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4443B1 -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443B1
KR101534443B1 KR1020140058039A KR20140058039A KR101534443B1 KR 101534443 B1 KR101534443 B1 KR 101534443B1 KR 1020140058039 A KR1020140058039 A KR 1020140058039A KR 20140058039 A KR20140058039 A KR 20140058039A KR 101534443 B1 KR101534443 B1 KR 10153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dular unit
section
cross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택
강창훈
이영성
문예지
최호순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4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44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unit having a variable cross-section beam with a structure of a variable cross-section with both sides of the beam formed with a large cross-section and the center formed with a small cross-section which resists only a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relates to a modular unit structure which increases a lateral force resistance of the entire structure by combining the modular units horizontally and by stacking up the modular units with a connecting reinforcing plate as the medium, securing all the movements of the modular unit. According to a desirable embodiment of the modular unit having a variable cross-section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unit comprises a pillar, a beam, and a floor beam respectively to connect a top and a bottom of the pillar; and the beam comprises a center member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with both wings which comprises a top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 web plat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s from one end of the top plate; a bottom plate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bottom of the web plate; an end member formed to have an L-shaped cross-section comprising a horizontal plat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top plate of the center member; and a vertical plat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s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and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web plate of the center member formed as a single body or by being separately combined on both ends of the center member formed as the web plate of the center member and the horizontal plate contacting each other whose top plate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plate of the center member.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center memb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end member, and the center member and the end member have a pinned connection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al cloth information and a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보의 양측부는 큰 단면으로 형성하고 중앙부를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여 변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한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모듈러 유닛 간의 수평결합 및 모듈러 유닛 간의 상하 적층 결합시에 연결보강판을 매개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의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al fabric information and a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modular unit. More particularly, both sides of the fabric information are formed into a large cross-sec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into a small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odular unit and the modular unit and the modular unit and the modular unit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reinforcing plate at the time of the upper and lower lamination coupling between the modular units, To a modular unit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overall lateral resistance.

"철골조 모듈러 유닛 건축"은 고품질의 건축을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하는 한편, 일정 품질을 확보하고, 많은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서는 완성도가 높은 박스형 철골조를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공정으로 단기간에 완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Steel Structure Modular Unit Construction" is a technology that systematically transforms high-quality construction to ensure the constant quality and supply to many customers while also recycling re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is, a box-type steel frame with a high degree of completeness is required to be produced in the factory, and a technique is required to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by a minimum process in the field.

철골조 유닛 모듈러 건축은 공장생산부재이니 만큼 손실(Loss)이 적고 재사용 및 재생사용에 가장 적합한 건축 방식이라 할 수 있다.The modular construction of the steel frame unit is less in loss due to lack of factory production and it is the most suitable construction method for reuse and reuse.

일반적으로 4개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모듈러 유닛이 완성된다.Generally, four modular units are formed by combining vertically formed posts and bottom beams connecting top and bottom of columns, respectively.

기둥은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재로서 기능을 하며, 내부가 비어 있어 중공부를 형성한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의 상단과 하단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마구리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천정보와 바닥보는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되어, 기둥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채널형태의 절곡형 단면을 갖는다. The column may be provided with a whorl plate having a rectangular steel pipe functioning as a vertical member in the modular unit and hollowed out to form a hollow portion and having a hole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reof. Fabric information and bottom view are composed of various sections,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lumn by bolts, welding, etc., and generally have a channel-shaped bent section.

이와 같은 종래의 모듈러 유닛은 바닥보 및 천정보가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대하여 동시에 저항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중전달기구가 명확하지 않아 설계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odular unit, since the bottom beam and the cloth information are configured to resist gravity load and lateral loa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of the load transmission mechanism is not clear and the design is not easy.

또한, 기존의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에서의 기둥과의 볼트 접합은 협소한 보의 춤으로 인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공간 확보가 곤란하고, 특히 T/S 볼트와 같은 고장력 볼트 체결을 위한 전동공구의 사용을 위해서는 보의 춤을 키워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보의 춤이 비경제적으로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계산에 의한 보 춤으로는 상/하 유닛의 일체성 확보를 위한 볼트 체결부의 품질 확보가 어려웠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bolt fastening due to the narrow beam damping of the bolt connection with the column in the existing modular unit fabric information. Especially, the use of the power tool for high tension bolt fastening such as T / S bol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bolt fastening part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upper and lower unit by the structural compensation calculation. .

