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30072B1 - 센싱장치 - Google Patents

센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072B1
KR101530072B1 KR1020140058763A KR20140058763A KR101530072B1 KR 101530072 B1 KR101530072 B1 KR 101530072B1 KR 1020140058763 A KR1020140058763 A KR 1020140058763A KR 20140058763 A KR20140058763 A KR 20140058763A KR 101530072 B1 KR101530072 B1 KR 10153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clip member
terminal
conca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05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0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부재에 연결되는 단자를 일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해 설치홀을 통공한 바디, 이 바디에 접한 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이 연성회로기판을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한 채 바디에 결속되는 클립부재, 및 이 클립부재에 통공되어 연성회로기판과 단자의 연결부위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연성회로기판을 납땜으로 솔더링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해 클립부재를 바디에 결속하고, 클립부재에 홀을 통공하여 솔더링 부위의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장치{SENSING UNIT}
본 발명은 센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연성회로기판을 납땜으로 솔더링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해 클립부재를 바디에 결속하고, 클립부재에 홀을 통공하여 솔더링 부위의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센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의 커넥터부재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도록 형성된 외부전원 커넥터와, 이 외부전원 커넥터에서 여러 가닥의 전선으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 하네스와, 여러 가닥의 전선 중 일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다섯 개의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와 각각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연결된 압력조절부 커넥터와, 일부 전선의 끝단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Various Force Solenoid valve, VFS)와 접속되는 가변제어 커넥터와, 나머지 전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변속기 하우징 내부 작동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온센서(Oil Temperature Sensor, OTS)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유온센서는 수지제 센서 하우징을 내외부로 관통하는 복수 라인의 전기 접속 단자를 조립하고, 각 전기 접속 단자를 회로기판에 납땜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764호(등록일 : 2003.09.03.)인 "자동변속기의 센서부"가 제안되었다.
기존의 유온센서는 단자에 납땜 처리되는 회로기판이 센서 하우징에 밀착되지 못하고, 차량의 운행 중 진동에 의해 단자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연성회로기판을 납땜으로 솔더링하여 안정적으로 통전 유도하고자 하는 센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립부재를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시켜 연성회로기판을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고자 하는 센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립부재에 홀을 통공하여 솔더링 부위의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자 하는 센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싱장치는:
센서부재에 연결되는 단자를 일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해 설치홀을 통공한 바디; 상기 바디에 접한 채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한 채 상기 바디에 결속되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에 통공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단자의 연결부위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 및 상기 리브에 구비되는 걸림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인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통공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클립부재의 슬립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제 1요철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제 1요철부재에 연속되게 면접되도록 제 2요철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싱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바디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단자와 연성회로기판을 납땜으로 솔더링하여 안정적으로 통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립부재를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시켜 연성회로기판을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립부재에 홀을 통공하여 솔더링 부위의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바디로부터 클립을 분리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싱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바디로부터 클립을 분리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장치는 바디(100), 연성회로기판(200), 클립부재(300) 및 확인홀부(4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센서부재(10)를 장착하고, 센서부재(10)와 연결되는 단자(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바디(10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바디(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센서부재(10)는 차량의 속도나, 변속기 오일의 유온이나 유량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센서부재(10)는 바디(10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센서부재(10)는 리드선(20)을 연장하고, 리드선(20)은 단자(30)를 구비한다. 이때, 단자(30)는 바디(100)의 상측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내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바디(100)는 상,하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110)을 구비한다. 설치홀(110) 내측에는 리드선(20)과 단자(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충진재(도시하지 않음)를 충진할 수 있다.
한편, 연성회로기판(200)은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재(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차량의 전장품(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성회로기판(200)은 바디(1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접한 채 단자(30)와 솔더링(soldering)된다. 이때, 연성회로기판(200)은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차량의 주행 중 진동을 감쇄시키거나 완충할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클립부재(300)는 연성회로기판(200)을 바디(100)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클립부재(300)는 연성회로기판(200)을 바디(100)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연성회로기판(200)을 가압한 채 바디(100)에 결속된다.
더욱 상세히, 클립부재(300)는 플레이트(310), 리브(320) 및 걸림돌부(3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10)는 연성회로기판(200)을 바디(100)의 상측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플레이트(310)는 연성회로기판(200)과의 면접촉되도록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플레이트(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리브(320)는 플레이트(310)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리브(320)는 플레이트(310)의 일측으로 복수 개 연장되고, 플레이트(310)의 타측으로 복수 개 연장된다. 아울러, 리브(320)는 바디(100)의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리브(320) 각각은 바디(100)의 둘레면을 향하는 내측으로 걸림돌부(330)를 돌출 형성한다.
한편, 바디(100)는 둘레면에 걸림턱부(120)를 형성한다. 걸림턱부(120)는 걸림돌부(330)가 걸려 구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클립부재(300)는 바디(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이때, 클립부재(300)가 평면상 바디(100)의 상측에서 슬립 이동되거나, 리브(320)가 차량의 주행 중 진동에 의해 흔들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클립부재(300)의 플레이트(310)와 면접촉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200)이 움직임으로써, 연성회로기판(200)과 단자(30)의 솔더링 부위가 불량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100)는 클립부재(300)의 슬립 이탈 방지 및 리브(320)의 흔들림 방지를 위해 스토퍼(130)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스토퍼(130)는 리브(320)가 접촉하고 있는 바디(1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스토퍼(130)는 리브(32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클립부재(300)는 바디(100)에 위치 고정되고, 흔들림 방지된다.
물론, 스토퍼(13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클립부재(300)는 연성회로기판(200)과 단자(30)의 연결부위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확인홀부(400)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플레이트(310)는 연성회로기판(200)과 단자(30)의 연결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홀부(400)를 통공한다. 이때, 확인홀부(400)의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확인홀부(40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창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200)은 바디(100)와 플레이트(310) 사이에서 더욱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예로서, 바디(100)는 제 1요철부재(510)를 형성하고, 클립부재(300)는 제 1요철부재(510)에 연속되게 면접되도록 제 2요철부재(520)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히, 바디(100)는 상면에 제 1요철부재(510)를 형성하고, 플레이트(310)는 제 1요철부재(510)에 대응되게 제 2요철부재(520)를 형성한다. 그래서, 클립부재(300)가 바디(100)에 결속시, 제 1요철부재(510)와 제 2요철부재(520)는 물결 파형 궤적을 따라 연속되게 면접된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200)이 제 1요철부재(510)와 제 2요철부재(520) 사이에 위치하여 더욱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물론, 제 1요철부재(510)와 제 2요철부재(5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바디(100)의 제 1요철부재(510) 형성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부재 20: 리드선
30: 단자 100: 바디
110: 설치홀 120: 걸림턱부
130: 스토퍼 200: 연성회로기판
300: 클립부재 310: 플레이트
320: 리브 330: 걸림돌부
400: 확인홀부 510,520: 제 1,2요철부재

