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580B1 - Camera module assembly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6580B1 KR101526580B1 KR1020090001767A KR20090001767A KR101526580B1 KR 101526580 B1 KR101526580 B1 KR 101526580B1 KR 1020090001767 A KR1020090001767 A KR 1020090001767A KR 20090001767 A KR20090001767 A KR 20090001767A KR 101526580 B1 KR101526580 B1 KR 101526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camera module
- holder
- guide protrusion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다수의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이 장착되는 홀더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하면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과, 일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 및 상기 소켓 바닥면의 개구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소켓과 분리 가능한 고정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개방된 측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옆으로 삽입된다.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having a lens barrel to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coupled, a holder on which the lens barrel is mounted, and an image sensor, and a circuit boar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a fixed support member detachable from the socket, the socket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ocket through an opening of the socket bottom surface, the open side of the socket The camera module is inserted laterally.
카메라 모듈, 소켓(socket) Camera module, socke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ssembly.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크게 B to B(Board to Board), RF일체형(Rigid+Flexible), 분리형(Rigid, Flexible 결합) 및 소켓타입(Socket type) 등이 있다.Generally, camera module assemblies are classified into B to B (board to board), RF integrated type (Rigid + Flexible), separated type (Rigid, Flexible combined type) and Socket type.
도 1은 종래의 소켓 타입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 타입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다수의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배럴(10), 렌즈배럴(10)이 장착되는 홀더(11) 및 홀더(11)의 하면에 부착되는 기판(13)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삽입하는 소켓(20)을 포함한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ocket type camera module assembly. 1, a conventional socket type camera module assembly includes a
이때, 기판(13)의 하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15)와 소켓(20)의 내부 밑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단자(23)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소켓(20)으로 삽입할 때, 소켓(20)의 내부 측벽에 구비된 고정 핀(21)에 의해 홀더(11)의 외부에 형성된 고정홈(17)이 걸림으로써 체결 완료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그러나, 체결완료된 상기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소켓(20)으로부터 분리해야하는 경우, 소켓(20) 및 고정핀(21)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소켓(20)에 틈이 생기거나 고정핀(21)이 부러지면서 카메라 모듈과 소켓(20)간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if the camera modul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과 소켓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 조립체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amera module assembly in which a camera module and a socket are easily fastened and detach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다수의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이 장착되는 홀더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하면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과, 일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된 소켓 및 상기 소켓 바닥면의 개구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소켓과 분리 가능한 고정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개방된 측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옆으로 삽입된다.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having a lens barrel to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coupled, a holder on which the lens barrel is mounted, and an image sensor, and a circuit boar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a fixed support member detachable from the socket, the socket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ocket through an opening of the socket bottom surface, the open side of the socket The camera module is inserted laterally.
본 발명은 소켓의 하부를 버튼 타입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과 상기 소켓의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소켓의 밑면을 상하로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의 밑면에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is formed to be movable in a button-type manner, so that the camera module and the socket can be easily engaged and separat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cket can be moved up and down to close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There is an effect.