또한, 종래의 다수의 모듈러 유닛을 수평 및 수직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서는 모듈러 유닛 간의 접합을 위하여 유닛 간 볼트를 직접체결하거나, 일부 연결보강판들을 복수개 끼워넣어 볼트 체결하여, 응력전달이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협소한 보의 춤으로 인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공간 확보가 곤란하고 결합 및 해체가 불편하여 시공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Also, in a modular unit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conventional modular unit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olts between units are directly fastened for joining between modular units, or a plurality of connection reinforcing plates are inserted and fastened by bolts,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bolt fastening due to the narrow dancing of the beam, and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y are inconvenient,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간의 접합부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23637호 "보강형 연결보강판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특허문헌 1)이 있다.As a technique behind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modular uni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Registration No. 0923637, "Architectural Modular Unit with Reinforced Concrete Ribbon"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네 개의 강재 기둥(2)과, 상기 각 기둥(2) 상부를 연결하며, 천장상부수평부(3a), 천장수직부(3b), 천장하부수평부(3c)로 구성된 다수 개의 강재 잔넬 천장보(3)와, 상기 각 기둥(2) 하부를 연결하고, 바닥상부수평부(4a), 바닥수직부(4b), 바닥하부수평부(4c)로 구성된 다수 개의 강재 잔넬 바닥보(4)로 구성된, 장방형의 건축 모듈러 유닛(1)에 있어서, 상기 각 기둥(2)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단과 하단에 마구리판(40)이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마구리판(40)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절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구리판(40)에는 제1볼트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고, 절개홀 내측으로 "ㄷ"형태의 단면을 갖는 보강부재(10)가 삽입되어 기둥(2)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천장상부수평부(3a)에는 고정구하부삽입홀(51)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하부수평부(4c)에는 고정구하부삽입홀(5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구상부삽입홀(50)이 고정구하부삽입홀(51)과 수직선상에서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1볼트삽입홀(41)과 수직선상에서 일치되도록 제2볼트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정구하부 삽입홀(51) 중심과 일치되며, 고정구상부삽입홀(50) 내경에 대응되는 고정구삽입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20)이 마구리판(40)에 접하여 설치되어 제1볼트삽입홀(41)과 제2볼트삽입홀(21)을 고정력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고,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원뿔부(31)와, 상부원뿔부(31)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구상부삽입홀(50)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상부원통부(32)와, 상부원통부(32) 하부에 형성되되 고정구하부삽입홀(51)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하부원통부(33)와, 하부원통부(33) 하부에 원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원뿔부(34)로 구성된 위치고정구(30)가, 고정구하부삽입홀(51)에 하부원통부(33)가 삽입되고, 연결판(20)의 고정구삽입홀(22)에 상부 원통부(32)가 순서대로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형 연결보강판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을 제안한다.In the background art, four steel columns 2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9 ar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each column 2, and a ceiling upper horizontal portion 3a, a ceiling vertical portion 3b, And a ceiling lower horizontal portion 3c and a plurality of steel material ceiling beams 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columns 2 and connected to the floor upper horizontal portion 4a, the floor vertical portion 4b, (2)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swash plate (40)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lumn (2), and a plurality of steel bottom floors (4) And a first bolt insertion hole 41 is formed in the whorl plate 40. The first bolt insertion hole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arf 4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cision hole. Shaped reinforcing member 10 is inserted and welded to the column 2, An upper fixing hole lower insertion hole 51 is formed in the flat portion 3a and a lower fixing hole upper insertion hole 5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ing hole lower insertion hole 51 is formed in the lower flat horizontal portion 4c, The second bolt insertion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lt insertion hole 41 so as to coincide with the first bolt insertion hole 41 on the vertical line. And the fixing plate insertion holes 22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s of the fixture upper insertion holes 50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marginal plates 40 so that the first bolt insertion holes 41, An upper conical portion 31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 through a fixing bolt and a cylindrical portion 31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ical portion 31 and having a diameter An upper cylindrical portion 32 having an upper inner cylindrical portion 32 and an upper inner cylindrical portion 32, A position fixture 30 composed of a lower cylindrical portion 33 having a corresponding diameter and a lower conical portion 34 formed in a conical shape below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33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lower insertion hole 51 Wherein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33 is inserted and the upper cylindrical portion 3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nsertion hole 22 of the connecting plate 20 in order. I suggest.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연결판(20)을 사용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과 하부 모듈러 유닛을 결합하였는데, 이는 단순하게 기둥의 단부만을 상호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횡력 저항성을 높이기 어려워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힘들었다.However, in the background art,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are combined using the connecting plate 20, which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uctural stabi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lateral force resistance because it merely connects the ends of the columns with each other .

또한, 결합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모듈러 유닛 간의 결합시 볼트 체결 부위가 폐단면인 기둥 내부에 있어 마우스 홀 타공이 불가피하여 구조부재인 기둥 부재의 단면결손에 따른 국부좌굴의 발생 가능성이 크고, 협소한 마우스 홀 내부에서 볼트체결을 하게 됨으로써, 결합 및 해체가 불편하여 시공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is complicated and the bolt fastening part is in the inside of the column when the modular unit is coupled, it is inevitable that the mouse hole is pierced, so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local buckling due to the sectional defect of the pillar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lt fastening is performed inside the mouse hole, so that the bonding and disassembly are inconvenient and the workability is poor.

특허등록 제0923637호 "보강형 연결보강판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Patent Registration No. 0923637 "Architectural modular unit with reinforced connecting beam"

본 발명은 천정보는 중앙부를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변단면을 갖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단부와 핀접합을 유도함으로써, 바닥보가 바닥 중력하중과 지진, 바람 등에 의한 횡하중을 모두 부담하도록 하고,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설계의 명확성 및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한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information is formed by a small cross s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that can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guiding the end and the pin joint so that the bottom piece is subjected to both the bottom gravity load and the lateral load due to earthquake and wind And to provide a modular unit having the center member of the cloth information capable of resisting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so as to have the structure design clearness and the cross sectional cloth information that can be economically design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중앙부 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부 부재는 기둥과의 결합 및 전단 내력의 증가를 위하여 큰 단면을 갖으면서도 ㄱ 자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 모듈러 유닛의 결합시에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천정보 위치에서 볼트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고력볼트 체결에 따른 볼트 체결부의 구조안전성이 크게 향상되고, 볼트체결부의 품질관리가 용이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고, 모듈러 유닛 간의 수직 및 수평 적층 결합시에 연결보강판을 매개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의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eiling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art of the ceiling information is formed into a small cross section that can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the end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has a large cross- And it is easy to fasten the bolts at the position of the cloth information in order to secure the integrity at the time of joining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stability of the bolt fastening part due to the high-strength bolt fastening using the power tool And the quality of the bolt fastening part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modular unit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ed, the module reinforcing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modular units, The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modular unit having the cross-sectional cloth informa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lateral force resistance It is to.

