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3388B1 -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 Google Patents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388B1
KR101533388B1 KR1020140077470A KR20140077470A KR101533388B1 KR 101533388 B1 KR101533388 B1 KR 101533388B1 KR 1020140077470 A KR1020140077470 A KR 1020140077470A KR 20140077470 A KR20140077470 A KR 20140077470A KR 101533388 B1 KR101533388 B1 KR 10153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able balloon
pipe
air
balloon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4007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3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38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clearing a blockage in a pipe capable of efficiently clearing a blockage in a pipe. The device for clearing a blockage in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er (10) which compresses air by pumping and has an exit hole (14)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a piston (22); an inflatable balloon (B) installed on the exit hole to inflate by the pumped, compressed air; and a one-way air valve (30) installed on the exit hole (14) to supply the air compressed by a pumping means to the inflatable balloon (B) and block an air flow in a reverse direction. The inflatable balloon (B) which inflates by the cylinder and the piston inflates into an entrance (40) of a clogged pipe to make the entrance airtight. A blockage in the pipe is cleared by a pressure from an inflation of the inflatable balloon by the compressed air and an external impact from shaking of a pumping mechanism (10, 22).

Description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blocking a pipe,

본 발명은 변기 또는 주방의 계수대 등과 같이 배수를 위한 배관이 막힌 것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입구를 고무 풍선을 이용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막힌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관 내부로 공급하는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배관의 막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eating a clogged pipe for drainage such as a toilet bowl or a countertop of a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upplying a pressure to a clogged pipe in a state in which an inlet of the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a rubber balloon So that the pressu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ing is not leaked.

일반적으로 변기, 세면대, 그리고 주방의 계수대 등은 물을 배수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물질도 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부분에서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자형상이 반복되는 트랩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트랩구조에서 특히 막힘이 발생하게 된다. Generally, the toilet, the washstand, and the counter top of the kitchen are made to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by draining the water. In this way, in the portion for draining the water, the trap structure in which the U-shape is repeated is adopted in order to prevent the odor from flowing backward, so that the trap structure is particularly clogged.

이러한 배수를 위한 배관 구조에서 막힘이 발생하면 배관 자체, 구체적으로는 트랩구조를 구비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일반인 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방식의 처리는 용이하지 않다. 통상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고무재로 만들어지는 반구상의 압축부분과, 이러한 압축부분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봉으로 구성되는 막힘 처리장치를 들 수 있다. When clogging occurs in the pipe structure for drainage, the pipe itself, specifically, the portion having the trap structure can be separated and processed. However, in general, such a treatment is not easy for many people. A clogging device composed of a semi-spherical compressed portion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ed portion, which is usually sold in the market.

이러한 막힌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봉을 이용하여 수차례 누르게 되면, 반구상의 압축부분이 수축되면서 압축된 공기가 배관의 내부로 전달되어 막힌 부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막힌 부분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그리고 다른 처리장치에 있어서도, 대부분은 변기 또는 세면대에서 배관의 입구 부분을 막으면서 압력을 배관 내부로 가함으로써 막힌 부분을 처리하고자 하고 있다. In the case of using such a clogged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operation portion is pressed several times, the compressed portion of the hemispherical contraction is contract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piping so that the clogged portion is relieved by applying pressure to the clogged portion use. Also, in other processing apparatuses, most of them try to treat the clogged portion by putting the pressure inside the piping while clogging the inlet portion of the piping at the toilet or washstand.

