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169B1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1169B1 KR101531169B1 KR1020130112858A KR20130112858A KR101531169B1 KR 101531169 B1 KR101531169 B1 KR 101531169B1 KR 1020130112858 A KR1020130112858 A KR 1020130112858A KR 20130112858 A KR20130112858 A KR 20130112858A KR 101531169 B1 KR101531169 B1 KR 101531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pen
- dimensional
- user terminal
- vector information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3차원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그리기 기능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2차원 또는 3차원의 객체가 포함된 3차원 공간을 표시하는 단계;
전자펜의 몸체를 따라 진행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에서 획득된 3차원 공간의 깊이 방향에 대한 벡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3차원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의 접촉에 의한 2차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의 펜촉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펜의 몸체를 쓸어올리거나 또는 쓸어내리는 제스쳐에 따라서 상기 가상의 펜촉을 상기 3차원 공간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펜촉이 상기 객체에 맞닿으면, 상기 전자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벡터정보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객체를 상기 전자펜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익스트루드(extrude)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전자펜의 모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정보에 기초하여 단면적을 변경하면서 상기 객체를 익스트루드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자펜을 통한 입력과 상이한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3차원 공간의 뷰(view)를 제어하기 위한 3차원의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의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벡터정보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펜에 흡입되는 효과, 상기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는 효과, 상기 객체의 형상이 수축되거나 부풀어오르는 효과, 상기 객체의 부피가 증감되는 효과 또는 상기 전자펜에 사전에 흡입된 객체나 사전에 추출된 색상이 상기 전자펜의 가상의 펜촉으로부터 토출되는 효과를 실행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의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벡터정보가 상기 3차원 공간에서의 깊이가 증가하는 방향인 경우, 상기 전자펜의 가상의 펜촉을 상기 객체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의 펜촉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객체를 조각하는 효과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2차원 또는 3차원의 객체가 포함된 3차원 공간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전자펜의 몸체를 따라 진행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펜에서 획득된 3차원 공간의 깊이 방향에 대한 벡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3차원 그리기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펜의 접촉에 의한 2차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의 펜촉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펜을 쓸어올리거나 또는 쓸어내리는 제스쳐에 따라서 상기 가상의 펜촉을 상기 3차원 공간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의 펜촉이 상기 객체에 맞닿으면, 상기 전자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벡터정보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객체를 상기 전자펜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익스트루드(extrude)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전자펜의 모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션정보에 기초하여 단면적을 변경하면서 상기 객체를 익스트루드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펜을 통한 입력과 상이한 터치입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감지되면, 상기 3차원 공간의 뷰(view)를 제어하기 위한 3차원의 도구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벡터정보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펜에 흡입되는 효과, 상기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는 효과, 상기 객체의 형상이 수축되거나 부풀어오르는 효과, 상기 객체의 부피가 증감되는 효과 또는 상기 전자펜에 사전에 흡입된 객체나 사전에 추출된 색상이 상기 전자펜의 가상의 펜촉으로부터 토출되는 효과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벡터정보가 상기 3차원 공간에서의 깊이가 증가하는 방향인 경우, 상기 전자펜의 가상의 펜촉을 상기 객체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가상의 펜촉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객체를 조각하는 효과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를 이용하여 상기 벡터정보 또는 상기 전자펜의 물리적 움직임에 대한 모션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벡터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가속도, 회전각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스쳐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858A KR101531169B1 (ko) | 2013-09-23 | 2013-09-23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US14/494,279 US20150084936A1 (en) | 2013-09-23 | 2014-09-23 |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three-dimensional obj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858A KR101531169B1 (ko) | 2013-09-23 | 2013-09-23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3191A KR20150033191A (ko) | 2015-04-01 |
KR101531169B1 true KR101531169B1 (ko) | 2015-06-24 |
Family
ID=5269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2858A Active KR101531169B1 (ko) | 2013-09-23 | 2013-09-23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84936A1 (ko) |
KR (1) | KR1015311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090571A1 (en) * | 2015-09-29 | 2017-03-30 | General Electric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ultrasound images via a touchscreen |
WO2018071041A1 (en) | 2016-10-14 | 2018-04-1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Rebuilding three-dimensional models to provide simplified three-dimensional models |
US10915185B2 (en) | 2016-10-31 | 2021-02-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ilt angle of a digital pen |
US10095929B1 (en) * | 2018-03-07 | 2018-10-09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iew |
US10489653B2 (en) | 2018-03-07 | 2019-11-26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augmented reality view |
KR102185454B1 (ko) * | 2019-04-17 | 2020-12-02 | 한국과학기술원 | 3차원 스케치 방법 및 장치 |
US11733861B2 (en) * | 2020-11-20 | 2023-08-22 | Trimble Inc. | Interpreting inputs for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s from touchscreen interface gestures to improve user interface functionalit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9219A (ko) * | 2007-05-29 | 2010-03-16 | 라이브스크라이브, 인크. | 멀티모달 스마트펜 컴퓨팅 시스템 |
JP2012079328A (ja) * | 2004-10-12 | 2012-04-19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3次元ポインティング方法、3次元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3次元ポインティング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37937A (en) * | 1997-12-04 | 2000-03-14 | Nortel Networks Corporation |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
US8432365B2 (en) * | 2007-08-30 | 2013-04-30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hree-dimensional touchscreen |
KR20100041006A (ko) * | 2008-10-13 | 2010-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
KR101503835B1 (ko) * | 2008-10-13 | 2015-03-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US8232990B2 (en) * | 2010-01-05 | 2012-07-31 | Apple Inc. | Working with 3D objects |
US20120019449A1 (en) * | 2010-07-26 | 2012-01-26 | Atmel Corporation | Touch sensing on three dimensional objects |
US9389707B2 (en) * | 2011-10-28 | 2016-07-12 | Atmel Corporation | Active stylus with configurable touch sensor |
KR102096581B1 (ko) * | 2012-09-14 | 2020-05-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N103077633A (zh) * | 2013-01-11 | 2013-05-01 |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 一种立体虚拟培训系统和方法 |
-
2013
- 2013-09-23 KR KR1020130112858A patent/KR101531169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9-23 US US14/494,279 patent/US20150084936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79328A (ja) * | 2004-10-12 | 2012-04-19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3次元ポインティング方法、3次元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3次元ポインティングプログラム |
KR20100029219A (ko) * | 2007-05-29 | 2010-03-16 | 라이브스크라이브, 인크. | 멀티모달 스마트펜 컴퓨팅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3191A (ko) | 2015-04-01 |
US20150084936A1 (en) | 2015-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1169B1 (ko) | 사용자 단말에서 3차원 객체를 그리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 |
EP4530701A2 (en) | Beacons for localization and content delivery to wearable devices | |
US10401964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 |
AU2014200250B2 (en) |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in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 |
KR102051418B1 (ko) |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 |
RU2559720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ввод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аемой информацией | |
US2015025385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feedback | |
KR20140126129A (ko) |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
CN103369130B (zh) |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 |
US951451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 |
CN110476142A (zh) | 虚拟对象用户界面显示 | |
EP308899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actile guidance | |
EP2738651A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15720B1 (ko) |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40108010A (ko) | 입력 유닛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 및 그 방법 | |
US1042299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EP343521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 |
EP3151104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180010845A (ko) | Hmd 및 그 hmd의 제어 방법 | |
KR20140038854A (ko) |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
KR20160053597A (ko) | 디바이스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그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