본 발명은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천정보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부판과, 복부판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져 ㄷ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 부재와; 중앙부 부재의 상부판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앙부 부재의 복부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ㄱ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부재의 복부판과 수직판이 맞닿아 형성되고, 중앙부 부재의 상부판과 상부판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단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부재의 단면의 크기가 단부 부재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부 부재의 상부판과 단부 부재의 수평판의 연결부에 일정두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가 핀 접합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ular unit comprising a column and cloth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lumn, respectively, and a floor beam, wherein the cloth information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central member formed of a bendable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endable plate and a lower plate extending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bendable plate and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 vertical plate having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upper plate of the central member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and being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of the central member, And an end member formed by abutting against the abutting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center member being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rei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memb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d member, Wherein the end member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plate and has a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of the center member and the horizontal plate of the end member and the center member and the end member are pin- And provides a modular unit having information.

또한, 천정보의 단부 부재는, 수평판과 수직판을 연결하도록 수평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가 1개 이상 형성되며, 바닥보는 천정보의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nd member of the cloth informa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lange outer-deformation-controlling stiffener vertic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te so as to connect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corresponds to the flange outer- And a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position of th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삭제delete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 및 바닥보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천정보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판과, 상부판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부판과, 복부판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져 ㄷ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 부재와; 중앙부 부재의 상부판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앙부 부재의 복부판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ㄱ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중앙부 부재의 복부판과 수직판이 맞닿아 형성되고, 중앙부 부재의 상부판과 상부판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단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부재의 단면의 크기가 단부 부재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되 중앙부 부재의 복부판과 단부 부재의 수직판의 연결부에 이음판을 덧대고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여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가 핀 접합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A modular unit comprising a column and cloth information for connecting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lumn, respectively, and a bottom beam, wherein the cloth information comprises an upp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ower plate extending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bend plate to have a C-shaped cross-section; A vertical plate having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upper plate of the central member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and being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of the central member, And an end member formed by abutting against the abutting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center member being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rei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memb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d member, Wherein the end member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a modular unit having a cross-sectional cloth information in which the center member and the end member are pin-joined by connecting a joint plate to the joint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of the center member and welding or bolt- to provide.

삭제delete

또한, 위에 기재된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 연결하면서 구축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8개의 모듈러 유닛들의 기둥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내측 접합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4개의 모듈러 유닛들의 기둥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외측 중앙 접합부와, 수직으로 적층되는 2개의 모듈러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모서리 접합부에는, 중앙부에서 4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 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접합부 연결보강판, 중앙부에서 3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과 수평결합판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T자형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으로 구성되는 외측 중앙 접합부 연결보강판 및 중앙부에서 2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과, 수평결합판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ㄱ 자형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으로 구성되는 외측 모서리 접합부 연결보강판이 각각 끼워져 모듈러 유닛들을 상호 결합하되, 돌출부가 각각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와 바닥보의 수직 결합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고, 수직결합판은 수평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 또는 바닥보 간의 수평 결합면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긴결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을 제공한다.Further, in the modular unit structure in which the modular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ross-sectional surface information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ed and connected, the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in which the corners of the columns of the eight modular units, An outer joint portion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in which the corners of four modular units exposed to the outside respectively meet and an outer corner joint portion of the two modular units vertically stacked exposed to the outside, A horizontal joining plate having a planar shape formed in a T shape and a horizontal joining plate formed by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at a central portion, Symmetrically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rame and projecting vertically in a T-shape A horizontal joining plate having a planar shape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a joining reinforcing plate having an outer central joining portion formed of vertical joining plat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joining plate and protruding portions protruding in two dir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And a vertical joint plate formed by vertically protruding in a " a " -shaped shape, ar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dular un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 is fitted between the horizontal coupling surfaces of the floor information or the cloth information of the horizontally adjacent modular unit so as to tighten the vertically or horizontally laminated modular unit. A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a modular unit having cross sectional fabric information is provided.

또한, 수평결합판 및 수직결합판에는 결합공이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을 제공한다.Further, the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modular unit having the cross-sectional cloth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은 천정보는 중앙부를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변단면을 갖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단부와 핀접합을 유도함으로써, 바닥보가 바닥 중력하중과 지진, 바람 등에 의한 횡하중을 모두 부담하도록 하고,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설계의 명확성 및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unit and the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modular uni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part is formed into a small cross s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capable of resisting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ructural design more clear and economical by allowing the bottom floor to bear the floor gravity load, the lateral load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the wind, and the central part of the ceiling information to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또한,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중앙부 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부 부재는 기둥과의 결합 및 전단 내력의 증가를 위하여 큰 단면을 갖으면서도 ㄱ 자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 모듈러 유닛의 결합시에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천정보 위치에서 볼트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고력볼트 체결에 따른 볼트 체결부의 구조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며 볼트체결부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모듈러 유닛 간의 수직 및 수평 적층 결합시에 연결보강판을 매개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모듈러 유닛의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member of the cloth informa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 cross section that can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the end memb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member have a large cross- In addition, bolt fastening is easily performed at the cloth information position in order to assure the integrity of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when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olt fastening part due to the high-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quality of the bolt fastening part and to connect the modular unit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reinforcing plate at the time of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ing the modular units so as to secure the integrated behavior of the modular unit, .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정보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2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의 다양한 결합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적용되는 연결보강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연결보강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이 수직 적층된 실시예의 수직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보강형 연결보강판조를 갖는 건축 모듈러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 fab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cloth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A.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A.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various joining methods of a center member and an end member of clo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iffening plate applied to the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coupling portion of a vertically stacked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 fab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dular building unit having a reinforced connecting beam.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 fab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1)은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1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에 있어서, 천정보(10)는 중앙부를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변단면을 갖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바닥보(30)는 바닥 중력하중과 지진, 바람 등에 의한 횡하중을 모두 부담하도록 하여, 횡하중을 바닥보만이 부담함으로써 구조설계의 명확성 및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1, the modular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umn 20, cloth information 10 for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lumn 20, In the modular unit comprising the beam 30, the ceiling information 10 is formed to have a small cross s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that can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the bottom beam 30 has a bottom gravity load, It is possible to bear the lateral load caused by the wind and the like, and the lateral load is borne only by the bottom sid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sign the structure clearly and economically.

