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55B1 -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 Google Patents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8155B1 KR101528155B1 KR1020140082023A KR20140082023A KR101528155B1 KR 101528155 B1 KR101528155 B1 KR 101528155B1 KR 1020140082023 A KR1020140082023 A KR 1020140082023A KR 20140082023 A KR20140082023 A KR 20140082023A KR 101528155 B1 KR101528155 B1 KR 101528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inlet
- outlet
- steel pip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를 원료로 용접강관을 성형하는 프레스벤딩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21) 상에 가동금형(22)과 펀치(26)를 지닌 본체(20);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35)를 구비하는 입구지지대(30); 상기 프레임(2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45)를 구비하는 출구지지대(40); 및 상기 본체(20)의 성형 공정에 대응하여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의 경사각을 변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입구와 출구 지지대(30)(40)에 설치되는 터치센서(52)와, 유압실린더(35)(45)에 설치되는 리니어센서(54)와, 센서의 신호를 입력을 받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유압실린더(35)(45)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대구경 후육의 용접강관을 제조하는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품질 안정성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중량물 작업환경의 쾌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bending apparatus for forming a welded steel pipe using a plate as a raw material, A main body 20 having a movable mold 22 and a punch 26 on a frame 21; An inlet support 30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21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35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 outlet support rod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1)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45)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d control means (50) for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outlet support (40) in response to the forming process of the main body (20), the control means (50) comprising an inlet and an outlet support A linear sensor 54 provided on the hydraulic cylinders 35 and 45 and a hydraulic cylinder 35 (45 And a controller (56) for applying an output to the controller (56).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mfort of heavy work environment while improving productivity and quality stability by automating main processes for manufacturing welded steel pipe of large diameter deep me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접강관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장라인으로 투입되는 판재를 설정된 순서로 벤딩하여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용접강관은 관축에 평행하거나 나선형의 용접부를 갖고 있는 파이프를 총칭하는 것으로 강대 또는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한 후에 가장자리의 맞대기 이음부를 용접 또는 단접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Welded steel pipe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ipes having parallel or spiral welds parallel to the tube axis. They ar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steel or steel plate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then welding or cutting the butt joints of the edges.
일반적으로 관경 500mm 이상의 대구경 강관은 스파이럴 성형, 벤딩 롤 성형, 게이지 롤 성형, U.O.E 프레스법 등으로 제조되며, 맞대기 이음부의 접합 방식으로는 서브머지드 아아크(Submerged Arc) 용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요 용도로는 상하수관이나 송유관과 같은 배관용, 교량이나 항만의 강관말뚝과 같은 구조용이 대부분을 점하고 있다.In general, large-diameter steel pipe with a diameter of 500 mm or more is manufactured by spiral forming, bending roll forming, gauge roll forming, U.O.E press method, etc., and submerged arc welding is mainly used as a method of joining the butt joint. Major applications include piping such as sewer pipes and oil pipelines, and structural use such as steel pipe piles for bridges and harbors.
이러한 용접강관 제조공정의 자동화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일본 특개소57-36092는 성형용 상체(1)를 본체에 탑재한 펀치(3)를 포함하는 부분과, 성형용 하체를 본체에 장착한 하형판(5)을 포함하는 부분을 구비하고, 펀치 승강에 의하여 판재의 단부를 벤딩하는 기구 및 펀치 간격에 대응하여 하형판 간격을 좁혀 180˚로 벤딩하는 기구를 구비하며, 펀치를 이동하며 판재 단부를 가압하여 맞대기 연결한 부분에 용접을 행한다.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automation of such a welded steel pipe manufacturing process,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57-36092 discloses a part including a punch 3 on which an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대구경 외에 중소구경의 파이프에도 적용되는 것이므로 후육강관(Heavy wall thickness pipe)의 성형에 미흡하고 관경 4,000mm를 초과하는 초대형 강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드러낸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since it is applied to a pipe having a small diameter in addition to a large diameter, it is insufficient to form a heavy wall thickness pipe and shows a limit to apply to a very large steel pipe having a pipe diameter exceeding 4,000 mm.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구경 용접강관 특히 후육강관의 제조에 관련된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품질 안정성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press bending mechanism of a welded steel pipe form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ng main processes related to manufacturing a large diameter welded steel pip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강관의 성형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적인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여 제품손상에 의한 불량을 축소하면서 중량물 작업환경의 쾌적성을 지향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eviate a shock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a welded steel pipe, thereby reducing defects due to product damage and aiming at comfort in a heavy work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재를 원료로 용접강관을 성형하는 프레스벤딩 기구에 있어서; 프레임 상에 가동금형과 펀치를 지닌 본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입구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출구지지대; 및 상기 본체의 성형 공정에 대응하여 입구지지대와 출구지지대의 경사각을 변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 bending mechanism for forming a welded steel pipe from a plate material as a raw material; A body having a movable mold and a punch on a frame; An inlet support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n outlet support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d control means for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let support and the outlet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molding process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가동금형은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를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old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ing rollers rotatably and movably.
