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9225B1 -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 Google Patents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25B1
KR101529225B1 KR1020140085991A KR20140085991A KR101529225B1 KR 101529225 B1 KR101529225 B1 KR 101529225B1 KR 1020140085991 A KR1020140085991 A KR 1020140085991A KR 20140085991 A KR20140085991 A KR 20140085991A KR 101529225 B1 KR101529225 B1 KR 10152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fan
filter unit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제로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제로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제로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8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팬유니트(10), 배터리유니트(20), 제1필터유니트(30), 제2필터유니트(40), 제습유니트(50), 프리필터유니트(60) 및 노즐유니트(7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필터유니트(30), 제2필터유니트(40), 제습유니트(50), 프리필터유니트(60) 및 노즐유니트(7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유니트(30)는 공기중의 미립자를 제거하고, 상기 제2필터유니트(40)는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고, 상기 제습유니트(50)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는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유니트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좋아지고, 공기청정기의 사용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 selection type portable air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unit 10, a battery unit 20, a first filter unit 30, a second filter unit 40, a dehumidifying unit 50, a prefilter unit 60 and a nozzle unit 70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ter unit 30, the second filter unit 40, the dehumidifying unit 50, the pre-filter unit 60, and the nozzle unit 70 may be selected and used in combination . Wherein the first filter unit (30) removes particulate matter in the air, the second filter unit (40) removes odors in the air, the dehumidifying unit (50) absorbs moisture in the air, The pre-filter unit 60 remove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necessary units can be selected and used, the portability is improved and only necessary functions can be used in the use environment of the air cleaner,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unit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Description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본 발명은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sel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산업화와 도시화가 된 지역은 공기의 질이 악화되어 사람들이 살기에 매우 좋지 않은 환경이다. 공기청정기가 사용되고는 있지만, 주로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두고 해당되는 공간의 공기에 대해서만 청정을 수행하고 있다.Areas that have become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are poor environments for people to live because their air quality deteriorates. Although an air purifier is used, an air purifier is mainly installed in the room, and cleaning is performed only on the air in the corresponding space.

하지만, 외부에서의 활동이 많은 사람이나, 이동이 많은 사람의 경우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수 없어 먼지가 많거나 오염된 공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면 호흡기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어 건강을 위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ir cleaners can not be used for people who have a lot of activities outside, or people who have a lot of movement, and are exposed to dusty or polluted air. Exposure to such contaminated air can adversely affect the respiratory system, posing a risk to health.

한편, 공기는 해당되는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건조한 지역에서는 먼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공기중에 다양한 악취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has variou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corresponding region. For example, a dry area contains a lot of dust and a lot of water contains a lot of water. In addition, the air contains various odors.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공기를 청정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필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들을 채용하게 되면 공기청정기의 크기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order to clean the air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various filters should be used. However, if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are employed, the size of the air cleaner becomes larg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623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623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608호Korean Patent No. 10-12426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air purifier with a function selection function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functions and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하기에 좋은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hich is portab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팬하우징 내부의 유로공간에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유니트와,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배터리하우징 내부의 유로공간에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지는 프리필터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니트와 팬유니트의 사이에는 필터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필터유니트와 제습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습유니트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n unit comprising: a fan unit having a drive source installed in a flow path space inside a fan housing and provided with a drive fa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A battery unit installed in a flow path space inside the battery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an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source; and a battery unit disposed in an up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driving fan, A filter unit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housing and a dehumidifying unit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ehumidifying housing are disposed between the pre-filter unit and the fan unit And can be detachably installed.

상기 필터유니트는 공기중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제1필터유니트와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유니트이다.The filter unit is a first filter unit for removing particulates in the air and a second filter unit for removing odors in the air.

상기 배터리유니트에서 공기 흐름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단부에는 노즐유니트가 더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한다.A nozzle unit is further provided at an end of the battery unit corresponding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to regulate the air flow rate a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상기 노즐유니트에서 공기 흐름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단부에는 단부분사구가 있고, 상기 단부분사구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노즐유니트의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단부분사구가 댐퍼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측면분사구가 형성된다.Wherein the nozzle unit has an end jet opening at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and a damper is installed in the end ejection opening to regulate the amount of air to be discharged and the end nozz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unit by a damper And a side j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 a closed state is formed.

상기 노즐유니트의 내부에는 음이온발생기가 더 설치된다.An anion generator is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nozzle unit.

상기 팬유니트, 배터리유니트, 프리필터유니트, 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 및 노즐유니트 사이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 fan unit, the battery unit, the pre-filter unit, the filter unit, the dehumidifying unit, and the nozzle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emale thread portion and a male thread portion.

상기 팬유니트, 배터리유니트, 프리필터유니트, 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 및 노즐유니트 사이는 제1걸이리브가 내면을 둘러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걸이구와 제2걸이리브가 외면을 둘러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걸이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A first hooking rib and a second hooking rib are formed between the fan unit, the battery unit, the pre-filter unit, the filter unit, the dehumidifying unit, and the nozzle unit,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ok.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의 유로공간에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유니트와, 상기 팬유니트와 결합되고 내부의 유로공간에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지는 프리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미립자를 걸러주는 제1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냄새를 걸러주는 제2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니트, 제1필터유니트, 제2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팬유니트 및 배터리유니트와 조립되어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면서 공기를 청정하게 만든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an unit having a drive source installed in an internal flow path space and provided with a drive fa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to make a flow of air;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source, the battery unit being disposed in an upstream portion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passing through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 first filter unit position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to filter the fine particles mixed with air while passing through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Which is located upstream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a dehumidifying unit located upstream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removing moisture mixed in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t least one of the pre-filter unit,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is selected and assembled with the fan unit and the battery unit, thereby forming a flow path of the air to clean the air.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하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배출되는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노즐유니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노즐유니트에는 음이온발생기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한다.
And a nozzle unit disposed down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iving fan.
An an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nozzle unit to provide negative ions to the discharged air.

