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6515B1 -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15B1
KR101536515B1 KR1020140040283A KR20140040283A KR101536515B1 KR 101536515 B1 KR101536515 B1 KR 101536515B1 KR 1020140040283 A KR1020140040283 A KR 1020140040283A KR 20140040283 A KR20140040283 A KR 20140040283A KR 101536515 B1 KR101536515 B1 KR 10153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slider
backswing
thumb
golf cl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관
Original Assignee
김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관 filed Critical 김영관
Priority to KR102014004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인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충분한 백스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과, 이의 용이한 실현을 위해 왼손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그립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그립의 축방향 마찰력을 흡수하여 옆이동을 쉽게하는 슬라이더 링을 설치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은, 골퍼가 골프클럽 그립에 양손을 잡아 왼손 엄지가 슬라이더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른손을 잡아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이 슬라이더 링의 홈부분에 위치하도록 잡고 골프공에 대하여 자세를 잡는 제1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서 골퍼의 골반과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손을 느슨하게 잡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골프클럽을 백스윙방향으로 젖히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 그립에서 왼손바닥 볼로 누르면서 우검지를 꺾어올려가면 적당한 마찰력으로 쥐고있던 좌엄지가 슬라이더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좌엄지와 우검지로 지렛대 효과를 손바닥 안에서 발생시켜 골프클럽을 탑 위치를 수평까지 충분히 젖힐 수 있으며, 오른손 검지를 많이 꺽을수록 골프클럽이 후방으로 더 회전되며 그립의 슬라이더 링 부분이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 중심점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며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더 회전하여 수평 탑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백스윙 탑위치를 수평 또는 오버스윙까지도 이동하게 함으로써 어깨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3과정과, 이어서 본 추가적 코킹에 의해 백스윙이 충분히 많이 돌아감으로써 팔꿈치가 벌어지지 않고 흉곽에 밀착되기가 쉬워서 이른바 닭날개현상(Chicken Wing)도 예방됨은 물론, 레버레이지코킹도 잘되고, 따라서 안정적, 규칙적인 정확한 임팩을 이룰 수 있으며, 골반과 상체 등 큰 근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때 한템포 늦게 출발하여 내려오는 어깨, 팔 등 작은 근육을 선도(先導)하면서 다운스윙에 체중을 실어주는, 이른바 쓸어치기와, 레버레이지코킹(손목코킹을 모았다가 늦게서 단시간에 풀어줌으로써 헤드스피드를 급격히 가속시키는 원리), 그리고 강한 릴리스(양손 등이 교차하여 뒤집히며 헤드속도를 가속시키는 작용)가 쉽게 실현되는 제4과정과, 이에 따라 비거리와 방향성 등이 개선되고, 소위 팔로만치는 현상으로 인한 각종 트러블이 모두 해결되며, 완벽한 휘니쉬(finish)자세(옆구리가 30°가량 꺾이고 오른발바닥이 뒤집히며 수직으로 서는)로 헤드엎문제까지 덜어주는 제5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Additional Coc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Golf backswing Increasing}
본 발명은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스윙시에 일반적인 손목코킹과는 별도로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충분한 백스윙회전각이 이뤄지게 함으로써 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다운스윙때 소위 골반선도(先導) 쓸어치기와 소위 레버레이지 코킹(Leverrage Cocking-코킹을 비축했다가 늦게 풀어주는 헤드속도 증대방법)을 더욱 용이하고 충분하게하여 볼 방향성과 비거리, 각종 트러불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과,
그의 실제적용에 있어서, 어드레스때의 엄지, 검지의 위치와 탑포지션에서의 엄지나 검지위치가 다르게되므로, 즉 백스윙이 점점 올라갈수록 좌엄지와 우검지의 포지션이나 결합모양이 조금씩 달라지게되므로 추가코킹의 실현을 위하여 이 접촉점이동(변형)을 가능하게해주는 고안물, 즉 손가락들의 위치차이를 흡수(해소)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왼손엄지손가락이 그립상에서 축방향으로 약간씩(1-5cm)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 예컨대 그립의 마찰계수 감소형, 축방향 슬라이더(Slider)형 등이 있고, 오른손검지의 원활한 작용(Universal Joint)을 위해서도 그립의 테두리형, 홈형, 반지형, 그립제거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또한 좌엄지방법과 우검지방법의 혼합형도 개발된 바, 이와 같은 주먹안의 지렛대코킹을 통한 백스윙 증대로 볼의 방향성과 비거리의 증대를 이루는 추가적인 코킹(Additional Cocking)방법과 그 고안물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축방향 스라이더도 위치이동은 하되,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해야만 그립잡기의 안정감이 확보될 수 있슴으로 스라이더를 받쳐주는 라쳇트, 용수철, 유,공압튜브, ?엎소버(Shock Absorber) 등 다양한 형식의 보조기능도 가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렛대(Leverage)라면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얻기위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정반대로 큰 이동거리를 얻기위한 것이다. 즉 적은 이동(손의 작용)으로 단시간내 큰 이동, 즉 긴 클럽끝 헤드의 스피드 가속을 얻기 위한 것이다.