도 2는 본 발명의 천정보(1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cloth informa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보(10)는 ㄷ 자 단면을 갖는 중앙부 부재(11)와, 중앙부 부재(11)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ㄱ 자 단면을 갖는 단부 부재(12)로 이루어진다. 즉, 천정보(10)의 양측의 단부 부재(12)는 큰 단면으로 형성하고 중앙부 부재(11)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여 변단면의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2, the cloth information 10 includes a center member 11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d an end member 12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member 11 and having a letter-shaped end face. That is, the end members 12 on both sides of the cloth information 10 are formed to have a large cross-section, and the center member 11 is formed to have a small cross-sectional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도 3은 도 2의 A-A와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nd B-B in Fig.

도 3a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부재(11)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판(111)과, 상부판(11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부판(112)과, 복부판(112)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3)으로 이루어져 ㄷ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3A, the center member 11 includes a top plate 11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bell plate 112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top plate 111, And a bottom plate 113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13 to have a C-shaped cross-section.

상부판(111), 복부판(112) 및 하부판(113)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고, 각각의 부재를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upper plate 111, the bumper plate 112, and the lower plate 113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plate, or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respective members using various known joining methods such as welding.

천정보(10)의 중앙부 부재(11)는 바닥보(30)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면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하여 중앙부 부재(11)의 춤의 길이를 바닥보(30)의 춤의 길이보다 대폭 줄여 형성하도록 하였다.The center member 11 of the cloth information 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ttom beam 30.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 Of the dancers.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부재(12)는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평판(121)과, 수평판(12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수직판(122)으로 이루어져 ㄱ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3B, the end member 12 includes a horizontal plate 121 having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ral member 11 and a vertical plate 121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121. [ And a vertical plate 122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bend plate 112 of the center member 11,

수평판(121) 및 수직판(122)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되고, 각각의 부재를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vertical plate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plate, or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respective members using various known joining methods such as wel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앙부 부재(11)의 양 측면에 단부 부재(12)가 각각 형성되는데,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이 연결되고,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단부 부재(12)의 수직판(122)이 연결되어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end memb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bumper plate 112 of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vertical plate 122 of the end memb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중앙부 부재(11)에 단부 부재(12)를 별도로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sheet or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end member 12 to the center member 11 by using various known methods. ha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보(10)의 단부 부재(12)에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가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보(30)의 천정보(10)의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23)가 형성되도록 하여 천정보(10)의 수평판(121)에 접하는 바닥보(30) 하부 플랜지의 면외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a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 stiffener 13 is formed on the end member 12 of the cloth information 10. The cloth information 10 Of the bottom flange 3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cloth information 10 so that the flange out-of-plane contraction control stiffener 23 is formed vertical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out- Minimize out-of-plane deformation.

천정보(10)의 단부 부재(12)에는 수평판(121)과 수직판(122)을 연결하도록 수평판(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가 1개 이상 형성되며, 바닥보(30)에도 천정보(10)의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23)가 형성되도록 한다.One or mor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s 13,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te 121 so as to connect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vertical plate 122, are formed on the end member 12 of the cloth- And th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23 is formed vertical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13 of the ceiling information 10 on the floor beam 30.

또한,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23)는 수직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바닥보(30)의 천정보(10)의 수평판(121)과 이에 접하는 바닥보(30) 하부 플랜지를 상부와 하부의 수직의 동일선상의 위치에서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23)가 보강하도록 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면외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outboard deformation control stiffeners 13 and 23 are vertically form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bottom flange of the bottom beam 3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cloth information 10 of the bottom beam 30 Th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 stiffeners 13 and 23 are reinforc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by minimizing the out-of-plane deformation as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천정보의 중앙부 부재와 단부 부재의 다양한 결합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various joining methods of a center member and an end member of clo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하나의 강판을 높이방향으로 3분할하고, 상부를 절곡하고, 하부는 중앙부 부재(12)가 형성될 부분의 양측을 절개하여 절곡하여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를 일체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 4A,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can b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one steel plate. One steel plate is divided into thre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upper portion is ben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both sides of a portion where the center member 12 is to be formed and bending to integrally form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

이와 같이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가 일체로 형성될 때에는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의 연결부에 일정두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는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 사이에 절개부(14)를 형성하여, 양자 사이에 핀접합을 유도하도록 하여 모듈러 유닛(1)의 수직 적층시에 바닥보(30)에서 발생하는 횡하중이 중앙부 부재(1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end member 12 are cu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cutting member 14 is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er member 11 formed by one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end member 12. In this way, So that a lateral load generated in the bottom beam 30 at the time of vertical stacking of the modular unit 1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enter member 11. [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단부 부재(12)의 수직판(122)의 연결부에는 각각 이음판(15)을 덧대고 용접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4b, it is also possible to weld the joint plates 15 t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bumper plate 112 of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vertical plate 122 of the end member 12, respectively, have.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의 결합은,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단부 부재(12)의 수직판(122)의 연결부에 각각 이음판(15)을 덧대어 볼트(16)로 볼트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4C,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umper plate 112 of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vertical plate 122 of the end member 12. [ The connecting plates 15 may be bolted together with the bolts 16 in a padded manner.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1)은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의 연결부에 절개부(14)를 형성하거나 이음판(15)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천정보(10)는 중앙부를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할 수 있는 변단면을 갖는 작은 단면으로 형성하고 단부와 핀접합을 유도함으로써, 바닥보(30)가 바닥 중력하중과 지진, 바람 등에 의한 횡하중을 모두 부담하도록 하고, 천정보(10)의 중앙부 부재(11)는 천정의 중력하중에만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dular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ross-section clo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r unit 1 has a cut-out portion (not shown)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end member 12 14 or joined by a joint plate 15 so that the cloth information 10 is formed in a small cross s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which can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and induces the end and pin joint, The beam 30 is made to bear the floor gravity load and the lateral load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the wind and the center member 11 of the cloth information 10 is made to resist only the gravity load of the ceiling.

