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005B1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005B1 KR101527005B1 KR1020140134017A KR20140134017A KR101527005B1 KR 101527005 B1 KR101527005 B1 KR 101527005B1 KR 1020140134017 A KR1020140134017 A KR 1020140134017A KR 20140134017 A KR20140134017 A KR 20140134017A KR 101527005 B1 KR101527005 B1 KR 1015270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water
- valve
- compressed air
-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2—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69—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오염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침전되게 하여 분리 제거시키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 중 오염물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통해 여과 제거시키는 제4챔버;상기 제4챔버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제5챔버; 상기 제4챔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상기 제5챔버로 유입된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역으로 공급하는 역세척 펌프; 상기 제3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오염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1밸브; 상기 제4챔버에서 상기 제5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2밸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압축공기 이동을 개폐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역세척 펌프를 통한 상기 제5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3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4밸브의 패쇄에 의해 압축공기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을 분리시키며, 상기 역세척 펌프는 상기 제4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의 패쇄에 의해 상기 제5챔버 내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상기 여과필터를 역으로 통과되게 하여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세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오염수 정화장치는 별도의 여과필터의 교체 없이도 여과필터의 여과기능 저하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a third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by moving the inflowing polluted water sloping from bottom to top; A fourth chamber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chamber are filtered out through at least one filter, a fifth chamber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fourth chamber is introduced;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fourth chamber; A backwash pump which supplies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fth chamber back to the fourth chamber; A first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contaminated water flow from the third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A secon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cess water transfer from the fourth chamber to the fifth chamber; A thir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compressed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to the fourth chamber; And a fourth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cess water from the fifth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through the backwash pump, wherein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opens the third valve and the first valve, Separating the solid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ltration filter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fourth chamber by the confinement of the second valve and the fourth valve, By injecting the treated water in the fifth chamber into the fourth chamber by the confinement of the one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the treated water is passed back through the filtration filter to wash the separated solids .
Thus, the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n recover the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func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without replacing the separate filtration fil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점오염원은 말 그대로 오염배출원이 하나의 점으로 지정될 수 있는 오염원을 의미하며 가정하수 및 공장폐수 등이 해당되는 이러한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이동경로 파악이 용이하여 처리가 손쉽게 이루어진다.In general, water pollution sources can be classified into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Here, the point pollution source means a pollutant source that can be designated as a point, and the point pollution source such as household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can easily handle the pollutant movement route.
반면, 이에 반대되는 비점오염원은 강우 시 지표면의 오염물질들을 빗물이 섞여 배출되는 오염원으로서 일정한 이동경로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경로 파악 및 그를 통한 오염원 처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which is opposite to this, is a contamination source of rainwater mixed with pollutants on the ground surface during rainfall and does not show a constant movement route.
주로 강우 시에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경우, 강우 초기에 지표면의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초기 우수유출수는 오염물질의 유출농도가 매우 높고, 특히 중금속등의 다양한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도시지역의 지표면은 초기 우수유출수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친다. In the case of nonpoint sources occurring mainly during rainfall, the initial stormwater effluent from which surface contaminants flow out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has a very high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and especially in urban areas containing various toxic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Which adversely affects the initial storm water runoff.