본 발명에 의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function selection type portab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공기청정기를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수개의 유니트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유니트들을 결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활동하는 영역의 환경에 맞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기청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air clean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nd the user can purify the air by combining the units having necessary functions. Therefor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leaning function suitable for the user.

본 발명에서는 공기청정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니트들을 차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공기청정기가 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므로 각각의 유니트의 직경을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편리한 길이로 만들게 되면 휴대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units constituting the air purifier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be usable. Accordingly, since the air cleaner is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if the diameter of each unit is made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e portability is enhan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공기청정기의 모든 기능을 다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들만을 사용하게 되면 공기청정기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므로 휴대성이 더욱 좋아지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uses only necessary functions without using all the functions of the air cleaner, the length of the air cleaner can be relatively reduced, and the portability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팬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배터리유니트의 종단면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배터리유니트의 횡단면을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노즐유니트의 종단면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노즐유니트를 구성하는 가동판과 연동바의 구성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댐퍼를 구성하는 고정판과 가동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습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필터유니트와 제습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필터유니트와 제습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노즐유니트, 제2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노즐유니트, 제1필터유니트, 제2필터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필터유니트, 제2필터유니트 그리고 제습유니트를 삭제한 경우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유니트들 사이의 결합을 위한 다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nction selection type portab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a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batter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battery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nozzl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able plate and an interlocking bar constituting a nozzle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constituting a damp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use state showing the case where the dehumidifying unit is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FIG. 10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are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FIG. 1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are remo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FIG. 12 is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are remo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zzle unit,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second filter unit are remo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FIG. 1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are remov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unit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형 공기청정기에서는 팬유니트(10)를 구비하여, 공기의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팬유니트(10)의 외관을 팬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팬하우징(12)은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팬하우징(12)의 외관이 반드시 원통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팬하우징(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공간(12')이 원통형상으로 되면 된다. 즉, 상기 팬하우징(12)의 외면은 원통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ortabl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unit 1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air flow. A fan housing (1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an unit (10). The fan housing 12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course, the appearance of the fan housing 1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ylindrical. The flow path space 12 'formed inside the fan housing 1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팬하우징(12)의 유로공간(12') 내에는 지지레그(14)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4)는 상기 팬하우징(12)의 내면에서 시작해서 팬하우징(12)의 유로공간(12')의 횡단면영역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지지레그(14)는 최소 2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14)의 선단에는 장착구(16)가 있다. 상기 장착구(16)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되고, 구동원(17)이 장착된다. 상기 구동원(17)으로는 전기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구(16)는 상기 구동원(17)을 감싸서 고정하도록 된다.A plurality of support legs 14 are formed in the flow path space 12 'of the fan housing 12. The support legs 14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2 toward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space 12 'of the fan housing 12. At least two supporting legs 14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ing leg 14, there is a mounting hole 16. The mounting hole 16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driving source 17 is mounted. As the driving source 17, an electric motor can be used. The mounting hole 16 is formed to surround the driving source 17 and to be fixed.

상기 구동원(17)의 출력축에는 구동팬(18)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팬(18)은 상기 구동원(17)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청정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A driving fan (18) is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source (17). The driving fan (18) is rotated by the driving source (17)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air cleaner.

상기 팬하우징(12)의 일단부에는 수나사부(19)가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에는 암나사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부(19)와 암나사부(19')는 다른 유니트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나사부(19)는 상기 팬하우징(12)의 일단부,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볼 때는 상류부 쪽의 외면에 노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9')는 상기 팬하우징(12)의 하류부 쪽의 내면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나사부(19)와 암나사부(19')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도면의 것과 반대로 될 수도 있다.A male screw portion 19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an housing 12 and a female screw portion 19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The male screw portion 19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9 'are configured to engage with other uni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le threaded portion 19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an housing 12 and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stream portion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The female screw portion 1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12 on the downstream side. Of course, the forming positions of the male screw portion 19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9 'may be reversed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

상기 팬유니트(10)와 결합되게 배터리유니트(20)가 있다. 상기 배터리유니트(20)는 상기 구동원(17)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유니트(20)의 외관을 배터리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은 상기 팬하우징(12)과 같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부에도 유로공간(22')이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유로공간(22')은 상기 팬유니트(10)의 유로공간(12')과 연통된다.And a battery unit 20 to be coupled with the fan unit 10. The battery unit 2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source 17 and the like. The battery housing (2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ttery unit (20). The battery housing 22 is formed to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fan housing 12. The channel space 22 'is also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attery housing 22 in a cylindrical shape. The flow path space 22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space 12' of the fan unit 10.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면을 둘러서는 배터리(24)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24)는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공간(12')이 공기의 유동을 위한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터리(24)가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공간(12')의 유동단면적이 일정한 원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공기가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내부를 통과해 유동될 때, 유동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And a battery 24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22 is installed. The battery 2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22 so that the channel space 12 'formed in the battery housing 22 can secure a sufficient cross- .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24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22 so that the flow area of the flow path 12 'is circular. By doing so, when air flow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battery housing 22, the resistance to flow can be minimized.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유로공간(22') 하류부에는 메쉬망(26)이 설치된다. 상기 메쉬망(26)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배터리유니트(20)에 노즐유니트(7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로공간(22') 내부로 주변 물건 등이 임의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A mesh net 26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flow path space 22 'of the battery housing 22. Although the mesh network 26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when the nozzle unit 70 is not mounted on the battery unit 20, surrounding objects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entering into the channel space 22 ' .