도 5는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은 모듈러 유닛(1)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 연결하면서 구축하도록 구성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되는 모듈러 유닛(1)의 접합부에 연결보강판(40a)(40b)(40c)을 끼워 모듈러 유닛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평면 형상의 연결보강판(40a)(40b)(40c)를 모듈러 유닛(1)간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로 상호 체결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using the modular unit having the cross-sectional profi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struct the modular unit 1 while vertically or horizontally stacking the modules, The connecting reinforcing plates 40a, 40b and 40c are fitted to the joining portions of the modular unit 1 to secure the joining between the modular unit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reinforcing plates 40a, 40b and 40c of different planar shapes are fitted to the joining portions between the modular units 1 accor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y are coupled, and are fastened together with the bolts.

도 5에서와 같이, 8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 접합부(A)와, 외부로 노출되는 4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외측 중앙 접합부(B)와, 수직으로 적층되는 2개의 모듈러 유닛(1)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모서리 접합부(C)가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nner joint portion A where the corners of the pillars 20 of the eight modular units 1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outer central joint B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in which the edges of the pillars 20 of the four modular units 1 meet respectively and the outer edge joint C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wo modular units 1 vertically stacked ).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보강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연결보강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reinforc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modular uni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와 같이, 내측 접합부 연결보강판(40a)은 중앙부에서 4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a)가 형성되는 수평결합판(41a)으로 이루어져 평면이 + 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A, the inner joining joint reinforcing plate 40a is formed of a horizontal joining plate 41a having a protruding portion 411a protruding in four directions at its center,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 shape.

도 7a에서와 같이, 수평결합판(41a)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기둥(20)과 기둥(20)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411a)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10)와 바닥보(30)의 수직 결합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다.As shown in FIG. 7A,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a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fitted and coupled between the column 20 and the column 20, and a protruding portion 411a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odular unit's cloth information 10 and the vertical coupling surface of the bottom beam 30.

따라서, 수평결합판(41a)의 중앙부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내측 접합부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기둥 4개를 합친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a is fitted to and joined to the inner joint portion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it is required to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our columns.

즉, 내측 접합부 연결보강판(40a)은 8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 접합부(A)에 끼워져 상부에 4개 및 하부에 4개의 모듈러 유닛(1)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볼트 등의 공지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다.In other words, the inner joining joint reinforcing plate 40a is formed by joining the inner joining portions A where the corners of the columns 20 of the eight modular units 1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four modular units 1 and four modular units 1 are fitted to each other using known coupling means such as bolts.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중앙 접합부 연결보강판(40b)은 중앙부에서 3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b)가 형성되어 평면형상이 T자형을 갖는 수평결합판(41b)과 수평결합판(41b)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T자형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42b)으로 형성된다.6B, the outer central joint connecting gusset 40b includes a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having a T-shaped planar shape and a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having a projecting portion 411b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41b which are symmetrical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42b.

수평결합판(41b)은 중앙부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외측 중앙 접합부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기둥 2개를 합친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is engaged with and joined to the outer central joint portion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it is required to be formed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wo columns.

도 7b에서와 같이, 수평결합판(41b)에는 수직 상방과 하방으로 대칭을 이루며 수직결합판(42b)이 형성된다. 수직결합판(42b)은 T자형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직결합판(42b)은 수평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10) 또는 바닥보(30) 간의 수평 결합면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1)을 긴결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B, the vertical coupling plate 42b is formed in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vertical coupling plate 42b is formed by projecting vertically into a T shape. The vertical coupling plate 42b is fitted between the horizontally coupled surfaces of the cloth information 10 or the bottom beam 30 of the horizontally adjacent modular unit so that the vertically or horizontally laminated modular unit 1 is tightened .

외측 중앙 접합부 연결보강판(40b)은 외부로 노출되는 4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외측 중앙 접합부(B)에 끼워져, 상부에 2개 및 하부에 2개의 모듈러 유닛(1)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볼트 등의 공지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다.The outer central joint connecting gusset 40b is fitted to the outer central joint portion B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where the corners of the columns 20 of the four modular units 1 exposed to the outside meet, So that the two modular units 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a known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도 6c와 도 7c에서와 같이, 외측 모서리 접합부 연결보강판(40c)은 중앙부에서 2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c)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41c)과, 수평결합판(41c)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ㄱ 자형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42c)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C and 7C, the outer edge joint joint reinforcing plate 40c includes a horizontal joint plate 41c having a planar shape formed by a protrusion 411c protruding in two directions at the center, And a vertical coupling plate 42c symmetrical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41c and formed to be vertically protruded in an a-letter shape.

또한, 수평결합판(41a)(41b)(41c) 및 수직결합판(42b)(42c)에는 결합공(45)이 통공되도록 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 결합을 용이하도록 한다.The coupling holes 45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s 41a, 41b and 41c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42b and 42c so as to facilitate coupling when bolts are used.