이와 같은 비점오염원의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오염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정화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수의 정화를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021호의 "비점오염수 정화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water pollution due to the leakage of such non-point pollution sources, there is a need for a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purifying polluted water containing many kinds of pollutants. Prior art documents on the technology include a " non-point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47021.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다수의 여과층이 적층된 구조로 마련된 필터를 통해 다양한 입자의 크기로 마련되는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여과하여 비점오염수를 정화시킨다.In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a pollutant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is efficiently filtered through a fil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are laminated, thereby purifying non-point polluted water.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오염수 내에 포함되어 있던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들을 필터를 통해 여과하는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됨으로써, 필터의 표면에 오염물질들이 부착되거나 폐색되어 필터의 여과기능을 저하시키고, 정화장치의 기능적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repeatedly repeats the process of filtering various kinds of pollutants contained in the polluted water through the filter, so that the pollutants are adhered or clogg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to lower the filtering function of the filt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unctional efficiency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필터의 기능을 계속해서 반복하더라도 여과필터의 교체 없이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여과필터를 세척해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removing a contaminant attached to a filter without cleaning the filt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염수 정화장치는, 유입되는 오염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침전되게 하여 분리 제거시키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 중 오염물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통해 여과 제거시키는 제4챔버;상기 제4챔버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제5챔버; 상기 제4챔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상기 제5챔버로 유입된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역으로 공급하는 역세척 펌프; 상기 제3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오염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1밸브; 상기 제4챔버에서 상기 제5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2밸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압축공기 이동을 개폐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역세척 펌프를 통한 상기 제5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3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4밸브의 패쇄에 의해 압축공기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을 분리시키며, 상기 역세척 펌프는 상기 제4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의 패쇄에 의해 상기 제5챔버 내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상기 여과필터를 역으로 통과되게 하여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세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pollu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hird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by moving intake wate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 fourth chamber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chamber are filtered out through at least one filter, a fifth chamber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fourth chamber is introduced;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fourth chamber; A backwash pump which supplies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fth chamber back to the fourth chamber; A first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contaminated water flow from the third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A secon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cess water transfer from the fourth chamber to the fifth chamber; A thir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compressed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to the fourth chamber; And a fourth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cess water from the fifth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through the backwash pump, wherein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opens the third valve and the first valve, Separating the solid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ltration filter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fourth chamber by the confinement of the second valve and the fourth valve, By injecting the treated water in the fifth chamber into the fourth chamber by the confinement of the one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the treated water is passed back through the filtration filter to wash the separated solids .
더욱이, 유입되는 오염수를 원심분리하여 상기 오염수 중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시키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 하부의 침전물을 처리하는 슬러지 펌프; 및 상기 1챔버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 중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비용해성인 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시킨 후, 상기 제3챔버로 유출시키는 제2챔버;를 더 포함한다.A first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at of water in the contaminated water by centrifugally separating the inflowing polluted water; A sludge pump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treating a deposit under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that separates and removes contaminants in the liquid phase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water and is inexpensive, out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chamber, and then discharges the contaminated material into the third chamber.
여기사, 상기 제1챔버는 유입되는 오염수가 회전운동을 통해 원심분리 되도록 양측 벽면에 상기 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마련된 회전안내판을 가진다. The first chamber has a rotation guide plat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wall surface so as to centrifugally separat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chamber.
또한, 상기 제4챔버는,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필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 및 상기 역세척 펌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제5챔버 내 처리수를 주입받는 제1집배수장치; 및 상기 여과필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집배수장치를 통해 주입된 압축공기 및 처리수에 의해 분리 세척된 고형물 및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2집배수장치;를 포함한다.The fourth chamber may be disposed below the filtration filter and may includ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for washing the filtration filter and treated water in the fifth chamber provided through the backwash pump. A first drainage device to be injected; And a second collecting and discharging device installed above the filtering filter and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jected through the first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and the solid matter separated and washed by the treat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여기서, 상기 제2집배수장치는 수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리 세척된 고형물 및 상기 세척수를 제1챔버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cond drainage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ater channel, and the separated and washed solid matter and the washing water are discharged into the first chamber.
또한, 상기 제4챔버는, 상기 제3챔버로부터 상기 제4챔버에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4챔버 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통해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패쇄시킨다.The fourth chamb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a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ourth chamber from the third chamber,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and close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hrough a signal.
아울러, 상기 제5챔버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 처리하는 제6챔버;를 더 포함한다.
And a sixth chamber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fth chamber.
