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3581B1 -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81B1
KR101523581B1 KR1020140067176A KR20140067176A KR101523581B1 KR 101523581 B1 KR101523581 B1 KR 101523581B1 KR 1020140067176 A KR1020140067176 A KR 1020140067176A KR 20140067176 A KR20140067176 A KR 20140067176A KR 101523581 B1 KR101523581 B1 KR 10152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ensor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웅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센서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통신망연결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인터넷망연결부; 상기 통신망연결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응용서비스를 구분하며, 구분된 응용서비스에 맞춤형 통신망을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연결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FOR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M2M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Bluetooth)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M2M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되, 응용서비스에 따라 ZiBee와 Bluetooth 또는 ZigBee와 WiFi 또는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지원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와 이기종 통신망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에 따른 통신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 및 점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M2M은 Machine to Machine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 사물 통신 또는 사물 지능 통신이라고도 한다. M2M은 사람 중심의 인터넷 인프라를 사람 대 사물(Man to Machine), 사물 대 사물(Machine to Machine) 간의 영역으로 확대한 것으로서, 사람이 아닌 사물에 의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고 전달할 수 있는 인프라를 의미한다.
이러한 M2M은 스마트 그리드 응용서비스, u-Home 응용서비스, 검침/제어 응용서비스, 환경 모니터링 응용서비스, 소상공인 광고 응용서비스, 관광/문화 가이드 응용서비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응용서비스, 출하/배차 관리 응용서비스, 출석 관리 응용서비스 u-가이드 서비, 출입통제 제어 응용서비스 및 결제 응용서비스 등 적용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여, 여러 산업분야에서 M2M에 기반한 각종 응용서비스들이 우후죽순으로 등장하고 있다.
나아가,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통신망으로는 나선(裸線), 시내/외케이블, 반송케이블, 동축케이블, 해저케이블, 광섬유케이블 등의 유선통신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aet), 홈 PNA,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1394, 무선 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이 있다.
특히 이기종 통신망(Bluetooth, WiFi 및 ZigBee)은 특정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인터페이스 조작이 간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M2M 서비스는 이기종 통신망(Bluetooth, WiFi 및 ZigBe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통신연결이 가능한 게이트웨이(모뎀)를 각각 필요로 하여,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각 하나씩의 통신망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이에, M2M 서비스는 국부적인 통신망과 국부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기종 통신망(Bluetooth, ZigBee 및 WiFi)을 통합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통신망의 통합적 서비스를 위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769호에 이종 네트워크간 프로토콜 변환기 및 이를 구비한 개인단말기가 기재되었다.
도 1은 종래 이종 네트워크간 프로토콜 변환기 및 이를 구비한 개인단말기에서 변환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개인영역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는 수신 패킷 임시 메모리; 상기 수신 패킷 임시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내장된 임시저장 메모리;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통신 가능한 개인영역 통신 프로토콜로 새로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을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가 처리 가능한 이벤트별 명령을 가지는 제어명령 메모리;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토콜 해석기; 상기 프로토콜 해석기에 추출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통신 가능한 개인영역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기; 및 상기 생성 패킷을 해당 개인영역 통신 모뎀에 전송하기 전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생성패킷 임시저장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종 네트워크간 프로토콜 변환기 및 이를 구비한 개인단말기는 개인단말기 위주로 다양화되어 있는 이종 네트워크간 개인영역 통신방식(Bluetooth, ZigBee 및 WiFi 등)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명령이나 인지없이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종 무선 네트워크간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연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프로토콜 변환기는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양한 사물기기(센서)와 통신연결시, 불필요한 통신망을 차단하지 못하고 통합적인 통신만 가능하여, 최적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연결시, 다수의 통신망 중 연결의 정확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해주지 못하므로, 통신연결이 실패하여도 해당 통신망은 그대로 유지되어, 효율적인 통신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이에 따라, 통신망의 관리 및 점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망의 통합적 서비스를 위한 기술 중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29421호에 M2M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 방법, 및 기록 매체가 기재되었다.