배터리유니트(20)의 외면 일측에는 전원스위치(28)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스위치(28)는 배터리(24)의 전원이 구동원(17) 등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즉, 공기청정기의 온오프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28)가 반드시 배터리유니트(20)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배터리(24)와 보다 가까운 지점에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므로, 배터리유니트(20)에 전원스위치(28)를 두는 것이 좋다.A power switch 2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20. The power switch 28 controls the power source of the battery 24 to be supplied to the driving source 17 or the like. That is, it is for on / off of the air purifier. The power switch 28 is not necessarily located in the battery unit 20 but may be controll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battery 24 so that the power switch 28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20 It is good to leave.

상기 배터리하우징(22)에도 다른 유니트와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부(29)와 암나사부(29')가 있다. 상기 수나사부(29)는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상류부에 해당되는 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29')는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하류부에 해당되는 단부의 내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의 수나사부(29)와 상기 팬하우징(12)의 암나사부(19')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원연결을 위한 점접(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팬하우징(12)과 배터리하우징(22)을 결합하였을 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상태로 접촉되어 있게 된다.The battery housing 22 also has a male screw portion 29 and a female screw portion 29 'for coupling with other units. The male screw portion 29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2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2 do. A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for power connection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29 of the battery housing 22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9 'of the fan housing 12 to connect the fan housing 12 And the battery housing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팬유니트(10)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필터유니트(30,40,50,60)가 구비된다. 이들 필터유니트(30,40,50,60)들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30,40,50,60)들이 상기 팬유니트(10)에 대해서 설치된 순서대로 설명한다. 물론, 이들 필터유니트(30,40,50,60)들이 반드시 도시된 실시례에 있는 순서대로 결합될 필요는 없다. 물론, 프리필터유니트(60)는 공기청정기의 가장 선단, 즉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류부에 있는 것이 좋다.A plurality of filter units (30, 40, 50, 60) are provided for purifying air entering the fan unit (10). These filter units 30, 40, 50, and 60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but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filter units 30, 40, 50, and 60 will be describ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installed in the fan unit 10. FIG. Of course, these filter units 30, 40, 50, and 6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joined in the order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filter unit 60 is locat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air cleaner, that is, with respect to the air flow.

상기 팬유니트(10)의 공기유동방향 상류부에는 제1필터유니트(30)와 제2필터유니트(40)가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유니트(30)의 외관을 제1필터하우징(32)이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하우징(32)의 내부에는 필터링수단(34)이 채워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필터하우징(32)에 채워지는 필터링수단(34)은 글래스섬유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명 헤파필터(Hepa filter)가 사용된다. 상기 헤파필터에 의해서 미립자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하우징(32)의 내부에는 상기 헤파필터가 채워져서 전달되어온 공기에서 미립자들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유니트(30)의 제1필터하우징(32)에도 공기유동방향 상류부에는 수나사부(39)가 형성되고, 하류부에는 암나사부(39')가 형성된다.A first filter unit (30) and a second filter unit (40) are installed in the upstream of the fan unit (10) in the air flow direction. A first filter housing 3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filter unit 30 and a filtering means 34 is filled in the first filter housing 32. For example, the filtering means 34 filled in the first filter housing 32 is made of glass fiber, and a so-called Hepa filter is used. The fine particles can be filtered by the HEPA filter. For example, ticks, viruses, molds and the like can be removed. The first filter housing (32) is filled with the HEPA filter, and the fine particles can be filtered through the air. The first filter housing 32 of the first filter unit 30 is also provided with a male thread 39 on the upstream side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female screw 39 'on the downstream side.

상기 제2필터유니트(40)의 외관을 제2필터하우징(4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필터하우징(42)의 내부에도 필터링수단(44)이 채워진다. 상기 필터링수단(44)으로는 활성탄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을 필터링수단(44)으로 사용함에 의해 공기로부터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유니트(40)의 제2필터하우징(42)에도 공기유동방향 상류부에는 수나사부(49)가 형성되고, 하류부에는 암나사부(49')가 형성된다.The second filter housing (4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filter unit (40). The interior of the second filter housing (42) is also filled with filtering means (44). Activated carbon may be used as the filtering means 44. The odor can be removed from the air by using the activated carbon as the filtering means (44). The second filter housing 42 of the second filter unit 40 is also provided with a male thread 49 on the upstream side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female screw 49 'on the downstream side.

제3필터유니트(50)도 역시 상기 팬유니트(10)에 대해서 공기유동방향 상류에 위치된다. 상기 제3필터유니트(50)의 외관을 제3필터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제3필터하우징(52)도 상기 제1 및 제2필터하우징(32,42)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되는데, 이들의 횡단면 형상과 치수는 상기 팬하우징(12)과 같도록 되는 것이 좋다.The third filter unit 50 is also located upstream of the fan unit 10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third filter housing (52)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third filter unit (50). The third filter housing 52 is cylindrical as in the first and second filter housings 32 and 42.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dimensions of the third filter housing 5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an housing 12.

상기 제3필터하우징(52)에도 공기유동방향 상류부 측 단부에는 수나사부(59)가 형성되고, 하류부 측 단부에는 암나사부(5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다른 유니트들과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 filter housing (52) is also provided with a male threaded portion (59) at the upstream side end portion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59 ') at the downstream side end portion. By doing so, coupling with other units can be performed.

상기 제3필터유니트(50)의 내부에는 제습수단(54)이 채워지는데, 상기 제습수단(54)으로는 실리카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습수단(54)이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에 있으므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제습수단(54)에 의해 제거된다. A dehumidifying means 54 is filled in the third filter unit 50, and silica gel may be used as the dehumidifying means 54. Since the dehumidifying means 54 is in the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by the dehumidifying means 54.