물론 양손주먹은 힘은 있으나 이동속도에 한계가 있고, 헤드는 가벼움으로 힘(무게)은 크게 필요치 않으나 빠른 속도(이동)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코킹방법은 지렛대코킹(Leverage Cocking)이기도 한것이며, 추가로 발생시킨다는 의미에서 에디셔녈(Additional)코킹, 또 헤드를 가속시킨다는 의미에선 스피드엎(Speed-up, Accelerate)코킹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하튼 종래의 골프스윙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발명인 것이다.
근래에는 사람들의 많은 관심 속에 몸의 균형과 하체의 지지력, 상체의 강인성을 높여주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정서를 높여주는 대중적인 운동의 하나로 골프를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
이러한 골프는 주지하다시피, 미리 정해진 홀컵에 얼마나 적은 타수로 골프공을 집어넣느냐에 따라 그 순위를 정하는 경기로써, 드라이브 샷, 아이언 샷, 벙커 샷, 어프로치 샷, 퍼팅 등 다양한 골프클럽을 가지고 다양한 샷을 병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다 적은 타수로 정확하게 홀컵에 넣기 위하여 동일한 스윙에 대하여 샤프트에 대한 헤드의 경사각(로프트), 탄도에 따라 비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 우드 또는 아이언과, 그린의 가까운 거리에서 플레이할 때는 웨지, 그린에서 최종적으로 공을 굴려서 홀컵에 공을 넣는 퍼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골프클럽이 사용된다.
한편, 골프경기에 있어 남은 거리 및 지형에 따라 골프클럽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을 타격할 때의 긴 비거리와 헤드페이스의 타점의 정확한 방향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점의 정확도와 비거리의 향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스윙자세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스윙자세는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는 순간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골프클럽의 그립은 일반적으로는 샤프트의 후단부에 가죽이나 합성고무의 재질로 된 그립을 고정하여 손으로 파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골퍼가 골프클럽의 그립을 잡는 방법에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손바닥 면이 그립과 접촉되는 부분이 적은 상태가 되어서 거의 양손의 손가락으로 그립을 쥐는 오버랩핑 그립(over wrapping grip)과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왼손인지와 중지 사이에 끼우는 형태인 인터락킹 그립(interlocking grip), 양손의 손가락과 손바닥이 그립과 거의 모두 접촉되는 베이스볼 그립(baseball grip)이 있다.
종래에는 국내에 선출원하여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08-0000383호 백스윙 시 손목 코킹이 쉽게 되는 골프그립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백스윙 시 손목 코킹이 쉽게 되는 골프그립은 기존의 골프채 제작 시 샤프트 전체부위와 그립부위는 모두 유연성(탄력성)이 거의 없이 딱딱하게 제조되어 사용해오던 고정관념을 바꾸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목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존의 골프 그립의 끝 부위 1~2인치 정도(왼손 바닥의 끝 부분이 밀착하는 부위)를 유연성(탄력성) 있고도 부드러운 재질로 골프그립을 제작하여 손목 코킹 감(feeling)을 좋게 하여 용이한 스윙을 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골프 그립의 끝 부위 1~2인치 정도(왼손 바닥의 끝 부분이 밀착하는 부위)를 유연성(탄력성) 있고도 부드러운 재질로 골프그립을 제작하여 백스윙 시의 손목 코킹(cocking)동작을 초보에서 프로골퍼까지 누구나 쉽고 편한 느낌으로 하여 다운스윙 시 스윙 속도를 높여 임팩트(impact)이후에 비거리와 방향성을 좋게 한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 고안물도 본건처럼 손안의 추가적 코킹까지는 못되어 효과가 적지만 기존 손목코킹을 다소 용이하게 하는 고안물이긴 하다.