Claims (5)

  1. 센서부재에 연결되는 단자를 일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해 설치홀을 통공한 바디;
    상기 바디에 접한 채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한 채 상기 바디에 결속되는 클립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에 통공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단자의 연결부위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상기 바디에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브; 및
    상기 리브에 구비되는 걸림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클립부재의 슬립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 1요철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제 1요철부재에 연속되게 면접되도록 제 2요철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장치.
KR1020140058763A 2014-05-16 2014-05-16 센싱장치 Active KR10153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63A KR101530072B1 (ko) 2014-05-16 2014-05-16 센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763A KR101530072B1 (ko) 2014-05-16 2014-05-16 센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072B1 true KR101530072B1 (ko) 2015-06-18

Family

ID=5351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763A Active KR101530072B1 (ko) 2014-05-16 2014-05-16 센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0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976A (ja) * 2003-08-29 2005-04-14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圧力センサ装置
JP2008536131A (ja) * 2005-04-12 2008-09-04 シトリニック ゲス フュール エレクトロテクニッシュ オウスルゥスタング エム ベー 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 ゲー 温度測定用センサ装置
KR20110049214A (ko) * 2009-11-04 2011-05-12 주식회사 경신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KR101385611B1 (ko) * 2012-10-12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유온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8976A (ja) * 2003-08-29 2005-04-14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圧力センサ装置
JP2008536131A (ja) * 2005-04-12 2008-09-04 シトリニック ゲス フュール エレクトロテクニッシュ オウスルゥスタング エム ベー 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 ゲー 温度測定用センサ装置
KR20110049214A (ko) * 2009-11-04 2011-05-12 주식회사 경신 전선 테이핑 장치용 테이핑휠
KR101385611B1 (ko) * 2012-10-12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유온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696B1 (ko)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 소자, 접착 소자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기판
US9711876B2 (en) Clamping spring
JP6466931B2 (ja) 導電体との接触のための端子
US9466897B1 (en) Double-wire terminal block structure
JP3200755U (ja) 接触状態においてケーブル導体を受け入れる装置
EP3425738B1 (en) Connector
US9543674B2 (en) Electronic unit, in particular capacitive proximity sensor
CN108574151B (zh) 将电气部件安装在印刷电路板上的安装辅助件及安装方法
CN104518300B (zh) 电子电路装置
KR101530072B1 (ko) 센싱장치
JP2019016453A (ja) 回路装置
WO2011013163A1 (ja) 端子板回路
JP6033164B2 (ja) 端子、電子制御装置
CN201290200Y (zh) 无铅和无焊接电路
JP2013161541A (ja) 接続端子
US9219337B2 (en) Jumper and jumper terminal arrangement
KR20130014213A (ko)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JP2019050231A (ja)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6712435B2 (ja) 電気部品
US7431885B2 (en) Measuring device for the amperometric measurement of test strips
TWI638488B (zh) 連接器及電纜線束
WO2011125124A1 (ja) 端子板回路
JP6521775B2 (ja) ケーブル固定構造
CN207691038U (zh) 抽吸部件、插拔连接件和电路板组件
WO2012057304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