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6748B1 -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 Google Patents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748B1
KR101526748B1 KR1020130158339A KR20130158339A KR101526748B1 KR 101526748 B1 KR101526748 B1 KR 101526748B1 KR 1020130158339 A KR1020130158339 A KR 1020130158339A KR 20130158339 A KR20130158339 A KR 20130158339A KR 101526748 B1 KR101526748 B1 KR 10152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lot
collision
fastening
fix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748B1/ko
Priority to US14/461,832 priority patent/US9381814B2/en
Priority to DE102014216436.2A priority patent/DE102014216436B4/de
Priority to CN201410442721.8A priority patent/CN10472399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7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위치된 충전구가 돌출되도록 장착된 장착부와,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루는 바디를 향하도록 장착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장착다리부와, 바디에 형성된 체결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장착다리부 일단에 각각 형성된 미끌림슬롯을 포함하며, 충돌시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에 충돌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큰 하중을 전달하는 원인이 되었던 종래 FEM직결 충전구 브라켓과 달리 충돌시 FEM으로부터 미끌림슬롯이 분리됨으로써 위치이동되어 차량에 충돌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CHARGING APPARATUS BRAKET REDUCING IMPACT LOAD}
본 발명은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차량에 FEM(프론트 엔드 모듈; FORNT END MODULE)에 충전구를 고정하는 브라켓이 차량 충돌시 FEM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에는 대용량의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가 구비된다. 이 충전구는 FEM 즉, 차량의 후드 선단 및 그릴 인근에 위치되도록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차량의 후드 선단 및 그릴은 보행자 충돌 법규 및 상품성 시험 시 충돌 부위이다.
도 4에는 종래 FEM직결 충전구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로써, 종래 충전구 브라켓의 끝단이 FEM을 이루는 바디에 구속된 것이 도시되었다.
후드 선단 및 그릴 인근에 위치된 충전구(C') 및 종래 FEM직결 충전구 브라켓(10)은 그 강도가 높아 형태변형이 쉽게 이뤄지지 않아 충돌시 보행자에게 큰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7820호(2002.10.25.)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구를 FEM에 고정하는 브라켓이 충돌시 FEM으로부터 분리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따르면,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위치된 충전구가 돌출되도록 장착된 장착부와,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루는 바디를 향하도록 장착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장착다리부와, 바디에 형성된 체결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장착다리부 일단에 각각 형성된 미끌림슬롯을 포함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장착부는 판상체로써 중공되어 중공부가 형성되고, 충전구가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장착다리부는 판상체로써 체결부위와 수직이 되도록 장착부의 변으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미끌림슬롯은 장착다리부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미끌림슬롯에는 체결부위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걸쳐지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부는 미끌림슬롯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삭되어 형성되되, 충돌 시, 미끌림슬롯과 고정돌기의 분리방향을 유도하는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경사부는 미끌림슬롯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미끌림슬롯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소정각도로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부의 내측 끝단부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을 기준으로 경사부와 대칭을 이루도록 제2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고정돌기에는 체결부위와 수평한 머리부가 형성되며, 고리부가 머리부와 체결부위 사이에 내삽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가 체결부위에 고정된 나사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의하면, 충돌시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에 충돌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큰 하중을 전달하는 원인이 되었던 종래 FEM직결 충전구 브라켓과 달리 충돌시 FEM으로부터 미끌림슬롯이 분리됨으로써 브라켓이 위치이동되어 차량에 충돌하는 물체 또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돌 하중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FEM에 큰 변경 없이 설치가 가능하므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도 1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다른 설치 상태도 및 차량 충돌 예시도,
도 4는 종래 FEM직결 충전구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의 다른 설치 상태도 및 차량 충돌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은,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M)에 위치된 충전구(C)가 돌출되도록 장착된 장착부(100)와, 프론트 엔드 모듈(M)을 이루는 바디(B)를 향하도록 장착부(100)에 구비된 다수개의 장착다리부(200)와, 바디(B)에 형성된 체결부위(A)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장착다리부(200) 일단에 각각 형성된 미끌림슬롯(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장착부(100)는 판상체로써 중공되어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충전구(C)가 중공부(110)에 삽입된다.
장착다리부(200)는 판상체로써 체결부위(A)와 수직이 되도록 장착부(100)의 변으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되며, 미끌림슬롯(300)은 장착다리부(200) 끝단에 형성된다.
미끌림슬롯(300)에는 체결부위(A)에 구비된 고정돌기(N)에 걸쳐지는 고리부(310)가 형성된다.