본원출원인이 양쪽어깨를 사고로 다치는 심각한 핸디캡(Handicap)으로 백스윙회전각이 80-90°가량이나 부족해 탑위치를 수평까지 올리기가 불가능해 방향성과 비거리가 70%도 안되는 막심한 장애를 무릎쓰고 오래동안 골프를 계속하며 연구한 결과, 종래 일반적으로는 하체, 등, 어깨, 팔, 손목까지만 백스윙에 활용하였으나본 연구자는 놀랍게도 손목과 별도로 손바닥 안에서도 코킹이 가능함을 발견하고서, 이를 지속발전시켜 실제로 큰 백스윙을 실현함으로써 자신의 골프를 개선해온 결과, 관절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과 초보자 등 골퍼누구나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 또는 오버스윙까지도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 증대, 트러블 예방 등 일석삼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고, 더 나아가 실전에서도 본인은 물론 지인들까지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0383호(공개일자 2008년04월07일) 백스윙시 손목 코킹이 쉽게 되는 골프그립.
본 발명의 목적은 장,노년층이 어깨, 허리, 목관절 등이 굳어서, 또는 긴장으로 몸이 경직되어 백스윙회전각이 부족함으로써 팔이 과도히 일찍(먼저) 내려오게되어, 소위 골반 등 큰근육 위주가 아니고 팔로만 찍어치는 현상 즉, 하체전진보다 팔이 앞서나가 찍어치는 나쁜 현상으로 인한 에러(생크, 더핑, 탑핑, 스라이스, 훅)들을 예방하고, 정확하고 강한 임팩으로 비거리증대와 방향성을 개선하도록 개발된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립을 한덩어리로 단단히 잡음으로써 손목만 꺾을 수 있지만, 본 방법은 단단히 쥐지않고 필요한 부분만 1/3정도의 힘으로 쥐어주거나 접촉만하여 두주먹과 그립을 반유동화하므로써 손안에서도 추가로 꺾임(코킹)을 발생할 수 있게하여 백스윙회전각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슴으로 단단히 한덩어리로 꽉 쥐었던 기존관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혁신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골퍼가 백스윙을 함에 있어, 양손을 그립에 꽉 쥐지 않고 지렛대의 중심점과 작용점만을 적당한 힘으로 잡고있다가 왼손바닥볼과 우검지,중지를 마치 지렛대질하듯이 누르거나 당겨(꺾어) 올리되 원하는 탑위치에서나 비로소 종래의 강도로 쥠으로써, 또는 더 나아가 클럽의 중력(무게)으로 떨구어주어서 오버스윙까지도 가능하게하는 회전각 증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는 마치 양손전체가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라 동력전달장치의 만능연결기(Universal Joint)와 같아서 회전축방향이 서로 다르거나(꺾이거나) 축길이가 변하여유동적으로 미끄러지면서도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는 원리와 흡사하다 하겠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손가락들의 위치가 고정이 아닌, 유동으로 하여 움직여줄 수 있어야 한다. 즉 왼손은 4지와 약지만으로 그립을 파지하며 엄지, 검지, 중지는 살짝 잡고서 지렛대코킹을 하게 되는데, 이때 코킹이 점점 많이 진행함에 따라 좌엄지가 걸려(Blocking) 지장을 받게됨으로 그 위치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설치하면 엄지손의 그립 접촉점이 이동(미끄러져)되어서 지렛대코킹이 막히지 않고 효과적으로 진행됨으로 아래 도면과 같은 슬라이딩레일이나 기타 고안물들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왼손엄지유동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왼손4지와 약지만으로 그립을 파지한채 오른손검지로 샤프트를 꺾어올리면 그립은 오른손 검지옆면을 따라 축의 직각방향(옆)으로 이동(백스윙회전)하면서 추가적인 코킹을 형성하는데, 이때 또다시 우검지 옆면과 그립의 마찰력도 지나치게 껄끄러움으로 이부분 역시 소정의 마찰력완화도구가 필요하다.
