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7461B1 - 매달기용 체인 - Google Patents

매달기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461B1
KR101527461B1 KR1020110128311A KR20110128311A KR101527461B1 KR 101527461 B1 KR101527461 B1 KR 101527461B1 KR 1020110128311 A KR1020110128311 A KR 1020110128311A KR 20110128311 A KR20110128311 A KR 20110128311A KR 101527461 B1 KR101527461 B1 KR 10152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late
chain
inner link
radius
end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159A (ko
Inventor
미치오 오이타카
야스시 나가이
마사키 키하라
다카히사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3003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4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7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chains, for chai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 강도가 높고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격의 매달기용 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링크 플레이트(120)와 외링크 플레이트(110)를 연결핀(1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310, 4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달기용 체인(100)으로, 내링크 플레이트(120)가 연결핀(130)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사이에 배열설치된 롤러(140)가 연결핀(130)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매달기용 체인(100)을 마련한다.

Description

매달기용 체인{Suspending chai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입체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이 탑재되는 승강대를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매달기용 체인이나 포크리프트의 포크형 승강부를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매달기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체인은 2 또는 그 이상의 회전축 사이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물품을 이동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입체주차장에서의 자동차, 원동기가 달린 자동이륜차, 자전거 등의 차량을 탑재하는 승강대를 첨부를 어태치먼트를 개재하여 매달고, 이 승강대를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매달기용 체인이 있다.
이러한 승강대를 구동하는 매달기용 체인은 입체주차장의 수직방향을 따라 가설된 레일을 따라 매달기용 체인이 팽팽하게 설치되고, 해당 매달기용 체인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어태치먼트에 승강대가 매달리게 되는 동시에, 해당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전동롤러가 가설된 레일을 주행하도록 설치되며, 해당 매달기용 체인과 걸어 맞추어져서 이것을 순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스프로킷이 달린 모터 등에 의해 구동하여, 승강대를 입체주차장의 입출고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입체주차장 등에 사용되는 매달기용 체인의 경우, 종전부터 알려진 동력전달용 체인과는 달리, 체인의 주행 스피드는 상당히 저속도이지만, 체인에는 체인에 매달린 승강대 및 해당 승강대에 탑재된 차량의 모든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큰 인장 강도가 요구되는 동시에 입체주차장이 대형이 될수록 체인이 길어진다.
그리고, 종래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측에 대치하여 배치된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520)의 길이방향 전후에 한 쌍의 부시(550)가 압입되어 이루어지는 내링크와, 해당 부시(550)의 각각에 관통되는 연결핀(530)을 양측에 대치하여 배치된 한 쌍의 외링크 플레이트(520)의 길이방향의 전후에 각각 압입되어 이루어지는 외링크를 체인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되고, 각각의 부시(550)에는 롤러(540)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밖에서 끼워져서 구성되는 범용의 체인(500)을 매달기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평 3-31794호(전문, 전체도면) 2)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 5-287929호(도 1 내지 도 10, 도 13 내지 도 18)
종전에는 범용 체인을 승강대의 구동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대 구동의 경우의 사용 상황을 고려하면, 이하와 같은 불필요함 혹은 문제점이 생기고 있었다.
