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414B1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414B1 KR101527414B1 KR1020130103402A KR20130103402A KR101527414B1 KR 101527414 B1 KR101527414 B1 KR 101527414B1 KR 1020130103402 A KR1020130103402 A KR 1020130103402A KR 20130103402 A KR20130103402 A KR 20130103402A KR 101527414 B1 KR101527414 B1 KR 101527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ing film
- light shielding
- blind
- light
- opaq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개폐를 위한 상승 또는 하강시 차광막가 수평상태에서 상부 또는 하부에서 차례로 벌어지거나 중첩되는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어떠한 위치에서든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차광막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차광막(20)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된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20)을 불투명부(21) 및 전, 후면 망사부재(22)(23) 그리고 접합부(24)를 갖는 단위편으로 구성하여 차광막(20)의 각 접합부(24)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21)에 접합하여 차광막(20)이 상, 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eral angle-adjustable blind paper and a blin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paper with horizontal angle adjustment and a blind using the same, So that the angle of the light-shielding film can be freely adjusted.
The light shielding film 20 may be attached to the opaque portion 21 and the front and rear netting members 22 and 23 and the connection portions 23 and 24 by a plurality of light shielding films 20, Shielding films 20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y joining the joining portions 24 of the light-shielding film 20 to the opaque portions 21 of the adjacent light-shielding film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의 개폐를 위한 상승 또는 하강 시 차광막이 수평상태에서 차례로 벌어지거나 중첩되는 타입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어떠한 위치에서든지 채광 및 환기를 위한 차광막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angle adjustable blind that allows the angle of the light shielding film to be freely changed for lighting and ventilation at any position while converting the light shielding film to a type in which the light shielding film is widened or overlapped in order, And a blin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커튼 및 블라인드는 건물의 창문이나 출입구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차단, 외부의 시선 차단, 방음, 방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실용성 이외에도 내부의 벽이나 유리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의 배합에 따라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는 실내장식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curtains and blinds are installed at the windows or entrance of a building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terception of the sunlight, interception of the outside, soundproofing, cold weather, etc. In addition to this practicality, the blend of colors And is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interior decoration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이러한 역할을 하는 블라인드는 승, 하강용 구동 줄을 당김에 따라 권취봉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지가 권취봉으로부터 풀리거나, 감겨 창문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블라인드지는 창문 또는 출입구의 전면에 걸쳐 펼쳐진 상태에서는 유입되는 빛 또는 통풍의 양을 전혀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된다.When the wind-up ba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by pulling up and down the driving rope, the blind paper wound around the wind-up bar is unwound from the wind-up bar or woun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window.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light or ventilation introduced can not be controlled at all when the blind spots are spread across the window or the entranc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타입의 블라인드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참고문헌 특허등록 제912862호)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blind paper of the type shown in Fig. 1 has been developed and used (Reference Patent No. 912862)
도 1은 종래의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전면 망사부재(1) 및 후면 망사부재(2)에 조밀하게 제직된 차광막(3)의 상부가 전면 망사부재(1)에 그리고 하부는 후면 망사부재(2)에 열처리 방식으로 접착되는 접착부(4)가 형성되어 블라인드지(1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차광막(3)의 상, 하부는 전, 후면 망사부재(1)(2)가 근접한 상태에서 실, 내외를 완전히 차폐시킬 수 있도록 인접하는 차광막(3)과 중첩되게 설치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teral angle-adjustable blind paper, in which an upper part of a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은 타입의 새로운 블라인드지가 개발되어 특허 제699769호로 등록된 바 있다.Also, a new blind paper of the type shown in Figures 2 and 3 was developed and registered as a patent 699769. [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의 제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제직방법에 의해 생산된 블라인드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3가닥의 위사(11) 및 4가닥의 경사(12)를 이용하여 엉성한 조직을 갖는 전, 후면 망사부재(13)(14) 및 조밀한 조직을 갖는 차광막(15)이 일체가 되게 동시에 제직한 다음 전, 후면 망사부재(13)(14)와 근접된 지점의 제직 연결경사(16)를 절단 제거함으로써,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차광막(15)이 전, 후면 망사부재(13)(14)와 일체로 제직된 블라인드지(10)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eaving process of another conventional lateral angle-adjustable blind paper, and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lind paper produced by a conventional weaving method, Back