본 발명에 의해, 오염수 정화장치는 별도의 여과필터의 교체 없이도 여과필터의 여과기능 저하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n recover the deterioration of the filtration func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without replacing the separate filtration filt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정화장치만으로도 오염수 내 혼재된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and purify various pollutants mixed in the polluted water with only one purifi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정화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정화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가 정화되는 때의 수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때의 기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가 세척되는 때의 수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water flow direction when polluted water is pur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the direction of air flow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the direction of water flow when the filter is clea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1.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1. Description of components of the pollution control device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염수 정화장치를 설명하면, 오염수 정화장치는 제1챔버(110); 제2챔버(120); 제3챔버(130); 제4챔버(140); 제5챔버(150); 제6챔버(160); 슬러지 펌프(170); 압축공기 공급부(A); 역세척 펌프(180); 제1밸브(191); 제2밸브(192); 제3밸브(194); 제4밸브(19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pollution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ollu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제1챔버(110)는 유입되는 오염수를 원심분리하여 오염수 중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시킨다.The
여기서, 제1챔버(110)는 회전안내판(111)을 제1챔버(110)의 양측 벽면에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마련하여, 유입되는 오염수가 회전운동을 하게 만들어 원심분리를 이루어낸다.The
또한, 제1챔버(110)의 일측벽에는 오염수 유입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챔버(120)와 접해있는 타측벽에는 제2챔버(120)로 원심분리를 거친 오염수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1유출관(11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aminated water inlet pipe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또한, 제1챔버(110)는 슬러지 펌프(170)와 연결되어 제1챔버(110) 하부의 침전물들을 슬러지 펌프(170)를 통해 오수관이나 합류식 관거로 연계처리할 수 있게 된다.The
제2챔버(120)는 제1챔버(110)로부터 유입되는 원심분리를 거친 오염수 중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비용해성인 액상의 오염물질, 즉 기름과 같은 물질을 분리 제거시킨다. 이렇게 비중이 큰 물은 아래층에, 비중이 작은 기름은 위층에 위치되어 제2챔버(120)의 제3챔버(130)와 접해있는 일측면에 형성된 제2유출관(121)을 통해 상호 분리된 물로 이루어진 층은 상승 유입되어 제3챔버(130)로 유출된다.The
제3챔버(130)는 제2챔버(12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침전되게 하여 분리 제거시킨다.The
여기서, 제3챔버(130)는 유입되는 오염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키 위해 양측벽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판(131)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판(131)은 대부분 하단이 제3챔버(130)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측에 배치되게 되고, 제4챔버(140)쪽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경사판(131)은 하단이 제3챔버(130)의 바닥면과 붙어 있다.Here, the
따라서, 제2챔버(120)로부터 유입된 오염수는 경사판(131)의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만 이동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경사판(131)으 거슬러 오르던 오염수 내 혼재된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들이 침전되면서 오염수는 정화된다.Therefore,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from the
제4챔버(140)는 제3챔버(13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 중 오염물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141)를 통해 여과 제거시킨다. 여기서, 여과필터(141a, 141b)는 제4챔버(14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여과필터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다시 말해, 오염물질은 흙이나 모래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 기름과 같은 물보다 비중이 적은 액상 오염물질, 금속, 유기물 등 다양하게 있으며, 제4챔버(140)는 그 전의 챔버(110, 120, 130)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질들을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모래, 자갈, 안트라사이트(anthracite), 제오라이트(zeolite), 활성탄 등의 다공질 여과재로 마련된 여과필터(141)가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위치한다. In other words, the pollutants are various such as particulate pollutants such as soil and sand, liquid pollutants having less specific gravity than water such as oil, metals, organic substances, etc., and the
또한, 여과필터(141b) 하측에는 스트레이너 판 또는 다수의 유공블록으로 마련되는 제1집배수장치(143)가 형성되며, 여과필터(141a) 상측에는 사각 웨어 수로 또는 원형 수로로 마련되는 제2집배수장치(145)가 형성된다.A
