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557B1 -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5557B1 KR101535557B1 KR1020080039559A KR20080039559A KR101535557B1 KR 101535557 B1 KR101535557 B1 KR 101535557B1 KR 1020080039559 A KR1020080039559 A KR 1020080039559A KR 20080039559 A KR20080039559 A KR 20080039559A KR 101535557 B1 KR101535557 B1 KR 101535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dust
- reference level
- pulse width
- predetermi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함에 있어 정확한 감도를 갖도록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adjusting a reference level to have an accurate sensitivity in measuring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는,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팬 구동부;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필터링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여 기 설정된 감도로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팬의 속도로 상기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팬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purifi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a fan to suck indoor air;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and purifying the sucked indoor air; A dust sensor for sensing a concentration of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with a predetermined sensitivity by adjus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And a fan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an to a predetermined fan spe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ensity of the dust.
공기청정기, 오염도, 감도, 필터링, 기준레벨 Air purifier, pollution degree, sensitivity, filtering, reference level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함에 있어 정확한 감도를 갖도록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for adjusting a reference level to have an accurate sensitivity in measuring indoor air pollution degre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공기청정기(aircleaner)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거나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생활냄새나 담배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Air cleaner (aircleaner) is a device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It not only collects or filters fine dust or fungus by sucking polluted air into a fan, but also removes odors such as life smell or cigarette odor It can function as deodorant.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공기청정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면 판넬(30)에 형성된 조작부(40)의 버튼들을 조작하여 청정기능을 작동시키면,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팬(미도시)이 회전을 시작하면서 전면 판넬(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흡입 그릴(20)을 통해 외부(즉, 실내)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purifier. 1,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cleaner, and the cleaning functi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buttons of the
흡입된 공기는 흡입그릴(20) 뒷쪽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 어셈블리(미도시)를 통과하면서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냄새가 필터링되면서 깨끗한 공기로 변화한다. 이렇게 청정공기로 변화한 공기는 팬(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토출 그릴(50)로 유도된 후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 외부(즉,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검은색 화살표는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흰색 화살표는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a filter assembly (not shown)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공기청정기로의 흡입단계, 필터링에 의한 청정단계, 필터링된 공기의 토출단계를 반복하면서 실내의 미세 먼지나 냄새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purifies the air by removing fine dust and odors in the room while repeating the suction step of the indoor air into the air purifier, the cleaning step by filtering, and the discharging step of the filtered air.
이러한 공기청정기에서 실내의 오염정도에 따라 팬의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은 실내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Proper control of the speed of the f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llution in the air cleaner is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the indoor air.
그리고, 더 나아가 이러한 공기청정기에 먼지센서를 장착하여 실내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먼지센서의 종류 및 먼지의 센싱 원리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72359호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 기재되어 있다. 먼지센서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감지의 오차를 줄이고 있다. 이때의 오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서 살펴보자.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room by installing a dust sensor on the air purifier. Here, the kind of dust sensor and the principle of sensing the dust are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72359 entitled " Invention of the Invention and Prior Art in the Field ". In order to control the sensitivity of the dust sensor, a variable resistor is used to reduce the detection error. A method for reducing the error at this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각각 정상 감도신호, 둔감신호, 민감신호를 나타낼 경우의 그래프이다. 여기서, H, L은 각각 펄스의 하이신호, 펄스의 로우신호이다.FIGS. 2A to 2C are graphs showing a normal sensitivity signal, a non-sensitive signal, and a sensitive signal in the conventional air cleaner dust sensor, respectively. Here, H and L are high signals of pulses and low signals of pulses, respectively.