상기 제3필터유니트(50)의 제3필터하우징(52)의 공기유동방향 상류부에는 수나사부(59)가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에는 암나사부(59')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나사부(5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리필터유니트(60)가 결합되었고, 상기 암나사부(59')에는 상기 제2필터유니트(40)가 결합되었다.A male screw portion 59 is formed in the upstream portion of the third filter housing 50 in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third filter unit 50 and a female screw portion 59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e-filter unit 60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59 and the second filter unit 40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59 '.

다음으로, 공기청정기의 가장 선단, 즉 공기유동의 가장 상류부에는 프리필터유니트(60)가 구비된다.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의 외관을 프리필터하우징(62)이 형성하는데, 상기 프리필터하우징(62)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간(62')에는 필터링수단(64)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수단(64)으로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수단(64)은 상기 제1,2,3필터유니트(30,40,50)들로 들어가는 공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이다.Next, the pre-filter unit 6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air cleaner, that is, at the most up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A prefilter housing 6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filter unit 60. A filtering unit 64 is installed in the flowpath space 62 'formed in the prefilter housing 62. [ As the filtering means 64, a nonwoven fabric may be used. The filtering unit 64 filters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enter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ter units 30, 40, and 50.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의 공기유동방향 하류부 측 단부의 내면에는 암나사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부(69')에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3필터유니트(50)의 수나사부(59)가 결합된다.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의 선단에는 입구(66)가 형성되어 상기 유로공간(62')으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구(66)에는 메쉬망과 같은 구조를 둘 수 있다. 참고로, 프리필터유니트(60)는 예를 들면, 상기 제3필터유니트(5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각각의 제1에서 제3필터유니트(30,40,50)의 상류부 측에 부직포와 같은 필터링수단(64)을 두고 별도의 프리필터유니트(6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A female screw portion 69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pre-filter unit 60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emale screw portion 59 'of the third filter unit 50 is engag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69'. An inlet 6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re-filter unit 6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hannel space 62 '. The inlet 66 may have a mesh network structure. For example, the pre-filter unit 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filter unit 50, for example. Alternatively, a filtering unit 64 such as a nonwoven fabric may be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filter units 30, 40, 50, and a separate prefilter unit 60 may not be used.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유동방향의 최하류부에는 노즐유니트(70)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유니트(70)의 외관과 골격을 노즐하우징(72)이 형성한다. 상기노즐하우징(72)은 상기 팬하우징(12)이나 배터리하우징(22) 등과 같은 외경을 가지도록 원통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노즐하우징(72)의 내부에는 유로공간(72')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하우징(22)을 통과하여 온 공기가 유동된다.In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unit (70) is installed at the most downstream portion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nozzle housing (7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nozzle unit (70). The nozzle housing 72 is made cylindrical to have an outer diameter such as the fan housing 12 or the battery housing 22. A channel space 72 'is formed in the nozzle housing 72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battery housing 22 flows.

상기 노즐유니트(70)에서는 상기 팬유니트(10)와 배터리유니트(20)를 통과하여 나온 공기를 공기청정기에서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In the nozzle unit 70, when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unit 10 and the battery unit 20 from the air cleaner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direction may be different.

상기 노즐유니트(70)의 외관과 골격을 노즐하우징(72)이 형성한다. 상기 노즐하우징(72)은 상기 팬하우징(12) 및 배터리하우징(22)과 같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노즐하우징(72)의 내부에는 유로공간(72')이 형성된다.The nozzle housing (7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nozzle unit (70). The nozzle housing 72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equal to that of the fan housing 12 and the battery housing 22. A channel space 72 'is formed in the nozzle housing 72.

상기 노즐하우징(72)에서 공기 유동방향 하류부에 해당하는 단부에는 단부분사구(73)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분사구(63)를 통해서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 노즐하우징(72)의 외측면에는 측면분사구(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분사구(73')는 상기 단부분사구(63)와 선택으로 사용될 수 있다.An end jet opening 73 is formed at an end of the nozzle housing 72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portion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air purified by the air cleaner is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d jet opening 63. A side jet opening 7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72. The side jetting ports 73 'may be optionally used with the end jetting ports 63.

상기 단부분사구(63)에는 댐퍼(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74)는 상기 단부분사구(63)를 통한 공기의 분사를 조절한다. 상기 댐퍼(74)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노즐하우징(72)의 단부에는 고정판(7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74')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된 관통부(도면 부호 부여 않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부들을 통해서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고정판(74')과 접촉하여 가동판(75)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판(75)에는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어 댐퍼(74)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가동판(75)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를 막을 수 있도록 관통부에 인접한 부분들이 막혀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판(75)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가 개방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세기를 달리할 수 있다.A damper (74) is provided at the end jet opening (63). The damper 74 regulates the injection of air through the end-injection opening 63.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damper 74, a fixing plate 74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nozzle housing 72. The fixing plate 74 'is formed radially with a fan-shaped penetrating portion (not shown). Air is exhausted through these penetrations. And the movable plate 75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ixed plate 74 '. The movable plate 75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so that air can be injected through the damper 74. However, when the movable plate 75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portions adjacent to the penetrating portion are blocked so as to block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 Therefore, by rotating the movable plate 75, it is possible to vary the strength at which the air is discharged by vary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

상기 가동판(75)에는 연동바(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바(76)는 상기 가동판(75)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가동판(75)의 표면에 직교하게 연장된다. 상기 연동바(76)에는 막음리브(77)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분사구(73')를 개폐한다. 상기 가동판(75)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를 막았을 때는 상기 막음리브(77)가 상기 측면분사구(73')를 개방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연동바(76)의 형성위치가 설정된다. An interlocking bar 76 is formed on the movable plate 75. The interlocking bar 76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movable plate 75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75. A blocking rib 77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bar 76 to open and close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 When the movable plate 75 rotates to block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 the blocking rib 77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interlocking bar 76 is formed so as to open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Is set.