그러나 변기에서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인 입구는 실질적으로 평면 상이 아님은 자명한 사실이고, 각각의 제조 메이커 및 사양에 따라서도 배관과 연결되는 입구부분의 형상 및 치수는 상이하다. 그리고 막힘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배관 내부까지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상술한 반구상의 압축 부분이 배관의 입구부분에 완전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However, it is evident that the inlet, which is the part connected to the pipe from the toilet, is not substantially in a plane, and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inlet portion connected to the pipe ar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 In order to accurately transfer the pressure necessary for eliminating clogging to the inside of the pipe, the above-mentioned hemispherical compressed portion must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의 입구부분은, 변기 또는 세면대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압축부분의 선단부가 배관의 입구부에 완전히 밀착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서 배관의 입구 부분이라고 함은 정해진 직경을 가지는 배관과 변기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 특히 변기 등의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된 부분을 의미하는 것임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is not in a planar state, as can be seen from a toilet or washstand, it is substantially impossible that the front end of the compressed portion completely adheres to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Herein,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pi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toilet, and it can easily be understood that it is a portion exposed to the user from the outside such as a toilet.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막힘 처리장치는 실질적으로 처리장치와 배관의 입구부분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의 내부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이 어려움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구조를 관찰하면, 실질적으로 배관의 입구부분에 대하여 외측, 즉 사용자가 눈에 보이는 배관 입구를 덮는 형상으로 감싸면서 밀착시키도록 하는데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piping because the clogg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let portion of the piping. Observ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roblem in wrapping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substantially outside, that is, in the form of covering the inlet of the pipe which the user can visually observe.

즉, 배관이 입구 부분이 평면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연한 고무재로 만들어지는 압축부분을 배관을 덮는 형상으로 밀착시키도록 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완전한 밀착이 일어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although the inlet of the pipe is not flat, the compressed portion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ipe so as to cover the pipe, so that it can be seen that substantially complete tightening does not occu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막힌 배관의 입구부분을 완전히 외부와 차단할 수 있도록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배관 내부로 공급되는 압력의 손실이 전혀 없도록 하여 막힌 부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disadvantage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loss of pressure supplied to the inside of a piping by applying sufficient pressure to a clogged portion It is a basic object to provide 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solving this problem.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관의 입구 부분이 평면 형상이 아니라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배관 입구 부분의 내측, 즉 배관과 연결되는 내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외부에 대하여 기밀 상태로 유지하면서,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착상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has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shapes, not a flat shape, the pipe is sealed to the outside using the inside of the pipe inlet portion, So that the pressure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ing.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막힘 처리장치는, 펌핑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펌핑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 그리고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인플랫터블 벌룬으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에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은 막혀 있는 배관의 입구부분 내부로 팽창하여 배관의 입구부분을 기밀상태로 하며, 압축된 공기에 의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과 상기 펌핑기구의 요동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힘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An apparatus for clogging a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pumping means capable of compressing air by pumping and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An inflatable balloon installed continuously to the outlet and being inflated by the pumped compressed air; And a one-way air valve installed at the outle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by the pumping means to the inflatable balloon and blocking air flow in a reverse direction; Wherein the inflatable balloon inflated by the pumping means expands into an inlet portion of the clogged piping so as to make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line airtight so that the pressure due to inflation of the inflatable balloon by the compressed air, The clogging of the inside of the pipe can be solved by the external impact caus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pi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의 외부를 감싸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을 보호함과 동시에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가이드부재를 플랙시블 재질로 성형하여, 배관 입구부분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atable balloon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or a partially spherica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flatable balloon. The inflatable balloon may be coupled to the pumping means to guide the inflatable balloon Member. Here, such a guide membe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inle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의 역방향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의 배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n exhausting means of an inflatable balloon which allows reverse air flow of the one-way air valve.