즉, 상기 블라인드지(10)는 통풍을 목적으로 하는 전면 망사부재(13) 및 후면 망사부재(14)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하여 빛을 차단하는 차광막(15)이 일체로 제직되는데, 상기 전면 망사부재(13) 및 후면 망사부재(14) 그리고 차광막(15)은 전방 연결매듭(17) 및 후방 연결매듭(18)과 일체로 제직되는 제직 연결경사(16)에 의해 일체가 된다.That is, in the
상기 제직 연결경사(16)는 어느 1가닥의 위사(11)와 일체로 제직되어 결합되면서 차광막(15)이 전면 망사부재(13)와 후면 망사부재(14)를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방 연결매듭(18)에서 만들어진 후 전방 연결매듭(17)에 형성되는 요부홈(19)를 통과하면서 제직된다.The weft connection
상기 전방 연결매듭(17)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직 연결경사(16)의 끝 부분은 재차 후방 연결매듭(18)의 어느 1가닥의 위사(11)와 반복적으로 제직되면서 수 개의 연결매듭(17)(18)을 형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직 연결경사(16)는 어느 1가닥의 위사(11)와 제직되면서 도 2와 같이 전방 연결매듭(17)과 후방 연결매듭(18)에 각각의 전면 망사부재(13)와 후면 망사부재(14)를 형성함과 아울러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15)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실시된다.The ends of the
상기 블라인드지(10)는 제직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직 연결경사(16)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인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블라인드의 각도조절부재(도시는 생략함)에 권취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직완료 후, 전방 연결매듭(17)에서 노출되는 제직 연결경사(16)를 절단 제거하여야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weaving is completed, the weft-binding connecting
따라서 전면 및 후면 망사부재(13)(14)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15)이 일체로 제직된 블라인드지(10)가 얻어지고 나면 도 3a와 같이 블라인드지(10)를 프레임(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도조절부재에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각도조절부재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된다.3A, when the
즉, 도 3a와 같이 전, 후면 망사부재(13)(14)의 사이가 근접된 상태에서는 조밀한 조직을 갖는 차광막(15)이 상호 중첩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 내외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front and
이러한 상태에서 조정 줄(도시는 생략함)을 잡아당겨 도 3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 전, 후면 망사부재(13)(14)의 사이에 위치된 차광막(15)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 후면 망사부재(13)(14)를 통해 채광은 물론이고 통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state, if the adjustment rope (not shown) is pulled to mainta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B,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는 각도조절부재로부터 블라인드지가 완전히 풀린상태에서, 차광막(15)의 경계부위가 상호 중첩된 수직상태에서만 차광막을 수평상태로 전환하여 실내의 채광 및 환기를 실시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lind paper and the blind using the same, when the blind paper is completely unwound from the angle adjusting member, the light shielding film is turned to a horizontal state only in the vertical state where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즉, 전, 후면 망사부재의 사이가 근접되어 차광막(15)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블라인드지의 일부가 각도조절부재에 감긴상태에서는 차광막을 수평상태로 전환시킬 수 없게 되므로 항상 블라인드지를 완전히 하강시켜야만 실내의 채광 및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blind paper is wound arou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back mesh members a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또한, 도 3a와 같이 전, 후면 망사부재(13)(14)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는 그 사이에 차광막(15)이 위치되어 있어 3겹을 이루게 되므로 이를 각도조절부재에 감을 경우에는 외경(부피)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각도조절부재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프레임의 크기를 크게 할 수밖에 없어 블라인드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3A, when the front an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블라인드지를 단위편으로 접어 상호 연결하는 타입으로 변경하여 각도조절부재에 감는 타입이 아니라 차광막을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중첩(쌓이는)되게 함으로써 일부 차광막이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도 실내의 채광 및 환기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hanging a type of blind paper by folding unit pieces and interconnecting th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light and ventilation of the room even in the state where the light shielding film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 후면 망사부재의 중간이 상호 꺾이도록 꺾임부를 구비하여 차광막이 차례로 중첩될 때 꺾임부가 접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device for folding a folding part when the light blocking films are sequentially superimposed on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지가 각도조절부재에 감기는 것이 아니라 상호 중첩(쌓이는)되는 타입으로 변경함에 따라 블라인드의 크기를 콤팩트(compact)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광막을 불투명부 및 전, 후면 망사부재 그리고 접합부를 갖는 단위편으로 구성하여 접합부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에 접합함으로써, 블라인드의 크기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size of the blinds compact by changing the blind paper into a type in which the blind spots do not wind on the angle adjusting member but overlap each other.