도 2는 위에 기재된 M2M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 방법, 및 기록 매체의 시스템 구성도로, 하나 이상의 각종 센서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센서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종류를 구분하는 서비스 구분부; 및 상기 연결된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된 M2M 관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서 상기 센서와의 연결 시에 해당 센서의 연결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해당 센서와 관련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정보, 및 해당 센서와의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해당 연결이 끊어지면 저장된 해당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의 통신 방식은 ZigBee, WiFi, WiFi-Direct, Bluetooth, CAN(Controller Area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및 SDIO(Secure Digital I/O)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M2M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 방법, 및 기록 매체는 복수의 센서들과 사용자 단말 간을 하나의 M2M 라우터를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각 센서에 M2M 서비스를 위한 원격 통신 모듈을 결합하여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디바이스 구입 비용을 최소화하고,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종류를 구분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존 고유의 센서를 M2M 서비스에 적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양한 응용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센서와 ZigBee, WiFi, WiFi-Direct, Bluetooth, CAN(Controller Area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및 SDIO(Secure Digital I/O)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즉 센서와 M2M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의 통신연결시, 불필요한 통신망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연결시, 통신연결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연결이 끊어지면 해당 정보를 삭제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통신망의 연결횟수 즉, 연결 우선순위에 따라 통신망과의 연결은 어려워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769호(2012.08.22.) 등록특허공보 제10-1329421호(2013.11.0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Bluetooth)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되,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ZiBee와 Bluetooth 또는 ZigBee와 WiFi 또는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지원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와 이기종 통신망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허가된 단말기와의 통신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을 제공하며,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의 재연결시, 별도의 인증 없이도 통신연결이 가능한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마지막 순서로 하여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실패이력이 낮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이 먼저 이루어지게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는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센서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통신망연결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인터넷망연결부; 상기 통신망연결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응용서비스를 구분하며, 구분된 응용서비스에 맞춤형 통신망을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연결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Bluetooth)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되,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ZiBee와 Bluetooth 또는 ZigBee와 WiFi 또는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지원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와 이기종 통신망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가된 단말기와의 통신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을 제공하며,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의 재연결시, 별도의 인증 없이도 통신연결이 가능하므로, 보안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마지막 순서로 하여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실패이력이 낮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어 통신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에 따른 통신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 및 점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종 네트워크간 프로토콜 변환기 및 이를 구비한 개인단말기에서 변환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 M2M 서비스를 위한 라우터, 방법, 및 기록 매체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서 인터넷망연결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및 Bluetooth)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M2M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되, 응용서비스에 따라 ZiBee와 Bluetooth 또는 ZigBee와 WiFi 또는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지원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와 이기종 통신 모듈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허가된 단말기와의 통신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을 제공하며,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의 재연결시, 별도의 인증 없이도 통신연결이 가능하므로, 보안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응용서비스에 대한 통신연결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연결 실패시 해당 통신망의 실패이력을 저장한 후, 실패이력에 근거하여 통신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기(100), 센서(200) 및 M2M 게이트웨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각종 응용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리더기 등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 및 리더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후술되는 M2M 게이트웨이(300)와 통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통신,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화상통신 및 SNS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및 PD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인터넷망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하며, 인터넷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로드 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센서(200)는 M2M 서비스를 위한 특정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센서(200)는 M2M 게이트웨이(300)와 통신연결시, 측정 및 수집되는 특정정보에 따라 응용서비스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특정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정보는 다양한 응용서비스 분야에서 센서(200)를 통해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따라 해당 응용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 응용서비스, u-Home 응용서비스, 검침/제어 응용서비스, 환경 모니터링 응용서비스, 소상공인 광고 응용서비스, 관광/문화 가이드 응용서비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응용서비스, 출하/배차 관리 응용서비스, 출석 관리 응용서비스 u-가이드 서비, 출입통제 제어 응용서비스 및 결제 응용서비스 등 M2M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서비스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정보는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정보로,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스택(stack)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SDP 스택이란 멀티미디어 세션을 발견하고 참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정의된 포맷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출하/배차 관리 응용서비스에 적용된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를 수신시, 해당 특정정보에는 출하/배차 관리 응용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정보임을 나타내는 SDP 스택과 함께 수신된다.
