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634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634B1 KR101538634B1 KR1020130134100A KR20130134100A KR101538634B1 KR 101538634 B1 KR101538634 B1 KR 101538634B1 KR 1020130134100 A KR1020130134100 A KR 1020130134100A KR 20130134100 A KR20130134100 A KR 20130134100A KR 101538634 B1 KR101538634 B1 KR 101538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battery cells
- outer case
- battery cell
- heat dissip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특히, 상기 수조는, 상기 단위모듈을 구성하는 일측의 단위모듈 및 타측의 단위모듈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 및 상기 전지셀의 배열방향과 직각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 단위모듈의 전방단 및 상기 타측 단위모듈의 후방단과 각각 접촉되면서 열전도에 의해 방열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조는, 상기 전지셀의 하단 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전지셀의 내장을 위해 주머니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상기 열전도관은, 상기 2차 밀봉부재에 둘러싸여서 밀봉된 상태로 상기 1차 밀봉부재를 통해 상기 전지셀에 간접적으로 접촉된다.
특히, 수조가 일측의 단위모듈 및 타측의 단위모듈 사이에서 방열수단 및 전지셀의 배열방향과 직각상태로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즉 단위모듈들 사이에 설치될 경우, 일측 단위모듈의 후방단 및 타측 단위모듈의 전방단이 각각 접촉되므로 전지셀의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조에 안내격벽이 마련될 경우, 냉각수가 분산상태로 안내되면서 수조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확산되므로 효과적으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조가 열전도관이 설치된 전지셀의 하단 측에 배치되어 열전도관과 유체 연결될 경우, 열전도관을 통해 수조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전지셀을 방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지셀이 주머니형태의 밀봉수단에 의해 밀봉될 경우, 열전도관에서 누설되거나 열전도관의 표면에 결로되는 수분이 전지셀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밀봉수단이 메탈라이즈드 비닐이나 금속성 박막재로 구성될 경우 전지셀의 열을 열전도관에 전달할 수 있으며, 덧붙여 밀봉수단의 1차 밀봉부재 및 2차 밀봉부재로 구성될 경우 전지셀을 이중으로 밀봉할 수 있으므로 수밀 및 방열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의 전지셀 및 수조를 분해 상태로 부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지셀이 수조에 중첩하여 연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단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지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5 : 전지셀 7 : 방열수단
9 : 고정수단 11 : 외벽
13 : 바닥판 15 : 통기관
17 : 입구 19 : 출구
21, 23 : 단위모듈 25 : 수조
27 : 안내격벽 29 : 열전도관
35 : 입수구 37 : 출수구
41 : 밀봉수단 41-1 : 1차 밀봉부재
41-2 : 2차 밀봉부재 43 : 단자
D : 유로
Claims (10)
- 외부 몸체를 이루는 외부케이스(3);
상기 외부케이스(3)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셀(5);
상기 각각의 전지셀(5)과 상기 각각의 전지셀(5)에 인접한 전지셀(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지셀(5)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복수의 방열수단(7);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전지셀(5) 또는 상기 방열수단(7)과 상기 전지셀(5) 또는 상기 방열수단(7)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방열수단(7) 또는 상기 전지셀(5) 사이에 개재되어 하나의 단위모듈(21,23)을 형성하면서, 설치 시 팽창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전지셀(5)과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7)을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9);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열수단(7)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방열수단(7)이 접촉부분에서의 열전도에 의해 방열되도록 하는 수조(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9)은 복수의 상기 전지셀(5)과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7)을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주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포체는 우레탄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포체는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 동, 또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조(25)는,
상기 단위모듈(21,23)을 구성하는 일측의 단위모듈(21) 및 타측의 단위모듈(23) 사이에서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7) 및 상기 전지셀(5)의 배열방향과 직각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 단위모듈(21)의 후방단 및 상기 타측 단위모듈(23)의 전방단과 각각 접촉되면서 열전도에 의해 방열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조(25)는,
냉각수를 분산상태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유로(F)를 내부에 제공하여 냉각수를 내부에 확산시키는 안내격벽(27);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의 일측에 입구(17)가, 타측에 출구(19)가 개방된 유로(D)를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방열수단(7)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로(D) 상에 노출되어 상기 유로(D)를 통과하는 외기에 의해 방열되도록 하는 통기관(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15)은 상기 단위모듈(21,23)이 지지되는 상기 외부케이스(3)의 바닥판(13)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방열수단(7)은 하단이 상기 바닥판(13)을 관통하여 상기 통기관(15)의 상기 유로(D) 중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삭제
- 외부 몸체를 이루는 외부케이스(3);
상기 외부케이스(3) 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셀(5);
상기 각각의 전지셀(5)과 상기 각각의 전지셀(5)에 인접한 전지셀(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지셀(5)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복수의 방열수단(7);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전지셀(5) 또는 상기 방열수단(7)과 상기 전지셀(5) 또는 상기 방열수단(7)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방열수단(7) 또는 상기 전지셀(5) 사이에 개재되어 하나의 단위모듈(21,23)을 형성하면서, 설치 시 팽창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전지셀(5)과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7)을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9);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전지셀(5) 둘레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각각의 상기 전지셀(5)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복수의 열전도관(29); 및