여기서 펌핑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방으로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배기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스톤 및 피스톤로드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기용 와이어부재와, 피스톤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관통하는 배기용 와이어부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가 이동하여 그 단부가 원웨이 에어밸브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랫터블 벌룬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동작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mping device comprising: a cylindrical cylinder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piston inserted in the cylinder to compress air by reciprocating movement; and a piston rod connected upwardly from the piston,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exhaust means, a pack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exhaust wire member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piston and the piston rod and the exhaust wire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wire member is moved and th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one-way air valve, so that air in the inflatable balloon is exhaus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관 막힘 처리장치에 의하면, 인플랫터블 벌룬이 배관의 입구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배관의 입구부분과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 및 요동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ipe clog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flatable ballo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and can be kept in tight contact with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to maintain the airtight state.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logged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pipe by the pressure and the swinging by the pip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관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완전히 기밀 상태로 세팅한 후에,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막힌 부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의 제공과 같이 인플랫터블 벌룬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등을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요동에 의한 충격에 의한 충격압이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가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충분한 외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막힌 부분을 아주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pply sufficient pressure to the substantially clogged portion by setting the inside of the pipe to a completely hermetic state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nd then supplying the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pipe. By providing such a pressure, the impact pressure caused by the impact due to the rocking motion can be applied to the clogged portion inside the pipe by rocking the cylinder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inflatable ballo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 external force to the clogged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pip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logged portion can be solved very efficientl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부재가 배관 입구 부분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인플랫터블 벌룬이 보다 정확한 자세를 가지고 배관 입구 부분으로 팽창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가이드부재에 의한 보조적인 외기의 차단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이러한 것에 의해서도 막힌 부분의 처리에 더욱 유리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inflatable balloon can be inflated to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with a more accurate posture by the guid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pipe inlet portion. A blocking effect can be expected, and by this, the treatment of the clogged portion can be more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막힘 처리장치의 기본적인 원리를 보인 예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막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principle of a clog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clog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막힘 처리장치는, 인플랫터블 벌룬(Inflatable baloon)(B)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플랫터블 벌룬(B)은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팽창하고, 공기를 제거하면 원래의 작은 크기로 복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cl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flatable baloon (B). The inflatable balloon B is inflated by the infusion of air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mall size when the air is remov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인플랫터블 벌룬(B)을 배관의 입구 부분(4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팽창시킴으로써, 팽창되는 벌룬(B)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그 외측부분이 배관 입구부분(40)의 내측부분과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벌룬(B)의 외측면이 배관 입구부분(4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은, 상기 벌룬(B)이 팽창할수록 더욱 밀착되는 것은 당연하고, 궁극적으로는 완전하게 밀착되어 충분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flating the inflatable balloon B close to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the inflated balloon B enters the inside of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portion of the pipe inlet portion (40).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B closely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inlet portion 40 as the balloon B expands as a result of such expansion. Will be maintained.

다음에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을 팽창시키는 수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막힌 처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플랫터블 벌룬(B)과, 상기 벌룬(B)과 연결되고, 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펌핑장치(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ext, the means for inflating the inflatable balloon B will be described. The clogged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latable balloon B as described above and a pumping apparatus A connected to the balloon B and capable of injecting air into the ballast.

그리고 펌핑장치(A)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내부에 일정한 원통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실린더(10)는 피스톤(12)이 왕복운동하면서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으로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는 하단부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출구(14)를 구비하고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umping device A includes a cylinder 10 forming a constant cylindrical space therein, and a piston 12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The cylinder 10 has a function as a housing having a space capable of compressing air while the piston 12 reciprocates. The cylinder (10) has an outlet (14) through which air flows out at a lower end portion.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구(14)는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넥부분(16)의 중심부분을 통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상의 피스톤(12)은 실린더(10)의 내측면에서 상하 왕복운동을 하여 공기를 압축시키는데, 이때 필요하다면 상기 피스톤(12)의 외측부분에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let 14 is formed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6 protruding downwardly. The piston 12 on the circular plate reciprocates up and d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10 to compress the air. At this time, if necessary, a packing for preventing leakage of air is install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piston 12 It is also possible.

상기 피스톤(12)은 상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2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22)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를 잡고 피스톤(12)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iston 12 is connected to an upwardly extending piston rod 22 and a handle 2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iston rod 22. Therefore,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20 and reciprocate the piston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실린더(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출구(14)에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이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은, 실린더(10) 내부에서 피스톤(12)의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출구(14)와 연결되어 있다. The inflatable balloon B is connected to the outlet 1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1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That is, the inflatable balloon B is connected to the outlet 14 so as to receiv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motion of the piston 12 in the cylinder 10.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부분(14)과 벌룬(B)은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넥부분(16)에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가 설치되어 있어서, 목부분(14)에서 벌룬(B)으로의 공기의 전달은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k portion 14 and the balloon B are connected through the one-way air valve 30. For example, the one-way air valve 30 is provided in the neck portion 16 so that the transfer of air from the neck portion 14 to the balloon B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one-way air valve 30 . ≪ / RTI >