즉, 추가코킹시에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사이인 이른바 합곡부분에서 그립과 우검지 옆부분에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여 지렛대 코킹을 방해하게 됨으로 이 마찰력도 완화시켜 샤프트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해주고 릴리스(Release)시는 제대로 마찰력이 전단되는 마찰력 조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위의 경우에 실제응용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왼손용장치와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해주는 오른손용 장치를 별도로 각각 설치하기보다는 두가지를 셋트로 하거나, 아예 고무그립까지를 일체로 하는 어셈브리(Assembly)형이 더욱 유용할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코킹 장치는,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클럽헤드와, 상기 클럽헤드와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는 그립으로 구성된 골프클럽과, 상기 그립에는 왼손으로 잡았을때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 백스윙시 우검지를 꺽어올려 손바닥 안에서도 코킹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슬라이더와, 상기 그립에는 백스윙시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점으로 더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링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의 장착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슬라이더는 내부에 가이드공간을 이룬 상부에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홈을 이룬 일측벽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을 형성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슬라이드홈에 장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상부에 미끄럼방지돌기와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일측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안내되는 반원형 판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슬라이더 링은 장구형으로 중앙이 만곡지게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그립자체에 홈을 설치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에 있어서, 골퍼가 골프클럽 그립에 양손을 잡아 왼손 엄지가 슬라이더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른손을 잡아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이 슬라이더 링의 홈부분에 위치하도록 잡고 골프공에 대하여 자세를 잡는 제1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서 골퍼의 골반과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손을 느슨하게 잡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골프클럽을 백스윙방향으로 젖히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 그립에서 왼손바닥 볼로 누르면서 우검지를 꺾어올려가면 적당한 마찰력으로 쥐고있던 좌엄지가 슬라이더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좌엄지와 우검지로 지렛대 효과를 손바닥 안에서 발생시켜 골프클럽을 탑 위치를 수평까지 충분히 젖힐 수 있으며, 오른손 검지를 많이 꺽을수록 골프클럽이 후방으로 더 회전되며 그립의 슬라이더 링 부분이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 중심점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며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더 회전하여 수평 탑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백스윙 탑위치를 수평 또는 오버스윙까지도 이동하게 함으로써 어깨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3과정과, 이어서 본 추가적 코킹에 의해 백스윙이 충분히 많이 돌아감으로써 팔꿈치가 벌어지지 않고 흉곽에 밀착되기가 쉬워서 이른바 닭날개현상(Chicken Wing)도 예방됨은 물론, 레버레이지코킹도 잘되고, 따라서 안정적, 규칙적인 정확한 임팩을 이룰 수 있으며, 골반과 상체 등 큰 근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때 한템포 늦게 출발하여 내려오는 어깨, 팔 등 작은 근육을 선도(先導)하면서 다운스윙에 체중을 실어주는, 이른바 쓸어치기와, 레버레이지코킹(손목코킹을 모았다가 늦게서 단시간에 풀어줌으로써 헤드스피드를 급격히 가속시키는 원리), 그리고 강한 릴리스(양손 등이 교차하여 뒤집히며 헤드속도를 가속시키는 작용)가 쉽게 실현되는 제4과정과, 이에 따라 비거리와 방향성 등이 개선되고, 소위 팔로만치는 현상으로 인한 각종 트러블이 모두 해결되며, 완벽한 휘니쉬(finish)자세(옆구리가 30°가량 꺾이고 오른발바닥이 뒤집히며 수직으로 서는)로 헤드엎문제까지 덜어주는 제5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손목뿐 아니라 주먹안에서도 추가코킹을 발생시켜 백스윙이 충분히 회전됨으로써 소위 체중을 실어서 칠 수 있게 되고, 팔과 헤드가 너무 일찍 내려오는, 이른바 팔로만치는 현상을 해결하고 레버레이지코킹을 용이하게하여 힘을 덜 들이고도 방향성개선과 비거리증대를 이룰 수 있는 큰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선 골프클럽의 그립에서 왼손 엄지손가락 위치에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설치함으로써 원활한 추가코킹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서, 그립 축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더와, 우검지와 그립의 마찰력을 완화시켜 샤프트의 직각방향이동을 쉽게 해주는 슬라이더 링을 설치하고 왼손바닥볼을 중심점으로 하고 우검지를 힘점으로 하고 클럽헤드를 작용점(일점)으로 하는 지렛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오른팔이 너무 일찍 내려옴으로 인해 볼 위쪽에 맞아 발사각이 낮게 땅볼로 굴러가는 현상(Topping)과, 헤드의 좌우로 편중된 임팩으로 일측으로 휘어나가는 악성구질(Hook, Slice)을 개선하면서, 정확한 임팩(Impact)과 체중을 실는 다운스윙으로 비거리도 확실하게 증대시킴으로 관절과 몸의 회전각이 부족한 중,장년이나 초보자에게 더욱 유용한 발명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가 설치된 그립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에 설치된 슬라이더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왼손 엄지가 위치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링이 설치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링이 설치된 요부 단면도.