여기서, 제1집배수장치(143)가 다수의 유공블록으로 형성될 경우, 도1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유입된 물질이 경사면과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공들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골고루 유입된 물질이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Here, when the
또한, 제2집배수장치의 수로 형태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필터(141b)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4챔버(140)의 일정 높이까지 상승된 물을 제1챔버(110)로 보내기 위한 형태로 형성된다.1 and 2, the water collected in the first chamber 110 (see FIG. 1)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아울러, 제3챔버(130)와 제4챔버(140)의 접촉면에는 오염수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1밸브(19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압축공기 공급부는 도1에 A로 표시된 부분으로,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제4챔버(140)로 공급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제1집배수장치(143)에 주입하여 여과필터(141a, 141b)간의 충돌을 발생시켜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들을 분리시킨다.1,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여기서, 압축공기 공급부(A)는 제4챔버(140)로의 압축공기 이동을 개폐하는 제3밸브(194)를 포함한다. Here, the compressed air supply A includes a
제5챔버는(150)에서는 제4챔버(14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저장된다. 아울러, 제4챔버(140)와 제5챔버(150)의 접촉면에는 처리수의 이동을 개폐하는 제2밸브(192)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밸브(192)는 여과필터(141a, 141b)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1집배수장치(143)가 위치한 제4챔버의 하부와 제5챔버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또한, 제4챔버(140)와 제5챔버(150)간에는 제5챔버(150)에 저장된 처리수를 제4챔버(140)에 보내기 위한 이동통로가 추가로 마련되며, 이라한 처리수의 역이동은 역세척 펌프(180)에 의해 이루어진다.A transfer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stored in the
역세척 펌프(180)는 제4챔버(140)와 제5챔버(150)를 연결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5챔버(150)에 저장된 처리수를 제4챔버(140)로 역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자세히는 제1집배수장치(143)에 주입하여 전달하고 주입된 처리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수가 여과필터(141a, 141b)를 역으로 통과하게 되어 압축공기 공급부(A)에 의해 분리된 고형물들이 세척되게 된다.The
이렇게 처리수와 압축공기에 의해 여과필터(141a, 141b)가 세척되어 그 결과 제4챔버(140)의 상측에 형성된 세척수 및 세척된 고형물들은 제2집배수장치(145)를 통해 제1챔버(110)로 이동하게 된다.The
아울러, 역세척 펌프(180)를 통한 제5챔버(150)에서 제4챔버(140)로의 처리수 이동을 위해 마련된 이동통로에는 처리수의 이동을 개폐하기 위해 제4밸브(195)가 형성되어 있다.A
제6챔버(160)는 모든 여과 과정을 거쳐 제5챔버(150)에 저장된 처리수를 배출 처리한다. 여기서, 제6챔버(160)에는 도1에 F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계(F)가 마련되어 제6챔버(160) 내 유량의 정도가 처리수의 배출 시점으로 기 설정된 유량을 초과할 시, 처리수의 방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2. 오염수 정화장치의 작동 형태2. Operation type of pollut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 정화과정(1) Purification process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오염수 정화장치는 제1밸브(191) 및 제2밸브(192)는 개방되고, 제4밸브(194), 제5밸브(195)는 폐쇄된 상태에서 오염수 정화과정이 진행된다.3, the
제1챔버(110)로 유입된 오염수는 제1챔버(110)를 통해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물보다 비중이 큰 입자상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제2챔버(120)를 통해 물보다 비중이 낮고 비용해성인 액상의 오염물질을 제거되며, 제3챔버(130)를 통해 경사판(131)의 하측에서 상층으로 이동한 오염수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침전되게 함으로써 제거된다.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이어서, 제1밸브(191)의 개방에 의해 제4챔버(140)로 유입된 오염수는 여과필터(141a, 141b)를 통해 그 전의 챔버(110, 120, 130)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물질들을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여과가 완료된 처리수가 여과필터(141a, 141b) 하부로 배출된다.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이렇게 여과가 완료된 처리수는 제5챔버(150)로 이동하여 저장되었다가, 제6챔버(160)로 유입되어 일정 유량을 초과하면 방류되게 된다.The filtered water thus processed is transferred to the
아울러, 유입된 오염수가 처리수로 여과되고, 이렇게 형성된 처리수가 일정 기준에 의해 방류되게 되는 일련의 상기 정화과정은 반복 진행됨에 따라 오염수의 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여과필터(141a, 141b)의 여과층의 표면에 오염물질들이 폐색되어 기능적 효율을 저하시키고 그 결과, 제4챔버(140) 하부로 여과되어 전달되어야할 오염수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여 점점 여과필터(141a, 141b) 상부로 오염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a series of the purification processes in which the inflowing polluted water is filtered by the treated water and the thus-formed treated water is discharged according to a certain criterion,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filtration of the filtered
이러한 경우, 제4챔버(140) 내 기 설정된 높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47)는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여과필터(141a, 141b)의 기능 회복을 위한 하기 여과필터 세척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통한 제1밸브(191) 및 제2밸브(192)의 패쇄를 진행시킨다.
