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4524B1 - 이송로봇 - Google Patents

이송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24B1
KR101534524B1 KR1020130077581A KR20130077581A KR101534524B1 KR 101534524 B1 KR101534524 B1 KR 101534524B1 KR 1020130077581 A KR1020130077581 A KR 1020130077581A KR 20130077581 A KR20130077581 A KR 20130077581A KR 101534524 B1 KR101534524 B1 KR 10153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evice
link member
driving force
arm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049A (ko
Inventor
이성직
오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온테크
Publication of KR2014005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95Manipulators transporting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25J9/043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double selective compliance articulated robot arms [SCA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1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includes means for gripping wa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이송 진공로봇이 개시된다. 이송로봇으로서, 지면으로 부터 상하운동을 하면서 중공으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1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30)을 상하운동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장치(110)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210)과 상기 상부 프레임(210)을 회전하도록 돌출 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장치(230)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2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370)과 상기 제1 회전축(3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장치(390)와 제3 구동장치(39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300)을 구비하는 하부핸드(30) 상기 제1 회전축(370)에 삽입되고 지면으로 돌출된 제2 회전축(470)과 상기 제2 회전축(4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구동장치(490)와 제4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400)을 구비하는 상부핸드(40)를 포함하는 이송로봇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로봇 {Compact transfer robot}
본 발명은 이송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챔버내에 배치되고 공정 챔버와 웨이퍼 등의 기판을 저장하는 공간 사이에서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진공로봇으로서, 핑거를 구비하고 이송정밀도가 높고 회전 반경이 작으면서 챔버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컴펙트(compact)한 구조를 갖는 이송로봇에 관한 것이다.
이송로봇에서는, 이송장치의 아암 또는 링크 부재들(linkages) 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10-2012-0117169’는 본 출원인이 이송 진공로봇 암과 공정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출원하였다. 이송 진공로봇 암의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공정장치의 면적을 작게 하여 공정비용을 줄이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정장치에 배치되는 이송로봇을 컴펙트하게 구동할 수 있는 이송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공정장치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하여 구동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컴펙트한 구동이 가능한 이송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정장치의 면적을 작게 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함으로써 공정속도를 향상시키는 이송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송로봇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상하운동을 하면서 중공으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1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30)을 상하운동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장치(110)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210)과 상기 상부 프레임(210)을 회전하도록 돌출 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장치(230)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2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370)과 상기 제1 회전축(3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장치(390)와 제3 구동장치(39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300)을 구비하는 하부핸드(30) 상기 제1 회전축(370)에 삽입되고 지면으로 돌출된 제2 회전축(470)과 상기 제2 회전축(4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구동장치(490)와 제4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400)을 구비하는 상부핸드(40)를 포함하는 이송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며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몸체와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순차적으로 지면으로 돌출되어 각각을 회전시키는 상기 제2 구동장치, 제3 구동장치, 제4 구동장치가 벨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구동장치, 제3 구동장치, 제4 구동장치은 상기 하부 프레임(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이송로봇으로 구성되는 공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로봇은, 공정장치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하여 이송로봇의 제1,2,3 및 4 구동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컴펙트한 이송로봇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장치의 면적을 작게 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함으로써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의 공정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로봇의 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이송로봇의 암이 진행된 제1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이송로봇의 암이 진행된 제2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로봇의 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 진공로봇은,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하부 몸체(10)와 하부 몸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운동이 가능한 상부 몸체(20)와 상부 몸체(2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기판이 안착되는 하부핸드(30)/상부핸드(40)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1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며, 지면상에 배치된다. 하부 몸체(10)는 상부 몸체(20)를 상하 이동한다. 하부몸체는 제1 구동장치(110)와 제1 구동장치(110)의 구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제1 구동장치(110)는 하부 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터와 연결되는 볼 스크류 축의 구동구간에 따라 하부 프레임(13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제1 구동장치(110)는 볼 스크류 축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블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은 하부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동장치(110)는 하부 프레임(130)을 상승 또는 하강한다. 또한, 제1 구동장치(110)는 하부 프레임(130)과 연결된 상부 몸체(20)와 하부핸드(30)/상부핸드(4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하부 프레임(130)은 제1 구동장치(110)의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한다. 하부 프레임(130)은 볼 스크류 축을 이동하는 블록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부 프레임(130)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20)와 상부핸드(40)/ 하부핸드(30)를 상승 또는 하강한다.