도 8은 본 발명의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이 수직 적층된 실시예의 수직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coupling portion of a vertically stacked modular unit having cross-section fabric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보(10)의 단부 부재(12)에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가 형성되며, 바닥보(30)의 천정보(10)의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23)가 형성되도록 하여 천정보(10)의 수평판(121)에 접하는 바닥보(30) 하부 플랜지의 면외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한다.8, th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13 is formed on the end member 12 of the cloth information 10. Th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13 of the cloth information 10 of the bottom beam 30 Plane deformation control stiffener 23 is formed vertical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plate 13 of the bottom plate 30 so as to minimize the out-of-plane deformation of the bottom flange 30 contacting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cloth information 10.

상부 모듈러 유닛(1a)과 하부 모듈러 유닛(1b)의 결합시에 수평 볼트(19)를 사용하여 상부 모듈러 유닛(1a)의 바닥보(30)의 하부 플랜지와 하부 모듈러 유닛(1b)의 천정보(10)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23)는 수평 볼트(19)와 수평 볼트(19)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천정보(10)의 수평판(121)에 접하는 바닥보(30) 하부 플랜지의 면외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horizontal bolt 19 is used to connect the lower flange of the bottom beam 30 of the upper modular unit 1a and the cloth information of the lower modular unit 1b when the upper modular unit 1a and the lower modular unit 1b are engaged,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s 13 and 23 ar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bolt 19 and the horizontal bolt 19 so that the cloth information Plane deformation of the bottom flange 30 of the bottom beam 30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bottom plate 10 is minimized.

종래에는 철골보의 웨브에 설치되는 수직 스티프너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는 개구부의 전단보강, 집중 하중에 의한 웨브의 국부좌굴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기존 모멘트 골조의 하중전달기구는 절점부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기둥 및 보가 부담하고, 기둥의 모멘트는 상부 기둥에서 하부 기둥으로 직접 전달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local buckling of the web due to the reinforcement of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portion and the concentrated load, a vertical stiffener installed on the web of a steel frame has been conventionally formed. The mechanism has the moments acting on the joints to be borne by the column and the beam, and the moments of the column ar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upper column to the lower column.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1)을 연결보강판(40b)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결합시에는 하중 전달 구조는 기존 모멘트 골조와 동일하지만, 기둥의 모멘트는 상부 기둥(20a)에서 하부 기둥(20b)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부 기둥(20a)에 연결된 바닥보(30) 측단부에 발생하는 모멘트가 수평결합판(41b) 및 수직결합판(42b)의 접합부를 통하여 하부 기둥(20b)으로 전달되게 된다.When the modular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coupled using the connection reinforcing plate 40b, the load transmission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moment frame, but the moment of the column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column 20a to the lower column 20b A moment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ottom beam 30 connected to the upper column 20a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olumn 20b through the join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 42b .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하중전달기구에서 상부 모듈러유닛(1a)의 바닥보(30) 단부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하부 모듈러 유닛(1b)의 천정보(10) 단부에 전달하기 위해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23)를 통해 바닥보(30) 단부의 강성 증대 및 수평 볼트(19)의 인장력에 의한 바닥보(30) 플랜지의 면외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moment generated at the end of the bottom beam 30 of the upper modular unit 1a to the end of the cloth information 10 of the lower modular unit 1b in the load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3 to minimize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bottom beam 30 flang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igidity of the end of the bottom beam 30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horizontal bolt 19.

이상과 같이,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은 천정보(10)의 단부 부재(12)는 기둥과의 결합 및 전단 내력의 증가를 위하여 큰 단면을 갖으면서도 ㄱ 자 단면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 모듈러 유닛(1)의 결합시에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천정보(10) 위치에서 볼트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고력볼트 체결에 따른 볼트 체결부의 구조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며 볼트체결부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모듈러 유닛 간의 수직 및 수평 적층 결합시에 연결보강판(40a)(40b)(40c)을 매개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모듈러 유닛(1)을 적층하여 형성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일체거동을 확보하여 구조물 전체의 횡력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using the modular unit having the cross-sectional shape information, the end member 12 of the cloth information 10 has a large cross-section for the connection with the column and the increase in the shear strength, So that bolt fastening is easily per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cloth information 10 for securing the integrity of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 1 when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1 are combined, The modular unit 1 can be easily assembled by interposing the connecting reinforcing plates 40a, 40b and 40c at the time of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ing the modular units between the modular unit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tegral behavior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formed by laminating the laminated unit structure 4 and to increase the lateral force resistance of the entir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은 기둥(20)과 보(10)의 접합부에 마우스홀을 삭제함으로써, 접합부 구조를 매우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ability by joining and disassembling the joining structure very simply and easily by eliminating the mouse hole at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column 20 and the beam 10.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 1a, 1b : 모듈러 유닛
10 : 천정보
11 : 중앙부 부재
12 : 단부 부재
13 :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
20, 20a, 20b : 기둥
30 : 바닥보
4 : 모듈러 유닛 구조물
40a, 40b, 40c : 연결보강판
41a, 41b, 41c : 수평결합판
411a, 411b, 411c : 돌출부
42b, 42c : 수직결합판
1, 1a, 1b: modular unit
10: Cloth information
11: center member
12: end member
13: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 stiffener
20, 20a, 20b: Column
30: bottom beam
4: Modular unit structure
40a, 40b, 40c:
41a, 41b, 41c: Horizontal coupling plate
411a, 411b, 411c:
42b, 42c: vertical coupling plate