바디(B)의 상측부에 위치된 고정돌기(N)에는 체결부위(A)와 수평한 머리부가 형성되며, 고리부(310)가 머리부와 체결부위(A) 사이에 내삽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디(B)의 상측부에 위치된 고정돌기(N)는 체결부위(A)에 고정된 나사이다.
고리부(310)는 미끌림슬롯(30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삭되어 형성되되, 충돌 시, 미끌림슬롯(300)과 고정돌기(N)의 분리방향을 유도하는 경사부(31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디(B) 상측부에 위치된 체결부위(A)와 체결부위(A)에 형성된 고정돌기(N) 사이에 내삽되는 고리부(310)에 형성된 경사부(311)는 미끌림슬롯(30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미끌림슬롯(3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소정각도로 절삭되어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311)의 내측 끝단부에 고정돌기(N)가 삽입되는 고정홈(312)을 형성함으로써 미끌림슬롯(300)이 체결부위(A)와 고정돌기(N) 사이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디(B)의 앞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부위가 구비되며, 바디(B)의 앞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부위 내부에 바가 고정돌기로써 구비된다.
바디(B)의 앞측면을 관통하는 체결부위에 삽입되는 미끌림슬롯(300)에 형성된 고정부(310)는 고정홈(312)을 기준으로 경사부(311)와 대칭을 이루도록 제2경사부(311')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은 차량 충돌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림슬롯(300)이 체결부위(A)를 미끄러지며 고정돌기(N)와 분리됨으로써 바디(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경사부(311,311')의 경사 방향에 따라 미끌림슬롯(300)의 이동 방향이 유도되며, 궁극적으로 장착부(100)에 장착된 충전구의 이동방향이 유도된다.
강도가 높은 충전구 및 충전구 브라켓이 바디(B)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차량과 충돌되는 사람 또는 물체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이 저감 된다.
100: 장착부 110: 중공부
200: 장착다리부 300: 미끌림슬롯
310: 고리부 311: 경사부
311': 제2경사부 312: 고정홈
A: 체결부위 B: 바디
C: 충전구 N: 고정돌기
M: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Claims (11)

  1.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에 위치된 충전구가 돌출되도록 장착된 장착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루는 바디를 향하도록 상기 장착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장착다리부;
    상기 바디에 형성된 체결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다수개의 상기 장착다리부에 각각 형성된 미끌림슬롯;을 포함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미끌림슬롯에는 상기 체결부위에 구비된 고정돌기에 걸쳐지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미끌림슬롯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삭되어 형성되되,
    충돌 시, 상기 미끌림슬롯과 상기 고정돌기의 분리방향을 유도하는 경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경사부의 내측 끝단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충돌시 상기 경사부의 경사방향에 따라 상기 충전구 및 상기 충전구 브라켓이 바디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판상체로써 중공되어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구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다리부는 판상체로써 상기 체결부위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장착부의 변으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끌림슬롯은 상기 장착다리부 끝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미끌림슬롯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미끌림슬롯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소정각도로 절삭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부와 대칭을 이루도록 제2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에는 상기 체결부위와 수평한 머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가 상기 머리부와 상기 체결부위 사이에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체결부위에 고정된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KR1020130158339A 2013-12-18 2013-12-18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Active KR10152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39A KR101526748B1 (ko) 2013-12-18 2013-12-18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US14/461,832 US9381814B2 (en) 2013-12-18 2014-08-18 Charger bracket for reducing impact load
DE102014216436.2A DE102014216436B4 (de) 2013-12-18 2014-08-19 Ladegerät-Halterung zum Verringern einer Stossbelastung
CN201410442721.8A CN104723992B (zh) 2013-12-18 2014-09-02 用于减小冲击负载的充电器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339A KR101526748B1 (ko) 2013-12-18 2013-12-18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748B1 true KR101526748B1 (ko) 2015-06-05

Family

ID=5319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339A Active KR101526748B1 (ko) 2013-12-18 2013-12-18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1814B2 (ko)
KR (1) KR101526748B1 (ko)
CN (1) CN104723992B (ko)
DE (1) DE102014216436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0640A (zh) * 2017-04-28 2017-09-12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一种用于电动汽车的集成安装式托架
CN108394469A (zh) * 2018-02-10 2018-08-14 山东国金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前快速安装支架总成
CN115503523A (zh) * 2022-09-06 2022-12-23 湖北盛泓电力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新能源汽车充电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1466A (zh) * 2016-01-14 2016-06-2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
CN109017256B (zh) * 2018-08-22 2020-07-10 绍兴欣耀机电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电池支撑机构
JP6734337B2 (ja) * 2018-09-27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N112606910B (zh) * 2020-12-11 2022-12-27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前端框架结构
FR3122364A1 (fr) * 2021-04-28 2022-11-04 Psa Automobiles Sa Boîtier de prise de charge de batterie de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deformable en cas de choc
JP7544087B2 (ja) * 2022-03-02 2024-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ユニットの支持構造
FR3156072A1 (fr) * 2023-12-01 2025-06-06 Stellantis Auto Sas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chargeur a haute tension embarque et un dispositif de protection de connecteurs lateraux dudit chargeur, procede et dispositif sur la base d’un tel vehic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430U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리어 시트 장착구조
KR100357820B1 (ko) * 2000-11-24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멤버 장착구조
KR20050031617A (ko) * 2003-09-30 200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분리형 펜더패널
JP2011020601A (ja) * 2009-07-17 2011-02-03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充電ポー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8320A (en) * 1917-08-10 1917-11-27 Eddie Hope Hamilton Bracket and support for shades, curtains, draperies, and the like.