상기 막음리브(77)의 폭은 상기 측면분사구(73')의 폭보다는 크게 만들어져 상기 가동판(75)이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를 개방하는 정도를 달리하도록 동작되더라도 상기 측면분사구(73')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가동판(75)이 회전되어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를 완전히 막은 상태에서는 상기 막음리브(77)가 상기 측면분사구(73')를 개방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 width of the blocking ribs 77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jet opening 73 'so that even if the movable plate 75 is rotated to var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73 ') is not opened. Of course, in a state where the movable plate 75 is rotated to completely close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 the blocking ribs 77 make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open.

상기 노즐하우징(72)의 외면 일측에는 전환노브(78)가 설치된다. 상기 전환노브(78)는 공기가 상기 단부분사구(73)를 통해 분사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측면분사구(73')를 통해 분사될 것인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환노브(78)에는 연동돌부(78')가 형성되어 상기 연동바(76)를 전환노브(78)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해 준다.A switching knob 7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housing 72. The switching knob 78 serves to set whether the air is to be injected through the end injection port 73 or the side injection port 73 '. An interlocking protrusion 78 'is formed on the switching knob 78 so that the interlocking bar 76 can be operated by the switching knob 78.

상기 노즐하우징(72)의 유로공간(72') 내에는 음이온발생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80)는 상기 배터리유니트(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면서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negative ion generator 80 is installed in the channel space 72 'of the nozzle housing 72. The negative ion generator 80 generates negative ions while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unit 20.

한편, 본 발명의 휴대형 공기청정기에서 유니트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되어야 하는 부분에서는 서로 결합되는 유니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도 15에서는 2개의 유니트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조의 다른 실시례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는 위에서 설명된 유니트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rtabl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t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 precisely performed in a portion where electrical connection is requir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units. To this end, FIG. 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two units. Here,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taken as an example. Here,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mean one of the units described above.

이에 따르면, 제1유니트(10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접촉링(114)이 있다. 상기 제1접촉링(114)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접점(1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접촉링(114)은 제1유니트(100)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제1유니트하우징(112)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According to this, a first contact ring 11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unit 100. A plurality of contacts 116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ring 114. The first contact ring 114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first unit housing 112 which forms the skeleton and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unit 100.

상기 제1유니트하우징(112)의 일단부에는 또한 제1걸이구(1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걸이구(118)는 상기 제1접촉링(114)보다는 상기 제1유니트하우징(112)의 유로공간(112')쪽에 있다. 즉, 상기 유로공간(112')의 일단부 내면에 제1걸이구(1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걸이구(118)는 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걸이구(118)에는 다수개의 걸이리브(119)가 있다. 상기 걸이리브(119)는 상기 제1걸이구(118)의 내면을 둘러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119)는 상기 제1걸이구(118)의 내면에서 중심부분을 향해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At one end of the first unit housing 112, a first hooking hole 118 is also provided. The first hooking hole 118 is located on the flow path space 112 'of the first unit housing 112 rather than the first contact ring 114. That is, a first hooking hole 118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channel space 112 '. The first hooking hole 118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first hooking hole 118 has a plurality of hooking ribs 119. The hooking ribs 119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oking hole 118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hooking rib 119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oking hole 118 toward the central portion.

한편, 상기 제2유니트(200)의 외관과 골격을 제2유니트하우징(212)이 형성하는데, 상기 제1유니트(100)와 결합되는 단부에는 제2접촉링(214)이 있다. 상기 제2접촉링(214)에는 다수개의 접점(216)이 있어 상기 제1접촉링(114)의 접점(116)과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The second unit housing 212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second unit 200, and a second contact ring 214 is formed at an end coupled with the first unit 100. The second contact ring 214 has a plurality of contacts 216 to contact the contacts 116 of the first contact ring 114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제2유니트(200)에는 상기 제1유니트(100)의 제1걸이구(118)와 결합되는 제2걸이구(218)가 있다. 상기 제2걸이구(218)도 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걸이구(218)에는 상기 제1걸이구(118)의 제1걸이리브(119)에 걸어지는 제2걸이리브(219)가 있다. 상기 제2걸이리브(219)는 상기 제2걸이구(218)의 외면을 둘러 일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리브(219)는 또한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리브(219)는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가 결합될 때, 상기 제1걸이리브(119)와 간섭없이 상기 제1걸이구(118)를 관통하여 통과하고,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가 상대 회전함에 의해 상기 제1걸이리브(119)에 걸어져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걸이리브(119)에 의해 상기 제2걸이리브(219)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The second unit 200 has a second hook 218 coupled to the first hook 118 of the first unit 100. The second hooking hole 218 is also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second hooking hole 218 has a second hooking rib 219 which is hooked on the first hooking rib 119 of the first hooking hole 118. The second hooking rib 219 is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oking hole 218. The second hooking ribs 219 are also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pacing. The second hooking rib 219 passes through the first hooking hole 118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irst hooking rib 119 when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coupled, And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engaged with the first hook ribs 119 by being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hook ribs 119 prevent the second hook ribs 219 from being disengaged, so that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참고로, 상기 제1걸이리브(119)와 제2걸이리브(219)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을 위한 구조를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 유니트(100,200)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돌기가 타측 유니트(200,100)의 홈에 안착되어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분리될 때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돌기가 홈에서 빠지도록 하고 상기 제1유니트(100)와 제2유니트(200)를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된다. When the first hook ribs 119 and the second hook ribs 219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 structure for locking can be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For example, the projections supported by the springs on one side units 100 and 200 are seated on the grooves of the other side units 200 and 100 to be hooked.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when the first unit 100 and the second unit 2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selection type portabl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는 최소한 팬유니트(10), 배터리유니트(20)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유니트(30,40,50,60)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모든 유니트 들이 사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The portabl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fan unit 10, a battery unit 20 and at least one filter unit 30, 40, 50, 60. In FIG. 2, all the units are used.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전원스위치(28)를 온시키면, 상기 배터리(24)에서 상기 구동원(17)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기 구동팬(18)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팬(18)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프리필터하우징(62)의 입구(66)를 통해 유로공간(62')으로 들어간다. 상기 유로공간(62')으로 들어간 공기는 상기 필터링수단(64)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들이 걸러진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switch 28,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24 to the driving source 17, and the driving fan 18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drive fan 18 causes external air to enter the flow path space 62 'through the inlet 66 of the prefilter housing 62.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flow path space 62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means 64 and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습유니트(50)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되고, 상기 제2필터유니트(40)의 필터링수단(44)인 활성탄을 통과하면서 냄새가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필터유니트(30)의 필터링수단(34)인 헤파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unit 60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50 and the odor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which is the filtering means 44 of the second filter unit 40. The fine dust and the like ar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which is the filtering means (34) of the first filter unit (30).