Claims (7)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1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천정보(10)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판(111)과, 상부판(11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부판(112)과, 복부판(112)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3)으로 이루어져 ㄷ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 부재(11)와;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평판(121)과, 수평판(12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판(122)으로 이루어져 ㄱ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수직판(122)이 맞닿아 형성되고,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상부판(111)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단부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부재(11)의 단면의 크기가 단부 부재(12)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되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단부 부재(12)의 수평판(121)의 연결부에 일정두께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4)가 형성되어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가 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A modular unit (1) comprising a column (20) and cloth information (10) connecting a top end and a bottom end of the column (20) and a bottom beam (30)
The fabric information (10)
And a lower plate 11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 lower end of the bumper plate 112. The upper plate 11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ower plate 113. The upper plate 111 includes a bumper plate 112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111, A center member (11)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A horizontal plate 121 having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er member 11 and a vertical plate 121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ral member 11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curved cross section, And an end member (12)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plate (111)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member 1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d member 12.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single steel plate, A cutout portion 14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111 of the end member 12 and the horizontal plate 121 of the end member 12, And wherein the modular unit has the cross-sectional surface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정보(10)의 단부 부재(12)는,
수평판(121)과 수직판(122)을 연결하도록 수평판(121)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가 1개 이상 형성되며,
바닥보(30)는 천정보(10)의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으로 플랜지 면외변형 제어용 보강재(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member (12) of the cloth information (10)
At least one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13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plate 121 to connect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vertical plate 122,
Wherein the bottom beam (30) has a flange out-of-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23) vertical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ange in-plane deformation controlling stiffener (13) of the cloth information (10) .
삭제delete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천정보(10) 및 바닥보(30)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천정보(10)는,
일정 폭을 갖는 상부판(111)과, 상부판(11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부판(112)과, 복부판(112)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3)으로 이루어져 ㄷ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 부재(11)와;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동일한 폭을 갖는 수평판(121)과, 수평판(121)의 일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수직판(122)으로 이루어져 ㄱ 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수직판(122)이 맞닿아 형성되고, 중앙부 부재(11)의 상부판(111)과 상부판(111)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는 단부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부재(11)의 단면의 크기가 단부 부재(12)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며,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되 중앙부 부재(11)의 복부판(112)과 단부 부재(12)의 수직판(122)의 연결부에 이음판(15)을 덧대고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여 중앙부 부재(11)와 단부 부재(12)가 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A modular unit (1) comprising a column (20) and cloth information (10) connecting a top end and a bottom end of the column (20) and a bottom beam (30)
The fabric information (10)
And a lower plate 11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 lower end of the bumper plate 112. The upper plate 11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ower plate 113. The upper plate 111 includes a bumper plate 112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upper plate 111, A center member (11)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A horizontal plate 121 having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er member 11 and a vertical plate 121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upper plate 111 of the central member 11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a curved cross section, And an end member (12)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plate (111)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section member 1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nd section member 12 and the center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formed as separate members, Wherein the central member (11) and the end member (12) are pin-joined by welding or bolting the connecting plate (15) A modular unit having cross section fabric information.
삭제delete 청구항 1, 2,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1)을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 연결하면서 구축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8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4)의 내측 접합부(A)와,
외부로 노출되는 4개의 모듈러 유닛(1)들의 기둥(20)의 모서리가 각각 만나는 모듈러 유닛 구조물의 외측 중앙 접합부(B)와,
수직으로 적층되는 2개의 모듈러 유닛(1)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모서리 접합부(C)에는,
중앙부에서 4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a)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 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41a)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접합부 연결보강판(40a),
중앙부에서 3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b)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41b)과 수평결합판(41b)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T자형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42b)으로 구성되는 외측 중앙 접합부 연결보강판(40b), 및
중앙부에서 2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c)가 형성되어 평면 형상이 ㄱ 자형으로 형성되는 수평결합판(41c)과, 수평결합판(41c)의 상부와 하부에 대칭을 이루며 ㄱ 자형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직결합판(42c)으로 구성되는 외측 모서리 접합부 연결보강판(40c)이 각각 끼워져 모듈러 유닛(1)들을 상호 결합하되,
돌출부(411a)(411b)(411c)가 각각 수직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10)와 바닥보(30)의 수직 결합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하고,
수직결합판(42b)(42c)은 수평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천정보(10) 또는 바닥보(30) 간의 수평 결합면 사이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긴결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Claims [1] A modular unit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modular unit (1) having a cross-section cloth inform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whi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tacking and connecting,
An inner joint portion A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4 in which the edges of the columns 20 of the eight modular units 1 which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meet each other,
An outer central joint portion B of the modular unit structure in which the corners of the columns 20 of the four modular units 1 exposed to the outside meet,
In the outer edge joint C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ly stacked modular units 1,
An inner joining portion reinforcing plate 40a formed of a horizontal joining plate 41a having a protruding portion 411a protruding in four directions at its central portion and being formed in a +
A protruding portion 411b protruding in three directions 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having a planar T shape and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b are symmetrical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re vertically protruded in a T- An outer central joint joining reinforcing plate 40b composed of a vertical joining plate 42b formed, and
A horizontal coupling plate 41c having a planar shape formed by a protrusion 411c protruding in two directions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horizontal coupling plate 41c symmetric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 41c, And an outer edge joint connecting reinforcing plate 40c constituted by a vertically engaging plate 42c formed to be protruded are respectively fitted to couple the modular units 1 to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s 411a, 411b and 411c are fitted between the vertically coupling surfaces of the bottom beam 30 and the cloth information 10 of the vertically adjacent modular units, respectively,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42b and 42c are fitted between the horizontal coupling surfaces between the cloth information 10 or the bottom beam 30 of the horizontally adjacent modular unit so that the vertically or horizontally stacked modular units are tightened Wherein the modular unit structure has cross-sectional surface inform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수평결합판(41a)(41b)(41c) 및 수직결합판(42b)(42c)에는 결합공(45)이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upling holes (45)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coupling plates (41a), (41b), and (41c)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42b) and (42c).
KR1020140058039A 2014-05-14 2014-05-14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Active KR101534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39A KR101534443B1 (en) 2014-05-14 2014-05-14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39A KR101534443B1 (en) 2014-05-14 2014-05-14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443B1 true KR101534443B1 (en) 2015-07-07

