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517B1 -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0517B1 KR101530517B1 KR1020140017438A KR20140017438A KR101530517B1 KR 101530517 B1 KR101530517 B1 KR 101530517B1 KR 1020140017438 A KR1020140017438 A KR 1020140017438A KR 20140017438 A KR20140017438 A KR 20140017438A KR 101530517 B1 KR101530517 B1 KR 101530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
- mode
- photographing
- moving
- shoo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과,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며,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와,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와,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동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감지된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ensing a touch of a user, an operation of a camera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generating a photographing icon, An ope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a mode and a second operation for moving a position of the image pick-up icon;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 mode to an icon moving mod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icon, and a controller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촬영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터치 패널 상에서 변경 시킬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shooting icon of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shooting function of shooting a subject with a camera module and a camera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 shooting icon for receiving an input on a touch panel, and a method of adjusting a shooting icon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모바일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에 따라, 종래의 음성통화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나아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mobile processors and memories, user terminals have been able to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conventional voice call or tex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s.
또한, 최근의 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위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의 구동 및 제어를 담당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패널 상에 카메라 모듈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일정한 촬영 아이콘을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의 촬영 아이콘을 터치 하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a recent user terminal can perform a function of a digital camera. To this end,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camera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d driving the camera module are required. When a camera application is executed,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of the touch panel, and a certain image capture icon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Thereafter, when the user touches the photographing icon on the touch panel, the image is photographed.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된 카메라를 통해, 터치 패널을 보면서 자신 또는 자신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해 촬영 아이콘을 선택해야만 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를 파지한 방향에 따라 손가락으로 촬영 아이콘의 선택이 힘든 경우가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선택하는 순간에 단말기가 움직여 이미지 흔들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user can photograph the user himself or herself while watching the touch panel through a camer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ser must select the photographing icon using the finger while holding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select a photographing icon with a fing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gripped. Accordingly, the terminal may move at the moment of selecting the photographing icon, resulting in image blurr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 시 편의를 제고하고자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photographing the imag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촬영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을 위한 동작 및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감지하여,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촬영 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photographing icon on a touch panel by detecting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The user terminal is able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photographing,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며,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동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감지된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comprising: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ensing a user's touch;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application that performs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creating and displaying a photographing icon on the touch panel; An ope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a mode and a second operation for moving a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 mode to an icon moving mode for moving the shooting icon in a shooting mode for performing a shooting func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여기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 모드로 모드를 전환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촬영 아이콘의 선택 시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mode switching unit switches the mode to the photographing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and the controller fixes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in the photograph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erform shooting at the time of shooting.
여기서, 상기 제1동작은, 상기 터치패널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peration may include a touch operation with respect to one area of the touch panel, and the oper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touch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touch operation.
여기서, 상기 제1동작은, 단말기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pera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by touch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the oper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sound sensing unit sensing the sound.
여기서, 상기 제2동작은, 단말기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ilt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oper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tilt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tilt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2동작은, 상기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one area of the touch panel.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아이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샐힝하고,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는 단계; 촬영 모드에서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제1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촬영 아이콘의 선 시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djusting an icon of a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camera application on a touch panel; Detecting a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a mode in a shooting mode; Switching to an icon moving mod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icon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Sensing a second a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shooting icon in the icon moving mode; Mov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Switching to the photographing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in the photographing mode and performing a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ing icon.
여기서, 상기 제1동작은, 상기 터치패널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단말기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operation may include a touch operation for one area of the touch panel, or an operation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by touch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2동작은, 상기 단말기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ny one of an operation of tilt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r an operation of mov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one area of the touch panel.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촬영 기능 수행 시, 모드 전환을 위한 동작 및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감지하여,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촬영 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performs the photographing function, the operation for switching the mode and the operation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icon are detected,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to the desired position on the touch panel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shooting icon of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in shoo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사용자 단말기의 기울기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이동 시키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이동 시키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촬영 아이콘 이동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relat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photographing icon is moved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user terminal.
