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3530B1 -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 Google Patents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30B1
KR101523530B1 KR1020140160051A KR20140160051A KR101523530B1 KR 101523530 B1 KR101523530 B1 KR 101523530B1 KR 1020140160051 A KR1020140160051 A KR 1020140160051A KR 20140160051 A KR20140160051 A KR 20140160051A KR 101523530 B1 KR101523530 B1 KR 10152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truck
pedestal
wheel
upstanding pedestal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기
Original Assignee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궤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는 믹서트럭이 올려지고, 하부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믹서트럭의 위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4개의 구동 바퀴부가 구비되는 상승 받침대와; 상기 상승 받침대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각각에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승 받침대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고, 각각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는 각도 변경판과; 상기 상승 받침대의 전방 단부와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각도 변경판의 사이, 및 상기 상승 받침대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각도 변경판의 사이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각도 변경판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 실린더와; 상기 구동 바퀴부들과 틸팅 실린더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Mixer truck moving vehicle for placing concrete of railroad way}
본 발명은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건설 공정은 토목공사, 궤도 공사, 건축, 신호통신, 전기설비 등 다양한 분야의 공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철도의 건설을 위해서는 지반을 다지는 토목공사를 한 후 여기에 궤도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궤도 부설 공사는 궤도 시공 측량, 레일 투입 및 용접(장척화), 침목 투입 및 배열, 궤광조립, 레일 용접(장대화), 궤도 정정, 거푸집 설치, 최종 궤도 정정, 침목덮게 설치, 콘크리트도상 타설, 선형 검측, 양생등의 공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을 타설하기 위한 대차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1688호의 "터널 내부에서의 콘크리트도상 부설 시 콘크리트 타설용 대차"(이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대차"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대차는 레미콘 차량이 상면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 대차본체와, 상기한 대차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대차가 터널 내부에 부설된 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륜과, 상기한 레미콘 차량의 타이어가 안착된 상태에서 타이어가 자전할 수 있도록 대차본체에 설치된 제1회전로울러와, 상기한 제1회전로울러와 밀착되어 마찰하면서 연동 회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양단에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제2회전로울러로 이루어진 동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1688호의 "터널 내부에서의 콘크리트도상 부설 시 콘크리트 타설용 대차"(2011.08.26.)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종래의 콘트리트 타설용 대차를 개량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을 지면이나 레일의 상면(이하, "레일면"이라 한다.)보다 높게 위치시킴에 따라,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전,후방의 양측에 각각이 구동모터에 의해 별도로 구동되는 구동 바퀴부들 구비함으로써, 대차의 이동출력을 향상시켜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승 받침대의 주행 중 각각의 구동 바퀴부의 회전속도를 각기 조정하여 상승 받침대의 방향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중앙의 양측에 다수의 공회전 바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승 받침대의 중앙이 하부로 처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지면이나 레일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받침대의 전방 중앙에 외부 조작을 통해 조작되는 방향 변경 바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승 받침대의 방향 변경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승 받침대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각도 변경판을 양측의 바퀴 밀착판과 중앙의 연결대로 구성함으로써, 각도 변경판의 제작시 재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는 믹서트럭이 올려지고, 하부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믹서트럭의 위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4개의 구동 바퀴부가 구비되는 상승 받침대와; 상기 상승 받침대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각각에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승 받침대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고, 각각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는 각도 변경판과; 상기 상승 받침대의 전방 단부와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각도 변경판의 사이, 및 상기 상승 받침대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각도 변경판의 사이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각도 변경판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 실린더와; 상기 구동 바퀴부들과 틸팅 실린더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부는, 상승 받침대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양측의 브래킷과, 양측의 브래킷을 관통하는 바퀴 회전축과, 상기 바퀴 회전축의 외주연에 삽입 구비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 회전축과 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승 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지면에 밀착되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레일면에 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상승 받침대는, 하부 중앙의 양측에 지면이나 레일면에 밀착되어 상승 받침대의 중앙의 처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공회전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상승 받침대는, 상승 받침대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하부가 지면에 밀착이 가능함에 따라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하는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신축식 밀착 고정부는, 상기 상승 