여기서 원웨이 에어밸브(30)는,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전달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밸브기구의 총칭이라고 정의한다. 즉 도 1에 기초하면 상부(실린더)에서 하부(인플랫터블 벌룬) 방향으로의 공기의 전달은 가능하고, 하부에서 상부로의 공기의 흐름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밸브를 총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Here, the one-way air valve 30 is defined as a generic term for a valve mechanism tha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flow is transmit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air flow is not transmit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referring to FIG. 1, the valv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valve that allows air to pass from the upper portion (cylinder) to the lower portion (inflatable balloon) and blocks the flow of air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utomatically do.

이러한 원웨이 에어밸브(30)는 예를 들면 축구공에 에어를 불어넣을 때 사용하는 축구공에 부착된 밸브도 포함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고, 유체의 흐름 통로 상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의 일측에 일종의 막을 설치하여 이러한 막이 공기의 일방향 흐름에 대하여 개방되고 그 역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는 막히도록 하는 밸브 기구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Such a one-way air valve 30 may also include, for example, a valve attached to a soccer ball used for blowing air into a soccer bal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one- A check valve may also be included to allow flow. And, in a simpler configuration, a valve mechanism may be included which provides a membrane on one side of the air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such that the membrane is open to the one-way flow of air and clogs against the reverse flow.

* 그리고 이러한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이용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체크밸브 또는 일종의 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벌룬(B)의 공기유입공에 대하여 일정한 도구를 삽입함으로서 벌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flatable balloon B by using the one-way air valve 3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rating the one-way air valve 3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check valve or a kind of membran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balloon to the outside by inserting a certain tool into the air inflow hole of the balloon (B).

다른 형태의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밸브(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역방향의 공기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ven when another type of one-way air valve 30 is used, it is possible to make reverse air flow possible by operating such valve 30. [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의 외측에는 가이드부재(24)가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은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의 반구형 또는 부분적인 구상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4)는 실린더(10)의 넥부분(16)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24)는 상술한 인플랫터블 벌룬(B)이 정확한 방향으로 부풀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최초 에이밍시 배관의 입구부분에 밀착되는 것을 도와줄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24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flatable balloon B. 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member 24 may be form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or a partially spherical shape so as to cover the inflatable balloon (B). Such a guide member 24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neck portion 16 of the cylinder 10. Such a guide member 24 will guide the inflatable balloon B to inflate in a correc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help to adhere to the inlet portion of the piping at the time of the first aging.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를 플렉시블 재료로 성형하게 되면, 이러한 가이드부재(24)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가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면(42)에 밀착하도록 세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가이드부재(24)가 입구부분의 외측면(42)에 밀착되면 외기와의 차단효과도 더욱 배가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고, 보다 강한 압력을 배관 내부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f the guide member 24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guide member 24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guide member 2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42 of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as shown in Fig. When the guide member 2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42 of the inlet por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of blocking the outside air will be doubled, and it is expected that a stronger pressure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e.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의 다부를 배관 입구부분의 외측면(4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플렉시블하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부재(24)의 상부의 두께는 두껍게 성형하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얇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부재(24)의 단부를 보다 플렉시블하게 하여, 외측면(4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4)의 단부가 외측면에 대하여 기밀 상태로 밀착될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mold the guide member 24 more flexibly in order to bring the multi-part of the guide member 24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42 of the pipe inlet.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4 is thicken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24 more flexible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surface 42 by forming the lower portion relatively thinly.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guide member 24 can be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막힘 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면 트랩구조 등과 같은 배관의 내부가 막히게 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막힘 제거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벌룬(B)이 배관의 입구부분(40) 근처에 위치되도록 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logg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if the inside of the piping, such as the trap structure, is clogged, the user can use the clog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alloon B is positioned near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24)는 배관의 입구부분(40)에서, 변기 등의 노출 부분에 접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성형하여, 배관의 입구부분(40)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4)를 입구 부분(4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역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24 makes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toilet or the like, at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The guide member 24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inlet portion 40 of the pipe. It is natural that the guide member 2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40 to prevent backflow of water or the like.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조작(상하 운동)하게 되면, 피스톤(12)이 상하 운동하면서 피스톤(12)의 하부에 해당하는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의 공기가 압축되어 출구(14)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출구(14)를 나오는 공기는 원웨이 에어밸브(30)를 통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20 is operated (vertically moved), the air in the space inside the cylinder 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12 is compressed while the piston 12 moves up and down, . The air exiting the outlet 14 can then be introduced into the inflatable balloon B through the one-way air valve 30.

