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702B1 -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 Google Patents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3702B1 KR101523702B1 KR1020130161990A KR20130161990A KR101523702B1 KR 101523702 B1 KR101523702 B1 KR 101523702B1 KR 1020130161990 A KR1020130161990 A KR 1020130161990A KR 20130161990 A KR20130161990 A KR 20130161990A KR 101523702 B1 KR101523702 B1 KR 1015237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iot
- application
- iot terminal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TVZRAEYQIKYCPH-UHFFFAOYSA-N 3-(trimethylsilyl)propane-1-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Si](C)(C)CCCS(O)(=O)=O TVZRAEYQIKYC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IoT 플랫폼 서버(200)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인덱싱 저장부(220),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인덱싱 저장부(230),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210) 및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매칭부(240)를 포함한다. The IoT platform server 200 includes a first index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an application identifier, A second index storage unit 230 for storing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and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an interface unit 210 for receiving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or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 And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are received,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re mapp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the IoT terminal Based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IoT And a matching unit (240) for mapping the end of the index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formation indexed.
Descrip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단말과 IoT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IoT 플랫폼 서버 및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relates to an IoT platform server that matches an applic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an IoT terminal and an IoT terminal, and a method of generating matching information.
최근 사물 간 통신(M2M 또는 IoT)에 대한 연구 및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IoT 네트워크에서 IoT 단말을 특정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IoT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IoT 네트워크의 제어구성은 수집한 데이터를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한다.Research and markets for inter-object communication (M2M or IoT) are growing. In the IoT network, the IoT terminal collects specific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IoT network, and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IoT network provides the collected data to a specific user.
IoT 단말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과 달리 다양한 개발자가 매우 많은 종류의 단말을 선보이고 있다. IoT 단말이 수집한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자는 IoT 단말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Unlike user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IoT terminals offer a wide variety of terminals by various developers. The data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is provided to the general user by the service provider. Generally, specific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used by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must provide a specific application to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the service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일반적인 스마트폰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안드로이드 마켓과 같은 앱 마켓에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딩하면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단말의 종류를 알려주는 정보를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앱 마켓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In a typical smartphone application, an application developer uploads an application to an app market, such as the Android Market, and select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type of terminal the application supports. That is, the user can connect to the app market through the user terminal,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can execute the specific application, and install the application.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존재한다. IoT 단말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장치이고,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을 의미한다. IoT 단말이 수집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해야한다.In the IoT network, IoT terminals and user terminals exist. The IoT terminal is a sensor device for collecting data, and the user terminal is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order to proces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service provider must provide an application that operates on the user terminal.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가 전용 IoT 단말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크게 문제가 없겠지만, 사용자가 IoT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일한 정보를 수집하는 다른 IoT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는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IoT 단말이 서로 호환될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IoT 단말이 특정한 규격이 없이 매우 다양한 사업자가 단말을 제조하기 때문이다.If the sam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dedicated IOT terminal and a dedicated application, there is no problem, but a problem may arise when a user is connected to the IoT network and receives services using another IoT terminal collecting the same information.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other IoT terminals are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IoT terminal manufactures terminals with a wide variety of operators without a specific standard.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단말의 개발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상호 호환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IoT 시스템에서 연결된 IoT 단말과 앱 서버에 업로딩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가능한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ique for searching whether a developer of an IoT terminal or an application developer is compatible with each other. Furthermore, we want to provide a technique that can automatically check whether a specific application uploaded to an app server and an IoT terminal connected to the IoT system are matched.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oT 플랫폼 서버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인덱싱 저장부,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인덱싱 저장부,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매칭부를 포함한다.The IoT platform server includes a first index storage unit for storing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an application identifier,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or application support A second index storage unit for storing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nformation,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or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and transmitting the search result, and an IoT terminal search unit, Mapping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arch command, 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searching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oT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And a matching unit that maps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화면 해상도 정보, CPU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또는 내장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CPU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or built-in sensor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가용 화면 해상도 정보, 최적 화면 해상도 정보, 가용 CPU 정보, 최적 CPU 정보 또는 필수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availabl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ptimal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available CPU information, optimal CPU information, or required sensor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장치가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IoT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플랫폼 서버가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IoT 플랫폼 서버가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단계 및 IoT 플랫폼 서버가 맵핑한 결과를 전송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that matches an IoT terminal and an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base device comprises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an application identifi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Information or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an IoT platform server included in the IoT network receiving an IoT terminal search command or an application search command, an IoT platform server receiving an IoT terminal search comm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re mapped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Mapping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converting the result mapped by the IoT platform server into data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packet.