도 8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손(주먹속)의 백스윙증대 개념을 도식화 한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에 양손(주먹속)을 잡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백스윙 중간과정도(Cockin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탑 포지션(코킹 최대싯점)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다운스윙 중간과정도(코킹 비축)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임팩트 작용도(코킹+릴리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써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장치의 슬라이더가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레버레이지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가 설치된 그립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에 설치된 슬라이더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왼손 엄지가 위치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링이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클럽에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의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링이 설치된 요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손안(주먹속)의 백스윙증대 개념을 도식화 한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에 양손(주먹속)을 잡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백스윙 중간과정도(Cocking)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탑 포지션(코킹 최대싯점)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다운스윙 중간과정도(코킹 비축)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의 임팩트 작용도(코킹+릴리스)이다.
본 발명은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스윙시에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충분한 백스윙이 이뤄지게 함으로써 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과,
이의 용이한 실현을 위해 좌엄지가 위치하는 그립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그립의 축의 직각방향 마찰력을 완화하여 옆이동을 쉽게하는 슬라이더 링을 설치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퍼의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골프클럽(100)은 그립(10), 샤프트(20)와 클럽헤드(30)로 구성되고, 상기 그립(10)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가 설치된 것이다.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는,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클럽헤드(30)와, 상기 클럽헤드(30)와 연결된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는 그립(10)으로 구성된 골프클럽(100)과, 상기그립(10)에는 왼손으로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홀(11)과, 상기 장착홀(11)에 백스윙시 엄지손가락을 꺽어올려 손바닥 안에서도 코킹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슬라이더(4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그립(10)의 장착홀(11)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슬라이더(40)는 내부에 가이드공간(45)을 이룬 상부에 슬라이드홈(46)과 그 슬라이드홈(46)을 이룬 일측벽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홈(47)을 형성한 레일(44)과, 그 레일(44)의 슬라이드홈(46)에 장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상부의 미끄럼방지 돌기(41)와,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42)과, 상기 안내홈(42)의 일측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47)에 가이드되는 반원형 판스프링(43)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그립(10)에는 백스윙시 오른손 검지를 중심점으로 더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링(5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 링(50)은 장구형으로 중앙이 만곡지게 홈(5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샤프트(2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금속 및 고무재질로 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및 고무재질로 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0)의 미끄럼방지돌기(41)는 엄지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것으로써 가로뿐 아니라 세로 또는 격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0)는 좌엄지에 밀착되어 눌리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양측 안내홈(42)이 레일(44)에 가이드되며 슬라이드홈(46)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그립(10)은 두께나 직경이 일정한 것 또는 전방으로 내려갈수록 얇거나 가늘어지는 형태의 것이다.
본 발명의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에 있어서, 골퍼가 골프클럽(100) 그립(10)에 양손을 잡아 왼손 엄지가 슬라이더(4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른손을 잡아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이 슬라이더 링(50)의 홈(51)부분에 위치하도록 잡고 골프공에 대하여 자세를 잡는 제1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서 골퍼의 골반과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손을 느슨하게 잡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골프클럽을 백스윙방향으로 젖히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 그립에서 왼손바닥 볼로 누르면서 우검지를 꺾어올려가면 적당한 마찰력으로 쥐고있던 좌엄지가 슬라이더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좌엄지와 우검지로 지렛대 효과를 손바닥 안에서 발생시켜 골프클럽을 탑 위치를 수평까지 충분히 젖힐 수 있으며, 오른손 검지를 많이 꺽을수록 골프클럽이 후방으로 더 회전되며 그립의 슬라이더 링 부분이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 중심점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며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더 회전하여 수평 탑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백스윙 탑위치를 수평 또는 오버스윙까지도 이동하게 함으로써 어깨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3과정과, 이어서 본 추가적인 코킹에 의해 백스윙이 충분하게 멀리 돌아감으로써 팔꿈치가 벌어지지 않고 흉곽에 밀착됨으로써 이른바 닭날개현상(Chicken Wing)도 예방되고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정확한 임팩을 이룰 수 있으며, 먼저 골반과 상체 등 큰 근육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한템포 늦게 출발하여 내려오는 어깨, 팔 등 작은 근육을 선도(先導)하면서 다운스윙에 체중을 실어줌으로써 이른바 쓸어치기와 강한 릴리스(양손이 뒤집히면서 헤드스피드를 더욱 가속시키는 과정)가 가능해지는 제4과정과, 이로써 비거리와 방향성 등이 개선되고 완벽한 휘니쉬(finish)자세(허리가 옆으로 30°가량 꺾이면서 오른신발이 수직으로 서는)를 이루어 헤드엎 현상까지 덜어주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왼손 엄지를 그립(10)에 설치된 슬라이더(40) 위에 위치하며,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은 슬라이드 링(50)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자세는 어드레스(adress)백스윙(back swing)백스윙의 탑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팔로스루(Follow through)피니쉬(finish)로 세분된다.