이때, 상기 대향하는 롤러의 사이에는 몰드가 자세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old is positively accommodated between the opposed rollers.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입구지지대와 출구지지대는 판재의 성형 과정에서 충격과 긁힘을 방지하도록 완충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upport and the outlet support are provided with a buffer to prevent impact and scratches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plate.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입구지지대와 출구지지대는 판재의 양단을 지지하여 정위치로 유도하도록 이동 가능한 안내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upport and the outlet support ar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bar that is movabl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plate and guide the plate to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지지대에 설치되는 터치센서와, 유압실린더에 설치되는 리니어센서와, 센서의 신호를 입력을 받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유압실린더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touch sensor provided on a support, a linear sensor provided on a hydraulic cylinder,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 input of a sensor signal and applying an output to a hydraulic cylinder with a predetermined algorithm .
이때, 상기 제어수단의 터치센서는 성형중인 판재의 접촉 상태를 인식하도록 지지대 상에서 다수의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or of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support so as to recognize the contact state of the plate material during mold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구경 후육의 용접강관을 제조하는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품질 안정성과 더불어, 벤딩작업시 충격 소음을 대폭 저감시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중량물 작업환경의 쾌적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main processes for manufacturing the welded steel pipe of the large diameter hosier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stability and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impact noise during the bending work,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벤딩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벤딩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입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벤딩 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lan view generally showing a press ben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levation view generally showing a press ben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1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ion cut along AA 'of FIG. 3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ress ben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판재를 원료로 용접강관을 성형하는 프레스벤딩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용접강관의 원료인 판재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후육의 압연강판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육강관에 대한 용도의 일예로서 원유 및 천연 가스 등을 수송하는 라인 파이프의 경우 지진이나 지각 변동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ress bending mechanism for forming a welded steel pipe from a sheet material as a raw material. The plate material used as the raw material for the welded steel pipe is not limited to the rolled steel sheet of the beef cut to a certain size. As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the aftermarket steel pipe, the line pipe for transporting crude oil and natural gas is useful for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earthquake or crustal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프레임(21) 상에 가동금형(22)과 펀치(26)를 지닌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체(20)는 판재를 유입하는 입구컨베이어(12)와 용접강관을 배출하는 출구컨베이어(14) 사이에 배치된다. 가동금형(22)은 판재를 저면에서 지지하고 펀치(26)는 가동금형(22)의 상측에서 상하운동을 수행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가동금형(22)과 펀치(26)는 투입되는 판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된다. 펀치(26)는 후육의 판재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을 유발하도록 고하중(예컨대 8000톤)의 프레스 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된다.The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20)의 가동금형(22)은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23)를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old (22) of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ed rollers (23) rotatably and movably.