수신하는 단계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과 연결된 앱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앱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step may receive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from the app server when the application is uploaded to the app server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via the IoT network.
수신하는 단계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IoT 단말 개발자 단말로부터 IoT 단말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step may receive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from the IoT terminal develop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oT network.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단말의 개발자나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가 사용가능한 대상을 미리 알지 못해도, IoT 플랫폼이 설치된 서버를 이용하여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의 자동으로 매칭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는 특정 IoT 단말을 사양을 알지 못해도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automatically matches the IoT terminal with the application using the server on which the IoT platform is installed, even if the developer of the IoT terminal or the developer of the application does not know in advance a usable target. This allows the developer of the application to provide his / her application and provide the data service to the user without knowing the specification of the specific IoT terminal.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의 예이다.
도 2는 IoT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의 예이다.
도 3은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순서도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IoT 단말이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 network system.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OT platform server.
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that matches an application with an IoT terminal.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data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at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IoT 플랫폼 서버(150, 2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대응하는 도면과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in detail,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nstituent par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part.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Accordingly, the exist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function. For this reas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IoT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Also, in performing a method or an operation method, each of the processe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소위 M2M(machine-to-machine)통신 또는 IoT(Internet of Things)이라고 불리는 통신 환경 내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is applied to a communication environment or a communication system called so-called M2M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or IoT (Internet of Things).
먼저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하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성 및 동작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 명칭하는 IoT 단말, IoT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등은 모두 IoT 네트워크 시스템 요소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IoT 플랫폼 서버" 등으로 명명하겠으나, IoT을 생략한 "플랫폼 서버"이라고 명명하여도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relate to network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onnected to an IoT network system or an IoT network system. Therefore, the IoT terminal, the IoT server, the gateway, the server, etc., which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oT network system elements. In some cases, it will be named "IoT platform server" to clarify this, but it is also called "platform server" without IoT.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특정 장치와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내지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에서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구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술 또는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가 사용가능하다. 다른 말로 하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구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종류 등은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A network refers to a physical environment or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between a specific device and a device by wire or wireless. In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a network connecting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IoT network system can use a device using various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methods. In other words,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do not limit the scope of rights of the technologies described below, such as the type of network connecting the configurations.
IoT 단말은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같이 각종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 영상을 촬영하는 CCTV, 먼지(에어로졸)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과 같이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나아가 옥내의 난방 등을 제어하는 장치 등과 같이 특정 기구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단말은 제공하는 데이터 규격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사용도 서로 다르다.The IoT terminal means a devic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data such as a sensor node of a sensor network. For example, a device for collecting specific data such as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 CCTV for capturing an imag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aerosol).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pecific mechanism such as a device for controlling indoor heating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IoT terminal has different hardware specifications as well as data standards to be provided.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IoT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IoT 네트워크가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구성이다. 예컨대, IoT 단말인 CCTV가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인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황사 측정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으로 IoT 데이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주체를 말한다.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oT network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and receives a service using data collected and managed by the IoT network. For example, a user at a remote location can view an image captured by a CCTV, which is an IoT terminal, through his / her smart phone as a user terminal, or the user can check data collected by a DSS measurement sensor through his smartphone. The user terminal typically uses a dedicated application to receive the IoT data service. The user is the subject receiving the data service.
IoT 단말 개발자는 센서 장치인 IoT 단말을 개발하는 주체이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일반적으로 IoT 단말이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해당한다. IoT 단말 개발자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IoT 시장이 확대된다면 IoT 단말과는 별도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활발해 질 수 있다. IoT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는 IoT 단말에 대한 사양 정보 등이 필요하다. 예컨대, IoT 단말이 CCTV라면 획득하는 영상의 해상도, 프레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아야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활용이 정확하게 가능할 것이다. 이를 개발자가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 소요가 많으며 나아가 IoT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IoT 단말을 검증한다고 보장하기도 어렵다.The developer of IoT terminal is the subject of developing IoT terminal which is a sensor device. The application developer generally corresponds to a service providing service using data measured by the IoT terminal. IoT terminal developers and application developer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f the IOT market expands, application development can become active separately from IoT terminals. This is because various services using IoT terminals can be created.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developer or the user who uses the application needs spec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IoT terminal available i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if the IoT terminal is a CCTV, accurate information on the resolution, frame, and the like of an image to be acquired will enable accurate utilization of data in an application. It is very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for the developer to check it individually, and it is also difficult to ensure that all IoT terminals connected to the IoT network are verified.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IoT 단말과 IoT 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technique of matching an application that can utilize data collected from the IoT terminal and the IoT terminal.