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shielding film comprising opaque portions, front and rear netting members, and unit pieces having a joining portion, and joining the joining portions to the opaque portions of the adjacent light shielding films to quickly respond to the size of the blind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차광막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된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을 불투명부 및 전, 후면 망사부재 그리고 접합부를 갖는 단위편으로 구성하여 차광막의 각 접합부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에 접합하여 차광막이 상, 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teral angle-adjustable blind paper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shielding films are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rein the light-shielding film is composed of a unit piece having opaque portions, front and rear net- And the light-shielding film i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y joining the junctions of the light-shielding films to the opaque portions of the adjacent light-shielding films.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좌, 우 180°위상차를 갖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 또는 드럼을 좌, 우 회전시켜 개폐되게 하는 공지의 구동수단과; 차광막 및 전, 후면 망사부재 그리고 접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편의 차광막을 접어서 그 접합부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에 접합하여 상, 하로 배열함과 함께 각 차광막에 상호 연통되게 2개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 후면 망사부재의 상부가 각도조절부재에 18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되는 블라인드지와;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불투명부에 형성된 통공을 거쳐 웨이트에 고정하여 블라인드지의 상승 시 차례대로 최하단의 차광막로 부터 점차적으로 상승시키는 승강 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frame, an angle adjust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to the frame so as to have a left-right 180 ° phase difference, Means; The light shielding film, the front and rear netting members, and the joining portion are folded and the joining portion is joined to the opaque portion of the adjacent light shielding film, and two or more through holes ar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light shielding film A blind strip fixed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such th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mesh members has a 180 ° phase difference; And a lifting bar which is fixed at one end to the drum and has the other end fixed to the weight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each of the opaqueness portions so as to gradually rise from the lowermost shielding film when the blind paper is lifted. A blind using a blind paper is provided.
본 발명은 블라인드지가 각도조절부재에 감기지 않고 차광막이 차례로 중첩되므로 블라인드의 콤팩트화가 가능해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ind spots are not wound on the angle adjusting member and the light-shielding films are sequentially superimposed, the blind can be made compact.
또한, 일부 차광막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도 차광막을 수평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되므로 실내의 채광은 물론이고 환기가 가능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Further, since the light-shielding film can be switched to a horizontal state even in the state where some of the light-shielding film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effect of ventilation can be obtained as well as light in the room.
도 1은 종래의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의 제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제직방법에 의해 생산된 블라인드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지의 단위편을 펼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꺾임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블라인드지의 승, 하강 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ateral angle adjustable blind sheet;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eaving process of another conventional lateral angle adjustable blind paper.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blind paper produced by a conventional weaving metho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in which the unit pieces of the blind paper applied to Fig. 4 are expand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ent portion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lind using the blind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time when the blind paper is moved up and down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지의 단위편을 펼친 상태도로써,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차광막(20)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된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에서 차광막(20)이 불투명부(21) 및 전, 후면 망사부재(22)(23) 그리고 접합부(24)를 갖는 단위편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차광막(20)의 각 접합부(24)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21)에 접합함에 따라 차광막(20)이 상, 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tate view of a unit piece of a blind paper applied to FIG. 4. FIG. 5 is a cross-
이때, 복수 개의 차광막(20)이 차례로 중첩된 상태에서 불투명부(21)에 승강 줄(25)이 각각 통과되는 2개 이상의 통공(26)을 형성하면 승강 줄(25)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차광막(20)을 차례로 접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t this time, when two or more through
도 5는 도 4에 적용되는 블라인드지의 차광막를 펼친 상태도로써, ℓ : 불투명부, ℓ₁: 전, 후면 망사부재, ℓ₂: 접합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state view of a blind paper light shielding film applied to FIG. 4, in which l: opaque portion, l1: front, rear surface mesh member, and l2: bonding portion.