Family

ID=537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039A Active KR101534443B1 (en) 2014-05-14 2014-05-14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443B1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52B1 (en) * 2016-08-04 2017-01-09 대흥우드산업(주) Wood Columns Corporate Body
KR101695408B1 (en) * 2016-06-10 2017-01-1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씨산업 Modular Unit and Modular Structure Us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101695412B1 (en) * 2016-06-10 2017-01-1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씨산업 Modular Unit For Size Adjustable Type Us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101878607B1 (en) *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Modular unit having opening hole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07746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Modular Unit For Super High-Rise Structure And Structure Using Thereof
KR101907748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Super High-Rise Modular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KR101907747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Super High-Rise Modular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KR20190047564A (en)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광스틸 Modular assembly hous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ar assembly houses
KR20210110492A (en) * 2020-02-29 2021-09-08 (주)유창이앤씨 Connecting structure for modular units to be fastened indoors
FR3116550A1 (en) * 2020-11-23 2022-05-27 Deam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220165089A (en) 2021-06-07 2022-1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steel 3D modular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30082853A (en) 2021-12-02 2023-06-09 삼성물산 주식회사 The vertical coupling structure of the modular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30153059A (en) * 2022-04-28 2023-1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Module rack for dc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0058B1 (en) * 2023-10-20 2024-03-21 (주)씨홀스하우스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frames of a modular ho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17A (en) * 1997-07-03 1999-01-26 Sekisui Chem Co Ltd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KR101176846B1 (en) * 2011-11-04 2012-08-23 오지영 Structure for reinforcing proof stress of girder
JP2013159963A (en) * 2012-02-06 2013-08-19 Toyota Home Kk Horizontal member reinforcing structure of building and horizontal member reinforc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17A (en) * 1997-07-03 1999-01-26 Sekisui Chem Co Ltd Building unit and unit building
KR101176846B1 (en) * 2011-11-04 2012-08-23 오지영 Structure for reinforcing proof stress of girder
JP2013159963A (en) * 2012-02-06 2013-08-19 Toyota Home Kk Horizontal member reinforcing structure of building and horizontal member reinforcing method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08B1 (en) * 2016-06-10 2017-01-1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씨산업 Modular Unit and Modular Structure Us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101695412B1 (en) * 2016-06-10 2017-01-11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씨산업 Modular Unit For Size Adjustable Type Using Concrete Filled Steel Tube
KR101691352B1 (en) * 2016-08-04 2017-01-09 대흥우드산업(주) Wood Columns Corporate Body
KR101907746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Modular Unit For Super High-Rise Structure And Structure Using Thereof
KR101907748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Super High-Rise Modular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KR101907747B1 (en) * 2016-08-31 2018-10-12 서울주택도시공사 Super High-Rise Modular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KR101878607B1 (en) *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Modular unit having opening hole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013453B1 (en) * 2017-10-27 2019-08-22 주식회사 광스틸 Modular assembly hous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ar assembly houses
KR20190047564A (en)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광스틸 Modular assembly house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dular assembly houses
KR20210110492A (en) * 2020-02-29 2021-09-08 (주)유창이앤씨 Connecting structure for modular units to be fastened indoors
KR102344569B1 (en) 2020-02-29 2021-12-29 (주)유창이앤씨 Connecting structure for modular units to be fastened indoors
FR3116550A1 (en) * 2020-11-23 2022-05-27 Deam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220165089A (en) 2021-06-07 2022-1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steel 3D modular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30082853A (en) 2021-12-02 2023-06-09 삼성물산 주식회사 The vertical coupling structure of the modular uni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30153059A (en) * 2022-04-28 2023-1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Module rack for dc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790872B1 (en) 2022-04-28 2025-04-02 삼성물산 주식회사 Module rack for dc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0058B1 (en) * 2023-10-20 2024-03-21 (주)씨홀스하우스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frames of a modular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443B1 (en) Modular unit having variable cross section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78607B1 (en) Modular unit having opening hole beam and modular unit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3355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KR101642420B1 (en) A steel frame structure
JP6861425B2 (en) H-section steel joint structure
KR101384706B1 (en) Cheolgolbo Connection
KR101904958B1 (en) Rigid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beam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JP5601882B2 (en) Steel seismic wall and building with the same
KR20200114876A (en) Permanent Beam Form
KR20190063645A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H-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0444B1 (en) Steel Form Beam
KR101834843B1 (en) A steel frame structure
KR102365786B1 (en) Assembly join structure of channel type stiffener reinforced steel beam and rectangular steel column
KR101031299B1 (en) Bonding structure and unit method of unit unit module for integral behavior of modular buildings
KR101017800B1 (en) Steel beam joint structure of cold forming square steel pipe column using cross reinforcement plate
JP5767538B2 (en) Steel connection structure, incidental structure and unit building
KR101907746B1 (en) Modular Unit For Super High-Rise Structure And Structure Using Thereof
JP6763653B2 (en) Unit building
JP5724655B2 (en) Connecting bracket, frame including the same, and building using the frame
KR101907747B1 (en) Super High-Rise Modular Structure Using Modular Unit
KR20200145183A (en) Steel Column Structur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Seismic Improvement
KR102791821B1 (en) HPC connector for modular
KR101017791B1 (en) Steel beam joint structure of cold forming square steel pipe column
KR20210002866A (en) Z-shaped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column and steel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