상기 제1필터유니트(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유니트(10)와 배터리유니트(20)를 차례로 통과하고, 상기 노즐유니트(70)로 들어간다. 상기 노즐유니트(70)에서는 상기 배터리(2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음이온발생기(80)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공기에 포함되어 노즐유니트(70)의 유로공간(72')을 통과해서 배출된다.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30 passes through the fan unit 10 and the battery unit 20 in turn and enters the nozzle unit 70. In the nozzle unit 70,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80,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24, are discharged through the channel space 72 'of the nozzle unit 70 .

상기 노즐유니트(70)에서는 상기 전환노브(78)를 조작함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막음리브(77)가 상기 측면분사구(73')를 막은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74)를 통해 상기 단부분사구(73)를 거쳐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가 개방된 정도에 따라 상기 단부분사구(7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세기가 달라진다. 즉, 단부분사구(73)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거리가 달라진다. In the nozzle unit 70,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switching knob 78. First, when the blocking rib 77 closes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amper 74 through the end injection opening 73.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nd injection opening 73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 That is,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air ejected from the end injection port 73 is discharged varies.

한편, 상기 가동판(75)에 의해 상기 고정판(74')의 관통부가 완전히 막혀지고 상기 측면분사구(73')에서 상기 막음리브(77)가 이동되면, 상기 측면분사구(73')가 개방되면서, 측면분사구(73')를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측면분사구(73')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댐퍼(74)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측면분사구(7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세다. 즉, 보다 강한 압력으로 공기가 상기 측면분사구(73')를 통해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fixing plate 74 'is completely blocked by the movable plate 75 and the blocking rib 77 is moved from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the side injection opening 73 'is opened , And the side jetting ports 73 '. Sinc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ide jet opening 73 'is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at formed by the damper 74, the intensity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jet opening 73' is relatively large. That is,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jet opening 73 'with a stronger pressure.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큰 먼지, 습기, 미립자 그리고 냄새 등이 모두 제거되고 음이온이 추가된 공기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air purifier in the state shown in FIG. 2, relatively large dust, moisture, fine particles, odor and the like are all removed and air with negative ions is obtained.

한편, 도 9에서는 제습유니트(50)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습도가 높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먼지, 미립자 그리고 냄새가 제거되고 음이온이 추가된 공기를 얻을 수 있다.9, the dehumidifying unit 50 is not used. This is a case where the dehumidifying unit 50 is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humidity is not high, and dust, fine particles, and odors are removed and an anion added air can be obtained.

도 10에서는 제습유니트(50)와 제2필터유니트(40)가 없는 경우인데, 이는 습도가 높지 않고 냄새가 없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먼지, 미립자 등이 제거되고 음이온이 추가된 공기를 얻을 수 있다.In Fig. 10, there is no dehumidifying unit 50 and the second filter unit 40, which can be us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humidity is not high and there is no odor. Even in this case, dust, particles and the like can be removed and an air added with negative ions can be obtained.

도 11에서는 제1필터유니트(30)와 제습필터(50)가 삭제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습도가 높지 않고 미립자에 대한 제거가 필요없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2필터유니트(40)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고 음이온이 추가된 공기를 얻을 수 있다.In Fig. 11, the first filter unit 30 and the dehumidification filter 50 are deleted. In this case, it can be us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humidity is not high and the removal of particulates is not necessary. In this case, the second filter unit 40 removes the smell and obtains an air added with negative ions.

도 12에서는 제습유니트(50), 제2필터유니트(40) 그리고 노즐유니트(70)가 삭제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노즐유니트(70)를 사용한 공기의 토출방향 조절 등을 하지 않고 음이온을 추가하지 않게 되는데, 주로, 미립자에 대한 제거를 상기 제1필터유니트(30)를 사용하여 하게 된다.In Fig. 12, the dehumidifying unit 50, the second filter unit 40 and the nozzle unit 70 are deleted. In this case, negative ions are not added without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using the nozzle unit 70. The first filter unit 30 is mainly used to remove particulates.

도 13에서는 제습필터(50), 팬유니트(10), 배터리유니트(20) 그리고 프리필터유니트(60)를 사용한 경우인데, 이는 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공기 정화의 필요성이 크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13 shows a case where the dehumidifying filter 50, the fan unit 10, the battery unit 20 and the pre-filter unit 60 are used. This is mainly used when the necessity of air purification is not large in a humid environment Method.