도 2a 내지 도 2c에서 먼지 감지신호는 각각 a1, a2, a3이고, 감지 기준레벨은 각각 b로 모두 같다. 그리고, 먼지 감지신호가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각각 c1, c2, c3와 같이 펄스전압[V]이 발생하는데, 이때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는 각각 W1, W2, W3이다.Dust detection signal is a 1, respectively, in Figures 2a-2c a 2, a 3, and the sensing reference level is the same in both the b respectively. When the dust detection signal is smaller than the detection reference level signal, the pulse voltage [V] is generated as c 1 , c 2 , and c 3 , respectively. The magnitudes of the low pulse widths are W 1 , W 2 , W 3 .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동안 먼지센서에 구비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경하면서 현재 상태에 적합하도록 작업자가 직접 조정하거나,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조정하는데, 먼지센서가 도 2b와 같이 둔감신호를 발생하거나 도 2c와 같이 민감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도 2a와 같이 정상 감지신호를 발생하도록 조정한다. 이때,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경하여 도 2b 및 도 2c의 포물선 형태의 감지신호를 조정한다. 따라서, 도 2b와 같은 경우에는 먼지센서가 더 민감하게 되도록 하고, 도 2c와 같은 경우에는 먼지센서가 더 둔감하게 하는 것이다.The operator manually adjust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provided in the dust sensor while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to adjust to the current state or adjusts it using the adjusting means whil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indoor air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case of generating a signal or generating a sensitive signal as shown in FIG. 2C, it is adjusted to generate a normal sensing signal as shown in FIG. 2A. At this time, the parasitic sense signal of FIG. 2B and FIG. 2C is adjusted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2B, the dust sensor becomes more sensitive, and in the case of FIG. 2C, the dust sensor becomes more insensitive.
이러한 감도 조정방식은 감지 기준레벨을 미리 설정하여 놓고 먼지센서 내부에 구비된 비교기나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먼지 감지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쇄하여 정상 감도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In this sensitivity adjustment method, a sensing reference level is set in advance, and a normal sensitivity signal is generated by amplifying or attenuating the dust sensing signal using a comparator or an operational amplifier provided in the dust sensor.
상기와 같은 먼지센서의 감도 조정방식은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감도의 오차를 줄이고 있으나, 작업자에 따라 오차가 생길 수 있어 가격 및 품질 측면에서 우수한 먼지센서를 구현하기 어렵다.Although the sensitivity adjustment method of the dust sensor as described above reduces the sensitivity error by using the variable resistor, an error may occur depending on the operator,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dust sensor excellent in terms of price and quality.
그리고, 테스트 공정시간이 지연되고 장비를 사용하여 테스트한다고 하더라 도 정밀한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even if the test process time is delayed and the test is performed using the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use the precise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함에 있어 정확한 감도를 갖도록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먼지센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er having a dust sensor that adjusts a reference level so as to have an accurate sensitivity in measuring the pollution degree of indoor air.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ve of a concentration of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A comparator for comparing a signal represen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with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And a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e density of the dust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signal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size A dust sensor having a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를 제공한다.The adjustment unit adjusts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upward 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Lt; / RTI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크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unit adjust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downward when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팬 구동부; 상 기 흡입된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하는 필터링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여 기 설정된 감도로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팬의 속도로 상기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팬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an driving unit for driving a fan to suck indoor air;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and purifying the inhaled indoor air; A dust sensor for sensing a concentration of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with a predetermined sensitivity by adjus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And a fan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an to a predetermined fan spee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ust concentration. [5] The dust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먼지센서는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size, And the signal of the sensing reference level is adjusted upward. The air purifier includes the dust sensor having the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먼지센서는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크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e density of the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size, And a signal of a reference level is adjusted downward. The air cleaner is provided with a dust senso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 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generating a signal indicative of a concentration of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Comparing a signal represen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with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And adjus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such that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indicativ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equal to the magnitude of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dust sensor having a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여 기 설정된 감도로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팬의 속도로 상기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먼지센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an; Adjusting a signal of a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to detect a concentration of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at a predetermined sensitivity; And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an to a predetermined speed of the fa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ensity of the dust.