FIGS. 3A and 3B relate to an embodiment in which a photographing icon is mov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move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captured ic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extending t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 addition to the append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2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 모드 전환부(140), 제어부(150), 동작 감지부(160)를 포함하며, 동작 감지부(160)는 터치 감지부(162), 사운드 감지부(164), 기울기 감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실시 형태에 따라 그 일부가 생략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The
사용자 단말기(100)는 공지의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를 구현할 수 있다.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랜(Wireless LAN) 등 공지의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사용자 단말기(100)의 각 하드웨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외면에 마련된 하드키(미도시) 등 공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the
카메라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렌즈(미도시)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구성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터치 패널(120)이 구비된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터치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패널(1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공지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20)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손가락 또는 물체의 일부를 접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설치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터치 패널(120) 상에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소정의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 패널(120) 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촬영 아이콘은 통상의 카메라의 셔터(shutter)로써 기능하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The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는 그 외에 이미지의 촬영, 편집, 기타 설정 등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핵심적인 특징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30)의 기능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mobile application processor)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모드 조정부 및 제어부(150)와 하나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모드 전환부(14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모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아이콘 이동 모드 및 설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을 감지하여 모드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The
촬영 모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촬영 모드에서 촬영 아이콘은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상위 레이어로써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표시되며, 촬영 아이콘의 위치는 고정된 채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용한다.The photographing mode means a mode in which a photograph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camera application. The photographing icon in the photographing mode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아이콘 이동 모드는 터치 패널(120) 상에서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드이다.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는 촬영 아이콘을 터치 하여도 촬영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며, 후술할 동작 감지부(1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터치 패널(120) 상의 일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icon mov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can be moved on the
설정 모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줌, 밝기, 해상도 조절 등 통상적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에 해당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동작 및 제2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도 제공할 수 있다.The setting mode corresponds to a mode for setting a normal function such as zoom, brightness, and resolution adjustment of the camera application, and may also provide a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s described later.
동작 감지부(16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조작 및 촬영 아이콘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동작은 제1동작 및 제2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작 감지부(160)의 감지 결과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에 있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동작 감지부(1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162), 사운드 감지부(164) 및 기울기 감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동작은 촬영 모드 및 아이콘 이동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한 동작으로 정의된다. 즉, 촬영 모드 상태에서 동작 감지부(160)가 제1동작을 감지하면 이를 모드 전환부(140)에 전달하고 모드 전환부(140)는 모드를 촬영 모드에서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반대로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제1동작을 감지하면 다시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is defined as an operation for switching between a shooting mode and an icon moving mode. That is, when the
제1동작의 예로써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에서 터치 패널(120) 상에 표시된 촬영 아이콘 또는 기타 표시된 아이콘을 제외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제1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감지부(160)는 터치 패널(120) 상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터치 감지부(162)는 정전용량의 변화값을 통해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 방식 및 전극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정압 방식 등 공지의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irst operation, it may include a touch operation for one area of the
제1동작의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외면은 전면의 터치 패널(120)과 측면 및 후면의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패널(120)의 외곽은 유리가 배치되고 케이스는 합성수지와 같이 단단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외면을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경우, 일정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operation,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by touch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감지부(164)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외면의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사운드의 패턴을 저장하고, 패턴이 유사한 사운드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제1동작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사용자의 음성 등 다른 사운드를 제1동작으로 설정해 두고, 사운드 감지부(164)가 설정된 사운드를 감지하는 경우, 제1동작으로 인식하여 모드 전환부(140)는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상기에서 설명한 이외에, 제1동작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적 구성, 제조 시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first operation may be variously defined according to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제1동작을 감지하여 아이콘 이동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촬영 아이콘 이외의 다른 아이콘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텍스트 또는 아이콘이 소정 시간동안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con moving mode by detecting the first operation, icons other than the shooting icon may be removed, and a text or icon indicating that the mode is switched may be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이하에서는 촬영 아이콘의 이동을 위한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제어부(150)는 아이콘 이동 모드가 설정된 경우, 동작 감지부(160)에 의해 제2동작이 감지되면, 제2동작에 기초하여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킨다.When the icon movement mode is set, the
제2동작의 일 예로써,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모드에서는 촬영 아이콘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며,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된 직후에도 촬영 아이콘은 기존 위치 상에 유지된다. 이 때, 사용자가 왼손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며, 촬영 아이콘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좌측을 하측 방향으로, 우측을 상측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촬영 아이콘은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second operation,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ilting the