또한 이하 명세서에서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핵심적인 구성 외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기술 내지 구성은 종래 IoT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 내지 구성을 참조하거나, 공개된 IoT 관련 표준문헌을 참조하면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well-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in the conventional IoT network system or reference to published IoT related standard documents. A person with knowledge will understand it ful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IoT 플랫폼 서버(150, 200) 및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5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도 1은 IoT 네트워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의 예이다.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oT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IoT 단말(110), IoT 단말(110)이 수집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스템 구성을 제어하는 IoT 플랫폼 서버(150),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앱 서버(160) 등이 포함된다. The
IoT 단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장치나 영상 장치 등을 통해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IoT 단말의 종류,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 OS의 종류,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서로 하드웨어 사양 및 데이터 규격을 갖는다.The
도 1에는 2개의 IoT 단말(D1 및 D2)을 도시하였다. D1 및 D2는 동일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이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 전달되는 데이터의 화면 해상도 등이 상이하다고 가정한다.FIG. 1 shows two IoT terminals D1 and D2. It is assumed that D1 and D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devices for collecting the same data,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transferring data, and a screen resolution of data to be transferred.
IoT 단말(110)은 게이트웨이(130)와 제1 네트워크(Network1, 120)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네트워크(Network1, 120)는 Zigbee,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SUN, LAN 네트워크, 와이브로(Wibro) 네트워크, 이동통신 3G 네트워크, 이동통신 4G 네트워크 등과 같은 네트워크일 수 있다. 결국 각종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사용가능하다.The
도 1에서 도시한 게이트웨이(130)는 IoT 단말(110)과 통신하는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120)의 종류에 따라 게이트웨이(130)의 거리는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IoT 단말(110)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따라서 점선 블록으로 IoT 단말(110)과 하나의 영역에 도시하였음). 게이트웨이(130)는 하나 이상의 IoT 단말과 통신하여 IoT 단말이 수집하는 데이터를 IoT 네트워크의 제어부(예컨대, IoT 플랫폼 서버(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일정한 지역에 배치된 IoT 단말(110)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IoT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에서는 게이트웨이(130)가 수행하는 기능은 중요하지 않다.The
게이트웨이(G/W, 130)는 제2 네트워크(Network2, 140)를 통해 IoT 네트워크 코어 구성과 연결된다. 제2 네트워크(Network2, 140)도 제1 네트워크(120)와 같이 다양한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30)와 IoT 플랫폼 서버(150)는 일반적으로 서로 원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화선망 또는 광통신과 같은 유선망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제2 네트워크(Network2, 14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후자의 경우 IoT 플랫폼 서버(150)는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예컨대, 3G 네트워크의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또는 4G 네트워크의 SGW(Serving Gateway)와 같은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IoT 서버(150)와 제2 네트워크(140) 등을 하나의 점선 블록으로 도시하였다.The gateway (G / W) 130 is connected to the IoT network core configuration through a second network (Network2, 140). Various networks such as the
IoT 플랫폼 서버(150)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같이 네트워크의 데이터 및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구성에 해당한다. 실제 시스템 구현은 게이트웨이 장치에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설치하여 IoT 네트워크에 특이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4G 네트워크에서 이종망과의 연결을 담당하는 ePDG(evolved Packet Data Gateway)와 같은 장치에 플랫폼(IoT 플랫폼)을 설치하여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IoT 플랫폼 서버(150)를 구현하게 된다. 이하 설명하겠지만 IoT 플랫폼 서버(150)에 설치되는 플랫폼은 IoT 단말(110)과 IoT 단말(11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나아가 IoT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연결된 구성은 IoT 단말 개발자가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앱 개발자 컴퓨터 장치(20) 및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5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 등이 있다. 각 구성은 IoT 네트워크에 인터넷 통신 또는 별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다.Further, the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IoT 플랫폼 서버(150)는 D1 단말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 종류 및 화면 해상도 정보, D2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 종류 및 화면 해상도 정보를 사전에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IoT 단말(110) 및 가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해당 작업은 IoT 단말 개발자가 가용한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할 때 수행되거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사용 가능한 IoT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할 때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자신이 제작한 애플리케이션을 앱 서버(160)에 업로딩하는 단계에서 자동으로 앱 서버(160)가 IoT 플랫폼 서버(150)에 문의하고, 검색된 결과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The