In this case, the
(2) 여과필터 세척과정(2) Filtration filter cleaning process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여과필터 세척과정은 압축공기 주입단계와 처리수 주입단계를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압축공기 주입단계는 제1밸브(191), 제2밸브(192), 제4밸브(195)는 폐쇄되고, 제3밸브(194)는 개방된 상태에서, 처리수 주입단계는 제1밸브(191), 제2밸브(192), 제3밸브(194)는 폐쇄되고, 제4밸브(195)는 개방된 상태에서 진행된다.Referring to FIGS. 4 to 5, the filtration filter cleaning process is sequentially performed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process and the process water injection process. In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step, the
여과필터 세척과정은 일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던 정화과정이 계속해서 반복된 결과, 제4챔버(140) 내 마련된 여과필터(141)의 표면에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부착되면서 여과층의 표면이 폐색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 된 경우, 여과 기능의 회복을 위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진다.As a result of repeating the purification process which has been generally progressed, various contaminants a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141 provided in the
즉, 제4챔버(140) 내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47)는 반복된 정화과정의 수행에 따라 오염수의 이동경로가 차단되어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기 설정된 높이에서 감지하여 신호를 통해 더 이상 오염수의 수위가 높아지지 않도록 제1밸브(191) 및 제2밸브(192)를 패쇄시키고, 여과필터(141a, 141b)의 기능 회복을 위해 압축공기 주입단계와 처리수 주입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That is, th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제3밸브(194)를 통해 압축공기 공급부(A)는 제4챔버(140) 내 제1집배수장치(143)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이렇게 주입된 압축공기는 여과필터(141a, 141b)간의 충돌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여과필터(141a, 141b)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들을 분리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A through the opened
이렇게 분리된 고형물들은 여과필터(141a, 141b)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완전환 제거를 위해 처리수 주입과정이 이루어진다.The separated solids are located above th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제4밸브(195)에 의해 제5챔버(150)에 저장되어 있던 여과가 완료된 처리수는 제4챔버(140)로 이동하여 제1집배수장치(143)로 주입된다. 이러한 역방향으로의 공급을 위해 역세척 펌프(180)가 이동경로 내에 위치하게 된다.5, the filtered water, which has been stored in the
이에 따라, 제1집배수장치(143)로 주입된 처리수는 여과필터(141a, 141b)를 역으로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었던 고형물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여과필터(141a, 141b)의 세척 기능까지 동시에 수행한다.Accordingly, the treated water injected into the
그 결과, 여과필터(141a, 141b)를 세척하고 형성된 세척수 및 고형물들은 여과필터(141a, 141b) 상측에 형성된 제2집배수장치(145)로 이동하게 되고, 수로 형태로 마련된 제2집배수장치(145)는 세척수 및 고형물들을 제1챔버(110)로 이동시킨다. As a result, the
이렇게 제1챔버(110)로 이동한 세척수 및 고형물들은 제1챔버(110) 하부의 침전물들과 함께 집수 저류되어 슬러지 펌프(170)를 통해 오수관이나 합류식 관거로 연계 처리되거나 펌프카에 연결시켜 집수한 뒤 하수처리시설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washing water and the solids that have moved to the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제1챔버
111 : 회전안내판
112 : 제1유출관
120 : 제2챔버
121 : 제2유출관
130 : 제3챔버
131 : 경사판
140 : 제4챔버
141a, 141b : 여과필터
143 : 제1집배수장치
145 : 제2집배수장치
147 : 수위감지센서
150 : 제5챔버
160 : 제6챔버
170 : 슬러지 펌프
180 : 역세척 펌프
191 : 제1밸브
192 : 제2밸브
194 : 제3밸브
195 : 제4밸브
A : 압축공기 공급부
F : 유량계110: first chamber
111: rotation guide plate
112: first outflow pipe
120: Second chamber
121: Second outflow pipe
130: Third chamber
131: swash plate
140: fourth chamber
141a, 141b: filtration filter
143: First drainage device
145: Second house drainage system
147: Level sensor
150: fifth chamber
160: Sixth chamber
170: sludge pump
180: Backwash pump
191: first valve
192: second valve
194: third valve
195: fourth valve
A: compressed air supply
F: Flowmeter
Claims (7)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 하부의 침전물을 처리하는 슬러지 펌프; 및
상기 1챔버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 중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비용해성인 액상의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시키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로부터 유입되는 오염수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상 오염물질이 침전되게 하여 분리 제거시키는 제3챔버;
상기 제3챔버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 중 오염물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통해 여과 제거시키는 제4챔버;
상기 제4챔버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제5챔버;
상기 제4챔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상기 제5챔버로 유입된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역으로 공급하는 역세척 펌프;
상기 제3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오염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1밸브;
상기 제4챔버에서 상기 제5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2밸브;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압축공기 이동을 개폐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역세척 펌프를 통한 상기 제5챔버에서 상기 제4챔버로의 처리수 이동을 개폐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는 상기 제3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4밸브의 패쇄에 의해 압축공기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고형물을 분리시키며,
상기 역세척 펌프는 상기 제4밸브의 개방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의 패쇄에 의해 상기 제5챔버 내 처리수를 상기 제4챔버에 주입시킴에 따라, 상기 처리수가 상기 여과필터를 역으로 통과되게 하여 상기 분리된 고형물을 세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