이를 위해, 동작 감지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66)는 공지의 중력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가 기울어지는 각도 및 각속도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다른 실시예로써, 제2동작은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촬영 아이콘의 위치에서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때, 터치 감지부(162)는 터치 패널(12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감지 결과에 따라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area of the
상기에서는 모드가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2동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기울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후면을 손톱으로 터치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경우와 같이, 모드 전환부(140)는 제2동작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아이콘 이동 모드로 변환하고, 제어부(150)는 감지된 제2동작에 대응하는 아이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operation is detected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icon movement mode.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user tilts the
한편, 동작 감지부(160)는 촬영 모드 또는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설정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3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촬영 모드 또는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줌, 밝기, 해상도 조절 등 통상적인 기능을 설정하거나, 제1동작 및 제2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을 터치 패널(120)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3동작은 상기 아이콘을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설정 모드로 전환하면, 제1동작 및 제2동작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제1동작을 상기에서 설명한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 등 다양한 조작 방법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동작을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또는 터치 패널(120)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등 다양한 조작 방법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setting mode, a menu for setting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perform the first operation by touching the one area of the
한편, 모드 전환부(140)는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다시 제1동작이 감지되면, 촬영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촬영 모드에서 이동된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촬영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이미지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again in the icon moving mode, the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촬영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여 정확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n icon 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공지의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10) 및 카메라 모듈(11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A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 이 때, 카메라 모듈을 인에이블 하여 카메라 모듈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를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고, 소정의 촬영 아이콘을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한다(S12). The
사용자 단말기(100)는 촬영 모드 및 아이콘 이동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한 제1동작이 감지되면(S13), 모드를 촬영 모드에서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한다(S1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동작은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한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적 구성, 제조 시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between the photographing mode and the icon moving mode is sensed (S13), the
아이콘 이동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2동작이 감지되는 경우(S15),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동작에 따라 터치 패널 상에서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 시킨다(S16). 앞서 도 2a 및 2b와 3a 및 3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동작은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또는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적 구성, 제조 시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If the second operation is detected while the icon moving mode is set (S15), the
사용자 단말기(100)는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제1동작이 다시 감지되면(S17), 촬영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다(S18). 이 때, 촬영 아이콘은 앞서 제2동작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 고정시켜 표시된다.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again in the icon moving mode (S17), the
이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S19), 이미지를 촬영한다(S20).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photographing icon (S19), th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icon positio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조정 방법에 따르면,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촬영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여 정확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icon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the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shooting icon are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shooting icon to perform accurate image shooting.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촬영 아이콘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아이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여 정확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the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icon are detected, and the photographing icon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in the icon moving mo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recise image photographing. As a result, beyond the limit of the existing technology, not only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operating the applicable device is sufficient, This is an invention that is likely to be used in industry.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카메라 모듈
120: 터치 패널 1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40: 모드 전환부 150: 제어부
160: 동작 감지부 162: 터치 감지부
164: 사운드 감지부 166: 기울기 감지부100: user terminal 110: camera module
120: touch panel 130: application execution unit
140: Mode switching unit 150:
160: motion detection unit 162: touch sensing unit
164: sound detection unit 166: tilt detection unit
Claims (9)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촬영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며,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 및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동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감지된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되,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어 상기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이동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촬영 아이콘의 선택 시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단말기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 terminal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ensing a user's touch;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application that performs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creating and displaying a photographing icon on the touch panel;
An ope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a mode and a second operation for moving a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a mode to an icon moving mode for moving the shooting icon in a shooting mode for performing a shooting func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And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detected in the icon movement mode, and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icon movement mode and is switched to the photographing mo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hooting icon to be fixed and performing shooting when the shooting icon is selected,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one of an operation of tilt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operation of mov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area of the touch panel.