도 2는 IoT 플랫폼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의 예이다. IoT 플랫폼 서버(200)는 도 1의 IoT 플랫폼 서버(15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oT 플랫폼 서버(200)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1 인덱싱 저장부(220),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인덱싱 저장부(230),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210) 및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매칭부(240)를 포함한다. The
IoT 플랫폼 서버(200)는 매칭과 같은 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부가적인 메모리(2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210)는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을 집합일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 개발자 컴퓨터(10) 및 앱 개발자 컴퓨터(20)는 일반적으로 IP 기반의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여 IoT 플랫폼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21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TCP/IP 등)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IoT 단말(110)과 앱 서버(160)는 도 1의 제2 네트워크(140)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200)와 연결된다. 제2 네트워크(140)가 이동통신 네트워크라면 인터페이스부(210)는 3G 또는 4G 표준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야 한다. 각 구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 및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도 2에서 제1 인덱싱 저장부(220)와 제2 인덱싱 저장부(230)를 서로 다른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저장 매체(DB)에 포함될 수 있다. In FIG. 2, the first
매칭부(240)는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명세서에서는 매칭부(240)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실제 IoT 플랫폼 서버(200)의 연산 장치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매칭부(240)는 플랫폼에서 검색을 수행하는 모듈(소프트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연산 장치(CPU, 프로세서 등)에 해당한다.
The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가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제1 인덱싱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컴퓨터 장치(20)가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제2 인덱싱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한편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는 자동으로 IoT 플랫폼 서버(150, 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IoT 단말(110)이 IoT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하면 자동으로 IoT 단말(100)이 갖고 있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가 제1 인덱싱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IoT 단말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IoT 단말(110)을 특정 게이트웨이(130)을 통해 IoT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연결한다. 이때 IoT 단말(110)이 최초 IoT 네트워크 시스템(100)에 접속했다고 IoT 플랫폼 서버(150, 200)가 판단하는 경우 해당 IoT 단말(110)에 보유하고 있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IoT 단말(110) 마다 특정한 식별자(ID)를 부여하고, 식별자가 없는 IoT 단말(110) 또는 등록되지 않은 식별자를 갖는 IoT 단말(110)이 접속하면 IoT 플랫폼 서버(150, 200)가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IoT 단말(110)에 요청할 수 있다. 전제는 IoT 단말이 자신의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When the IoT terminal 110 first accesses the IoT network,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held by the
나아가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200)에 연결된 앱 서버(160)가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 받으면 자동으로 업로딩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제2 인덱싱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전제는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Further, when the
IoT 플랫폼 서버(150, 200)는 순수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서로 다른 코드를 갖고 구분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고, 앱 서버(160)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앱 서버(160)가 해당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150, 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화면 해상도 정보, CPU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또는 내장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OS 정보는 해당 IoT 단말(110)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에 해당하는 운영체제이다. 화면 해상도 정보는 IoT 단말(110)이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에 해당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관한 것이다. CPU 정보는 IoT 단말(110)에 설치된 CPU에 관한 정보이다. 통신 프로토콜 정보는 IoT 단말(110)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내장 센서 정보는 IoT 단말(110)에 내장된 센서의 종류, 센서의 성능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The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CPU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or built-in sensor information. The OS information is an operating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oftware architecture of the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가용 화면 해상도 정보, 최적 화면 해상도 정보, 가용 CPU 정보, 최적 CPU 정보 또는 필수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availabl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ptimal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available CPU information, optimal CPU information, or required sensor information.