받침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삽입 승강관과, 상기 수직관과 삽입 승강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 승강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신축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상승 받침대는, 상승 받침대의 전방의 중앙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방향을 변경시키는 방향 변경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방향 변경 바퀴부는, 상기 상승 받침대의 전방의 중앙에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관통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유압모터의 정역 회전을 통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의 상기 각도 변경판은,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승 베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바퀴 밀착판과, 양측의 바퀴 밀착판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양측의 바퀴 밀착판을 연결하고 상기 틸팅 실린더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슈트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에 따라,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 불량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전,후방의 양측에 각각이 별도로 구동되는 구동 바퀴부들 구비함에 따라, 대차의 이동출력을 향상시켜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고, 상승 받침대의 주행 중 각각의 구동 바퀴부의 회전속도를 각기 조정하여 상승 받침대의 방향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중앙의 양측에 다수의 공회전 바퀴부를 구비하여 상승 받침대의 중앙이 하부로 처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주행에 안전성이 확보된 믹서트럭 대차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 받침대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지면이나 레일면에 밀착되는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를 더 구비함에 따라,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믹서트럭이 좀 더 안전하게 대차의 상부에 올라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 받침대의 전방 중앙에 외부 조작을 통해 조작되는 방향 변경 바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승 받침대의 방향 변경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승 받침판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각도 변경판을 양측의 바퀴 밀착판과 중앙의 연결대로 구성함에 따라, 각도 변경판의 제작시 재료을 절약함으로써 대차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좌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도 1a의 D-D선 단면도.
도 5는 도 1a의 E-E선 단면도.
도 6은 도 1a의 F-F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좌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a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a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을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는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궤도 레일의 측부의 지면을 따라 주행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궤도 레일의 측부에 구비되는 다른 한 쌍의 레일면을 타고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는 상기 지면이나 다른 한 쌍의 레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승 받침대(1)와, 상승 받침대(1)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각도 변경판(2)과, 각각의 상기 각도 변경판(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 실린더(3)와, 조작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승 받침대(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길게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에는 믹서트럭이 올려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4개의 구동 바퀴부(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믹서트럭의 위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동 바퀴부(11)들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슈트(S)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구동 바퀴부(11)는 대차의 이동출력을 향상시키고 상승 받침대(1)의 방향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승 받침대(1)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양측의 브래킷(111)과, 양측의 브래킷(111)을 관통하는 바퀴 회전축(112)과, 상기 바퀴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삽입 구비되는 바퀴부(113)와, 상기 바퀴 회전축(112)과 동력 전달수단(115)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4)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113)는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지면에 밀착되는 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레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면에 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 중앙의 양측에는 상승 받침대(1)의 중앙이 하부로 처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지면이나 레일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공회전 바퀴부(1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회전 바퀴부(14)는 공회전되는 바퀴(141)를 포함하는데, 상기 바퀴(141)는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지면에 밀착되는 우레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레일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면에 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우레탄으로 구성되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하부가 지면에 밀착이 가능함에 따라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1)의 유동을 방지하는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1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는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1)의 유동을 좀 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 받침대(1)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관(121)과, 상기 수직관(121)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22a)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삽입 승강관(122)과, 상기 수직관(121)과 삽입 승강관(1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수직관(12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 승강관(122)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신축 