A first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larger than that of water in the contaminated water by centrifugally separating the inflowing polluted water;
A sludge pump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treating a deposit under the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ollutants in a liquid phase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water among the polluted water flowing in from the one chamber;
A third chambe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by moving obliquely the polluted water flowing from the second chamber upwardly from below;
A fourth chamber for filtering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chamber through at least one filter;
A fifth chamber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fourth chamber flows;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fourth chamber;
A backwash pump which supplies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fth chamber back to the fourth chamber;
A first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contaminated water flow from the third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A secon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cess water transfer from the fourth chamber to the fifth chamber;
A thir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compressed air movement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 to the fourth chamber; And
And a fourth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cess water transfer from the fifth chamber to the fourth chamber via the backwash pump,
Wherein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injects compressed air into the fourth chamber by opening of the third valve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fourth valve, so that the solid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Lt; / RTI >
The backwash pump injects treated water in the fifth chamber into the fourth chamber by opening of the fourth valve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And passing the filtration filter back through to wash the separated solids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제1챔버는 유입되는 오염수가 회전운동을 통해 원심분리 되도록 양측 벽면에 상기 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마련된 회전안내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mber has a rotation guide plat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wall surface so as to centrifugally separate the inflowing polluted water through rotational motion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제4챔버는,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필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 및 상기 역세척 펌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제5챔버 내 처리수를 주입받는 제1집배수장치; 및
상기 여과필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집배수장치를 통해 주입된 압축공기 및 처리수에 의해 분리 세척된 고형물 및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제2집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chamber comprises:
A first collecting drain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ltration filter to receive the compressed air provided from the compressed air supplying part and the treated water in the fifth chamber provided through the backwash pump for washing the filtering filter; And
And a second collecting and discharging device installed above the filtration filter and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injected through the first collecting and draining device and the solid matter separated and washed by the treat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제2집배수장치는 수로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분리 세척된 고형물 및 상기 세척수를 제1챔버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drainage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ater channel and discharges the separated washed solid and the wash water into the first chamber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제4챔버는,
상기 제3챔버로부터 상기 제4챔버에 유입되는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4챔버 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오염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통해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패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urth chamber comprises:
And a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fourth chamber from the third chamber,
Wherein the level sensor senses the level of the contaminated wa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our chambers and close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hrough a signal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 제5챔버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 처리하는 제6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 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xth chamber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fifth chamber
Contamination water purific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017A KR101527005B1 (en) | 2014-10-06 | 2014-10-06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017A KR101527005B1 (en) | 2014-10-06 | 2014-10-06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7005B1 true KR101527005B1 (en) | 2015-06-09 |