하부 프레임(130)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전체 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하부 프레임(13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제1 구동장치(110)가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이송로봇의 크기를 콤팩트 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부 몸체(20)는 하부 프레임(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10)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장치(23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130)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130)과 별도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130)의 중공 부로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130)보다 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프레임(210)의 돌출된 부위를 이용하여 제2 구동장치(230)가 연결된다. 이는, 구동장치의 배치로 인한 이송로봇(1)의 크기를 사전에 콤팩트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에는 제2 구동장치(230)가 연결된다. 상부 프레임(210)은 제2 구동장치(230)의 구동력으로 상부핸드(40)/ 하부핸드(30)를 회전시킨다. 상부 프레임(230)은 제2 구동장치(230)의 정밀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제2 구동장치(230)와 상부 프레임(210)의 구동력 전달방법을 타이밍 벨트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2 구동장치(230)는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동장치(230)는 상부 프레임(210)의 중공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프레임(130)의 내부에 후술할 제3 구동장치와 제4 구동장치가 배치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구동장치(230)는 전기로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 구동장치(230)는 상부 프레임(210)에서 돌출되는 부위에 풀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구동장치(230)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상부 프레임(210)과 연결되기 위함이다.
삭제
도 3은 도 2의 이송로봇의 암이 진행된 제1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이송로봇의 암이 진행된 제2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핸드(30)/상부핸드(40)는 제3 구동장치(390)와 제4 구동장치(490)와 연결된다. 제1 회전축(370)과 제2 회전축(47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각 직선운동을 하는 암(300/400)과 암(300/400)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기판(S)을 지지하는 핑거(350)를 포함한다.
상부핸드(40)/하부핸드(30)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전체 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부 핸드(40)/하부 핸드(30)는 상부 몸체(2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3 구동장치(390)는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구동장치(390)는 상부 프레임(210)의 중공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프레임(130) 내부에 후술할 제4 구동장치(490)를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 구동장치(390)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3 구동장치(390)는 하부 핸드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1 회전축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풀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구동장치(390)는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제1 회전축(37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370)은 암(300)을 회전시켜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제1 회전축(370)은 제3 구동장치(37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구동력 암(310)에 전달해 준다. 제1 회전축(370)은 상부 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1 회전축(370)과 제2 회전축(470)과 상부 프레임(210)과 하부 프레임(130)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로봇의 동력전달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1 회전축(370)은 구동력 암(310)과 연결된다. 제1 회전축(37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370)은 이송로봇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프레임(230)보다는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370)과 제3 구동장치(390)이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함이다. 이는, 제1 회전축(370)과 제3 구동장치(390)을 타이밍 벨트로 연결 시 제2 구동장치(21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제1 회전축(370)은 상부 프레임(230)으로부터 제2 구동장치(210)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350)는 기판(S: LCD, LED, 반도체 등)에 정전기로 인한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진동발생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350)는 기판(S)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350)은 암(300)으로부터 기판(S)이 안착 시 이동이 용이하도록 흡입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암(300)은 제1 회전축(370)에 연결한다. 암(300)은 직선운동을 하기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암(310)과 구동력 암(3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 암(330)을 포함한다.
삭제
구동력 암(310)은 제3 구동장치(390)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운동을 한다. 구동력 암(310,410)은 일정길이를 갖는 제1 링크부재(312)와 제1 링크부재(312)에 체결되는 제2 링크부재(316)와 제1 링크부재(312)를 연결하는 반전부재(314)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312)는 제2 링크부재(316)와 길이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제1 링크부재(312)는 직사각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312)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 링크부재(312)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312)의 일측 단부는 제1 회전축(37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반전부재(314)가 체결되어 제2 링크부재(316)는 직선운동을 한다. 제1 회전축(370)이 회전을 하면 제1 링크부재(312)가 일정각도 회전을 하여 제2 링크부재(316)를 전진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 링크부재(312)가 일정각도 회전을 하면 제2 링크부재(316)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마치 2절 링크가 일정범위로 직선운동을 하는 현상과 같다.
제2 링크부재(316)는 일정부분 강성을 갖도록 직사각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링크부재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2 링크부재(316)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2 링크부재(316)의 일측 단부는 반전부재(314)를 통해 제1 링크부재(31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핑거(450)에 연결된다.