또한, 카메라 모듈의 홀더 외측벽에 높이 또는 폭이 다른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소켓의 내측벽에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이 소켓에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 guide protrusion having a different height or width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lder of the camera module, and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ocket, thereby preventing the camera module from being erroneously inserted into the socket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카메라 모듈과 소켓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nd a socket of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는 다수개의 렌즈가 결합되는 렌즈배럴(101), 렌즈배럴(101)이 장착되는 홀더(103), 홀더(103)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회로기판(107)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과 소켓(200) 및 고정받침부재(205)를 포함한다.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카메라 모듈(100)의 홀더(103)의 외부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즉, 카메라 모듈(100)을 소켓(200)으로 삽입할 때, 닿는 양 측면에 가이드돌기(1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 형성되는 각 가이드돌기(105)는 서로 형성되는 폭 또는 높이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200)의 내부측면에는 홀더(103)의 외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05)에 대응하는 폭 또는 높이의 가이드홈(201)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돌기(105)가 가이드홈(201)을 따라 카메라 모듈(100)이 소켓(200)에 삽입된다. 이때, 소켓(200)의 내부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폭 또는 높이가 다른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홀더(103)의 외부측면에는 소켓(200) 내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대응하 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소켓(200)은 일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카메라 모듈(100)은 소켓(200)의 개방된 측을 통하여 옆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The
또한, 소켓(200)은 카메라 모듈(100)을 감싸는 측면(202)과, 측면(202)에 직각으로 형성된 걸림턱(204)을 포함한다. 걸림턱(204)은 소켓(200)의 밑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가리킨다. The
또한, 소켓(2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사방으로 다수개의 단자(20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소켓(20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받침부재(205)의 상부(a)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할 것이다. A plurality of
고정받침부재(205)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2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소켓(200)과 연결되며 또한, 소켓(200)과 분리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A, the
고정받침부재(205)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의 회로기판(107)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상부(a)와 상기 상부(a)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T형 통로(207)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 기둥 형태의 이동부(b) 및 상기 이동부(b)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a)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하부(c)를 구비한다.The
이때, 상부(a)의 면적은 소켓(200) 내부 밑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하부(c)의 면적은 소켓(200) 외부 밑면과 동일한 크기로 상부(a)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rea of the upper portion a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bottom of the
또한 상부(a)와 하부(b)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이동부(b)의 폭은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200)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b)는 상기 개구부(A)를 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상부(a) 및 하부(b)는 상기 개구부(A)보다 면적이 크므로 개구부(A)를 통과할 수 없다.The width of the moving part b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rt a and the lower part b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rt 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상부(a)의 상면에는 회로기판(107)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109)와 일대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단자(20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a)의 상면 일측에는 탄성체(209)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탄성체(209)의 타측은 소켓(200)의 하부 밑면으로 삽입 고정된다. A plurality of
이는, 소켓(200)이 고정받침부재(205)로부터 탄성체(209)의 복원력에 의해 분리되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200)의 외부 밑면과 고정받침부재(205)의 하부(c)가 밀착되어 있으면 탄성체(209)는 눌려져 있는 상태가 되고, 눌려져 있는 탄성체(209)는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고정용바(215)에 압력을 가하여 소켓(200)의 걸림턱(204)에 걸려있던 고정용바(215)가 T형 통로(207) 내부로 삽입되면 소켓(200)은 탄성체(209)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받침부재(205)와 분리되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체(209)로 스프링을 사용한다.This is to allow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켓(200)의 고정받침부재(205)의 이동부(b) 내부에는 도 3c와 같은 T형 통로(207)가 형성된다. A T-
이때, T형 통로(207)내에는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두 개의 고정용바(215)가 삽입되어 있는데, 두 개의 고정용바(215)는 도 3b와 같이 마주하는 대칭적인 구조 로 양 끝부분이 T형 통로(207) 밖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있다. At this time, two
즉, 고정용바(215)의 일부는 소켓(200)의 개방된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소켓(200)의 양쪽 내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켓(200)의 걸림턱(204)에 걸리게 된다.That is, a part of the
따라서, 두 개의 고정용바(215)를 바깥에서 안쪽으로 압력을 가하면 벌어져 있던 두 개의 고정용바(215)가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켓(200)의 양쪽 내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던 부분이 상기 T형(207) 통로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고정받침부재(205)의 이동부(b)가 소켓(200) 밑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wo