이 때, ℓ〉ℓ₁이어야 불투명부(21)를 일 측으로 기울였을 때 불투명부가 실, 내외를 차폐시킬 수 있으며, 단위편의 차광막(20)을 연결 시 접합부(24)의 전체를 접합하거나, 필요에 따라 1열 또는 2열로 접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When the
상기 차광막(20)에 형성되는 통공(26)은 단위편을 접기 전 또는 접은 후에 펀칭(punching), 레이저(laser), 인두 등을 이용하여 뚫을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the through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상기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중간부위에 꺾임부(27)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꺾임부(27)는 다림공정에 의해 외측으로 주름지게 형성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7a와 같이 꺾임부(27)의 위사를 공타 쳐 외측으로 꺾이도록 하거나, 도 7b와 같이 꺾임부(27)에 위치하는 위사(27a)의 재질을 전, 후면 망사부재(22)(23)를 구성하는 위사보다 가느다란 굵기로 하여 외측으로 꺾이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and
도 8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블라인드지의 승, 하강 시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블라인드는 프레임(28)에 좌, 우 약 90°로 회동 가능하게 각도조절부재(2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도조절부재(29) 또는 드럼(30)은 공지의 구동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좌, 우 회전하면서 블라인드지를 각도조절 및 상, 하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부재(29)에는 블라인드지의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상단이 약 180°위상차를 갖도록 연결되어 있다.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lind using the blind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time when the blind paper is lifted and lowered. The
상기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중간부위에 차례로 접히도록 꺾임부(27)가 구비되어 있고,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위치되는 각 불투명부(21)에는 승강 줄(25)이 통과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에는 드럼(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불투명부(21)에 형성된 통공(26)을 거쳐 웨이트(31)에 고정되는 승강 줄(25)이 고정되어 있다.A
이 때, 상기 블라인드지에서 최하단의 차광막(20)의 저면에는 웨이트(31)가 고정되어 있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에는 평형유지판(32)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웨이트(31)는 블라인드지가 부드럽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평형유지판(32)은 각도조절부재(29)이 회전할 때 차광막(20) 및 전, 후면 연결 부재(22)(23)가 부드럽게 각(角) 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는 도 4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편으로 절단된 불투명부(21)를 절곡한 후 차광막(20)의 각 접합부(24)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21)에 접합함에 따라 차광막(20)이 상, 하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도록 블라인드지를 구성하게 된다.4 and 6, the
그 후, 복수 개의 차광막(20)을 차례로 중첩한 다음 불투명부(21)에 승강 줄(25)이 통과되는 2개 이상의 통공(26)을 펀치 등을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하는데, 상기 통공(26)은 필요에 따라 블라인드지를 구성할 때 형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Thereafter, a plurality of
이는, 블라인드가 설치되는 창문의 폭이 넓고, 좁음에 따라 승강 줄(25)이 끼워지는 통공(26)의 간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width of the window in which the blind is installed is w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rough
이와 같이 차광막(20)을 상, 하방향으로 배열하여 블라인드지를 구성하고 나면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9a와 같이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상단을 각도조절부재(29)에 18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한 후 각 불투명부(21)에 형성된 통공(26)에 승강 줄(25)을 끼워 상단은 드럼(30)에 고정하고 하단은 웨이트(31)에 고정함에 따라 블라인드가 완성된다.After the
이 때, 상기 불투명부(21)에 형성되는 통공(26)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야만 드럼(30)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20)이 안정적으로 중첩되거나, 중첩된 상태에서 상호 이격된다.At least two or more through