이러한 동작이 연속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이 부풀어 오르게 되고, 이렇게 부풀어 오르는 벌룬(B)은 상기 입구부분(40)에 접촉한 후 배관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B)이 입구부분(40)에 접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외기와 배관 내부는 기밀 상태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When the operation is continued, the inflatable balloon B substantially inflates, and the inflated balloon B contacts the inlet portion 40 and enters the pipe side. When the inflatable balloon 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let portion 40, it is natural that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of the pipe become substantially airtight.

이렇게 인플랫터블 벌룬(B)이 상기 입구부분(40)의 양측면에 접촉한 상태 이후에는 공기의 주입에 의하여 변형되는 벌룬(B)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팽창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관의 내부로 인플랫터블 벌룬(B)이 들어가게 되면, 실질적으로 배관 내부에 압력을 가하는 결과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After the inflatable balloon B is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inlet portion 40, the balloon B deformed by the injection of ai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that can expand Therefore, it enters the inside of the pipe. When the inflatable balloon (B) enters the inside of the pipe in this wa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sure is substantially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e.

이렇게 하여 충분한 압력이 배관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플랫터블 벌룬(B)이 충분히 팽창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잡고 상하로 요동운동을 하게 되면, 고압이 걸린 배관의 내부에서 요동에 의한 충격이 막힌 부분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벌룬(B)에 의하여 배관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 및 벌룬의 요동에 의한 충격이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에 전달되면 그 합력에 의하여 막힌 부분은 충분히 해소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is way, sufficient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pipe, and when the inflatable balloon (B) is sufficiently inflated and the handle (20) is gripped up and down by the swing motion, The shock caused by the rocking mo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logged portion. If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pipe by the balloon (B) and the impact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balloon are transmitted to the clogged part inside the pipe, the clogged part by the resultant force will be sufficiently eliminated.

그리고 이렇게 하여 배관 내부의 막힌 부분이 제거되면, 상기 벌룬(B)의 공기를 빼내는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실린더(10)를 상단 일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하고 피스톤(12)을 실린더에서 제거한 다음 원웨이 에어밸브(30)를 조작하여 벌룬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clogged portion inside the pipe is removed in this way,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air of the balloon B should proceed.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by various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cylinder 10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opened shape, the piston 12 removed from the cylinder, and then the one-way air valve 30 may be operated to draw air out of the balloon.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새로운 부분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a new portion will be described intensively.

도시한 실시예의 막힘 처리장치에 의하면, 실린더(10)의 중앙 하부에 연결되는 넥부분(16)을 별도로 성형할 수도 있고, 상기 실린더(10)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출구(14)가 형성되는 넥부분(16)의 하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17)을 일체로 성형하고 있고, 이러한 플랜지(17)를 통하여 가이드(24) 및 인플랫터블 벌룬(B)을 고정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BN)을 이용하여 플랜지(17), 가이드(24) 그리고 인플랫터블 벌룬(B)을 한번에 고정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clogging devic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neck portion 16 connect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er 10 can be formed separately, or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10. A radially extending flange 17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neck portion 16 in which the outlet 14 is formed and the guide 24 and the inflatable balloon B are inserted through the flange 17. [ The flange 17, the guide 24 and the inflatable balloon B are fixed at one time by using bolts and nuts BN,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22)의 내부를 통하여, 원웨이 에어밸브(30)의 공기 통과공(33)에 삽입될 수 있는 배기용 와이어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로드(22)의 상단부(34)는 손잡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스프링(36)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And an exhaust wire member 3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passage hole 33 of the one-way air valve 30 is provided through the inside of the piston rod 22.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piston rod 22 is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a spring 36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side the handle 20. [