즉, 입체주차장의 승강대 구동의 경우, 전도 체인의 경우와 달리, 인장하중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체인의 인장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데, 승강대의 구동은 고속으로 구동하는 것도 아니고, 체인의 부시와 연결핀 사이에서 생기는 상호회전도 전동 체인의 경우와 비교하면 대단히 적으므로, 소위 피로강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범용 체인의 경우, 인장 강도와 피로 강도를 아울러 갖도록 체인으로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입체주차장용의 승강대 구동에 요구되는 강도 요건과는 완전히 적합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범용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엄격한 요건인 인장 강도에 적합한 고성능의 것을 채용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피로강도가 높은, 이른바 설계상 낭비가 많은 체인을 사용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체주차장에서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체인을 둘러치기 위해 순환궤도의 경로가 길어지고, 각각의 체인 링크의 제조 오차, 조립 오차가 축적되어 체인 전체적으로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되고, 또한 경로가 길어지면 이것에 매달리는 승강대, 차량 등의 중량이 커져서 긴 체인에 많은 하중이 인가되어 체인에 생기는 변형도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로 생긴 왜곡에 의해 체인에 가로 구부러짐이나 비틀어짐이 생겨서 체인을 원활하게 주행시키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링크와 외링크 사이에서의 상호회전이 생기는 빈도가 낮기 때문에, 이것에 대처하는 부시 등의 부품의 필요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범용 체인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을 구비한 채이며, 이것이 가격을 절감할 수 없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 강도가 높고 구조가 간단하며, 저가격의 매달기용 체인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달기용 체인으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설치된 롤러가 상기 연결핀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와 내링크 플레이트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상기 연결핀이 삽입관통되는 구멍의 내경을 D로 하고, 상기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한 경우, 2h≥D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하고,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을 H로 한 경우, 2h≥H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형태가 잘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을 r로 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호의 반경을 R로 한 경우, r=R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달기용 체인으로, 내링크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링크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열설치된 롤러가 연결핀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인장 강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은 부시와 같은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매달기용 체인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여 체인의 부품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방의 외링크 플레이트, 일방의 내링크 플레이트, 롤러, 타방의 내링크 플레이트 및 타방의 외링크 플레이트를 일렬로 배치하여 한번에 연결핀을 관통하여 연결작업을 한번에 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시가 달린 내링크를 제작한데다가 연결핀을 관통시켜서 외링크를 장착하여 체인을 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종전에 2단계로 행해지던 체인 제작작업을 1단계로 실행하는 식으로, 체인 제작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내링크 제작시에 발생되던 내링크 플레이트의 가로 구부러짐과 같은 조립왜곡을 해소하여 전체적으로 체인의 제작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링크 플레이트에 부시를 설치하지 않게 되고, 내링크 플레이트의 연결핀 끼워 맞춤부 주위의 면적을 크게 했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의 인장 강도가 향상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의 구동에 적합한, 인장 강도가 높은 체인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내링크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부시를 없앴음에도 불구하고 연결핀과 내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회전운동 자유롭기 때문에, 매달기용 체인을 스프로킷에 걸어 돌려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내링크 플레이트와 연결핀 및 외링크 플레이트와의 상대회전운동이 원활하게 행해져서 매달기용 체인을 원활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와 내링크 플레이트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종전의 범용체인과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의 치수가 다르지 않고,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를 동일한 치수, 크기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을 제작하기 위한 부품 종류가 감소하여 제작 작업, 제작비용 및 부품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단부의 연결핀이 삽입관통하는 구멍의 내경을 D로 하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한 경우, 2h≥D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종래의 2h<D의 관계가 성립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내링크 플레이트의 단부의 내외직경의 차를 크게 취할 수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하고,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을 H로 한 경우, 2h≥H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종래의 2h <H의 관계가 성립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내링크 플레이트의 단부의 내외직경의 차를 크게 취할 수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매달기용 체인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이 거두는 효과에 덧붙여서,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한쪽의 단부와 다른 쪽의 단부 사이의 형태가 잘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을 r로 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호의 반경을 R로 한 경우, r=R의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1매의 금속 플레이트 등으로부터 복수의 내링크 플레이트를 천공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부분과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의 단부를 틈 없이 인접시키는 동시에,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단부와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의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부분을 틈 없이 인접시켜서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링크 플레이트 및 종래 기술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링크 플레이트를 천공하는 제조공정의 레이아웃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을 적용한 입체주차장의 개략측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입체주차장의 매달기용 체인을 둘러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을 적용한 포크리프트의 개략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평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인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평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인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측면도.
본 발명은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를 연결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달기용 체인으로, 내링크 플레이트가 연결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링크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열설치된 롤러가 연결핀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어서, 인장 강도가 높고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격의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상관없다.
즉, 매달기용 체인을 구성하는 체인 자체의 소재는 보통 온도에서 인장 강도에 뛰어난 것이면, 철계 혹은 비철계의 금속재료 등 어떠한 재료라도 상관없지만, 상당한 인장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것, 내외 링크 플레이트, 연결핀 및 롤러 등의 부품은 인장 강도 및 부식 방지성 등을 고려하면 강철계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달기용 체인으로서는 롤러까지도 생략한 내외 링크 플레이트와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등의 최대한 부품 수를 줄인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단, 큰 인장하중 하에서 매달기용 체인을 스프로킷의 걸어 맞춤 톱니에 걸어맞추어 구동하는 것을 고려하면, 스프로킷 걸어 맞춤 톱니와 걸어 맞추어지는 개소에는 어느 정도의 크기(직경)가 필요한 것, 및 연결핀을 대경으로 하면 연결핀을 삽입관통하는 내외 링크 플레이트의 단부 직경 등도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 등을 고려하면, 롤러를 개재하여 스프로킷과 걸어 맞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본 매달기용 체인의 장수명화, 유지보수 자유화를 도모하여, 롤러 내주면 및/또는 링크 플레이트의 슬라이딩면에 윤활제를 보류하는 등의 무급유(無給油)형의 체인을 채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매달기용 체인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무단 형상이어도 되고 유단 형상이어도 된다.