따라서 센서(200)를 통해 다양한 응용서비스 분에서 사용되는 각종 사물기기의 특정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300)와 통신함으로써,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은 센서(200)로부터 수집 및 측정된 특정정보와 M2M 게이트웨이(300) 간을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인 이기종 네트워크를 이용하되, ZigBee, WiFi 및 Bluetooth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M2M 게이트웨이(300)는 이기종 통신망(ZigBee, WiFi 및 Bluetooth)을 통합하여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되는 특정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하, M2M 게이트웨이(30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M2M 게이트웨이(300)는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활용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신망연결부(310), 인터넷망연결부(320), 제어부(330), 처리부(340) 및 확장인터페이스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망연결부(310)는 M2M 게이트웨이(300)와 센서(200)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것으로, 이때, 통신망연결부(310)는 이기종 통신망(ZigBee, WiFi 및 Bluetooth) 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통신망연결부(310)는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를 수신받고, 해당 특정정보 데이터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넷망연결부(320)는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M2M 게이트웨이(300)와 단말기(100)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것으로, 단말기인증모듈(321) 및 단말기관리모듈(3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인터넷망연결부(320)는 M2M 게이트웨이(300)와 단말기(100)를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단말기인증모듈(321)은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기(100)와 M2M 게이트웨이(300) 간에 통신연결시, 해당 단말기(100)의 통신연결을 허가하고,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을 제공하여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기인증모듈(321)은 단말기(100)로부터 보안정보를 함께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정보란 M2M 게이트웨이(300)에서 통신연결을 허가한 단말기(100)의 고유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진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단말기(100)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허가된 단말기(100)임을 인식하고 M2M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허가되지 않은 단말기(100)의 통신연결은 단속함으로써,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가 M2M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배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보안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단말기인증모듈(321)은 허가되지 않은 단말기(100)의 통신연결을 허가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의 최초 통신연결시, 해당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M2M 게이트웨이(300)에 송신하고 허가받음으로써, 통신연결의 허가가 가능한 단말기(100)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관리모듈(322)은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100)의 보안정보(고유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단말기(100)와의 통신연결이 해제된 후, 다시 통신연결이 시도되면 별도의 인증 수단 없이도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기(100)와 M2M 게이트웨이(300) 간의 통신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100)의 재연결시, 단말기인증모듈(321)을 통해 매번 통신연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며, 보안의 기능도 제공받을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단말기인증모듈(321) 및 단말기관리모듈(322)은 후술되는 제어부(330)에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330)는 데이터의 연결통로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망연결부(310)를 통해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응용서비스를 구분하며, 구분된 응용서비스에 맞춤형 통신망을 연결되도록 하고, 해당 응용서비스에 대한 통신연결상태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연결 실패시 해당 통신망의 실패이력을 저장한 후, 실패이력에 근거하여 통신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응용서비스구분모듈(331), 맞춤형통신모듈(332),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333), 통신연결상태관리모듈(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제어부(330)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에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응용서비스구분모듈(331)은 통신망연결부(310)를 통해 센서(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다수개의 센서(200)가 제공하는 응용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맞춤형통신모듈(332)은 응용서비스구분모듈(331)에서 구분된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이기종 통신망(ZigBee, WiFi 및 Bluetooth) 중 선택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출석 관리 서비스, U-가이드 서비스, 택시/버스 차량 관제 및 출입통제 제어 등은 ZigBee와 Bluetooth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스마트 그리드, U-Home 서비스, 검침/제어 서비스 및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등은 ZigBee와 WiFi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 소상공인 광고 서비스, U-Catalog(Menu) 서비스 및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은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근거하여 응용서비스구분모듈(331)을 통해 구분된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맞춤형 통신망을 제공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300)와 이기종 통신망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333)은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및 Bluetooth)을 통해 센서(200)와 M2M 게이트웨이(300) 간에 통신연결시, 그 통신연결과 관련된 연결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연결 실패가 발생되면 해당 센서(200)와 통신망의 실패이력(횟수)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센서(200)의 통신연결이 재시도되는 경우,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은 최하위의 순위로 정하여 마지막 순서로 통신연결되도록 한다.
즉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마지막 순서로 하여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실패이력이 낮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어 통신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연결상태관리모듈(334)은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333)에서 저장되는 센서(200)와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및 Bluetooth)과의 연결상태정보에 대한 저장을 제어 및 관리하고 센서(200)와의 통신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주기적 점검을 통해 해당 센서(200)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 실패에 대해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통신연결상태관리모듈(334)은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333)을 통해 저장되는 통신연결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통신연결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을 통해 통보받고 주기적으로 점검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처리부(340)는 프로토콜 메모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200)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연결부(310)를 통해 수신받고, 이를 인터넷망연결부(320)를 통해 단말기(100)로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를 변환하며, 인터넷망연결부(320)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확장인터페이스부(350)는 다수 개로 이루어진 M2M 게이트웨이(300) 상호간에 통신연결, 즉 2개 이상의 M2M 