unit 400:
50: Display part h: Snow depth
Claims (9)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적설된 눈 표면에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눈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부; 및
상기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에 각각 수집되는 상기 신호의 정보를 통해 상기 눈이 적설된 높이를 계산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송수신부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송수신부는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송수신부는 전자기파 중에서 X선, 자외선,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송수신부는 지면을 향해 전자기파를 송신 및 지면에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동시에, 전자기파를 송수신 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2송수신부는 적설된 눈 표면을 향해 레이저 신호를 송신 및 눈 표면에 반사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송수신 하는 왕복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A support form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A first transceiver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ground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ground;
A second transceiver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now surface of the snow and receiving the signal scattered from the eye surface; And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now height of the snow through information of the signals collected by the first transceiver unit and the second transceiver unit;
Lt; / RTI >
Wherein the first transceiver transmits and receives an electromagnetic wave signal and the second transceiver transmits and receives a laser signal and the first transceiver uses at least one of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X rays, ultraviolet rays, radio waves, and microwaves,
Wherein the first transceiver transmits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ground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on the ground surface while measuring a reciprocating ti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second transceiver transmits a laser signal to the snow surface, And measures the round trip ti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laser signal.
상기 연산부를 통해 연산된 결과값인 적설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nowfall amount which is a result value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송수신부와 제2송수신부 각각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시간을 왕복거리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culation unit converts a round trip time of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each of the first transceiver unit and the second transceiver unit into a round trip distance.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송수신부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와 상기 제2송수신부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왕복거리를 이용하여 적설된 눈의 높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snow height using the reciprocal distance of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unit and the reciprocal distance of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second transceiver unit.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upport unit.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제2송수신부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측정각도는 30°~ 50°사이의 각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측정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asurement angle at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s measured at an angle between 30 ° and 5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4081A KR101538858B1 (en) | 2013-11-25 | 2013-11-25 |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4081A KR101538858B1 (en) | 2013-11-25 | 2013-11-25 |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112A KR20150061112A (en) | 2015-06-04 |
KR101538858B1 true KR101538858B1 (en) | 2015-07-23 |
Family
ID=5349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4081A Active KR101538858B1 (en) | 2013-11-25 | 2013-11-25 |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88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4220A1 (en) | 2016-11-17 | 2018-05-23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85482B (en) * | 2016-05-03 | 2017-12-12 | 北京交通大学 | A kind of snow depth measuring system based on covering analyte detection |
KR102690595B1 (en) * | 2021-11-22 | 2024-07-31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Computer vision-based real-time snow load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74B2 (en) * | 1990-12-27 | 1994-04-13 | 中浅測器株式会社 | Snow cover |
KR20060093317A (en) * | 2006-07-31 | 2006-08-24 | 선진테크 주식회사 | Optical red design |
KR101065733B1 (en) * | 2011-06-20 | 2011-09-19 | (주)정한전자시스템 | Initial snowfall precision observation device and method |
-
2013
- 2013-11-25 KR KR1020130144081A patent/KR1015388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7874B2 (en) * | 1990-12-27 | 1994-04-13 | 中浅測器株式会社 | Snow cover |
KR20060093317A (en) * | 2006-07-31 | 2006-08-24 | 선진테크 주식회사 | Optical red design |
KR101065733B1 (en) * | 2011-06-20 | 2011-09-19 | (주)정한전자시스템 | Initial snowfall precision observation device and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4220A1 (en) | 2016-11-17 | 2018-05-23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
US10337973B2 (en) | 2016-11-17 | 2019-07-02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empirical snow dep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112A (en)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426373B (en) | A real-tim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dangerous rock collapse based on multiple monitoring indicators | |
US1042270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of a human body | |
KR101236722B1 (en) | Precipitation observation system with three dimensional laser array | |
CN104266686B (en) | Transmission line of electricity scissors crossing wireless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 |
CN108680733A (en) | A kind of intelligent per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bituminous paving military service performance | |
CN104359418B (en) | Laser and video infused automatic railway snow depth multi-point measuring device and method | |
CN105488958A (en) | Non-contact landslide hazar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20170116610A (en) | Structure deformation early monitoring system using radar and reflectors | |
CN204576751U (en) | The real-time security control system of hot line maintenance | |
KR101538858B1 (en) | The snowfall measurement equipment | |
KR101461184B1 (en) | Wether condition data extraction system using cctv image | |
CN102183801A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observing precipitation phenomenon based on digital shooting | |
CN106959298A (en) | Hydraulic structure concrete crack real time on-line monitoring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 |
CN205175360U (en) | Utilize device on laser displacement sensor monitoring landslide | |
CN103019191B (en) |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flow state of geographic and geomorphic flow field and realizing remote monitoring | |
CN103033170B (en) |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collapse of dangerous rock by video recording method | |
KR102614029B1 (en) | Small river smart predi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ccumulated data and its method | |
CN109341542A (en) | Method and its monitoring device based on digital signal sequences length identification fracture width | |
CN112394425A (en) | Snow depth detection instrument and detection method | |
JP2012103209A (en) | Lightning charge amount calculation system and lightning charge amount calculation method | |
CN113834529A (en) | A carbonaceous rock slop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GNSS and thermal imaging technology | |
CN105139575A (en) | Transmission line icing dancing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device and method | |
CN106303412B (en) | Refuse dump based on monitoring image is displaced remote real time monitoring method | |
CN201983766U (en) | Bridge structure monitoring system | |
KR100849482B1 (en) | sing the Laser equipment, Zigbee Network based, remote water_level monit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