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5032B1 -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032B1
KR101535032B1 KR1020140090552A KR20140090552A KR101535032B1 KR 101535032 B1 KR101535032 B1 KR 101535032B1 KR 1020140090552 A KR1020140090552 A KR 1020140090552A KR 20140090552 A KR20140090552 A KR 20140090552A KR 101535032 B1 KR101535032 B1 KR 101535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vehicle
interface
display
av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언규
최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032B1/ko
Priority to US14/795,015 priority patent/US20160021167A1/en
Priority to DE102015213362.1A priority patent/DE102015213362B4/de
Priority to CN201510425450.XA priority patent/CN105320273A/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장치들 중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는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동 장치 중 상기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METHOD FOR EXTENDING INTERFAC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휴대 기기를 통하여 차량 내 장치들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등이 설치되고, 휴대폰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에 따라, 차량용 단말기 및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유저 익스피리언스(UX; user experience)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량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차량용 유저 익스피리언스 장치는 7인치 혹은 8인치 압전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는 각 스마트폰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전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차량의 스크린에 연동시키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서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차량에 관련된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순정 AVN(Audio Visual Navigation)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AVN 단말은 차량의 앞좌석 가운데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1개의 스크린 또는 많아야 뒷좌석에 추가되는 스크린까지 모두 2개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AVN은 주행 혹은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AVN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자체에 사용자가 접근해야 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도 제어할 수 있는 대상이 한정되어 있고, 차량의 공조 장치 또는 윈도우와 같은 장치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등으로 해당 장치들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를 차량의 각종 장치와 연동하여,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연동된 장치에 관한 차량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인터페이스에 추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장치들 중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는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동 장치 중 상기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확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가상 화면을 통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확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실내 카메라, NFC 태깅, 블루투스, 와이파이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획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 중 상기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만 표시되고,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 중 나머지 기능 및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선택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의 선택은 상기 제스쳐를 통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상위 메뉴로 확장되거나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선택된 장치의 확장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를 차량의 각종 장치와 연동하여,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연동된 장치에 관한 차량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인터페이스에 추가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내부의 AVN 주변에 위치하여 AVN과 연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도어에 위치하여, 차량 도어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일반적으로 소지하는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차량에 구비된 장치와 연동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내용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장치와 연동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확장된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차량의 앞좌석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차량의 뒷좌석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차량의 앞좌석에는 각종 장치들(130, 140, 150, 160)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30), 에어컨과 같은 공조 장치(150) 및 AVN(140) 등이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조수적 앞에 디스플레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도어(121 내지 12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될 차량 장치가 위와 같은 장치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탑승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110)는 핸들(130)을 중심으로 여러 위치(131, 132, 133)에 거치되거나 또는 위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공조 장치(150) 주변 위치(151)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AVN(160)을 중심으로 상측(161), 하측(163) 또는 우측(162)에 무선 단말기(110)가 거치되거나 또는 위치할 수 있고, 조수적 앞에 디스플레이부(140)가 존재한다면, 해당 디스플레이부(140)의 상측(141), 하측(144), 좌측(142) 또는 우측(143)에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거나 또는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장치들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가 위치할 수 있는 위치 주변의 모든 장치들과 연동하여 해당 장치들을 확장된 인터페이스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소지하는 무선 단말기가 차량의 내부에 거치되거나 또는 위치하는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한다(S210).
여기서 차량 내부 위치의 판단은, 차량에 구비된 실내 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하거나, 차량의 각종 장치에 구비된 NFC 태그를 태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과 무선 단말기 간에 연결되어 있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의 신호를 분석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의 각종 장치에 구비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무선 단말기 자체에 내부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위치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나침반 압력 센선 등을 통하여 획득된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차량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 중 S210 단계에서 판단된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존재하며, 무선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는 장치들을 탑승자에게 제공한다(S220). 예를 들어, 핸들 주변에 무선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핸들을 연동 장치로서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AVN과 공조 장치 사이에 무선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AVN과 공조 장치 모두를 연동 장치로서 탑승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후, S220 단계에서 제공된 연동 장치 중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는 무선 단말기와 연동된다(S230 내지 S250). 여기서, 선택된 장치는 무선 단말기와 와이파이 NFC, 블루투스 또는 USB연결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된 장치와 무선 단말기의 연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당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연동되는 형태가 구분된다.
먼저,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지 판단하고(S230), 판단결과,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추가적으로 연동되는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한다. 즉, 선택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멀티 디스플레이 형태로 사용하여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및 및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탑승자에게 제공하고, 디스플레이가 추가적으로 증가되었기 때문에,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선택된 인터페이스 그 자체가 아닌 확장 인터페이스이다(S240).