매달기용 체인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는 매달기용 체인을 둘러치도록 되어 있는 방향이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덧붙여서 가로방향으로도 둘러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의 자중이 매달기용 체인에 작용하는 기구이면 된다.
(제 1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의 부분측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종래 기술의 내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내링크 플레이트를 천공하는 제조공정의 레이아웃도 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을 적용한 입체주차장의 개략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입체주차장의 매달기용 체인을 둘러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매달기용 체인을 적용한 포크리프트의 개략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대치하여 번갈아 배치된 한 쌍의 내링크 플레이트(120) 및 링크 플레이트(110)를 연결핀(130)을 관통시켜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매달기용 체인(100)이 형성된다.
외링크 플레이트(110) 및 내링크 플레이트(120)는 모두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제작에 있어서 2종류의 천공형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제작 비용이나 부품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의 오장착의 가능성이 감소되므로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범용체인과 같이 외링크 플레이트를 내링크 플레이트보다 작게 구성하여 차량탑재 케이지를 구동한다는 기능에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부시를 생략하고 있으므로, 도 2에 있어서 우단부의 내링크 플레이트(1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내링크 플레이트(120)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 h, 즉 내링크 플레이트(120) 단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매달기용 체인(500)의 경우에는 도 10에 있어서 우단부의 내링크 플레이트(5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의 내링크 플레이트(520) 단부에는 부시(550)가 압입되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520) 자체는 그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 h'가 부시(550)의 두께만큼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예와 같이 부시를 생략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120)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과의 차 h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면적이 증대되어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제1 실시 예와 같이 부시를 없앰으로써 매달기용 체인(100)의 외경 치수는 변하지 않아도, 그 인장 강도를 향상하여 매달기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구비하는 매달기용 체인(100)을 저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혹은 내링크 플레이트(120)를 종래보다 작은 치수로 하여 같은 정도의 인장 강도를 구비하는 매달기용 체인을 보다 작은 치수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핀(130)은 외링크 플레이트(110)에 대하여 상호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장착하여 형태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내링크 플레이트(120)와는 약간의 틈을 형성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있으므로, 내링크 플레이트(120)와 외링크 플레이트(110)는 상대 회전운동이 자유로우며, 체인으로서 필요한 굴곡 자유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외링크 플레이트(110)를 연결핀(130)을 압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결핀(130)에 대하여 고정하고, 내링크 플레이트(120)를 연결핀(130)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우고 있지만, 예를 들면 연결핀(130)의 양측, 최외부 고정고리 혹은 고정핀을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외링크 플레이트(110)가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필요한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라면, 내링크 플레이트(120)에 연결핀(130)을 고정하고, 외플레이트(110)와 연결핀(130)을 유동 가능하게 끼우도록 해도 되고, 내외 양링크 플레이트(110, 120) 모두 연결핀(130)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연결핀(130)의 외측에 롤러(140)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있고, 스프로킷과는 롤러(140)를 개재하여 걸어 맞추어지므로, 소경의 연결핀(130)의 표면의 일부에 스프로킷의 걸어 맞춤톱니로부터 과대한 견인력이 작용하지는 않고, 롤러(140)의 외주면 전체에서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받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매달기용 체인(100)이 손상될 가능성을 크게 줄여서 장기간에 걸쳐 원활하게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단부에서의 연결핀(130)이 삽입관통하는 구멍의 내경을 D로 하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한 경우, 2h≥D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매달기용 체인(500)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520)의 단부에서의 연결핀(130)이 삽입관통하는 구멍의 내경을 D로 하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한 경우, 2h'<D'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520)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 차이에 의해,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단부의 내외 직경의 차를 크게 취할 수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을 H로 한 경우, 2h≥H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매달기용 체인(500)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520)의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을 H'로 한 경우, 2h'<H'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520)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 차이에 의해,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용이하게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단부의 내외 직경의 차를 크게 취할 수 있어서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한쪽의 단부와 다른 쪽의 단부 사이의 형태가 잘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을 r로 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호의 반경을 R로 한 경우, r=R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매달기용 체인(500)에서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링크 플레이트(520)의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형태가 잘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을 r'로 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호의 반경을 R'로 한 경우, r'<R'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내링크 플레이트(520)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 차이에 의해, 종래는 1매의 금속 플레이트 등으로부터 복수의 내링크 플레이트(520)를 천공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520)와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520)를 인접시킨 경우라도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520)와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520) 사이에 불필요한 틈이 생겨 있었기 때문에 제조 수율이 낮고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본 발명의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금속 플레이트(PL) 등으로부터 복수의 내링크 플레이트(120)를 천공하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부분과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단부를 틈 없이 인접시키는 동시에, 하나의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단부와 다른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부분을 틈없이 인접시켜서 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매달기용 체인(100) 자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또한 이것에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어태치먼트를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가 매달려 있다.