US1571221A (en) * 1921-11-18 1926-02-02 Frank J Wilson Electric-light fixture
JP4144350B2 (ja) 2002-12-26 2008-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ボデー構造
DE102005039763A1 (de) * 2005-08-23 2007-03-0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ATE499270T1 (de) 2007-02-01 2011-03-15 Toyota Motor Co Ltd Endteilkonstruktion eines fahrzeuges
KR100957299B1 (ko) * 2007-12-13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유닛의 내진 기구
US8430428B2 (en) * 2009-01-05 2013-04-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comprising a mounting capsule
JP5342515B2 (ja) * 2010-06-28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口構造および鞍乗り型車両
DE102011000695B4 (de) * 2011-02-14 2021-03-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eines Kraftfahrzeugs
JP5811586B2 (ja) 2011-05-17 2015-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前部構造
CN202574064U (zh) * 2012-05-15 2012-12-05 东风汽车公司 用于电动汽车的充电插座安装结构
RU2585937C1 (ru) * 2012-09-19 2016-06-10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Конструкция порта зарядк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430U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리어 시트 장착구조
KR100357820B1 (ko) * 2000-11-24 2002-10-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멤버 장착구조
KR20050031617A (ko) * 2003-09-30 200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분리형 펜더패널
JP2011020601A (ja) * 2009-07-17 2011-02-03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充電ポート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0640A (zh) * 2017-04-28 2017-09-12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一种用于电动汽车的集成安装式托架
CN108394469A (zh) * 2018-02-10 2018-08-14 山东国金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车前快速安装支架总成
CN115503523A (zh) * 2022-09-06 2022-12-23 湖北盛泓电力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新能源汽车充电桩
CN115503523B (zh) * 2022-09-06 2023-05-23 湖北盛泓电力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新能源汽车充电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5920A1 (en) 2015-06-18
CN104723992B (zh) 2018-08-31
DE102014216436A1 (de) 2015-06-18
US9381814B2 (en) 2016-07-05
DE102014216436B4 (de) 2023-10-05
CN104723992A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748B1 (ko) 충돌 하중을 저감 시키는 충전구 브라켓
US20170174108A1 (en) Automatic headrest
KR101493151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KR20160068748A (ko) 어린이 카 시트 에너지 흡수 및 댐핑 장치
WO2017208992A8 (ja) 車両
KR20190058224A (ko) 안개등 장착 구조물
JP6367345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取り付け構造
KR20170065332A (ko) 앵커를 epp에 인서트시키는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범퍼빔 성형용 금형
US20190143923A1 (en) Protective radiator shroud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05196962A (zh) 一种高度可调的安全带
JP5401850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709301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装置
US20150291067A1 (en) Seat riser
KR101747533B1 (ko) 내충돌성 트림 홀더를 포함한 차량 시트
JP2015054765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及び乗客コンベア
US20190176732A1 (en) Front bumper arrangement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CN106741188A (zh) 车身前端的碰撞保护系统
JP201711946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ショルダアンカ取付け構造
KR102227842B1 (ko) 차량의 범퍼 장치
CN212204641U (zh) 一种车载微波炉的固定结构
CN106882146B (zh) 安全带卷收器安装结构
KR101562739B1 (ko) 시트 쉴드 커버 어셈블리
CN216301011U (zh) 用于车辆的吸能构件、保险杠装置和车辆
KR101208580B1 (ko) 차량용 시트레일
KR10085086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