특히, 드라이브샷 또는 우드샷과 같이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먼 거리를 날려 보내려고 하는 경우 골프클럽(100)을 어깨 너머로 멀리 백스윙한 다음 골프클럽(100)을 다운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골프공 비거리는 골퍼가 골프클럽(100)를 회동시키는 속도와 힘에 의해서도 좌우되지만 기본적으로는 백스윙 회전각도에 따라 골프공의 비거리가 결정되므로 골프공을 멀리 날려보내려고 하는 경우에는 백스윙 회전각의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충분한 백스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골퍼가 골프클럽(100)을 백스윙시 그립(10)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에 엄지손을 위치시켜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50-90°의 백스윙이 더 이루어짐으로 수평 탑 위치가 용이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골프클럽(100)은 오른손잡이일 경우에, 상기 골프클럽(100)의 그립(10)에 왼손엄지가 슬라이더(4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른손을 잡아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이 슬라이더 링(50)의 홈(51)부분에 위치하도록 잡는다.
도 9와 같이 골퍼의 골반,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그립(10)에서 양손을 느슨히 잡고 오른손엄지와 검지로 골프클럽을 백스윙 방향으로 젖히게 된다.
이후 그립(10)에 두 주먹전체로 꽉 쥐지않고 손바닥볼만을 고정점(중심점)으로 하고서 왼손4지와 5지로 누르면서 우검지로 당겨올리다가 탑의 위치에 이르러서나 비로소 단단히 쥐어줌으로써 손바닥 안에서까지도 추가적으로 코킹이 형성됨으로 50-90°의 회전각증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골프클럽(100)의 그립(10)에는 양손으로 잡을때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그립(10)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와, 측면에 백스윙시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의 마찰력도 완화시켜 샤프트(30)와의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해주는 슬라이더 링(50)을 형성하여서 관절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 위치를 수평이나 너머까지도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골프클럽(100)을 백스윙시 양손을 그립(10)에 꽉쥐어 고정하지 않고 손바닥 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서 손목코킹과 별도로 추가적 백스윙이 이루어짐으로 탑위치를 수평(즉, 정상적 위치)에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손가락들의 위치가 고정이 아닌, 유동적으로 하여 움직여줄 수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어드레스때의 엄지나 검지의 위치와 탑포지션에서의 엄지나 검지위치가 다르게됨으로 이러한 손가락들의 위치차이를 흡수(해소) 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즉 왼손과 약지는 4지와 약지만으로 그립(10)을 파지하며 엄지, 검지, 중지는 가볍게 쥐고 지렛대코킹을 하게되는데, 이때 코킹이 점점 많이 진행함에 따라 왼손엄지가 걸려서 장애를 받으니만큼 그 위치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를 설치하여 엄지손의 그립 접촉점이 이동(미끄러져)될 수 있어야 지렛대코킹이 막히지 않고 효과적으로 진행됨으로 도 4, 5와같이 슬라리더(40)와 슬라이딩레일(44)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왼손엄지유동 슬라이더(40)를 설치하고 왼손4지와 약지 둘만으로 그립(10)을 파지한채로 좌검지로 샤프트(20)를 꺾어올리면 그립(10)은 오른손 검지를 따라 축의 직각방향(옆)으로 이동하며 지렛대코킹이 이루어지는데, 이때에도 또다시 우검지옆면과 그립(10)의 마찰력이 지나치게 껄끄러움으로 이부분 역시 소정의 마찰력완화도구가 필요하다.
즉, 백스윙시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사이인 이른바 합곡부분에서 그립(10)과 우검지 옆부분에 과도한 마찰이 발생, 지렛대코킹을 방해함으로 이 마찰도 완화시켜 샤프트(30)와의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해주는 슬라이더 링(5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처럼 그립(10)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와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해주는 슬라이더 링(50)을 적용시 별도로 각각 설치하기보다는 두가지를 일체로 설치하는 것이 더욱 유용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골프클럽(100)은 골퍼의 골반과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손은 왼손바닥볼과 우검지로 살짝 잡고도 골프클럽(100)을 젖히기 시작한다.