매달기용 체인(100)이,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주차장(300)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38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의 일례인 승강대(310)가 매달기용 체인(100)의 일부와 접속되어 매달기용 체인(100)에 매달리고, 승강대(310)에는 차량이 탑재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입체주차장(300)은 모터(320), 드라이브 체인(340), 회전축(330), 한 쌍의 제1 스프로킷(350), 한 쌍의 제2 스프로킷(360), 한 쌍의 제3 스프로킷(370), 승강대(310), 4개의 매달기용 체인(100) 및 기둥(38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에 의해 모터(320)가 회전하고, 모터(320)의 동력이 드라이브 체인(340)을 통하여 회전축(330)으로 전달되고, 회전축(330)과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1 스프로킷(350) 및 한 쌍의 제3 스프로킷(370)이 회전한다.
여기에서, 한 쌍의 제1 스프로킷(350) 및 한 쌍의 제3 스프로킷(370)에는 4개의 매달기용 체인(100)이 각각 걸어 돌려져 있다.
이 중, 한 쌍의 제1 스프로킷(350)에 걸어 돌려져 있는 2개의 매달기용 체인(100)은 한 쌍의 제2 스프로킷(360)에도 각각 걸어 돌려지고, 일단이 승강대(310)에서의 차량의 입구측인 앞쪽의 좌우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타단부는 제1 스프로킷(350)이 승강대(310)측의 매달기용 체인(100)을 감았을 때에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는 부재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제3 스프로킷(370)에 걸어 돌려져 있는 2개의 매달기용 체인(100)의 일단부는 승강대(310)에서의 뒤쪽의 좌우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타단부는 제2 스프로킷(360)이 승강대(310)측의 매달기용 체인(100)을 감았을 때에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는 부재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모터(320)가 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승강대(310)가 기둥(380)을 따라 상승하고, 모터(320)가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승강대(310)가 기둥(380)을 따라 하강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입체주차장(300)의 기구의 개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의 배치로서는 다양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매달기용 체인(100)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400)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트(43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의 일례인 포크형 승강부(410)가 매달기용 체인(100)의 일부와 접속되어 매달기용 체인(100)에 매달리고, 포크형 승강부(410)에는 컨테이너 등의 짐이 탑재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포크리프트(400)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로킷이 달린 모터, 스프로킷(420), 포크형 승강부(410), 매달기용 체인(100), 및 마스트(4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종자의 조작에 의해 스프로킷이 달린 모터가 회전하고, 스프로킷(420)에 걸어 돌려진 매달기용 체인(100)에 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에서, 매달기용 체인(100)의 일부가 포크형 승강부(410)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달기용 체인(100)이 유단상인 경우는 일단이 포크형 승강부(410)와 접속되고, 매달기용 체인(100)이 무단상인 경우는 일부가 포크형 승강부(410)와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스프로킷이 달린 모터가 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포크형 승강부(410)가 마스트(430)를 따라 상승하고, 스프로킷이 달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포크형 승강부(410)가 마스트(430)를 따라 하강한다.
(제 2 실시 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200)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200)의 부분평면도다.