Family
ID=5350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4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27005B1 (en) | 2014-10-06 | 2014-10-06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7005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241B1 (en) * | 2015-07-10 | 2015-12-31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KR101696189B1 (en) * | 2015-12-22 | 2017-01-13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KR101699866B1 (en) * | 2015-12-16 | 2017-02-13 |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back washing type float media |
KR101872911B1 (en) * | 2015-12-31 | 2018-07-02 | 주식회사 지승개발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KR20190140185A (en) * | 2018-06-11 | 2019-12-19 | 주대성 | Sedimentation-filtration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730Y1 (en) * | 2000-02-18 | 2000-08-01 | 코스맥주식회사 | Air backwash air diffuser |
JP2000325710A (en) * | 1999-05-24 | 2000-11-28 | Japan Organo Co Ltd | Solid-liquid separation apparatus |
KR100978069B1 (en) * | 2010-04-16 | 2010-08-26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Backwashing method for filtration apparatus using porous media |
KR101312584B1 (en) * | 2011-07-27 | 2013-10-07 | (주) 상원이엔씨 | total phosphorous removal system and the total phosphorous removal mehtod using both coagulating sedimentation device and filtering device |
-
2014
- 2014-10-06 KR KR1020140134017A patent/KR1015270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5710A (en) * | 1999-05-24 | 2000-11-28 | Japan Organo Co Ltd | Solid-liquid separation apparatus |
KR200190730Y1 (en) * | 2000-02-18 | 2000-08-01 | 코스맥주식회사 | Air backwash air diffuser |
KR100978069B1 (en) * | 2010-04-16 | 2010-08-26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Backwashing method for filtration apparatus using porous media |
KR101312584B1 (en) * | 2011-07-27 | 2013-10-07 | (주) 상원이엔씨 | total phosphorous removal system and the total phosphorous removal mehtod using both coagulating sedimentation device and filtering devic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241B1 (en) * | 2015-07-10 | 2015-12-31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KR101699866B1 (en) * | 2015-12-16 | 2017-02-13 |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back washing type float media |
KR101696189B1 (en) * | 2015-12-22 | 2017-01-13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WO2017111406A1 (en) * | 2015-12-22 | 2017-06-29 | 최성필 | Apparatus for treating sewer overflow at high speed by using eco-friendly particulate foam artificial float fillers having resource recyclability |
KR101872911B1 (en) * | 2015-12-31 | 2018-07-02 | 주식회사 지승개발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KR20190140185A (en) * | 2018-06-11 | 2019-12-19 | 주대성 | Sedimentation-filtration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KR102318251B1 (en) * | 2018-06-11 | 2021-10-28 | 주대성 | Sedimentation-filtration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1488B1 (en) | 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0904177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 |
KR101527005B1 (en) |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1339617B1 (en) | Priming rain nonpoint pollution filtering devices for bridge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100020867A (en) |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slope filter | |
KR102361496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688845B1 (en) | 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tructure for water transmission performance | |
KR200431389Y1 (en) | Rainwater purify device | |
KR20190083289A (en) | Filtering system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and water 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199644B1 (en) | System for disposal nonpoint pollution having a consolidation and relaxation technology | |
KR101181863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US7182856B2 (en) | Stormwater treatment train | |
KR101412689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iltering media washing and stagnant water discharge | |
KR101872911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1736743B1 (en) | Automatic backwashing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with automatic backwash and stagnation water treatment | |
KR101580859B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754123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ith the function of oil capture for the bridge | |
KR100784496B1 (en) | Early Rainwater Purifier | |
KR100516951B1 (en) |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bulding drainage by filter media | |
KR100621193B1 (en) | Pollution Purification Method of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and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 |
KR20160010952A (en) | Non-point sources pollutants removal facility | |
KR101453203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of first-stage-rainwater for bridge | |
KR20140121600A (en) | Up-Flow Bioball Filter System | |
US20150258472A1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