이후 도 10과 같이 그립(10)에서 왼손바닥볼로 누르면서 우검지를 꺾어올려가면 적당한 마찰력으로 쥐고있던 좌엄지가 슬라이더(40)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좌엄지와 우검지로 지렛대 효과를 손바닥 안에서 발생시켜 골프클럽(100) 탑 위치를 수평까지 젖혀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오른손 검지를 많이 꺽을수록 골프클럽(100)이 후방으로 더 회전되며 그립(10)의 슬라이더 링(50) 부분이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 중심점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골프클럽(100)이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더 회전하여 수평 탑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목뿐 아니라 주먹안에서도 추가코킹을 발생시켜 백스윙이 충분히 넘어가니 팔과 헤드가 너무 일찍 내려오는 이른바 팔로만치는 현상을 해결하여 힘을 덜 들이고도 방향개선과 비거리증대를 이루는 커다란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골프클럽(100)의 그립(10)을 양손으로 잡아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그립(10)에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40)를 설치하여 원활한 추가코킹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백스윙 회전각증대가 원활해지는 것이다.
그립(10)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더(40)와 그립(10)의 마찰력을 완화시켜 샤프트(20)의 직각방향이동을 쉽게하는 슬라이더 링(50)을 설치하면, 왼손바닥볼을 중심점으로 하면서 우검지를 힘점으로 하고 클럽헤드(30)를 작용점(일점)으로 하는 지렛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1과 같이 먼저 골반과 상체등 큰 근육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한템포 늦게 출발하여 내려오는 어깨, 팔 등 작은 근육을 선도(先導)하면서 다운스윙에 체중을 실어줌으로써 이른바 쓸어치기와 강한 릴리스(양손이 뒤집히면서 헤드스피드를 더욱 가속시키는 과정)가 가능해 진다.
따라서 골프클럽(100)을 안정적, 규칙적, 정확한 임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비거리와 방향성 등이 개선되고 완벽한 휘니쉬(finish)자세(허리가 옆으로 30°가량 꺾이고 오른신발이 수직으로 서는)를 이루어 헤드엎 현상까지 덜어주는 것이다.
이럼으로써 골프공 비거리를 월등이 향상시키고 오른팔이 너무 일찍 내려옴으로 인하여 골프공의 위쪽을 맞추어서 바닥으로 굴러가는 현상(Topping)과, 클럽헤드(30)의 좌우로 편중된 임팩으로 일측방으로 휘어나가는 악성구질(Hook, Slice)을 근본적으로 개선가능하며, 따라서 정확한 임팩(Impact)과 체중실기로 비거리를 확실하게 증대시켜 관절과 몸회전각이 부족한 중,장년층에 더욱 유용한 골프클럽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해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골프클럽 10:그립
11:장착홀 20:샤프트
30:클럽헤드 40:슬라이더
41:미끄럼방지돌기 42:안내홈
43:판스프링 44:레일
45:가이드공간 46:슬라이드홈
47:걸림홈 50:슬라이더 링
51:홈

Claims (6)

  1.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된 클럽헤드와, 상기 클럽헤드와 연결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는 그립으로 구성된 골프클럽과, 상기 그립에는 왼손으로 잡았을때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 백스윙시 우검지를 꺽어올려 손바닥 안에서도 코킹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슬라이더와, 상기 그립에는 백스윙시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점으로 더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링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장착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슬라이더는 내부에 가이드공간을 이룬 상부에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을 이룬 일측벽에 일정간격으로 걸림홈을 형성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슬라이드홈에 장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상부에 미끄럼방지돌기와 양측에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일측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안내되는 반원형 판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링은 장구형으로 중앙이 만곡지게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장치.