제2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200)은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을 복열로 한 것이며, 많은 요소에 대하여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과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를 공통되는 2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본 제2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200)은 보다 인장 강도를 향상하도록 2열로 한 것이며, 양측에 외링크 플레이트(210) 및 내링크 플레이트(220)을 번갈아 배치하고, 중앙부에 중간 외링크 플레이트(281) 및 중간 내링크 플레이트(282)를 배치하고, 이들의 내외 링크 플레이트(210, 220)를 연결핀(230)을 관통시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여 무단형상의 매달기용 체인(200)으로 하고 있다.
또한, 내링크 플레이트(220)와 중간 내링크 플레이트(282) 사이에 각각 롤러(240)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어서, 부시가 생략되어 있는 것도 제1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제2 실시 예의 매달기용 체인(200)의 경우, 양측과 중앙부에 4매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에 2매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제1 실시예의 매달기용 체인(100)에 비해 거의 2배의 인장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외링크 플레이트(281) 및 중간 내링크 플레이트(282)에 대해서도, 외링크 플레이트(210) 및 링크 플레이트(220)와 동일 형상의 것을 사용하면, 부품제작이나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매달기용 체인(100, 200)은 내링크 플레이트(120, 220)가 연결핀(130, 230)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링크 플레이트(120, 220) 사이에 배열설치된 롤러(140, 240)가 상기 연결핀(130, 230)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불필요한 부품을 줄이면서도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수가 감소하였으므로, 체인의 제작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략된 조립공정에서 발생되고 있던 조립 오차를 해소하여 매달기용 체인(100, 200) 전체의 조립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링크 플레이트(110, 210)와 내링크 플레이트(120, 220)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부품 제작비용 및 부품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막대하다.
또한, 내링크 플레이트(120)에 있어서, 상술한 2h≥D의 관계 및 2h≥H의 관계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하고 있음으로써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내링크 플레이트(120)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링크 플레이트(120)에 있어서, 상술한 r=R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음으로써,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200, 500 : 매달기용 체인 110, 210, 510 : 외링크 플레이트
120, 220, 520 : 내링크 플레이트 130, 230, 530 : 연결핀
140, 240, 540 : 롤러 281 : 중간 외링크 플레이트
282 : 중간 내링크 플레이트 300 : 입체주차장
310 : 승강대 320 : 모터
330 : 회전축 340 : 드라이브 체인
350 : 제1 스프로킷 360 : 제2 스프로킷
370 : 제3 스프로킷 380 : 기둥
400 : 포크리프트 410 : 포크형 승강부
420 : 스프로킷 430 : 마스트
550 : 부시 PL : 금속 플레이트

Claims (5)

  1. 내링크 플레이트, 외링크 플레이트,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와 외링크 플레이트를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연결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매달기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가 상기 연결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 설치된 롤러가 상기 연결핀의 외주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와 내링크 플레이트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링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을 압입하는 구멍의 크기가 내링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을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구멍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부의 상기 연결핀이 삽입관통되는 구멍의 내경을 D로 하고, 상기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과 내주부의 반경의 차를 h로 하고,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을 H로 한 경우,
    2h≥D 및 2h≥H
    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용 체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링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의 단부와 타방의 단부 사이의 형태가 잘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단부의 외주부의 반경을 r로 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형상의 호의 반경을 R로 한 경우,
    r=R
    의 관계가 성립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용 체인.