삭제
보조 암(330)은 구동력 암(3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암(330)은 구동력 암(310)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 따라서 직선운동을 한다. 보조 암(330)은 일정길이를 갖는 제3 링크부재(332)와 제3 링크부재(332)에 체결되는 제4 링크부재(336)와 제3 링크부재(332)와 제4 링크부재(336)를 연결하는 제2 반전부재(334)를 포함한다.
삭제
제3 링크부재(332)는 직사각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3 링크부재(332)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3 링크부재(332)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3 링크부재(332)의 일측 단부는 제1 회전축(37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반전부재(334) 체결되어 제4 링크부재(336)는 직선운동을 한다. 즉, 구동력 암(310,41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보조 암(330)을 직선운동 한다. 이때, 보조 암은 구동 시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 한다. 또한, 보조 암(33)은 암(300)의 처짐을 방지한다.
제4 링크부재(336)는 일정부분 강성을 갖도록 직사각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4 링크부재(336)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4 링크부재(336)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4 링크부재(336)의 일측 단부는 제2 반전부재(334)를 통해 제4 링크부재(336)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핑거(350)에 연결된다.
삭제
상부핸드(40)는 구조적 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전체 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부 핸드(40)는 상부 몸체(2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제4 구동장치(490)는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구동장치(490)는 상부 프레임(210)의 중공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구동장치(490)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4 구동장치(490)는 상부 핸드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2 회전축(47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풀 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구동장치(490)는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제2 회전축(47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축(470)은 암(400)을 회전시켜 직선운동을 하도록 한다. 제2 회전축(470)은 제4 구동장치(47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구동력 암(410)에 전달해 준다. 제2 회전축(470)은 제1 회전축(37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2 회전축(470)은 구동력 암(410)과 연결된다. 제2 회전축(470)은 이송로봇의 길이 방향으로 제1 회전축(370)보다는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축(470)과 제4 구동장치(490)이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함이다. 이는, 제2 회전축(470)과 제4 구동장치(490)을 타이밍 벨트로 연결 시 제3 구동장치(31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제2 회전축(470)은 제3 구동장치(310)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는 기판(S: LCD, LED, 반도체 등)에 정전기로 인한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진동발생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는 기판(S)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핑거은 암(400)으로부터 기판(S)이 안착 시 이동이 용이하도록 흡입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암(400)은 제2 회전축(470)에 연결한다. 암(400)은 직선운동을 하기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암(410)과 구동력 암(4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 암(430)을 포함한다.
삭제
구동력 암(410)은 제4 구동장치(490)의 구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운동을 한다. 구동력 암(410)은 일정길이를 갖는 제1 링크부재(412)와 제1 링크부재(412)에 체결되는 제2 링크부재(416)와 제1 링크부재(412)를 연결하는 반전부재(414)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412)는 제2 링크부재(416)와 길이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제1 링크부재(412)는 직사각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312)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1 링크부재(312)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312)의 일측 단부는 제2 회전축(47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반전부재(414)가 체결되어 제2 링크부재(416)는 직선운동을 한다. 제2 회전축(470)이 회전을 하면 제1 링크부재(412)가 일정각도 회전을 하여 제2 링크부재(416)를 전진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 링크부재(412)가 일정각도 회전을 하면 제2 링크부재(416)는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는 마치 2절 링크가 일정범위로 직선운동을 하는 현상과 갖다.
제2 링크부재(416)는 일정부분 강성을 갖도록 직사각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링크부재(416)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2 링크부재(416)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2 링크부재(416)의 일측 단부는 반전부재(414)를 통해 제1 링크부재(41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핑거에 연결된다.
삭제
보조 암(430)은 구동력 암(4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암(430)은 구동력 암(410)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 따라서 직선운동을 한다. 보조 암(430)은 일정길이를 갖는 제3 링크부재(432)와 제3 링크부재(432)에 체결되는 제4 링크부재(436)와 제3 링크부재(432)와 제4 링크부재(436)를 연결하는 제2 반전부재(434)를 포함한다.
삭제
제3 링크부재(432)는 직사각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3 링크부재(432)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3 링크부재(432)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3 링크부재(432)의 일측 단부는 제2 회전축(47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반전부재(434) 체결되어 제4 링크부재(436)는 직선운동을 한다. 즉, 구동력 암(,41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보조 암(430)을 직선운동 한다. 이때, 보조 암은 구동 시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 한다. 또한, 보조 암(430)은 암(400)의 처짐을 방지한다.