상기 상단부(34)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로드(22)의 하단부가 인플랫터블 벌룬(B)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원웨이밸브(30)의 공기주입공(32)에 삽입되어, 역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용 와이어부재(32)가 통과하는 피스톤(12)의 하단부에는 패킹부재(38)가 설치되어 있어서, 압축되는 공기가 상기 와이어부재(32)가 설치된 부분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ston rod 22 is inserted into the air injection hole 32 of the one way valve 3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flatable balloon B to press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piston rod 22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The packing member 3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12 through which the exhaust wire member 32 passes so that the compressed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wire member 32 is installed Consists of.

본 발명에서의 원웨이 에어밸브(30)는 넥부분(16)의 상부측에 부착되어 있고, 인플랫터블 벌룬(B)는 넥부분(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피스톤(12)의 조작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축 공기는, 원웨이 에어밸브(30)를 경유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입구(Ba)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The one way air valv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neck portion 16 and the inflatable balloon B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6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ave. That is, the compressed air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piston 12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inflatable balloon B through the inlet Ba of the inflatable balloon B via the one-way air valve 3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질적인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피스톤(12)이 상하 운동하는 것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원웨이 에어밸브(30)를 경유하여 인플랫터블 벌룬(B)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벌룬(B)이 팽창함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의 막힌 부분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Even in the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actual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as the piston 12 moves upward and downward,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inflatable balloon B via the one-way air valve 30, and as the balloon B expands, So that the clogged portion of the pipe can be eliminated.

그리고 처리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배기용 와이어부재(32)의 상단부(34)를 누르게 되면, 하단부가 원웨이 클러치의 공기주입공을 통하여 진입하여 역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플랫터블 벌룬(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플랫터블 벌룬(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방법 또는 구조에는 다른 많은 구성이 있을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exhaust wire member 32 as the process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lower end portion enters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of the one-way clutch so that air can 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air inside the tumble balloon B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other configurations for the method or structure for extracting the air inside the inflatable balloon B to the outsid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랫터블 벌룬(B)을 팽창시키면서 배관의 입구부분 내측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배관 내부로 압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의 막힌 부분을 처리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ated balloon (B) is infla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 and the clogged portion of the pipe is treated by su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pipe. It is understood that it is the poi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0 ..... 실린더
12 ..... 피스톤
14 ..... 출구
16 ..... 넥부분
20 ..... 손잡이
22 ..... 피스톤로드
24 ..... 가이드부재
30 ..... 원웨이 에어밸브
32 ..... 배기용 와이어부재
34 ..... 상단부
36 ..... 스프링
38 ..... 패킹부재
40 ..... 배관의 입구 부분
A ..... 펌핑장치
B ..... 인플랫터블 벌룬
10 ..... cylinder
12 ..... Piston
Exit 14 .....
16 ..... neck part
20 ..... Handle
22 ..... Piston rod
24 ..... guide member
30 ..... one way air valve
32 ..... exhaust wire member
34 ..... upper part
36 ..... spring
38 ..... packing member
40 ..... inlet part of pipe
A ..... pumping device
B ..... inflatable balloon