OS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는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IoT 단말의 OS와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OS가 일치하는 기기 사이에 정보 전달이 자유로울 것이다. 화면 해상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 해상도에 대한 정보이다. IoT 단말(110)이 수집하는 해상도보다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해상도가 낮다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가용 해상도 정보는 지원 가능한 해상도 범위에 관한 것이고, 최적 화면 해상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최적인 해상도 정보이다. The OS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system to which the application can be operated. It is not necessarily consistent with the OS of the IoT terminal, but it is generally freely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devices having the same OS. Th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screen resolu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f the resolution supported by the application is lower than the resolution acquired by the
CPU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CPU 정보이다. 이 또한 IoT 단말(110)의 CPU와 성능이 동일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애플리케이션과 IoT 단말(110)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조라면, 즉,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IoT 단말(110)이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이라면 CPU 성능이 너무 차이가 난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최적 CPU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최적인 CPU 정보를 의미하고, 가용 CPU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한 CPU 성능의 범위를 의미한다. 필수 센서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센서의 종류 및 센서의 성능에 과한 것이다. 필수 센서 정보가 맞지 않는다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해당 IoT 단말(110)을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The CPU information is CPU information for driving the application. The performance of the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와 별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와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IoT 단말 식별자는 지정하여 해당 식별자를 갖는 단말 또는 단말 그룹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IoT 단말 제조사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제조사에서 제조한 IoT 단말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모델 번호 또는 모델 그룹 번호를 갖는 IoT 단말(110)만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may be used separately from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Or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The IoT terminal identifier may be designated and only the terminal or terminal group hav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may be used or only the IoT terminal manufactured by a specific manufacturer may be used by using the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Alternatively, only the
IoT 단말 인덱싱 정보가 제1 인덱싱 저장부(220)에 저장되고,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가 제2 인덱싱 저장부(230)에 저장되면 이후 매칭부(240)는 저장된 인덱싱 정보를 이용하여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150, 200)과 연결된 앱 서버(160)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앱 서버(160)가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IoT 플랫폼 서버(150, 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앱 서버(160)는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있는 IoT 단말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IoT 단말(110)에 대해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uploaded to the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는 IoT 단말 검색 명령을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150, 200)에 전송하고, IoT 플랫폼 서버(150, 200)로부터 맵핑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IoT 단말 개발자는 개발 과정에서 사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파악할 수도 있다.
The IoT terminal
도 3은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500)의 순서도에 대한 예이다.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500)은 데이터베이스 장치가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510), IoT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플랫폼 서버(150, 200)가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520), IoT 플랫폼 서버(150, 200)가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530),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540) 단계 및 IoT 플랫폼 서버(150, 200)가 맵핑한 결과를 전송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550)를 포함한다.A
데이터 베이스 장치는 도 2의 제1 인덱싱 저장부(220) 및 제2 인덱싱 저장부(230)를 의미한다.The database device refers to the first
수신하는 단계(520)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서버(150, 200)과 연결된 앱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앱 서버(16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수신하는 단계(520)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로부터 IoT 단말 검색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The receiving
도 4는 IoT 단말이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data collected by the IoT terminal at a user terminal.
먼저 인덱싱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IoT 단말(110) 또는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에서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150)에 전송한다(311). 앱 서버(160) 또는 앱 개발자 컴퓨터 장치(20)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IoT 플랫폼 서버(150)에 전송한다(312). 311 과정 및 312 과정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된다. IoT 플랫폼 서버(150)는 전달된 IoT 단말 인덱싱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DB를 구축한다.First, a database of indexing information should be prepared. The
이후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작업은 다양한 구성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가 개발 과정에서 사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를 IoT 플랫폼 서버(150)에 요청할 있다(321). 이에 대하여 IoT 플랫폼 서버(150)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를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10)에 전송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IoT terminal with the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by a request of various configurations. The IoT terminal
IoT 플랫폼 서버(150)는 수신한 검색 명령에 기반하여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한다(323).The
앱 개발자 컴퓨터(20)가 IoT 플랫폼 서버(150)에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동작 가능한 IoT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단말 검색 명령)을 할 수 있다(322). 이에 대하여 IoT 플랫폼 서버(150)는 단말 검색 결과를 앱 개발자 컴퓨터(20)에 전송한다.The
앱 서버(160)는 애플리케이션 업로딩 과정에서 IoT 플랫폼 서버(150)에 단말 검색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331). 이에 대하여 IoT 플랫폼 서버(150)는 단말 검색 결과를 앱 서버(160)에 전송한다(332). 이후 앱 서버(160)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사용가능한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332).The
이후 IoT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앱 서버(160)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341). 앱 서버(160)는 사용 가능한 단말 정보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에 전송할 수 있다.