그리고, 판단결과, 선택된 장치가 자체적인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상 화면으로 탑승자에게 제공한다(S250). 여기서의 인터페이스 역시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확장 인터페이스이다.
S240 단계 및 S250 단계의 확장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이미 선택된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기본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상위 메뉴로 확장되어 한눈에 더 많은 메뉴가 표현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는 기본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아 제어의 대상이 되지 않은 기능이지만, 추가적으로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확장된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결국, 선택된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한정된 공간을 통해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선택된 장치의 인터페이스로 추가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확장 인터페이스는 하위 메뉴를 상위 메뉴로 확장하거나, 기본 인터페이스에는 제공되지 않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내부의 AVN 주변에 위치하여 AVN과 연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단말기는 차량의 AVN(310)의 상측(311), 하측(313), 우측(312) 또는 좌측(314)에 거치되거나 또는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단말기는 AVN(310)과 연동되고, 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AVN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단말기가 AVN(310)의 주변에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탑승자의 선택으로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확장 인터페이스 중 탑승자가 일부의 기능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선택하여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확장 인터페이스 중 나머지 기능 및 선택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존의 AVN(3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의 탑승 위치,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자의 선택은 해당 인터페이스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터치를 함으로써 가능하지만, 탑승자의 손동작과 같은 제스쳐를 인식하는 경우, AVN(310)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이동하는 제스쳐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에만 표시될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가 차량 도어에 위치하여, 차량 도어와 연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윈도우의 경우, 해당 윈도우를 열고 내리는 기능만 간단한 하드키로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차량 도어 자체의 공간적 한계가 있기 때문이거나 별도의 다른 기능이 차량 윈도우에 탑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 발전에 따라 윈도우에도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커튼 기능(421)을 탑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당 기능을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야 하나, 세밀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모두 차량 도어에 탑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무선 단말기(410)가 차량 도어(400)에 위치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400)는 디스플레이가 없는 장치이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400)에 구비된 차량 윈도우(420)의 커튼 기능(421)을 제어하기 위한 확장 인터페이스를 무선 단말기(410)를 통하여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기(4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확장 인터페이스 및 차량 윈도우(420)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세밀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를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하드키, 소프트키)가 차량 자체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이미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공간적 한계상 하위 메뉴로 탑재된 메뉴를 상위 메뉴로 확장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위치에 따라 주변 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10)

  1.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구비된 장치들 중 상기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는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동 장치 중 상기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장치가 AVN이면, 상기 AVN을 중심으로 상측, 하측 또는 우측에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어 연동되며, 상기 AVN과 공조 장치 사이에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AVN과 상기 공조 장치가 모두 연동되어 상기 AVN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공조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실내 카메라, NFC 태깅, 블루투스, 와이파이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하여 획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내부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의 선택은 상기 제스쳐를 통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하위 메뉴가 상위 메뉴로 확장되거나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선택된 장치의 확장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장치 중 상기 탑승자로부터 선택된 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연동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장치가 조수석 앞의 디스플레이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무선 단말기가 거치되거나 위치하여 연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AVN의 주변에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서 탑승자의 선택으로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KR1020140090552A 2014-07-17 2014-07-17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3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52A KR101535032B1 (ko) 2014-07-17 2014-07-17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US14/795,015 US20160021167A1 (en) 2014-07-17 2015-07-09 Method for extending vehicle interface
DE102015213362.1A DE102015213362B4 (de) 2014-07-17 2015-07-16 Verfahren zum Erweitern einer Fahrzeugschnittstelle
CN201510425450.XA CN105320273A (zh) 2014-07-17 2015-07-17 用于扩展车辆界面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552A KR101535032B1 (ko) 2014-07-17 2014-07-17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032B1 true KR101535032B1 (ko) 2015-07-07

Family

ID=537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5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5032B1 (ko) 2014-07-17 2014-07-17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21167A1 (ko)
KR (1) KR101535032B1 (ko)
CN (1) CN105320273A (ko)