  5.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에 있어서,
    골퍼가 골프클럽 그립에 양손을 잡아 왼손 엄지가 슬라이더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오른손을 잡아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이 슬라이더 링의 홈부분에 위치하도록 잡고 골프공에 대하여 자세를 잡는 제1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서 골퍼의 골반과 상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양손을 느슨하게 잡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골프클럽을 백스윙방향으로 젖히는 제2과정과,
    상기 과정을 거쳐 그립에서 왼손바닥 볼로 누르면서 우검지를 꺾어올려가면 적당한 마찰력으로 쥐고있던 좌엄지가 슬라이더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좌엄지와 우검지로 지렛대 효과를 손바닥 안에서 발생시켜 골프클럽을 탑 위치를 수평까지 충분히 젖힐 수 있으며, 오른손 검지를 많이 꺽을수록 골프클럽이 후방으로 더 회전되며 그립의 슬라이더 링 부분이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인 합곡부분 중심점으로 깊이 들어가게 되며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인 합곡부분을 중심으로 골프클럽이 더 회전하여 수평 탑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백스윙시 손목코킹과 별도로 손바닥안에서도 추가적으로 코킹작용을 발생시켜 백스윙 탑위치를 수평 또는 오버스윙까지도 이동하게 함으로써 어깨관절의 회전각이 부족한 장,노년층이나 초보자, 노약자도 용이하게 탑위치를 수평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여 방향성과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3과정과,
    이어서 본 추가적 코킹에 의해 백스윙이 충분히 멀리 돌아감으로써 팔꿈치가 벌어지지 않고 흉곽에 밀착됨으로써 이른바 닭날개현상(Chicken Wing)도 예방되고 레버레이지코킹도 잘되고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정확한 임팩을 이룰 수 있으며, 골반과 상체등 큰 근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한 템포 늦게 출발하여 내려오는, 어깨, 팔 등 작은 근육을 선도(先導)하며 다운스윙에 체중을 실어주는, 이른바 쓸어치기와 강한 릴리스(양손이 뒤집히면서 헤드스피드를 가속시키는 과정)가 가능해지는 제4과정과,
    이후 비거리와 방향성 등이 개선되고 허리가 옆으로 30°가량 꺾이고 오른신발이 수직으로 서는, 이른바 휘니쉬(finish)자세가 완벽을 이루어 헤드엎 현상까지 덜어주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인 코킹 방법.
  6. 삭제
KR1020140040283A 2014-04-04 2014-04-04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36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83A KR101536515B1 (ko) 2014-04-04 2014-04-04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83A KR101536515B1 (ko) 2014-04-04 2014-04-04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15B1 true KR101536515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6515B1 (ko) 2014-04-04 2014-04-04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558A (zh) * 2019-04-12 2019-06-21 齐鲁师范学院 一种羽毛球发球训练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383U (ko) * 2007-12-07 2008-04-07 권영구 백스윙 시 손목 코킹이 쉽게 되는 골프그립
KR20090005941A (ko) * 2007-07-10 2009-01-14 박재섭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10054621A (ko)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나우웍스 그립력 조절장치를 갖는 골프클럽의 그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941A (ko) * 2007-07-10 2009-01-14 박재섭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80000383U (ko) * 2007-12-07 2008-04-07 권영구 백스윙 시 손목 코킹이 쉽게 되는 골프그립
KR20110054621A (ko)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나우웍스 그립력 조절장치를 갖는 골프클럽의 그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558A (zh) * 2019-04-12 2019-06-21 齐鲁师范学院 一种羽毛球发球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26913A (en) Golf club
US8517867B2 (en) Ergonomic sports handle
US8425339B2 (en) Systems and devices of enhancing power grip on an athletic apparatus
WO2005061059A1 (en) Putter grip and method
EP3352864B1 (en) A golf club
US8936522B2 (en) Batting swing training device
US7357729B2 (en) Golf club
US20020132678A1 (en) Golf swing perfector
KR101536515B1 (ko) 백스윙 증대를 위한 추가적 코킹 방법 및 그 장치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WO2009144323A2 (en) Golf club grip
US20120077611A1 (en) Weighted Golf Club Training Device
US5842930A (en) Flexi-grip golf club
KR20220080665A (ko) 기준점을 활용한 일반 퍼터와 사이드 퍼터의 겸용 퍼터
CN101272831A (zh) 高尔夫球棒把手
US7261652B2 (en) Method of holding a putter and putting a golf ball
WO2012101650A1 (en) A new golf putter suitable for very effective single- handed putting
CN212262328U (zh) 用于提高飞行距离的高尔夫练习绳
KR102214797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US20140329621A1 (en) Golf putting method
US20100298072A1 (en) Method of a player putting a golf ball
KR20090000467U (ko) 골프클럽용 그립
US20140349775A1 (en) Golf Club
JP3099870U (ja) ドライバーのティーアップ用リ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