상기 복수의 열전도관(29)과 유체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도관(29)을 흐르는 냉각수를 통해 상기 열전도관(29)과 열교환하는 수조(25);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전지셀(5)의 입출력 단자(43)와 각각의 상기 열전도관(29)의 입출단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전지셀(5)을 상기 열전도관(29)과 함께 둘러싸는 밀봉수단(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9)은 복수의 상기 전지셀(5)과 복수의 상기 방열수단(7)을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주면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포체는 우레탄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포체는 열전도성 필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CNT), 탄소섬유, 동, 또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조(25)는,
상기 전지셀(5)의 하단 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3)의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밀봉수단(41)은,
상기 전지셀(5)의 내장을 위해 주머니형태로 구성되되, 폴리머 비닐이나 상기 전지셀의 열을 상기 열전도관으로 전달하는 열전도성 금속재가 부가된 메탈라이즈드 비닐 또는 금속성 박막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주머니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봉수단(41)은,
상기 전지셀(5)을 둘러싸 밀봉하는 1차 밀봉부재(41-1); 및
상기 1차 밀봉부재(41-1) 위에 감긴 상기 열전도관(29)을 상기 1차 밀봉부재(41-1)와 함께 둘러싸 상기 전지셀(5)을 2차적으로 밀봉하는 2차 밀봉부재(41-2);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도관(29)은,
상기 2차 밀봉부재(41-2)에 둘러싸여서 밀봉된 상태로 상기 1차 밀봉부재(41-1)를 통해 상기 전지셀(5)에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4100A KR101538634B1 (ko) | 2013-11-06 | 2013-11-06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4100A KR101538634B1 (ko) | 2013-11-06 | 2013-11-06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179A KR20150059179A (ko) | 2015-06-01 |
KR101538634B1 true KR101538634B1 (ko) | 2015-07-29 |
Family
ID=5349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41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8634B1 (ko) | 2013-11-06 | 2013-11-06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86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2612A1 (ko) * | 2015-11-10 | 2017-05-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어셈블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7086B1 (ko) * | 2016-03-16 | 2020-04-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102320263B1 (ko) * | 2016-06-07 | 2021-10-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방열부재를 구비한 전지모듈 |
CN111033882B (zh) * | 2017-09-22 | 2024-05-28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电池模块 |
CN108336451B (zh) * | 2018-03-30 | 2024-03-26 | 深圳市元创时代科技有限公司 | 充电电池及其电芯 |
KR102254205B1 (ko) * | 2019-12-19 | 2021-05-21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
CN112203467B (zh) * | 2020-08-25 | 2023-08-08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器散热装置、显示器及显示器散热方法 |
KR200494772Y1 (ko) | 2021-09-13 | 2021-12-23 | 주식회사 엠디엠 | 배터리 팩 |
CN116960578B (zh) * | 2023-09-19 | 2023-12-22 | 歌尔股份有限公司 | 外置式电池装置及眼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301877A (ja) * | 2008-06-13 | 2009-12-24 | Toyoda Gosei Co Ltd | 組電池装置 |
JP2012204038A (ja) * | 2011-03-24 | 2012-10-22 | Kayaba Ind Co Ltd | 蓄電装置 |
KR20120129968A (ko) * | 2010-02-16 | 2012-11-28 |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 방열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
KR20130113737A (ko) * | 2012-04-06 | 2013-10-16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
-
2013
- 2013-11-06 KR KR1020130134100A patent/KR10153863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301877A (ja) * | 2008-06-13 | 2009-12-24 | Toyoda Gosei Co Ltd | 組電池装置 |
KR20120129968A (ko) * | 2010-02-16 | 2012-11-28 |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 방열 장치 및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
JP2012204038A (ja) * | 2011-03-24 | 2012-10-22 | Kayaba Ind Co Ltd | 蓄電装置 |
KR20130113737A (ko) * | 2012-04-06 | 2013-10-16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2612A1 (ko) * | 2015-11-10 | 2017-05-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어셈블리 |
US10186695B2 (en) | 2015-11-10 | 2019-01-22 | Lg Chem, Ltd. | Battery cell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179A (ko) | 2015-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8634B1 (ko)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모듈 | |
CN107546351B (zh) | 第一子底板 | |
KR100987299B1 (ko) | 고무 냉각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JP6129979B2 (ja) | 電池放熱システム、電池放熱ユニット | |
JP7583808B2 (ja) | バッテリモジュール組立体、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を電源として使用する装置 | |
CN106935932B (zh) | 电池模块 | |
WO2019034097A1 (zh) | 具有换热功能的电池包壳体和电池包 | |
KR20200001705A (ko) |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터리 팩 | |
KR102058688B1 (ko) | 간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 |
CN212659592U (zh) | 动力电池系统的冷却装置和用于车辆的动力电池系统 | |
JP2009252646A (ja) | 発熱体の冷却装置 | |
CN111430604B (zh) | 用于车辆的电池包以及具有其的车辆 | |
JP2009147187A (ja) | 発熱体の冷却装置 | |
KR20170079177A (ko)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 |
CN114867980A (zh) | 用于电气部件的热管理系统 | |
US20220278393A1 (en) | Battery cooling module and device, and corresponding battery | |
CN218919158U (zh) | 电池包的箱体、电池包、车辆 | |
TWM574763U (zh) | 具有換熱功能的電池包殼體和電池包 | |
CN113851772B (zh) | 一种电池包及电动车 | |
CN220627922U (zh) | 一种冷却组件及电池包 | |
WO2016098679A1 (ja) | 熱電発電ユニット、それを用いた熱電発電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その取付構造を有する排気ダクトならびにエンジン | |
KR20250023554A (ko) | 배터리용 냉각 시스템, 배터리 팩, 및 차량 | |
GB2625141A (en) | Battery case for a vehicle | |
JP2012243619A (ja) | 蓄電器 | |
CN215869589U (zh) | 组合电池和集成电池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