유압실린더(123)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 받침대(1)에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를 구비하여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1)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믹서트럭이 좀 더 안전하게 대차의 상부에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의 중앙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승 받침대(1)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방향 변경 바퀴부(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향 변경 바퀴부(13)는 상승 받침대(1)의 방향 변경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의 중앙에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관통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는 유압모터(131)와, 상기 유압모터(13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유압모터(131)의 정역 회전을 통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바퀴(1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각도 변경판(2)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각각에 힌지부(23)를 통해 연결되어 상승 받침대(1)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각도 변경판(2)은 상기 힌지부(23)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 변경판(2)은 각도 변경판(2)의 제작시 재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23)를 통해 상승 베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바퀴 밀착판(122a)과, 양측의 바퀴 밀착판(122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양측의 바퀴 밀착판(122a)을 연결하고 상기 틸팅 실린더(3)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대(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상승 받침대(1)를 두 개의 각도 변경판(2)과 중앙의 연결대(22)로 구성함으로써, 각도 변경판(2)의 제작시 재료를 절약하여 대차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도 변경판(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 실린더(3)는,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 단부와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각도 변경판(2)의 사이, 및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각도 변경판(2)의 사이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각도 변경판(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각각의 틸팅 실린더(3)는 작동중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단부가 상기 상승 받침대(1)의 단부와 연결대(22)에 힌지로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틸팅 실린더(3)는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조작을 통해 작동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를 사용하여 궤도 레일에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트럭 대차를 사용하여 궤도 레일에 콘크리트도상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상승 받침대(1)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를 작동시켜, 삽입 승강관(122)의 하부에 위치는 밀착판(122a)을 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상승 받침대(1)를 지면에 임시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122a)을 지면에 임시로 밀착되게 고정할 경우에는, 상승 받침대(1)가 지면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승 받침대(1)의 후방 양측의 바퀴부(113)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후방의 틸팅 실린더(3)를 신축 작동시켜 상승 받침대(1)의 후방에 위치되는 각도 변경판(2)의 후방을 지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런 다음, 믹서트럭을 각도 변경판(2)을 타고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다시 상기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를 작동시켜 삽입 승강관(122)을 상승시켜 밀착판(122a)을 지면으로부터 이격 시키고,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틸팅 실린더(3)를 신장 작동시켜 후방의 각도 변경판(2)을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 상기 구동 바퀴부(11)들을 작동시켜, 상승 받침대(1)를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위치의 측부인 지면이나, 또는 기 시공된 한 쌍의 레일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다음 믹서트럭의 슈트(S)를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구동 바퀴부(11)들을 작동시키고 믹서트럭을 작동시켜 상승 받침대(1)를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도상이 시공되는 분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다음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상승 받침대(1)를 다시 지면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승 받침대(1)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를 작동시켜 삽입 승강관(122)의 하부에 위치는 밀착판(122a)을 지면에 밀착시키고, 전방의 틸팅 실린더(3)를 작동시켜 전방의 각도 변경판(2)을 경사지게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믹서트럭을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서 지면으로 하차시키는 과정을 통해 믹서트럭에 의한 1회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완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에 다수의 구동 바퀴부(11)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믹서트럭의 슈트(S)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믹서트럭의 슈트(S)의 높이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궤도의 레일보다 높게 위치되게 함에 따라, 콘크리트도상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좀 더 정밀하고 신속하게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도상의 시공 불량을 방지하면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상승 받침대
11 : 구동 바퀴부
111 : 브래킷, 112 : 바퀴 회전축, 113 : 바퀴부,
114 : 구동모터, 115 : 동력 전달수단
12 : 신축식 밀착 고정부
121 : 수직관, 122 : 삽입 승강관, 122a : 밀착판,
123 : 신축 유압실린더
13 : 방향 변경 바퀴부
131 : 유압모터, 132 : 방향 변경바퀴
14 : 공회전 바퀴부
141 : 바퀴
2 : 각도 변경판
21 : 바퀴 밀착판
22 : 연결대
23 : 힌지부
3 : 틸팅 실린더
S : 슈트

Claims (8)