이때, T형 통로(207)의 내부 밑면에는 두 개의 고정용바(215) 사이의 중앙에 두 개의 고정용바(215)가 좌우로 이동할 때, 좌우 어느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중심점을 잡기 위한 지지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211)의 양쪽으로 탄성체(213)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탄성체(213)의 타측은 고정용바(215)의 상부에 연결됨으로써, 고정용바(215)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두 개의 고정용바(215)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소켓(200)의 양쪽 내부 측면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At this tim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T-
또한, 고정용바(215)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인 부분의 하면에는 가이드돌기(219)가 형성되어 있고, T형 통로(207)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인 통로 내부 밑면에는 도 3c와 같이, 가이드돌기(219)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17)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용바(215)의 좌우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C, a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을 소켓(200)으로 삽입할 때, 고정용바(215)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압력을 가하면 고정용바(215)는 안쪽으로 이동하고, 소켓(200) 양쪽 측벽으로 돌출되어 있던 부분이 T형 통로(207)로 삽입되어 고정받침부재(205)가 소켓(200)의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4, when the
즉, 고정받침부재(205)의 일측과 소켓(200) 외부 밑면 일측 사이에 연결된 탄성체(209)는 고정받침부재(205)와 소켓(200) 외부 밑면이 밀착되어 있을 때는 눌려진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이 소켓(200) 양쪽 측벽으로 돌출되어 있던 고정용바(215)가 T형 통로(207) 내부로 삽입되면 소켓(200)은 탄성체(209)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소켓(200)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소켓(200) 내부의 공간은 넓어지고, 이러한 소켓(200) 내부에 카메라 모듈(100)을 삽입하면, 카메라 모듈(100)의 하면, 즉 회로기판(107)과 소켓(200)의 고정받침부재(205)의 상면(a) 간에 간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간격이 발생하면 카메라 모듈(100)과 소켓(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고정용바(215)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이동부(b)를 위로 이동시켜 회로기판(107)과 고정받침부재(205)의 상면(a)을 밀착시킨 후, 고정용바(215)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시키면 고정용바(215)는 원래의 상태 즉, 두 개의 고정용바(215)가 벌어진 상태가 되는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고정용바(215)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인 부분은 소켓(200)의 양쪽 측벽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소켓(200)의 걸림턱(204)에 걸림으로써 카메라 모듈(100)과 소켓(200)의 체결이 완료된다. The space inside the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can easily know.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amera module assembl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소켓과 고정받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ocket and a fixed supporting member of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고정받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ed support member of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고정받침부재 내부에 형성된 T형 통로를 형상화한 개념도이다.FIG. 3C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shaped passage formed inside the fixed support member of the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camera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767A KR101526580B1 (en) | 2009-01-09 | 2009-01-09 | Camera modul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767A KR101526580B1 (en) | 2009-01-09 | 2009-01-09 | Camera modul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2449A KR20100082449A (en) | 2010-07-19 |
KR101526580B1 true KR101526580B1 (en) | 2015-06-05 |
Family
ID=4264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1767A Active KR101526580B1 (en) | 2009-01-09 | 2009-01-09 | Camera modul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65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76590A (en) * | 2017-11-01 | 2018-02-09 |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 The mounting seat and camera module installing mechanism of camera mod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8055A (en) * | 2006-10-27 | 2008-05-02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mage pickup device |
-
2009
- 2009-01-09 KR KR1020090001767A patent/KR1015265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8055A (en) * | 2006-10-27 | 2008-05-02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mage pickup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2449A (en) | 2010-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90432B2 (en) | Fitting guide part for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 |
JP4162142B2 (en) |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 |
KR101396303B1 (en) | Connector assembly | |
US20100289255A1 (en) | Insertable tube system for a vacuum cleaner | |
KR20130126163A (en) | Connector assembly | |
TW201830782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40273603A1 (en) | Connector | |
KR101391476B1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 |
KR102461375B1 (en) |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 |
JP3873951B2 (en) | Camera module connector | |
KR101526580B1 (en) | Camera module assembly | |
US10995904B2 (en) | Optical module having retractable structure | |
KR20160021136A (en) | Substrate storing container | |
KR101899841B1 (en) | Connector assembly | |
JP2006012741A (en) | Female side terminal fitting | |
KR101886205B1 (en) | One touch coupling type socket assembly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 |
JP5411803B2 (en) | Connector for optical module | |
JP4475185B2 (en) | connector | |
KR100759123B1 (en) | Connector assembly of junction box | |
KR20140118793A (en) |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 |
JP6278863B2 (en) | connector | |
JP6613129B2 (en) | Metal terminal | |
KR20160142520A (en) | Connector Apparatus having Damage Prevention Function | |
KR100652199B1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 |
KR200339880Y1 (en) | Battery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