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leaner provided with the dust sensor having the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변저항을 이용하지 않고도 감도의 오차를 줄이고 있어, 가격 및 품질 측면에서 우수한 먼지센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nsitivity error without using a variable resistor, and to realize a dust sensor excellent in terms of price and qual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테스트 공정상의 이상적인 기준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감도를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테스트 고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tiv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deal reference level in the test process so as to shorten the test fixation time and reduce the labor co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는 그 전방에 설치된 전방 판넬(100)과, 그 후방에 설치된 후방 판넬(200)과, 상면의 토출 판넬(300)에 의해 외형을 이루고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air cleaner is shaped by a
공기청정기 전방에는 전방 부근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전방 판넬(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방 흡입구(110), 전방 판넬(100) 하단부에 형성된 전하단 흡입구(120), 전방 판넬(100)의 측면에 형성된 우측방 흡입구(13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후방 부근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후방 판넬(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후방 흡입구(210), 후방 판넬(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하단 흡입구(220), 후방 판넬(200)의 측면에 형성된 좌측방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방에는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미도시)를 구비한 토출 판넬(300)이 형성되어 있다.A
따라서,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전방, 후방, 좌측방, 우측방과 같이 사방에서 흡입(도 2의 실선 화살표 참조)하고, 하나의 방향, 즉 상방으로 토출(도 2의 점선 화살표 참조)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air cleaner may suck indoor air in all directions (see a solid line arrow in Fig. 2) such as front, rear, left, and right rooms and discharge it in one direction, that is, upward .
전방 판넬(100)의 뒷쪽에는, 예컨대 프리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카본나노볼 필터, 오존제거 필터, 나노은 필터 등과 같은 필터들의 조립체인 필터링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링부의 뒷쪽에는 실내 공기를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한 후 토출하기 위한 팬(미도시)과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A filtering unit (not shown), which is an assembly of filters such as a pre-filter, a hepa filter, a deodorizing filter, a carbon nanoball filter, an ozone removing filter and a nano-silver filte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한편,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먼지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 서(600)를 구비한다. 먼지센서(600)는 필터링부를 거치지 않은 공기를 그대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필터링부 외곽에 마련된 먼지홀(640)의 후방에 장착된다.Meanwhile, the air cleaner has a
도 4는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는 전원 공급부(400), 팬 구동부(500), 먼지센서(600), 필터링부(700), 팬 속도 제어부(800), 디스플레이부(900)를 포함한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air cleaner having the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includes a
팬 구동부(500)는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부(700)는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한다.The
먼지센서(600)는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하여 기 설정된 감도로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데, 신호 발생부(610), 비교부(620), 조정부(630)를 포함한다. 신호 발생부(61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교부(620)는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비교한다. 조정부(630)는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조정한다.The
팬 속도 제어부(800)는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팬의 속도로 팬의 속도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900)는 감지된 먼지의 농도를 디스플레이한다.The fan
도 5는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은 아래와 같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4, a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having the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is as follows.
먼저, 팬 구동부(500)가 전원 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팬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흡입하면(S100), 먼지센서(600)의 신호 발생부(61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킨다(S200).First, when the
이후에, 먼지센서(600)의 비교부(620)는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비교한다(S300).Thereafter, the comparing
이후에, 먼지센서(600)의 조정부(630)는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작으면(S400),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하향 조정하여 기 설정된 로우 펄스폭의 크기와 일치시키고(S510),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크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상향 조정하여 기 설정된 로우 펄스폭의 크기와 일치시킨다(S520).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size (S400 (S510). 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se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Up to match the magnitude of the predetermined low pulse width (S520).
이후에, 팬 속도 제어부(800)는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팬의 속도로 팬의 속도를 제어한다(S600). 예를 들면, 먼지의 농도가 100ppm일 때팬을 30m/s의 속도로 회전시키기로 설정되어 있다면, 팬이 다른 속도로 회전하다가 먼지의 농도가 100ppm으로 감지되면 팬 속도 제어부(800)는 팬을 30m/s의 속도로 회전시킨다.Thereafter, the fan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감도를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H, L은 각각 펄스의 하이신호, 펄스의 로우신호이다.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djusting the sensitivity in the air cleaner dus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H and L are high signals of pulses and low signals of pulses, respectively.