게이트웨이(300)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서비스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는 이기종 통신망(ZiBee, WiFi, Bluetooth)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되,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ZiBee와 Bluetooth 또는 ZigBee와 WiFi 또는 ZiBee, WiFi 및 Bluetooth를 선택적으로 서비스 지원함으로써, M2M 게이트웨이와 이기종 통신망 간의 불필요한 접속을 차단하여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허가된 단말기(100)와의 통신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송수신 데이터의 보안을 제공하여 보안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연결이 허가된 단말기(100)의 재연결시, 별도의 인증 없이도 보안의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마지막 순서로 하여 통신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실패이력이 낮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이 먼저 이루어지게 되어 통신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연결에 대한 실패이력을 저장하고, 실패이력에 따른 통신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관리 및 점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3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단말기 200 : 센서
300 : M2M 게이트웨이 310 : 통신망연결부
320 : 인터넷망연결부 321 : 단말기인증모듈
322 : 단말기관리모듈 330 : 제어부
331 : 응용서비스구분모듈 332 : 맞춤형통신모듈
333 :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 334 : 통신연결상태관리모듈
340 : 처리부 350 : 확장인터페이스부

Claims (5)

  1.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센서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통신망연결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인터넷망연결부;
    상기 통신망연결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응용서비스를 구분하며, 구분된 응용서비스에 맞춤형 통신망을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 및 수집된 특정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망연결부를 통해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터넷망연결부는
    단말기(100)의 통신연결을 허가하는 단말기인증모듈; 및
    상기 단말기인증모듈을 통해 허가된 단말기의 통신연결이 해제된 후, 다시 통신연결이 시도되면 별도의 인증 수단 없이 통신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말기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이기종 통신망을 통해 센서와 통신연결시, 통신연결의 실패가 발생되면 해당 센서와 통신망의 실패이력을 저장하는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 및
    상기 통신연결상태저장모듈에서 저장되는 센서와 이기종 통신망과의 연결상태정보에 대한 저장을 제어 및 관리하고 센서와의 통신연결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연결상태관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실패이력이 높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을 마지막 순서로 하여 통신연결되도록 하여, 실패이력이 낮은 통신망과의 통신연결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통신망은 ZigBee, WiFi 및 Bluetoo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망연결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정보에 근거하여 응용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는 응용서비스구분모듈; 및
    상기 응용서비스구분모듈에서 구분된 응용서비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ZigBee, WiFi 및 Bluetooth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망과 통신연결되도록 하는 맞춤형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5. 삭제
KR1020140067176A 2014-06-02 2014-06-02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Active KR10152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76A KR101523581B1 (ko) 2014-06-02 2014-06-02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76A KR101523581B1 (ko) 2014-06-02 2014-06-02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81B1 true KR101523581B1 (ko) 2015-05-29

Family

ID=5339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76A Active KR101523581B1 (ko) 2014-06-02 2014-06-02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32B1 (ko) * 2016-12-20 2017-11-14 주식회사 매일정보산업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613A (ja) * 2003-06-20 2005-01-13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呼接続制御方法
KR20070065612A (ko) * 2005-12-20 2007-06-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 디바이스 게이트웨이용 통합형리모트 컨트롤러 시스템
KR100918923B1 (ko) * 2009-03-24 2009-09-28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의 스마트 에너지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00026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브레인넷 이기종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2613A (ja) * 2003-06-20 2005-01-13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呼接続制御方法
KR20070065612A (ko) * 2005-12-20 2007-06-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 디바이스 게이트웨이용 통합형리모트 컨트롤러 시스템
KR100918923B1 (ko) * 2009-03-24 2009-09-28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의 스마트 에너지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00026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브레인넷 이기종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032B1 (ko) * 2016-12-20 2017-11-14 주식회사 매일정보산업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0975B (zh) 提供行動設備直接存取LoRa資訊封包之LoRa行動裝置及其資料傳輸方法
KR10247809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방문자 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779779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in a local network
US10602362B2 (en) Gateway, gateway setup method, and IoT device setup method in IoT system
CN105279937A (zh) 物联网智能燃气表系统
KR102176417B1 (ko) 비표준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표준 시스템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
US20190261433A1 (en) Software architecture for iot device collector
US12188806B2 (en) Automations device for monitoring field level sensors in oil and gas industry
CA3017632C (en) Nfc enabled wireless process communication gateway
CN108260073B (zh) 闸道器、闸道器的安装方法以及物联网装置的安装方法
KR101764133B1 (ko) Smart g-water city 단말기
CN102714793A (zh) 用于使用视觉通道发现并访问附近的移动设备的安全方法
KR10152358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KR101528547B1 (ko) Nmea 2000 범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CN102892115B (zh) Wsn中网关之间通信的方法和发起方网关、目标方网关
US9237445B1 (en) Heterogeneous network control system
EP2221748A1 (en)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13258616A (ja) 遠隔検針システム、および親機
KR101878364B1 (ko) 데이터분산 서비스 기반의 블루투스 어댑터
KR20190070687A (ko) LoRaWAN 기반 스마트 미터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30118070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468562B1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136B1 (ko) Cctv 감시카메라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비영리 대민서비스 오픈플랫폼 자치단체 무선자가통신망 단말기
KR102049690B1 (ko) 가상 디바이스 기능을 가지는 사설 로라 네트워크의 사물제어 시스템
KR20170024778A (ko)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데이터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