KR1020110128311A 2011-09-29 2011-12-02 매달기용 체인 Active KR101527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4588A JP5709714B2 (ja) 2011-09-29 2011-09-29 吊下げ用チェーン
JPJP-P-2011-214588 201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59A KR20130035159A (ko) 2013-04-08
KR101527461B1 true KR101527461B1 (ko) 2015-06-09

Family

ID=4695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11A Active KR101527461B1 (ko) 2011-09-29 2011-12-02 매달기용 체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09714B2 (ko)
KR (1) KR101527461B1 (ko)
CN (2) CN202483220U (ko)
TW (1) TWI5139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9714B2 (ja) * 2011-09-29 2015-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吊下げ用チェーン
CN103883675A (zh) * 2014-03-28 2014-06-25 杭州东华链条集团有限公司 一种连接处带防转功能的钢制销合链
CN105667733A (zh) * 2016-01-21 2016-06-15 侯如升 一种船体侧壁漂浮轮连接机构
DE102017102931A1 (de) * 2017-02-14 2018-08-16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bfallarmen Kettenlasch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255U (ko) * 1975-11-06 1977-05-12
JP2001132799A (ja) *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昇降用リフトチェーン
JP2003240062A (ja) * 2002-02-15 2003-08-27 Enuma Chain Seisakusho:Kk オートバイ用のチェーン
JP2006064049A (ja) * 2004-08-26 2006-03-09 Enuma Chain Mfg Co Ltd ローラ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4651A (en) * 1980-03-25 1981-10-21 Tsubakimoto Chain Co Chain link plate
US4578941A (en) * 1984-08-27 1986-04-01 Emerson Electric Co. Load carrying device
JPH0331794Y2 (ko) * 1986-04-05 1991-07-05
JPH08193645A (ja) * 1995-01-13 1996-07-30 Toray Ind Inc チェーン
DE10234626B4 (de) * 2002-07-29 2006-02-23 Thiele Gmbh & Co. Kg Sicherheitsbauteile aus Stahl für die Hebe-,Zurr-,Förder -und Gewinnungstechnik
CN2781082Y (zh) * 2004-12-16 2006-05-17 李彦华 多板对称链条
JPWO2007077616A1 (ja) * 2005-12-28 2009-06-04 大同工業株式会社 サイレントチェ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TWM305244U (en) * 2006-06-06 2007-01-21 Shiue-Chang Li Chain linking type ascent/descent apparatus
JP4098340B2 (ja) * 2006-09-13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4260181B2 (ja) * 2006-11-27 2009-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ベアリングローラチェーン
CN201125983Y (zh) * 2007-11-19 2008-10-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提升装置链条改进结构
DE102008021233A1 (de) * 2008-04-28 2009-10-29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Förderkette mit gummielastischer Lagerung
JP4662499B2 (ja) * 2008-08-29 2011-03-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噛合チェーン
CN201461858U (zh) * 2009-05-06 2010-05-12 杭州顺峰链业有限公司 高速升降机链条
JP5709714B2 (ja) * 2011-09-29 2015-04-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吊下げ用チェ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255U (ko) * 1975-11-06 1977-05-12
JP2001132799A (ja) *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昇降用リフトチェーン
JP2003240062A (ja) * 2002-02-15 2003-08-27 Enuma Chain Seisakusho:Kk オートバイ用のチェーン
JP2006064049A (ja) * 2004-08-26 2006-03-09 Enuma Chain Mfg Co Ltd ローラ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159A (ko) 2013-04-08
CN103031971A (zh) 2013-04-10
CN202483220U (zh) 2012-10-10
JP5709714B2 (ja) 2015-04-30
TW201314074A (zh) 2013-04-01
CN103031971B (zh) 2016-04-06
TWI513924B (zh) 2015-12-21
JP2013072547A (ja)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61B1 (ko) 매달기용 체인
JP5340670B2 (ja)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JP4509165B2 (ja)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JP5805035B2 (ja) 吊下げ用チェーン
CN203009697U (zh) 一种双倍节距可变节距无声链
CN202203297U (zh) 一种链条联轴器
CN205930968U (zh) 模块化的引导轮
JP5689433B2 (ja) 吊下げ用チェーン
CN220037376U (zh) 齿链混合动力传动系统及采用该系统的垂直循环立体车库
CN202209380U (zh) 一种加强型链条联轴器
CN203903371U (zh) 一种板链传输线
CN109914882B (zh) 一种垂直循环立体车库的安全平稳型动力传递系统
CN108317221A (zh) 滚子链条及链传动系统
CN203009698U (zh) 一种双倍节距无声链
CN202867704U (zh) 适用于变载变速传动装置的齿形链
CN208979669U (zh) 板式链条的升降托起结构
CN102829141A (zh) 一种链式销轮传动装置
CN218625275U (zh) 一种销齿链传动机构
CN202203338U (zh) 加强型链条联轴器
CN202346312U (zh) 一种新型的斗提机板链结构
CN201313722Y (zh) 链式水平循环载物装置
JP7318688B2 (ja) 吊り下げ用チェーン
CN109972882B (zh) 一种垂直循环立体车库的安全柔性垂直循环系统
JP5046899B2 (ja) 昇降駆動用噛合チェーン
CN201867068U (zh) 用于链箅机上的复合托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