A user who desires to use the IoT data service may request th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 20 : 앱 개발자 컴퓨터 장치
30 : 서비스 제공 서버 50 : 사용자 단말
100 : IoT 네트워크 시스템 110 : IoT 단말
120 : 제1 네트워크 130 : 게이트웨이
140 : 제2 네트워크 150 : IoT 플랫폼 서버
160 : 앱 서버
200 : IoT 플랫폼 서버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제1 인덱싱 저장부 230 : 제2 인덱싱 저장부
240 : 매칭부 250 : 메모리10: terminal developer computer device 20: app developer computer device
30: service providing server 50: user terminal
100: IoT network system 110: IoT terminal
120: first network 130: gateway
140: second network 150: IoT platform server
160: App Server
200: IoT platform server 210: interface unit
220: first indexing storage unit 230: second indexing storage unit
240: matching unit 250: memory
Claims (15)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인덱싱 저장부;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화면 해상도 정보, CPU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또는 내장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가용 화면 해상도 정보, 최적 화면 해상도 정보, 가용 CPU 정보, 최적 CPU 정보 또는 필수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플랫폼 서버.A first index storage unit for storing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A second indexing storage for storing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pplication identifier,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or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An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or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and transmitting a search result; And
When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is received, mapping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And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cluded IoT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Wherein the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CPU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or built-in sensor information,
Wherein the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availabl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ptimal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available CPU information, optimal CPU information, or essential sensor information.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상기 제1 인덱싱 저장부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컴퓨터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웹 기반으로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상기 제2 인덱싱 저장부에 저장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developer computer apparatus accesses the web-based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stores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in the first index storage unit,
Wherein the application developer computer device accesses the web-bas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stores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n the second indexing storage unit.
IoT 단말이 IoT 네트워크에 최초 접속하면 자동으로 상기 IoT 단말이 갖고 있는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상기 제1 인덱싱 저장부에 저장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IoT terminal first accesses the IoT network,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held by the IoT terminal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first index storage.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서버에 연결된 앱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 받으면 자동으로 상기 업로딩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상기 제2 인덱싱 저장부에 저장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via the IoT network uploads an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loaded data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second index storage unit.
상기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and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서버와 연결된 앱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상기 앱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상기 IoT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server transmits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to the IoT platform server when the application is upload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through an IoT network.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는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을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IoT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맵핑 결과를 수신하는 IoT 플랫폼 서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developer computer device transmits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to the IoT platform server via the IoT network and receives the mapping result from the IoT platform server.
IoT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플랫폼 서버가 IoT 단말 검색 명령 또는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플랫폼 서버가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 및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에 포함된 IoT 단말 식별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IoT 단말 인덱싱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덱싱 정보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IoT 플랫폼 서버가 상기 맵핑한 결과를 전송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oT 단말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화면 해상도 정보, CPU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또는 내장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정보는 OS 정보, 가용 화면 해상도 정보, 최적 화면 해상도 정보, 가용 CPU 정보, 최적 CPU 정보 또는 필수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Wherein the database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of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application identifier,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or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The IoT platform server included in the IoT network receiving an IoT terminal search command or an application search command;
When the IoT platform server receives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maps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and whe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is received Mapping the IoT terminal indexing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index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oT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And
And converting the mapping result of the IoT platform server into data included in a transport packet,
Wherein the IoT terminal profi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CPU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tocol information, or built-in sensor information,
Wherein the application profil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matching an application with an IoT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OS information, available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optimal screen resolution information, available CPU information, optimal CPU information, or essential sensor information.