롤러(23)는 프레임(21)의 내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측에서 하강하는 펀치(26)와 함께 판재의 벤딩을 수행한다. 롤러(23)는 별도의 모터를 연결하여 판재의 길이방향 전후이송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대향하는 롤러(23)의 사이에는 몰드(24)가 자세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몰드(24)는 롤러(23)와 펀치(26)에 의한 소성가공 중에 판재의 굴곡면을 지지한다. The
몰드(24)의 자세변동은 상면의 기울기 조절, 상하의 높이 조절 등을 포함하는 운동이다. The attitude change of the
한편, 출구컨베이어(14)는 캐리어(16)를 이용하여 용접강관의 완제품을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지지대(30)가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35)를 구비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입구지지대(30)는 프레임(21)의 일측에 힌지(31)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압실린더(35)는 입구지지대(30)를 설정된 회동 행정단으로 이동하도록 힌지에 의한 4절링크 구조로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출구지지대(40)가 상기 프레임(2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45)를 구비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출구지지대(40)는 프레임(21)의 타측에 힌지(41)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압실린더(45)는 입구지지대(40)를 설정된 회동 행정단으로 이동하도록 힌지에 의한 4절링크 구조로 설치된다.The
도 1에서, 입구지지대(30)는 입구컨베이어(12)와 연계되고 출구지지대(40)는 출구컨베이어(14)와 연계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입구컨베이어(12)로 투입된 판재가 입구지지대(30)로 로딩되기 용이하고, 본체(20)에서 성형이 완료된 강관이 출구지지대(40)에서 캐리어(16)로 로딩되기 용이하다. 판재의 소성변형 과정에서 출구측의 소요 영역(길이)이 먼저 축소되므로 출구지지대(40)는 입구지지대(30)보다 길이가 짧아도 무방하다.In Fig. 1, an
도 2에서, 양측 지지대(30)(40)의 부호 30 및 40은 상승 행정단을 나타내고 부호 30' 및 40'는 하강 행정단을 나타낸다. 하강 행정단이 수평면 보다 낮은 경사 상태로 회동하는 것은 입구컨베이어(12) 및 출구컨베이어(14)에 대한 판재의 로딩/언로딩에 유용하다.In Fig. 2, the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는 판재의 성형 과정에서 충격과 긁힘을 방지하도록 완충대(33)(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대(33)(43)는 고하중에 견디는 강도와 더불어 완충성, 내마모성 등을 요한다. 만일 판재의 소성변형 중에 긁힘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면 후처리에 공수가 증가함은 물론 변형이 집중되어 내좌굴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는 판재를 양단을 정위치로 유도하도록 이동 가능한 안내대(37)(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대(37)(47)는 지지대(30)(40) 상에서 브라켓을 일단과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택한다. 안내대(37)(47)의 브라켓 상에는 판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클램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outlet support 40 further include guide bars 37 (47) that are movable to guide the plate material to the correct positions at both ends.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50)이 상기 본체(20)의 성형 공정에 대응하여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의 경사각을 변동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50)은 입구컨베이어(12), 입구지지대(30), 본체(20)의 가동금형(22)과 펀치(26), 출구지지대(40), 출구컨베이어(14)로 연결되는 경로로 판재의 자동적인 이동과 성형을 유도한다. 특히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의 경사각 변동은 자동화 공정의 중요한 부분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50)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outlet support (40) vary in response to the molding process of the main body (20). The control means 50 is connected to the inlet conveyor 12, the inlet support 30, the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지지대(30)(40)에 설치되는 터치센서(52)와, 유압실린더(35)(45)에 설치되는 리니어센서(54)와, 센서의 신호를 입력을 받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유압실린더(35)(45)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50 includes a
터치센서(52)는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에 각각 설치되어 판재의 접촉유무에 대한 신호를 발생한다. The
터치센서(52)는 압력센서, 근접센서, 광센서 등에서 어느 한 종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The
리니어센서(54)는 유압실린더(35)와 유압실린더(45)에 각각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발생한다. The
제어기(56)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마이컴 회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작동 알고리즘을 지닌 프로그램은 제어기(56)의 메모리에 탑재된다.The