  1.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는 믹서트럭이 올려지고, 하부의 전,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믹서트럭의 위치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4개의 구동 바퀴부(11)가 구비되는 상승 받침대(1)와;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각각에 힌지부(23)를 통해 연결되어 상승 받침대(1)의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고, 각각은 상기 힌지부(23)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되는 각도 변경판(2)과;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 단부와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각도 변경판(2)의 사이, 및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후방 단부와 상기 후방에 위치되는 각도 변경판(2)의 사이에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각도 변경판(2)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틸팅 실린더(3)와; 상기 구동 바퀴부(11)들과 틸팅 실린더(3)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바퀴부(11)는, 상승 받침대(1)의 양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양측의 브래킷(111)과, 양측의 브래킷(111)을 관통하는 바퀴 회전축(112)과, 상기 바퀴 회전축(112)의 외주연에 삽입 구비되는 바퀴부(113)와, 상기 바퀴 회전축(112)과 동력 전달수단(115)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승 받침대(1)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14),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113)는 지면에 밀착되는 우레탄으로 구성되거나 레일면에 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받침대(1)는,
    하부 중앙의 양측에 지면이나 레일면에 밀착되어 상승 받침대(1)의 중앙의 처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공회전 바퀴부(1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받침대(1)는,
    상승 받침대(1)의 하부 후방의 양측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하부가 지면에 밀착이 가능함에 따라 믹서트럭이 상승 받침대(1)의 상부에 올라타는 순간에 상승 받침대(1)의 유동을 방지하는 두 개의 신축식 밀착 고정부(1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식 밀착 고정부(12)는,
    상기 상승 받침대(1)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되는 수직관(121)과,
    상기 수직관(121)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22a)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삽입 승강관(122)과,
    상기 수직관(121)과 삽입 승강관(122)의 내부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수직관(12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삽입 승강관(122)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는 신축 유압실린더(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받침대(1)는,
    상승 받침대(1)의 전방의 중앙에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게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방향을 변경시키는 방향 변경 바퀴부(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경 바퀴부(13)는,
    상기 상승 받침대(1)의 전방의 중앙에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관통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에 연결되는 유압모터(131)와,
    상기 유압모터(131)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유압모터(131)의 정역 회전을 통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바퀴(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경판(2)은,
    상기 힌지부(23)를 통해 상승 베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양측의 바퀴 밀착판(122a)과,
    양측의 바퀴 밀착판(122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양측의 바퀴(141) 밀착판(122a)을 연결하고 상기 틸팅 실린더(3)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대(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8. 삭제
KR1020140160051A 2014-11-17 2014-11-1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Active KR101523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51A KR101523530B1 (ko) 2014-11-17 2014-11-1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51A KR101523530B1 (ko) 2014-11-17 2014-11-1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30B1 true KR101523530B1 (ko) 2015-05-29

Family

ID=5339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051A Active KR101523530B1 (ko) 2014-11-17 2014-11-17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618A (ja) * 2017-07-12 2019-02-0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台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9A (ja) * 1994-06-20 1996-01-09 Masaya Nagashima 車輌搬送用軌道走行台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9A (ja) * 1994-06-20 1996-01-09 Masaya Nagashima 車輌搬送用軌道走行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618A (ja) * 2017-07-12 2019-02-07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台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5630B (zh) 全液压履带式自行栈桥及施工方法
US20120284989A1 (en) Positioning Arrangement For Fitting An Interchangeable Milling Assembly Of A Road-Building Machine
KR101413885B1 (ko) 고속철도 교량 및 터널용 콘크리트 타설장치
JP5852520B2 (ja) 資材運搬装置及び資材運搬方法
JP2005083014A (ja) プレキャストトンネル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部材搬送装置
KR101271922B1 (ko) 반송설치장치 및 콘크리트제품의 설치방법
KR101400302B1 (ko)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102161144B1 (ko)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JP5484983B2 (ja) 橋梁移動作業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解体方法
KR101523530B1 (ko)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JP2003232196A (ja) トンネルインバート施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4134104B2 (ja) 橋梁一括撤去工法
JP5772273B2 (ja) 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CN109667609B (zh) 混凝土预制板铺设运输车
JPH06185106A (ja) 暗渠の据付用台車及び暗渠の据付方法
CN205955750U (zh) 圆角矩形截面隧洞混凝土衬砌用钢模台车
JP6556553B2 (ja) 軌きょう扛上装置
JP2000337098A (ja) 構造物移動架台および構造物移動方法
KR101213377B1 (ko) 교량 상판의 리프트-런칭 공법 및 이를 위한 리프트-런칭 장치
CN210637087U (zh) 用于明挖暗渠的内外模台车衬砌系统
CN211496656U (zh) 一种桁吊设备
CN209619827U (zh) 全液压履带式自行栈桥
JP3892196B2 (ja) 斜面機材運搬作業装置及びこの装置の構築方法
KR101329043B1 (ko) 콘크리트 도로 포장용 철근 공급을 위한 철근대차
JP3940587B2 (ja) 分割橋体式交通路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