상기 애플리케이션 지원 단말 정보는 IoT 단말 식별자, IoT 단말 제조사 정보 또는 IoT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support terminal information is generated by matching an application with an IoT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oT terminal identifier, IoT terminal manufacturer information, or IoT terminal model information.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서버과 연결된 앱 서버에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딩되면, 상기 앱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 명령을 수신하는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step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that matches an application with an IoT terminal that receives the application search command from the application server when an application is uploaded to an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IoT platform server via an IoT network.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IoT 단말 개발자 컴퓨터 장치로부터 상기 IoT 단말 검색 명령을 수신하는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step
A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that matches an application with an IoT terminal that receives the IoT terminal search command from an IoT terminal developer computer device connected through an IoT networ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990A KR101523702B1 (en) | 2013-12-24 | 2013-12-24 |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990A KR101523702B1 (en) | 2013-12-24 | 2013-12-24 |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3702B1 true KR101523702B1 (en) | 2015-05-28 |
Family
ID=5339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1990A Active KR101523702B1 (en) | 2013-12-24 | 2013-12-24 |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3702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73819A1 (en) * | 2015-10-30 | 2017-05-04 | 주식회사 노크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
KR101804022B1 (en) * | 2015-11-30 | 2017-12-01 | 이승철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oT service using LTE terminal |
CN115034347A (en) * | 2022-06-21 | 2022-09-09 |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for tracing two-dimensional cod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230327957A1 (en) * | 2020-08-27 | 2023-10-12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Centralized management of data flow maps for distributed edge node deployment |
CN117812112A (en) * | 2024-01-09 | 2024-04-02 | 中科物栖(南京)科技有限公司 |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102796064B1 (en) * | 2024-12-30 | 2025-04-18 | (주)임픽스 | Raw data recoverty system for iiot isdb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507B1 (en) * | 2011-06-15 | 2012-10-05 | 한국과학기술원 | The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heterogeneous netnork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based on technology of relaying network and browsing things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ip using web platform |
KR20130022495A (en) * | 2011-08-24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method for downloading and server and terminal thereof |
-
2013
- 2013-12-24 KR KR1020130161990A patent/KR1015237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507B1 (en) * | 2011-06-15 | 2012-10-05 | 한국과학기술원 | The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heterogeneous netnork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based on technology of relaying network and browsing things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ip using web platform |
KR20130022495A (en) * | 2011-08-24 | 2013-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method for downloading and server and terminal thereof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73819A1 (en) * | 2015-10-30 | 2017-05-04 | 주식회사 노크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of internet of things device |
KR101804022B1 (en) * | 2015-11-30 | 2017-12-01 | 이승철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oT service using LTE terminal |
US20230327957A1 (en) * | 2020-08-27 | 2023-10-12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Centralized management of data flow maps for distributed edge node deployment |
US12047249B2 (en) * | 2020-08-27 | 2024-07-23 | Siemens Industry Software Inc. | Centralized management of data flow maps for distributed edge node deployment |
CN115034347A (en) * | 2022-06-21 | 2022-09-09 |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for tracing two-dimensional cod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5034347B (en) * | 2022-06-21 | 2024-05-28 |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for tracing two-dimensional cod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7812112A (en) * | 2024-01-09 | 2024-04-02 | 中科物栖(南京)科技有限公司 |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102796064B1 (en) * | 2024-12-30 | 2025-04-18 | (주)임픽스 | Raw data recoverty system for iiot isdb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3702B1 (en) | IoT PLATFORM SERVER AND GENERATING METHOD FOR MATCHING INFORMATION BETWEEN IoT DEVICE AND AVAILABLE APPLICATION | |
KR101397471B1 (en) | IoT Device and IoT Adapter with Device Platform | |
US20220201095A1 (en) | Request processing in the service layer | |
US999829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home device to upload dat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ata uploaded by smart home device | |
CN111201764B (en) | Method and server device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service | |
KR101048854B1 (en) | Servi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subscriber traffic data of M2M application | |
KR101678606B1 (en) |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IoT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oT DEVICE | |
EP2874068B1 (en) |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 |
EP2757738B1 (en) |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arrier means storing comunication control program | |
US201403043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smart objects | |
CN114549264B (en) |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erver for utilizing multiple SIM cards | |
KR102351620B1 (en) | The intelligen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a mobile device | |
US9800996B2 (en) |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
KR20140057440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on wifi network | |
US20240196384A1 (en) | Operability indicator of a 6 ghz wi-fi device at a location | |
KR20160102419A (en) | Transmitting and displaying screen content | |
KR2012004768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informatio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 |
US20130326077A1 (en) |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and system for connecting a remote network | |
US20160150425A1 (en)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ynthetic transaction platform for analyz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wireless network | |
CN112153123B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in Internet of things system | |
Oliveira et al. | Ubiquitous Monitoring Solu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Push Notifications and End‐to‐End Connectivity | |
JP2021100233A (en) | Gateway device with built-in server module and communication system | |
KR1019387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Functions of M2M Devices based on Gateway | |
US20180359322A1 (en) | Service element host selection | |
KR101645251B1 (en) | Protocol dynamic configuration system for reflecting network characteristics in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