이때, 상기 제어수단(50)의 터치센서(52)는 성형중인 판재의 접촉 상태를 인식하도록 지지대(30)(40) 상에서 다수의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지점이란 지지대(30)(40)의 길이와 폭에 걸쳐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제조 대상 용접강관의 관경에 대응하여 판재 원료의 크기가 다양한 점을 감안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도 5를 이용하여 작동을 설명하면, 양측 지지대(30)(40)가 부호 30a 및 40a의 수평 상태에서 판재 원료를 로딩하고, 판재의 우측단이 가동금형(22)에 걸친 상태에서 펀치(26)가 하강하고, 판재의 소성변형에 의해 펀치(26)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를 이루고, 유압실린더(35)(45)의 작동으로 양 지지대(30)(40)를 부호 30b 및 40b의 위치로 상향 회동하고, 터치센서(52)로 접촉이 감지되면 양 지지대(30)(40)의 회동을 정지하고, 펀치(26)를 상승시킨 후에 양 지지대(30)(40)를 부호 30a 및 40a의 수평 상태로 서서히 하향 회동하고, 판재가 수평면에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 우측으로 이송하여 가공위치를 변동하고, 좌측단이 가동금형(22)에 걸치면 상기한 공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소성변형을 수행하고, 다시 판재의 중앙을 가동금형(22)에 걸친 상태에서 소성변형을 수행한다.5, the both side supports 30 and 40 load the plate material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이와 같이 판재 원료의 우측단, 좌측단, 중앙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면서 가장자리에 맞대기 이음부를 지닌 용접강관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양 지지대(30)(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펀치(26)의 가압후 상승 순간에 판재가 자중에 의해 임의로 롤링되므로 충격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판재의 소성변형 중의 변화하는 형태에 무관하게 양 지지대(30)(40)를 밀착 상태로 회동하여 작동 소음을 대폭 저감시키도록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 welded steel pipe having a butt joint at its edge is formed while pressing the right end, the left end, and the center of the raw material of the plate sequentially. In this process, when both supports 30 and 40 are not used, the sheet material is optionally rolled due to its own weight at the instant of elevation after pressing of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2, 14: 컨베이어 16: 캐리어
20: 본체 21: 프레임
22: 가동금형 23: 롤러
24: 몰드 26: 펀치
30: 입구지지대 31, 41: 힌지
33, 43: 완충대 35, 45: 유압실린더
37, 47: 안내대 40: 출구지지대
50: 제어수단 52: 터치센서
54: 리니어센서 56: 제어기12, 14: Conveyor 16: Carrier
20: main body 21: frame
22: movable mold 23: roller
24: mold 26: punch
30:
33, 43:
37, 47: guide base 40: exit support base
50: control means 52: touch sensor
54: Linear sensor 56: Controller
Claims (7)
프레임(21) 상에 가동금형(22)과 펀치(26)를 지닌 본체(20);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35)를 구비하는 입구지지대(30);
상기 프레임(2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사각 조절을 위한 유압실린더(45)를 구비하는 출구지지대(40); 및
상기 본체(20)의 성형 공정에 대응하여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의 경사각을 변동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50)은 입구와 출구 지지대(30)(40)에 설치되는 터치센서(52)와, 유압실린더(35)(45)에 설치되는 리니어센서(54)와, 센서의 신호를 입력을 받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유압실린더(35)(45)에 출력을 인가하는 제어기(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A press bending mechanism for forming a welded steel pipe using a plate material as a raw material, comprising:
A main body 20 having a movable mold 22 and a punch 26 on a frame 21;
An inlet support 30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21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35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 outlet support rod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1) and having a hydraulic cylinder (45)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d
And control means (50) for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outlet support (40) in response to the molding process of the main body (20)
The control means 50 includes a touch sensor 52 mounted on the inlet and outlet support members 30 and 40, a linear sensor 54 mounted on the hydraulic cylinders 35 and 45, And a controller (56) for applying an output to the hydraulic cylinders (35) (45) in accordance with a set algorithm.
상기 본체(20)의 가동금형(22)은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23)를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mold (22) of the main body (20) comprises a pair of opposed rollers (23) rotatably and movably.
상기 대향하는 롤러(23)의 사이에는 몰드(24)가 자세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of claim 2,
And a mold (24) is accommodated between the opposing rollers (23) so as to be capable of attitude change.
상기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는 판재의 성형 과정에서 충격과 긁힘을 방지하도록 완충대(33)(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support (30) and the outlet support (40) are provided with buffering parts (33, 43) to prevent impact and scratching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plate material.
상기 입구지지대(30)와 출구지지대(40)는 판재의 양단을 지지하여 정위치로 유도하도록 이동 가능한 안내대(37)(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support base (30) and the outlet support base (40) further include guide bars (37) (47) that are movabl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plate material and guide the plate material into a proper position.