DE (1) DE10201521336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246A (zh) * 2015-10-22 2017-08-18 福特全球技术公司 扩展的个人装置用户界面和通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4965B2 (en) 2016-05-16 2019-1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vehicle,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for enabling efficient paging
CN108508862A (zh) * 2017-02-28 2018-09-07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身份验证系统及车辆
CN108919959B (zh) * 2018-07-23 2021-11-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人机交互方法及系统
CN114503105A (zh) * 2019-09-25 2022-05-13 联邦科学和工业研究组织 用于浏览器应用的密码服务
CN111703385B (zh) * 2020-06-28 2022-03-11 广州易点智慧出行科技有限公司 一种内容互动方法以及一种车辆
CN115631323A (zh) * 2021-01-22 2023-01-20 四川智能小子科技有限公司 Ar导览系统及ar导览方法
CN113419452B (zh) * 2021-06-29 2023-02-10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
CN114035878A (zh) * 2021-11-11 2022-02-11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263A (ja) * 2003-07-07 2005-02-03 Fuji Photo Film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42440A (ko) * 2006-11-10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자동 핸즈프리 변환 장치 및 방법
JP2012090077A (ja) * 2010-10-20 2012-05-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携帯端末及び処理装置の操作方法
KR20130034892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6635B1 (en) * 1993-05-24 2003-03-05 Sun Microsystems, Inc.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method for interfacing to remote devices
KR200187422Y1 (ko) * 2000-01-27 2000-07-01 이인수 휴대폰과 핸즈프리를 일체화시키는 모듈장치
US7564425B2 (en) * 2002-04-04 2009-07-21 Lenovo (Singapore) Pte Ltd. Modular display device
DE10308897A1 (de) 2003-02-28 2004-10-14 Adam Opel Ag Kraftfahrzeug mit einer eine Schnittstelle zum Datenaustausch mit einem PDA oder einem Smartphone aufweisenden Bordelektronik
US7593792B2 (en) 2005-06-01 2009-09-22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information system with remote communicators in a network environment
KR20070075963A (ko) * 2006-01-17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239087B2 (en) * 2008-02-14 2012-08-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accessory
JP5654666B2 (ja) * 2010-04-21 2015-01-14 コーデュラ ニーダーマイヤー−マイNIEDERMAIER−MAY,Cordula 発酵天然物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DE102011112370A1 (de) 2011-09-02 2013-03-07 Audi Ag Kraftfahrzeug
DE102011112599A1 (de) 2011-09-06 2013-03-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fortsystem zum Nutzen und/oder Steuern von Fahrzeugfunktionen mithilfe eines Mobilgeräts
US8941560B2 (en) * 2011-09-21 2015-01-27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superimposed controls and instructions for external device
CN103858083A (zh) * 2011-10-13 2014-06-11 Lg电子株式会社 输入界面控制设备及其方法
DE102011121108B4 (de) 2011-12-14 2024-04-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Ausgeb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CN102638384A (zh) * 2012-03-15 2012-08-15 延锋伟世通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车内子系统的无线控制系统
WO2014041646A1 (ja) 2012-09-12 2014-03-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車載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KR20140044213A (ko) * 2012-10-04 2014-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st 네트워크 기반 가상 usb 입출력 장치
KR20140090552A (ko) 2013-01-09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선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CN103685573A (zh) * 2013-12-31 2014-03-26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与智能终端间的互动系统
KR101513643B1 (ko) * 2014-05-26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263A (ja) * 2003-07-07 2005-02-03 Fuji Photo Film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42440A (ko) * 2006-11-10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자동 핸즈프리 변환 장치 및 방법
JP2012090077A (ja) * 2010-10-20 2012-05-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携帯端末及び処理装置の操作方法
KR20130034892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246A (zh) * 2015-10-22 2017-08-18 福特全球技术公司 扩展的个人装置用户界面和通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13362A1 (de) 2016-01-21
DE102015213362B4 (de) 2022-01-13
US20160021167A1 (en) 2016-01-21
CN105320273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032B1 (ko) 차량 인터페이스 확장 방법
US106184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219933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차량 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98089B (zh)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车辆的控制系统及车辆
JP6525888B2 (ja) コンテキストに基づいた車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再構成
CN104204729B (zh)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86009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8818275B2 (en) Enhancing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by adding remote sensors from a portable device
US995687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signaling a 3D-position of an input means in the detection of gestures
KR1014951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KR20140139241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220970B (zh) 显示装置
KR102076681B1 (ko) 차량용 조작 장치
US20140379212A1 (en) Bli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CN105677163A (zh) 用于车辆的集中控制系统
US20150089451A1 (e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72127A (ko) 헤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헤드 유닛의 차량 제어 방법
JP2019144955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787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32740A (ja) 入力表示装置、電子機器、アイコン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6471261B1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34488A1 (en) System for integrating smart device with vehicle
JP679860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6417062B1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