제4 링크부재(436)는 일정부분 강성을 갖도록 직사각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제4 링크부재(436)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4 링크부재(436)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된다. 제4 링크부재(436)의 일측 단부는 제2 반전부재(434)를 통해 제4 링크부재(436)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핑거)에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이송로봇
10: 하부 몸체
110: 제1 구동장치 130: 하부 프레임
20: 상부 몸체
210: 상부 프레임 230: 제2 구동장치
30: 하부핸드 40: 상부핸드
300,400: 암
370: 제1 회전축 470: 제2 회전축
390: 제 3구동장치 490: 제 4구동장치

Claims (4)

  1. 이송로봇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상하운동을 하면서 중공으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130)과 상기 하부 프레임(130)을 상하운동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장치(110)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1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30)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130)과 별도로 회전운동을 하는 상부 프레임(210)과 상기 상부 프레임(210)을 회전하도록 돌출 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장치(230)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20);
    지면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30)에 삽입되고 중공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370)과 상기 제1 회전축(3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장치(390)와 제3 구동장치(39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300)을 구비하는 하부핸드(30); 및
    상기 제1 회전축(370)에 삽입되고 지면으로 돌출된 제2 회전축(470)과 상기 제2 회전축(470)의 돌출부위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4 구동장치(490)와 상기 제4 구동장치(49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판을 이송시키는 암(400)을 구비하는 상부핸드(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20)와 제1 회전축(370)과 제2 회전축(470)이 순차적으로 지면으로 돌출되어 각각을 회전시키는 상기 제2 구동장치(230), 제3 구동장치(390), 제4 구동장치(490)와 타이밍 벨트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장치(230)는 상기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상기 상부 프레임(210)의 중공축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구동장치(390)와 제4 구동장치(490)는 상기 하부 프레임(1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암(3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제1 링크부재(312)와 상기 제1 링크부재(312)에 체결되는 제2 링크부재(316)로 구성되는 구동력 암(31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312)는 상기 제2 링크부재(316)와 길이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312)와 상기 제2 링크부재(316)는 전체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파여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로봇.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이송로봇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장치.
KR1020130077581A 2012-10-22 2013-07-03 이송로봇 Active KR101534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79 2012-10-22
KR20120117179 201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49A KR20140051049A (ko) 2014-04-30
KR101534524B1 true KR101534524B1 (ko) 2015-07-09

Family

ID=5065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581A Active KR101534524B1 (ko) 2012-10-22 2013-07-03 이송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3294A (ko) 2023-06-02 2024-12-11 주식회사 라온테크 이송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202A (zh) * 2015-10-01 2015-12-16 合肥金海康五金机械制造有限公司 取料机械手抓取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659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아토 웨이퍼 이송 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659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아토 웨이퍼 이송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3294A (ko) 2023-06-02 2024-12-11 주식회사 라온테크 이송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49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8742T3 (es) Robot y sistema de transferencia de sustrato
FR2832345B1 (fr) Mecanisme articule comprenant un reducteur a cable utilisable dans un bras de robot
JP2014509083A5 (ko)
CN203652771U (zh) 一种精密往复移送装置
CN101244558A (zh) 空间三转动自由度并联机构
KR101534524B1 (ko) 이송로봇
JP2012115932A (ja) 搬送ロボット
CN102152300A (zh) 线性驱动高速平面并联机械手
JP2017504492A5 (ko)
KR101707831B1 (ko) 수평유지 유닛을 구비한 다기능 고정형 로봇
JP6373658B2 (ja) 電磁波測定装置
CN102240911A (zh) 具有两维转动和两维移动的非完全对称的四自由度空间并联机构
KR101382145B1 (ko) 이송 진공로봇
KR101535068B1 (ko) 틀어짐을 보정하는 8축 이송로봇
CN104176491A (zh) 一种传输装置及等离子体加工设备
JP2005229087A5 (ko)
JP6099916B2 (ja) ワーク搬送ロボット
KR101668714B1 (ko) 로봇 관절 메커니즘
TW201127576A (en) Parallel robot
CN101204807A (zh) 一种单驱动两自由度机械臂
CN205437736U (zh) 精密部件装配智能机器人
CN219575602U (zh) 一种晶圆摆臂机构
CN106671067A (zh) 一种具有弧形移动副的三支链六自由度并联机构
KR101682465B1 (ko) 기판이송로봇
KR101464704B1 (ko) 핸드부의 기어 비를 이용한 이송 진공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