상기 본체(20)는 판재를 유입하는 입구컨베이어(12)와 강관을 배출하는 출구컨베이어(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컨베이어(14)는 강관을 이동시키는 캐리어(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20 is disposed between an inlet conveyor 12 for introducing the sheet material and an outlet conveyor 14 for discharging the steel pipe and the outlet conveyor 14 is provided with a carrier 16 for moving the steel pipe A press bending mechanism of a welded steel pipe forming machine.
상기 제어수단(50)의 터치센서(52)는 성형중인 판재의 접촉 상태를 인식하도록 입구와 출구 지지대(30)(40) 상에서 다수의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강관 성형기의 프레스벤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ensor (52) of the control means (50)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inlet and outlet supports (30, 40) to recognize the contact state of the plate material being formed.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023A KR101528155B1 (en) | 2014-07-01 | 2014-07-01 |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023A KR101528155B1 (en) | 2014-07-01 | 2014-07-01 |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8155B1 true KR101528155B1 (en) | 2015-06-11 |
Family
ID=5350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023A Active KR101528155B1 (en) | 2014-07-01 | 2014-07-01 |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815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8184B1 (en) * | 2020-08-05 | 2021-01-27 | 주식회사 현대알비 | A steel tube banding apparatus for shock absorption and steel tube discharge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7113A (en) * | 2010-12-30 | 2012-07-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hape fitting typ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ature forming system |
JP2012210650A (en) * | 2011-03-31 | 2012-11-01 | Komatsu Ltd | Bending device of steel plate, bending method and bending program |
JP2012250285A (en) * | 2011-05-31 | 2012-12-20 | Sms Meer Gmbh | Method of and device for producing slit tube from plate material |
KR101363722B1 (en) * | 2013-05-08 | 2014-02-14 | 주식회사 티엠씨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large corrugation of membrane sheet for liqui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
-
2014
- 2014-07-01 KR KR1020140082023A patent/KR1015281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7113A (en) * | 2010-12-30 | 2012-07-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hape fitting type plat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ature forming system |
JP2012210650A (en) * | 2011-03-31 | 2012-11-01 | Komatsu Ltd | Bending device of steel plate, bending method and bending program |
JP2012250285A (en) * | 2011-05-31 | 2012-12-20 | Sms Meer Gmbh | Method of and device for producing slit tube from plate material |
KR101363722B1 (en) * | 2013-05-08 | 2014-02-14 | 주식회사 티엠씨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large corrugation of membrane sheet for liqui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8184B1 (en) * | 2020-08-05 | 2021-01-27 | 주식회사 현대알비 | A steel tube banding apparatus for shock absorption and steel tube discharge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15997B1 (en) |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press die used in the method | |
KR101536641B1 (en) | Apparatus for cutting off bead on welded steel pipe | |
KR101584343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provisional seam on welded steel pipe | |
KR101403206B1 (en) | Apparatus for bending materials | |
CN109277444B (en) | Leveling rib pressing machine, using method thereof and air pipe production line | |
JP4924125B2 (en) | Steel sheet pile straightening method and steel sheet pile straightening device | |
KR101528155B1 (en) | Press bending device for producing welded pipe | |
US20110226032A1 (en) | Pipe-bending press | |
KR101287933B1 (en) | Mechanical device for manufacturing metal pole used for stand-alone structure | |
KR20170048823A (en) | Hydroforming apparatus for tube | |
KR101348239B1 (en) | Expandable pipe forming bending machine | |
JP5937958B2 (en) | Metal plate bending apparatus and bending method | |
JP4859949B2 (en) | Rectangular steel pipe manufacturing equipment | |
JP6183907B2 (en) |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
RU2277463C2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resistance butt-welding of strip material | |
KR101675763B1 (en) | Two step molding method of headrest stay rod | |
KR20200001195U (en) | Welding After Process Works Line System for Coil Hanger of Boiler | |
JP6272717B2 (en) | Bending press molding method for plate material and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bending press molding method | |
KR101744840B1 (en) | Hydroforming process for tube | |
JP4107973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steel pipe column with column | |
KR19990002703A (en) | Bending device and bending method of aluminum side plate | |
KR101638780B1 (en) | Movable nc level feeder apparatus | |
KR20120075252A (en) | Pipe making method and pipe making device | |
JP4107974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round steel pipe column with column | |
CN220591175U (en) | Sheet metal machining bend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