Claims (3)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운동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서 상방으로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되어, 펌핑에 의하여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고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펌핑수단과;
상기 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펌핑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
상기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를 인플랫터블 벌룬으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원웨이 에어밸브; 그리고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의 외부를 감싸도록 반구형 또는 부분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펌핑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인플랫터블 벌룬을 보호함과 동시에 팽창 방향을 가이드하며, 배관의 입구부분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플렉시블 재질로 성형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핑수단에 의하여 팽창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은 막혀 있는 배관의 입구부분 내부로 팽창하여 배관의 입구부분을 기밀상태로 하며, 압축된 공기에 의한 인플랫터블 벌룬의 팽창에 의한 압력과 상기 펌핑수단의 요동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배관 내부의 막힘이 해소되는 배관 막힘 처리장치.
A pist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compresses the air by reciprocating motion, and a piston rod which is connected upwardly from the piston, and compresses the air by pumping Pumping means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can be discharged;
An inflatable balloon installed continuously to the outlet and being inflated by the pumped compressed air;
A one-way air valve installed at the outlet for supplying air compressed by the pumping means to the inflatable balloon and blocking air flow in a reverse direction; And
The inflatable balloon has a hemispherical shape or a partially spherica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flatable balloon. The inflatable balloon is coupled to the pumping means to protect the inflatable balloon and to guide the inflated balloon. The guide member being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being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deformed;
Wherein the inflatable balloon inflated by the pumping means expands into an inlet portion of the clogged pipe to make the inlet portion of the pipeline airtight and the pressure due to inflation of the inflatable balloon by the compressed air, The clogging of the inside of the pipe is eliminated by the external impact caused by the swinging motion of the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에어밸브의 역방향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인플랫터블 벌룬의 배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막힘 처리장치.
The clogg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exhausting means for an inflatable balloon for allowing reverse air flow of the one-way air valve.
삭제delete
KR1020140077470A 2014-06-24 2014-06-24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70A KR101533388B1 (en) 2014-06-24 2014-06-24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70A KR101533388B1 (en) 2014-06-24 2014-06-24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03A Division KR101455358B1 (en) 2014-03-25 2014-03-25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388B1 true KR101533388B1 (en) 2015-07-03

Family

ID=5378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3388B1 (en) 2014-06-24 2014-06-24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3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466A (en) * 2021-05-08 2021-09-03 华能陕西定边电力有限公司 Shallow water area glass steel photovoltaic operation and maintenance work platform
CN116036776A (en) * 2023-02-10 2023-05-02 广东标顶技术股份有限公司 Coarse barrel separating assembly of air compressor and application method of coarse barrel separating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415A (en) * 1989-09-06 1992-04-07 Guenther Rolf W Apparatus for removing blood clots from arteries and veins
US6286172B1 (en) * 1999-03-08 2001-09-11 Thomas A. Castagnoli Portable inflatable duct cleaning apparatus
KR20080106383A (en) * 2007-06-02 2008-12-05 백운 How to clean a tube using a ballo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2415A (en) * 1989-09-06 1992-04-07 Guenther Rolf W Apparatus for removing blood clots from arteries and veins
US6286172B1 (en) * 1999-03-08 2001-09-11 Thomas A. Castagnoli Portable inflatable duct cleaning apparatus
KR20080106383A (en) * 2007-06-02 2008-12-05 백운 How to clean a tube using a ballo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466A (en) * 2021-05-08 2021-09-03 华能陕西定边电力有限公司 Shallow water area glass steel photovoltaic operation and maintenance work platform
CN116036776A (en) * 2023-02-10 2023-05-02 广东标顶技术股份有限公司 Coarse barrel separating assembly of air compressor and application method of coarse barrel separat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58B1 (en)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JP5989836B2 (en) Piping blockage treatment equipment
KR101698380B1 (en)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JP2010522076A5 (en)
KR101533388B1 (en)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DE602008003525D1 (en)
RU2007127756A (en) METHOD AND WELL CLEANING SYSTEM
KR101370686B1 (en) Toilet compressor
JP6713045B2 (en) A device that facilitates the flow of a bolus between two small holes
KR20070009055A (en) Pneumatic Sewer Penetration Equipment
KR20170062823A (en) The cleaning apparatus for a chamber pot
KR101739888B1 (en) Break opening device for pipe blockage
KR101951845B1 (en) Device for removing pipe clogging
KR102437632B1 (en) Piping clogging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low and high pressure pumping
KR101647090B1 (en) Materials mixing apparatus
CN105555512A (en) Glazing panel repair
CN205444356U (en) Gas pipeline dredge
KR101535839B1 (en) Air supply apparatus for air massage
CN107432783A (en) Adjustable-pressure pessary
KR20090000848A (en) Pneumatic Condom
US747089A (en) Pipe-clearing apparatus.
KR20090109623A (en) Milking football
JP2004223194A (en) Nasal cavity washer
JP2004098395A (en) Bamboo materia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RU2683532C1 (en) Device for kneading of udder of large ca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6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6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