따라서 드럼(30)으로부터 승강 줄(25)이 완전히 풀리고 차광막(20)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블라인드지가 하사점에 위치되어 각 차광막(20)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내의 채광은 물론이고 환기가 가능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fting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 외를 차폐시키기 위해 조정 줄(도시는 생략함)을 잡아당겨 각도조절부재(29)를 90°회동시키면 차광막(20)의 수평상태로 인해 최대한 멀어져 있던 전, 후면 망사부재(22)(23)가 상호 맞닿으면서 인접하는 차광막(20)의 상, 하부가 상호 중첩되므로 블라인드지가 실, 내외를 차폐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블라인드지가 실, 내외를 차폐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정 줄을 더욱 잡아당기면 드럼(30)이 회전하면서 승강 줄(25)을 감게 되므로 블라인드지가 상승하면서 최하단의 차광막(20)에, 도 9b와 같이 그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이 차례로 중첩되는데, 이 때 본 발명의 블라인드지에서 전, 후면 망사부재(22)(23)의 중간부위에 꺾임부(27)가 구비된 경우에는 최하단의 차광막(20)으로부터 그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막(20)이 안정적으로 중첩되어 맞닿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adjustment rope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blind spindle is shielded from the yarn inside and outside, the
그 후, 사용자가 조정 줄을 잡아당겨 각도조절부재(29)를 전술한 바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던 차광막(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실내의 채광은 물론이고 환기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user pulls the adjustment line and rotates the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 차광막 21 : 차광막
22, 23 : 전, 후면 망사부재 24 : 접합부
25 : 승강 줄 26 : 통공
27 : 꺾임부 28 : 프레임
29 : 각도조절부재 30 : 드럼
31 : 웨이트 32 : 평형유지판20: light shielding film 21: light shielding film
22, 23: front and rear mesh members 24:
25: lift line 26: through hole
27: Bend 28: Frame
29: angle adjusting member 30: drum
31: weight 32:
Claims (7)
The light shielding film 20 is attached to the opaque portion 21 and the front and rear net members 22 and 23 and the joining portion 24 in a transversely adjustable blind paper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hielding films 20 are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rein the light shielding film (20) is arrang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y sequentially joining the joining portions (24) of the light shielding film (20) to the opaque portions (21) Adjustable blinds.
상기 복수 개의 차광막(20)이 차례로 중첩된 상태에서 불투명부(21)에 승강 줄(25)이 각각 통과되는 2개 이상의 통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through holes (26) through which the lifting rope (25) passes are formed in the opaque portion (21)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shielding films (20) are superimposed one after another.
상기 전, 후면 망사형 부재(22)(23)의 중간부위에 꺾임부(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bent portion (27)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net-like members (22, 23).
상기 꺾임부(27)는 다림공정에 의해 외측으로 주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rtion (27) is wrinkled outwardly by the ironing process.
상기 꺾임부(27)는 위사를 공타 쳐 외측으로 꺾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ending portion (27) is formed so as to fold out the weft yarn outwardly.
상기 꺾임부(27)는 전, 후면 망사부재(22)(23)를 구성하는 위사보다 가느다란 재질의 위사(27a)로 제직하여 외측으로 꺾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ortion (27) is formed so as to be woven with a weft (27a) of a material having a finer material than the weft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mesh members (22) (23) G.