감지 기준레벨이 b1인 경우와 b2인 경우를 비교해 보면,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a)가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각각 c1, c2와 같은 펄스전압[V]이 발생한다. 이때, 감지 기준레벨이 b1인 경우의 로우 펄스폭은 W1이고, 감지 기준레벨이 b2인 경우의 로우 펄스폭은 W2이다.When the detection reference levels b 1 and b 2 are compared, when the signal a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s smaller than the signal of the detection reference level, the pulse voltage [V] such as c 1 and c 2 is Occurs. At this time,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detection reference level is b 1 is W 1 and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detection reference level is b 2 is W 2 .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a)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하향 조정한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가 W1인 경우에,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가 b2이면 로우 펄스폭의 크기는 W2이므로, 이때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 b2를 하향 조정하여 기 설정된 로우 펄스폭의 크기 W1과 일치시킨다.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when the signal a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adjusted downward. For example, the group in the case of the W 1 the size of the set pulse width, period, so when the signal from the set sensing reference level b 2 the size of the low pulse width is W 2, wherein group downlink signals b 2 of the set sensing reference level To match the magnitude W 1 of the predetermined low pulse width.
반대로,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신호(a)가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보다 큰 경우의 로우 펄스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보다 크면,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를 상향 조정한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펄스폭의 크기가 W2인 경우에,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가 b1이면 로우 펄스폭의 크기는 W1이므로, 이때 기 설정된 감지 기준레벨의 신호 b1을 상향 조정하여 기 설정된 로우 펄 스폭의 크기 W2와 일치시킨다.On the contrary, if the magnitude of the low pulse width when the signal a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s larger than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pulse width, the signal of the predetermined sensing reference level is adjusted upward. For example, a group up to the case is set in the size of the pulse width W 2, groups because if the signal of the set sensing reference level b 1 the size of the low pulse width is W 1, wherein group signal b 1 of the set sensing reference level To match the size W 2 of the predetermined low pulse widt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먼지센서 및 먼지센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된 먼지센서는 공기청정기 및 에어컨뿐만 아니라 먼저센서가 구비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장치에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er including the dust sensor and the dust sens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However, the dust sensor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ir cleaner and the air conditioner,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apparatuses that may be provided with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도 1은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purifier.
도 2a는 종래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정상 감도신호를 나타낼 경우의 그래프이다. 2A is a graph showing a case where a normal sensitivity signal is shown in a conventional air cleaner dust sensor.
도 2b는 종래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둔감신호를 나타낼 경우의 그래프이다. 2B is a graph showing a desensitizing signal in a conventional air purifier dust sensor.
도 2c는 종래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민감신호를 나타낼 경우의 그래프이다. 2C is a graph showing a sensitivity signal in a conventional air cleaner dust sensor.