도 14에서는 프리필터유니트(60), 노즐유니트(70), 팬유니트(10) 그리고 배터리유니트(20)로 구성된 것으로, 프리필터유니트(60)에 의한 일반적인 먼지의 제거와 노즐유니트(70)의 음이온발생기(80)를 사용한 음이온의 추가가 가능한 사용상태이다.14, the pre-filter unit 60 includes a pre-filter unit 60, a nozzle unit 70, a fan unit 10, and a battery unit 20. The pre-filter unit 60 removes common dust, It is possible to add negative ions using the negative ion generator 80. Fig.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공기청정기는 필터유니트(30,40,60), 제습유니트(50) 및 노즐유니트(70)를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서 필요한 기능들만 채용을 해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성을 높임과 동시에 유니트의 삭제가 많을 경우 상대적으로 배터리의 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units 30, 40, and 60, the dehumidifying unit 50, and the nozzle unit 70 to be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This allows the user to use only the necessary function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portability and reduc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relatively when the unit is deleted.

한편, 이와 같이 필터유니트(30,40,60), 제습유니트(50) 및 노즐유니트(70)들을 서로 결합하고 분리하는 것은 암나사부와 수나사부 사이의 결합과 분리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걸이구(118,218) 사이의 결합과 분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들 구조는 각각의 유니트의 적어도 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어 다양한 유니트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휴대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lter units 30, 40 and 60, the dehumidifying unit 50 and the nozzle units 70 a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by the engagement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female screw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By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apertures 118 and 218 as shown in FIG. These structures are provided at at least one end or at both ends of each unit so that various units can be combined to provide the portabl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필터유니트(30), 제2필터유니트(40) 그리고 제습유니트(50) 외에도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니트가 장착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units capable of improving air quality may be mounted in addition to the first filter unit 30, the second filter unit 40, and the dehumidifying unit 50.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 각 유니트들이 설치된 순서중, 특히 제1필터유니트(30), 제2필터유니트(40) 그리고 제습유니트(50)의 순서는 다르게 바뀔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rders of the first filter unit 30, the second filter unit 40, and the dehumidifying unit 50 may be changed in the order in which the units are installed.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으로 공기의 정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헤파필터를 사용하는 제1필터유니트(30)에 의해서도 상기 프리필터유니트(60)의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프리필터유니트(60)를 반드시 채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1필터유니트(30)의 경우 가격이 높으므로 제1필터유니트(30)로 프리필터유니트(60)의 기능까지 담당하도록 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filter unit 60, since it can be used for purifying air most bas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it. However, since the first filter unit 30 using the HEPA filter can also function as the pre-filter unit 60, the pre-filter unit 60 is not necessarily employed. However, since the price of the first filter unit 30 is high, it is expensive to allow the first filter unit 30 to take charge of the function of the pre-filter unit 60.

10: 팬유니트 12: 팬하우징
12': 유로공간 14: 지지레그
16: 장착구 17: 구동원
18: 구동팬 19: 수나사부
19': 암나사부 20: 배터리유니트
22: 배터리하우징 22': 유로공간
24: 배터리 26: 매쉬망
29: 수나사부 29': 암나사부
30: 제1필터유니트 32: 제1필터하우징
34: 제1필터링수단 39: 수나사부
39': 암나사부 40: 제2필터유니트
42: 제2필터하우징 44: 제2필터링수단
49: 수나사부 49': 암나사부
50: 제습유니트 52: 제습하우징
54: 제습수단 59: 수나사부
59': 암나사부 60: 프리필터유니트
62: 프리필터하우징 62': 유로공간
64: 프리필터링수단 66: 입구
69': 암나사부 70: 노즐유니트
72: 노즐하우징 73: 단부분사구
73': 측면분사구 74: 댐퍼
74': 고정판 75: 가동판
76: 연동바 77: 막음리브
78: 전환노브 78': 연동돌부
80: 음이온발생기
10: Fan unit 12: Fan housing
12 ': Euro space 14: Support leg
16: mounting hole 17: driving source
18: drive fan 19: male thread portion
19 ': Female thread unit 20: Battery unit
22: battery housing 22 ': channel space
24: battery 26: mesh network
29: male thread portion 29 ': female thread portion
30: first filter unit 32: first filter housing
34: first filtering means 39:
39 ': Female thread portion 40: Second filter unit
42: second filter housing 44: second filtering means
49: Male threads 49 ': Female threads
50: dehumidifying unit 52: dehumidifying housing
54: dehumidifying means 59:
59 ': Female thread portion 60: Pre-filter unit
62: pre-filter housing 62 ': channel space
64: pre-filtering means 66: entrance
69 ': Female thread portion 70: Nozzle unit
72: nozzle housing 73: end nozzle
73 ': side jet opening 74: damper
74 ': fixed plate 75: movable plate
76: Interlocking bar 77: Closing rib
78: conversion knob 78 ': interlocking projection
80: Negative ion generator

Claims (10)