불투명부(21) 및 전, 후면 망사부재(22)(23) 그리고 접합부(24)가 일체로 형성된 단위편의 차광막(20)을 접어서 그 접합부(24)를 인접하는 차광막의 불투명부에(21)에 접합하여 상, 하로 배열함과 함께 각 불투명부(21)에 상호 연통되게 각각 2개 이상의 통공(26)이 형성되며 상기 전, 후면 망사부재의 상부가 각도조절부재에 180°위상차를 갖도록 고정되는 블라인드지와;
상기 드럼(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차광막(20)에 형성된 통공(26)을 거쳐 웨이트(31)에 고정하여 블라인드지의 상승 시 차례대로 최하단의 차광막부터 점차적으로 상승시키는 승강 줄(2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An angle regulating member 29 rotatably mounted on the frame so as to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and an angle regulating member 29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angle regulating member 29 or the drum 30 A known driving means;
The opaque portion 21 and the front and rear net members 22 and 23 and the joining portion 24 are folded together and the joining portion 24 is joined to the opaque portion 21 of the adjacent light- Two or more through holes 26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spective opaque portions 21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mesh members are fixed 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with a 180 ° phase difference, Blinds;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weight 31 via the through hole 26 formed in the light shielding film 20 and is lifted up from the lowermost light shielding film in order when the blind paper rises The blind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402A KR101527414B1 (en) | 2013-08-29 | 2013-08-29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
JP2016538853A JP2016529429A (en) | 2013-08-29 | 2014-08-28 | A unit cell, a blind joining the unit cells, and a blind assembly including the blind |
CN201480058018.5A CN105658896A (en) | 2013-08-29 | 2014-08-28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US14/915,214 US20160215558A1 (en) | 2013-08-29 | 2014-08-28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AU2014312506A AU2014312506A1 (en) | 2013-08-29 | 2014-08-28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PCT/KR2014/008040 WO2015030508A1 (en) | 2013-08-29 | 2014-08-28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EP14840373.6A EP3040504A4 (en) | 2013-08-29 | 2014-08-28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3402A KR101527414B1 (en) | 2013-08-29 | 2013-08-29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472A KR20150025472A (en) | 2015-03-10 |
KR101527414B1 true KR101527414B1 (en) | 2015-06-09 |
Family
ID=5302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34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7414B1 (en) | 2013-08-29 | 2013-08-29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74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511B1 (en) * | 2019-12-23 | 2020-10-28 | 류준상 | 3D Fabric having honeycomb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67615B1 (en) * | 2003-04-02 | 2004-07-27 | Ren Judkins | Cellular material having cells with swirled strands |
KR20110019971A (en) * | 2009-08-21 | 2011-03-02 | 왕여진 | blind |
US8459326B2 (en) * | 2011-01-06 | 2013-06-11 | Hunter Douglas, Inc. |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2013
- 2013-08-29 KR KR1020130103402A patent/KR1015274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67615B1 (en) * | 2003-04-02 | 2004-07-27 | Ren Judkins | Cellular material having cells with swirled strands |
KR20110019971A (en) * | 2009-08-21 | 2011-03-02 | 왕여진 | blind |
KR101128056B1 (en) * | 2009-08-21 | 2012-04-12 | 왕여진 | Window Blind |
US8459326B2 (en) * | 2011-01-06 | 2013-06-11 | Hunter Douglas, Inc. |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472A (en) | 2015-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2845B2 (en) | Roman shade type blind fabric and blind using the same | |
KR100959028B1 (en) | Blind paper made of woven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lind paper and blind applying the blind paper | |
KR102010218B1 (en) |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10071224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blind fabric of screen blind and fabric of blind | |
KR102659313B1 (en) | Coverings, related system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architectural features | |
US20160215558A1 (en) | Unit cells, blind joining said unit cells, and blind assembly comprising said blind | |
KR101506253B1 (en) | Whole weaving vertical blind | |
KR102632760B1 (en) | Multi-layer fabric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fea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EP1744005A1 (en) | Window covering having folding shade elements | |
KR101527414B1 (en)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and Blinds Using the same | |
KR101390723B1 (en) | Romanshade type blind paper and using roll blind | |
KR101318073B1 (en) | Blind type twofold fabric curtain | |
KR102555945B1 (en) | Roman shade blind with view part | |
KR20150025474A (en)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 |
KR101034982B1 (en) | Partial pull function decorative curtain | |
CN100443025C (en) | Roman curtain | |
KR20160020719A (en) | A venetian covering assembly and the venetian shade comprising the same | |
KR20140134514A (en) | Roll blind having tirple woven fabric blackout awning sheet | |
KR20160014825A (en) | Slat used for window bli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10004340A (en) | Blind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laterally | |
KR20150025473A (en) | Horizontal Angle Adjustable Cloth for Blinds | |
KR20130132570A (en) | Cellular shade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20100012292A (en) | Curtain sheet | |
KR100984116B1 (en) | Curtain having embellishment onto mesh | |
KR20170006376A (en) | Solid blind material that have duplication awning screens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