상기 제1동작은,
상기 터치패널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mprises:
And a touch operation for one area of the touch panel,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unit comprises:
And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ouch operation.
상기 제1동작은,
단말기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mprises: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by touch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unit comprises:
And a soun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ound.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unit comprises:
And a tilt sensing unit for sensing a tilt of the terminal.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촬영 아이콘을 생성하여 터치 패널 상에 표시하는 단계;
촬영 모드에서 모드 전환을 위한 제1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2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아이콘 이동 모드에서 상기 제1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제2동작에 따라 이동된 상기 촬영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촬영 아이콘의 선택 시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단말기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 및 상기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adjusting an icon of a terminal,
Executing a camera application, creating a photographing icon and displaying it on a touch panel;
Detecting a first operation for switching a mode in a shooting mode;
Switching to an icon moving mode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icon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Sensing a second a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shooting icon in the icon moving mode;
Mov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Switching to the photographing mode when the first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icon moving mode;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icon moved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in the photographing mode and performing photographing when the photographing icon is selected,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Wherein the touch panel includes one of a tilt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operation of moving th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area of the touch panel.
상기 제1동작은,
상기 터치패널의 일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 또는 단말기의 외면 중 일부를 터치하여 소정의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mprises:
And touching one area of the touch panel or touch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438A KR101530517B1 (en) | 2014-02-14 | 2014-02-14 |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438A KR101530517B1 (en) | 2014-02-14 | 2014-02-14 |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0517B1 true KR101530517B1 (en) | 2015-06-24 |
Family
ID=5351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74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0517B1 (en) | 2014-02-14 | 2014-02-14 |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051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292A1 (en) * | 2017-03-28 | 2018-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164234A (en) * | 2021-05-14 | 2023-12-01 |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for page display for applications |
US20240244314A1 (en) * | 2021-12-31 | 2024-07-18 | Honor Device Co., Ltd.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248A (en) * | 2009-01-30 | 2010-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employing the same |
-
2014
- 2014-02-14 KR KR1020140017438A patent/KR1015305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248A (en) * | 2009-01-30 | 2010-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employing the sam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82292A1 (en) * | 2017-03-28 | 2018-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80109439A (en) * | 2017-03-28 | 2018-10-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110462572A (en) * | 2017-03-28 | 2019-11-15 | 三星电子株式会社 | Electronic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361885B1 (en) * | 2017-03-28 | 2022-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110462572B (en) * | 2017-03-28 | 2023-03-14 | 三星电子株式会社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164234A (en) * | 2021-05-14 | 2023-12-01 |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s,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for page display for applications |
US12069349B2 (en) | 2021-05-14 | 2024-08-20 | Beijing Zitiao Network Technology Co., Ltd. |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of page display for application |
KR102735294B1 (en) * | 2021-05-14 | 2024-11-28 | 베이징 지티아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displaying pages for applications |
US20240244314A1 (en) * | 2021-12-31 | 2024-07-18 | Honor Device Co., Ltd. |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3725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2194272B1 (en) | Enhancing touch inputs with gestures | |
US10165189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3973986B (en) | A kind of focusing and its Shot change method based on mobile terminal camera | |
EP3518526B1 (en) |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apturing image using the same | |
US9606718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469393A2 (en) |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 |
US20130169573A1 (en) |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
US20180324351A1 (en) |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JP2013105272A (en) |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US20160224179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1971982B1 (en) | Apparatus capable of sensing touch and touch press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3048389A (en) | Electronic device, camera control program thereof, and camera control method | |
US20170104922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006243A (en) | Manual focusing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terminal | |
CN106796484B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30517B1 (en) | User terminal performable shooting func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hooting icon of the user terminal | |
JP2019016299A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operation member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JP2021033539A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CN107111860B (en) |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2642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on mobile device | |
JP7413546B2 (en) | Photography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11245835B2 (en) | Electronic device | |
JP2020017215A (en) |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JP2017134632A (en) |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