팬하우징 내부의 유로공간에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유니트와,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배터리하우징 내부의 유로공간에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지는 프리필터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니트와 팬유니트의 사이에는 필터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필터유니트와 제습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제습유니트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A fan unit having a drive source installed in a flow path space inside the fan housing and provided with a drive fa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to make a flow of air,
A battery unit having a battery installed in a flow path space inside a battery housing coupled to the fan housing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source;
And a pre-filter unit locat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the foreign air mixed with the air being filtered by the flow of the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Wherein a filter unit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housing and a dehumidifying unit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ehumidifying housing are detachably installed between the pre-filter unit and the fa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니트는 공기중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제1필터유니트와 공기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제2필터유니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The portable air purifier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a first filter unit for removing particulates in the air and a second filter unit for removing odors in the ai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유니트에서 공기 흐름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단부에는 노즐유니트가 더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The portabl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nozzle unit is further provided at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in the battery unit to regulate the air volume a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니트에서 공기 흐름의 하류부에 해당하는 단부에는 단부분사구가 있고, 상기 단부분사구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노즐유니트의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단부분사구가 댐퍼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측면분사구가 형성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The nozzle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in the nozzle unit is provided, and an end portion of the nozzle unit is provided with a damper to adjust an amount of air to be discharged, And a side jet opening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n a state where the end jet opening is closed by a damper are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니트의 내부에는 음이온발생기가 더 설치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The portabl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anion generato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nozzle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 배터리유니트, 프리필터유니트, 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 및 노즐유니트 사이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6. The portable air purifier of claim 5, wherein the fan unit, the battery unit, the pre-filter unit, the filter unit, the dehumidifying unit, and the nozzle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emale threaded portion and a male threaded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니트, 배터리유니트, 프리필터유니트, 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 및 노즐유니트 사이는 제1걸이리브가 내면을 둘러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걸이구와 제2걸이리브가 외면을 둘러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걸이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7]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an unit, the battery unit, the pre-filter unit, the filter unit, the dehumidifying unit, and the nozzle unit have a first hooking rib and a second hooking rib,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econd retaining member formed at intervals.
내부의 유로공간에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팬유니트와,
상기 팬유니트와 결합되고 내부의 유로공간에 배터리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이물질이 걸러지는 프리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미립자를 걸러주는 제1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냄새를 걸러주는 제2필터유니트와,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통과하면서 공기에 섞인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필터유니트, 제1필터유니트, 제2필터유니트, 제습유니트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팬유니트 및 배터리유니트와 조립되어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면서 공기를 청정하게 만드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A fan unit having a drive source installed in an internal flow path space and provided with a drive fa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to make a flow of air;
A battery unit coupled to the fan unit and having a battery installed in an internal flow path space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source;
A pre-filter unit position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the foreign air mixed with the air being filtered by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 first filter unit locat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mixed with air while passing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 second filter unit locat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filtering a smell mixed with air while passing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a dehumidifying unit located upstream of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and removing moisture mixed with air while passing a flow of air formed by the driving fan, wherein the pre-filter unit,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and the dehumidifying unit is selected to be assembled with the fan unit and the battery unit, thereby forming a flow path of the air to clean the ai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의 하류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배출되는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노즐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9. The portable air purifier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nozzle unit located downstream of the air flow formed by the driving fan, the nozzle unit controlling airflow and direction of the air generated by the driving fa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니트에는 음이온발생기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는 기능 선택식 휴대형 공기청정기.

10. The portable air cleaner of claim 9, wherein the nozzle unit is provided with an anion generator to provide negative ions to the discharged air.

KR1020140085991A 2014-07-09 2014-07-09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Active KR101529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91A KR101529225B1 (en) 2014-07-09 2014-07-09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991A KR101529225B1 (en) 2014-07-09 2014-07-09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25B1 true KR101529225B1 (en) 2015-06-16

Family

ID=5351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991A Active KR101529225B1 (en) 2014-07-09 2014-07-09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2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436A (en) *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fan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20190130891A (en)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air cleaning fan
KR102165847B1 (en) * 2019-05-07 2020-10-14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KR20210022253A (en) * 2019-08-20 2021-03-03 설철환 Apparatus for purifying smomke
WO2021095894A1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휴로 Air-purifying portable fan
CN114017371A (en) * 2021-12-02 2022-02-08 浙江弩牌电器有限公司 fan
CN114017372A (en) * 2021-12-02 2022-02-08 浙江弩牌电器有限公司 fa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592A (en)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er
KR20070081732A (en) * 2006-07-05 2007-08-17 엄완영 Desktop air purifier with clock.
KR101242608B1 (en) * 2011-08-16 2013-03-19 도원석 Portable air filt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592A (en)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er
KR20070081732A (en) * 2006-07-05 2007-08-17 엄완영 Desktop air purifier with clock.
KR101242608B1 (en) * 2011-08-16 2013-03-19 도원석 Portable air filter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436A (en) * 2018-05-04 2019-11-13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fan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102072754B1 (en) * 2018-05-04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fan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20190130891A (en)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air cleaning fan
KR102072755B1 (en) * 2018-05-15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Portable air cleaning fan
KR102165847B1 (en) * 2019-05-07 2020-10-14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KR20210022253A (en) * 2019-08-20 2021-03-03 설철환 Apparatus for purifying smomke
KR102251457B1 (en) * 2019-08-20 2021-05-12 설철환 Apparatus for purifying smomke
WO2021095894A1 (en)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휴로 Air-purifying portable fan
CN114017371A (en) * 2021-12-02 2022-02-08 浙江弩牌电器有限公司 fan
CN114017372A (en) * 2021-12-02 2022-02-08 浙江弩牌电器有限公司 f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225B1 (en) Function selecting type portable air cleaner
JP6899847B2 (en) Humidification module for air treatment equipment
KR100988441B1 (en) Air cleaning and humidification unit
KR101860891B1 (en) Wall penetration type selectively clean air supply system
JP6208130B2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equipment
JP2022068341A (en)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KR101906341B1 (en) Air cleaner
KR200475454Y1 (en) Portable blower device have a air conditioning function
HK1213627A1 (en) Air purifier device with fan duct
KR102608622B1 (en) An air cleaning all-in-on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to perform both ventil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KR102169296B1 (en) Air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hot air blowing
KR20250078390A (en) Buried Type Air Purifier
KR20090084474A (en) Air conditioner
KR101158576B1 (en) Air cleaner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KR101185250B1 (en) Air cleaner
KR100464516B1 (en) Air purifier
KR101765226B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flow air
KR20190020895A (en) Portable air conditioner
CN206325322U (en) Air cleaning unit and cleaning system
KR20200002647U (en) Air Cleaner Having Light Apparatus
KR100610502B1 (en) Air cleaning filter
KR100512621B1 (en) Air cleaner
KR20160049225A (en) Apparatus for filtering the air
KR20190020896A (en) Portabl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4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