도 3은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감도 조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leaner having a sensitivity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 먼지센서에서 감도를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djusting the sensitivity in the air cleaner dus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전방 판넬 110 : 전방 흡입구100: front panel 110: front inlet
120 : 전하단 흡입구 130 : 우측방 흡입구120: front lower inlet port 130: right side inlet port
200 : 후방 판넬 210 : 후방 흡입구200: rear panel 210: rear inlet
220 : 후하단 흡입구 300 : 토출 판넬220: rear lower inlet 300: discharge panel
400 : 전원 공급부 500 : 팬 구동부400: Power supply unit 500: Fan drive unit
600 : 먼지센서 610 : 신호 발생부600: Dust sensor 610: Signal generator
620 : 비교부 630 : 조정부620: comparator 630:
640 : 먼지홀 700 : 필터링부 640: dust hole 700: filtering part
800 : 팬 속도 제어부 900 : 디스플레이부800: Fan speed control unit 900: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9559A KR101535557B1 (en) | 2008-04-28 | 2008-04-28 |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9559A KR101535557B1 (en) | 2008-04-28 | 2008-04-28 |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3696A KR20090113696A (en) | 2009-11-02 |
KR101535557B1 true KR101535557B1 (en) | 2015-07-09 |
Family
ID=4155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9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5557B1 (en) | 2008-04-28 | 2008-04-28 |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555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49718B2 (en) | 2017-01-24 | 2023-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
KR20240012018A (en) * | 2022-07-20 | 2024-01-2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ir purifier and its method for sensor sensitivity corre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5149B1 (en) * | 2020-04-06 | 2021-06-15 | 문정수 | Display device with air purificaton funtion and method therefor |
CN115722009A (en) * | 2021-08-31 | 2023-03-03 | 万泰(苏州)环境科技有限公司 | Smart Dust Coll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0772B1 (en) * | 1996-03-19 | 1998-10-15 | 구자홍 | Dust sensor sensitivity automatic control device of vacuum cleaner |
JP2000107537A (en) * | 1998-10-07 | 2000-04-18 | Rinnai Corp | Air cleaner |
JP3208567B2 (en) * | 1990-11-22 | 2001-09-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Air purifier control device |
KR20040076029A (en) * | 2003-02-24 | 2004-08-31 | 한라공조주식회사 | Method of controlling air cleaner for vehicles |
-
2008
- 2008-04-28 KR KR1020080039559A patent/KR10153555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8567B2 (en) * | 1990-11-22 | 2001-09-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Air purifier control device |
KR0150772B1 (en) * | 1996-03-19 | 1998-10-15 | 구자홍 | Dust sensor sensitivity automatic control device of vacuum cleaner |
JP2000107537A (en) * | 1998-10-07 | 2000-04-18 | Rinnai Corp | Air cleaner |
KR20040076029A (en) * | 2003-02-24 | 2004-08-31 | 한라공조주식회사 | Method of controlling air cleaner for vehicl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49718B2 (en) | 2017-01-24 | 2023-0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
KR20240012018A (en) * | 2022-07-20 | 2024-01-29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ir purifier and its method for sensor sensitivity correction |
KR102767148B1 (en) * | 2022-07-20 | 2025-02-11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ir purifier and its method for sensor sensitivity corre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3696A (en) | 2009-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9077B1 (en) | How to display filter replacement time of air cleaner | |
JP6491767B2 (en) | Air cleaner | |
KR19990084486A (en) | How to determine when to replace the filter of the air purifier | |
KR20070072787A (en) | Notification device for filter replacement time of air cleaner and its method | |
KR101535557B1 (en) | Air cleaner having sensitivity adjust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836725B1 (en) | Compensation control method of dust sensor for air cleaner | |
JP5800617B2 (en) | Air cleaner | |
KR100651306B1 (en) | Method of Air Cleaner with Dust Sensor | |
KR20210074859A (en) | Air purifier | |
KR102558204B1 (en) | Air purifier and sensor cleaning method thereof | |
KR20060036728A (en) | Pollution degree detecting device of air cleaner and its method | |
JP3565055B2 (en) | Pollution detec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contamination detection device | |
JPH01254225A (en) | Air cleaning apparatus as well as air pollu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filter clogging detector therefor | |
KR20210024817A (en) | Air purifier suitable for mandatory ventilation | |
KR20090109982A (en) | How to Operate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 | |
KR20100060925A (en) | Aircleaner having dust sensor and humid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544875B1 (en) | Air cleaner to check filter replacement time | |
JP3379922B2 (en) | Air cleaner | |
KR20000001876A (en) | Method of automatic adjustment of sensitivity for air purifier sensor | |
KR100602697B1 (en) | air cleaner | |
KR20050005208A (en) |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0764910B1 (en) | Air cleaner control method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 |
JP2818869B2 (en) | Odor detector | |
JP2007311227A (en) | Air cleaner | |
JPH07299386A (en) | Air cleaner and granular substance concentration det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4101007238 Request date: 20141124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24 Effective date: 20150526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41124 Decision date: 20150526 Appeal identifier: 2014101007238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