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460B1 - Grounded wiring box - Google Patents
Grounded wir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1460B1 KR101521460B1 KR1020140153527A KR20140153527A KR101521460B1 KR 101521460 B1 KR101521460 B1 KR 101521460B1 KR 1020140153527 A KR1020140153527 A KR 1020140153527A KR 20140153527 A KR20140153527 A KR 20140153527A KR 101521460 B1 KR101521460 B1 KR 1015214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ing
- hole
- wiring box
- body part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1 wire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8—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부 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접지능력을 극대화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며, 다양한 형태로 확장이 용이한 배선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접지부 배선박스는 내측에 복수개의 전선을 결선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부(20)로 구성되며, 전기배선공사 시 사용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재 등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30)이 더 구비되며, 몸체부(10)의 저면부에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되어 다양한 결합부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wiring box, and provides a wiring box which is easy to install, maximizes grounding capability, protects the safety of the operator, and is easy to expand in various forms.
To this end, the earthing section wiring box includes a body portion 10 formed in a box shape for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therein, and a lid portion (not shown)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portion 10 20, and further includes a bracket 30 for coupling to a coupling member installed on a site used in electric wiring work, and a plurality of magnets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a grounding portion wiring box for connecting the grounding portion wiring box.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지부 배선박스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접지선을 배선박스에 직접연결함으로써, 접지능력을 극대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며, 다양한 형태로 확장이 용이한 배선박스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wiring box and is a wiring box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which directly connects a grounding wire to a wiring box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maximizing the grounding ability and is easy to expand in various forms.
일반적으로 천장에 설치되는 다양한 조명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선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부재가 배선박스 또는 분기박스 등이 있다.In general, wiring work is performed to supply power to a variety of lighting apparatuses installed on a ceiling, such as a wiring box or a branch box.
이와 같은 배선박스 또는 분기박스의 경우 배선작업을 위해 천장에 설치된 레일 및 볼트 등의 시설물에 부착한 후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설치를 위한 공정시간의 대부분을 소비하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wiring box or branch box, it is used after being attached to facilities such as rails and bolts installed on a ceiling for wiring work, and this process consumes most of the process time for installation.
최근의 건설현장에서는 빠른 시간내에 전기배선 시공이 완료되어야 하는데, 배선박스 등의 부재를 설치하는데 대부분의 공정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 recent construction site, the construction of electric wiring must be comple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most of the time is required to install a member such as a wiring box.
또한, 현장상황에 맞게 다양한 연결부재 또는 결합부재 등이 별도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용 등이 상승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In addition, various connecting members or coupling members must be appli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which may cause a rise in co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4302호(분리형 배선 분기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has been prop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4302 (a separate type wiring branch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범위도 리셉터클유닛과 함께 적용해야 하며, 플러그와 소켓과 같은 결선부재가 적용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ts use range has to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receptacle unit, and a wiring member such as a plug and a socket has to be applied.
또한, 별도의 접지구조가 제시되지 않아, 금속외장케이블을 적용할 경우 시공자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grounding structure is not provided, there is a shortage in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of a constructor when a metal sheathed cable is appli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접지부 배선박스는 다양한 시공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시공자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접지부 배선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earthing wir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o prevent the electric shock of the build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nch wiring box.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지부 배선박스는 내측에 전선을 결선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으로 저면부 중앙에 리드선인출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인출홀(12)의 저면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일부분을 타공하여 타공된 부분이 잔존하여, 작업자가 타공된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선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11)과 인접한 저면부에 리드선인출홀(1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자석(17)이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돌출턱(11)은 원형링형태 또는 부분절개되어 복수개의 턱이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ing wiring box is formed in a box shape which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electric wires therein. The lead wire draw-out
또한, 상기 자석(17)은 리드선인출홀(12)을 중심으로 2개 내지 4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일측에는 뚜껑부(20)를 결속하기 위한 결합홀(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4)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1)가 뚜껑부(20)의 내주면 일측에 더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 저면부에는 몸체부(10)의 저면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접지를 위한 접지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구(15)에는 접지케이블(16)이 결선되어 작업자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저면에는 회전방지홀(18)이 더 형성되어, 몸체부(10)의 하단부에 전기공사시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결합하기 위해 몸체부(10)와 결합되는 브라켓(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
상기와 같은 브라켓(30)의 상단일측에는 몸체부(10)의 돌출턱(11)을 내삽하기 위한 결합홀(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3)과 인접하게 회전방지돌기(32)가 형성되어,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홀(18)에 대응하며,양측에는 단부에 걸림턱(31a)이 형성되는 클립부(31)가 형성되어 현장설치용 결합부재인 M바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
본 발명의 접지부 배선박스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시공현장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시공자의 감전사고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By applying the grounding portion wir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electric shock accident of the installe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10)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뚜껑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몸체부(10)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브라켓(30)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현장설치용 T바를 적용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대구경 M바를 적용한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소구경 M바를 적용한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i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FIGS. 9 and 10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engagement of the
Figures 11 and 12 are illust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applying T bar for field installation.
Figs. 13 and 14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in which a large diameter M bar is applied.
Figs. 15 and 16 are illustrations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small-diameter M bar.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접지부 배선박스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e earthing wir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1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10)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뚜껑부의 저면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접지부 배선박스는 내측에 복수개의 전선을 결선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부(20)로 구성되며, 전기배선공사 시 사용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재 등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30)이 더 구비된다.
1 to 5, the earthing wir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와 같은 몸체부(10)는 내측에 수용부를 구비하는 박스형상으로 저면부 중앙부에 리드선인출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인출홀(12)의 저면부 외주면에 돌출턱(11)이 더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돌출턱(1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원형링 형태의 돌출턱 또는 부분절개되어 복수개의 턱이 형성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도 6 내지 도 8참조)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돌출턱(11)이 부분절개되어 복수개의 턱으로 형성될 때는 2개 내지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Here, when the
상기 리드선인출홀(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턱(11)과 인접하는 저면부에는 자석(17)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자석(17)은 리드선인출홀(12)을 중심으로 2개 내지 4개가 배치된다.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수개의 돌출턱(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절개된 부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자석(17)이 배치되어, 브라켓 등 다양한 결합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와 같이 자석 2개 내지 4개가 구비되는 것은 시공현장 및 적용되는 브라켓(30) 및 설치장소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wo or four magnets ar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e, the
예를 들어, 시공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와 같이 접하는 면이 평면일 경우 다수개의 자석이 접합면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브라켓(30) 또는 T바(40 : 도 11 및 도 12 참조)와 같은 결합부재의 경우 결합방향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인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surface is flat, such as a lighting devic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 plurality of magnet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a joint surface by magnetic force, and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측면부에는 복수개의 배선삽입홀(13)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배선공사시 전선관의 일부 또는 배선결합부재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측면부의 일부를 부분타공하여 타공된 부분이 잔존하게 되는 것이며, 시공시 작업자가 타공된부분에 잔존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기술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uch a technique is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몸체부(1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부(20)의 내주면 일측에는 결합돌기(21)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21)는 몸체부(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뚜껑부(20)가 몸체부(10)와 결합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내측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구(15)에는 접지커넥터를 구비하는 접지케이블(16)이 결선된다.A
여기서, 상기 접지구(15)는 몸체부(10)의 저면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며, 몸체부(10)에 결합되는 케이블의 접지선과 접지케이블(16)을 결선하여 접지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몸체부(10)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접지케이블(16)에 접지선을 결선하는 것만으로 접지가 가능하며, 몸체부(10)의 재질이 합성수지일 경우 저면부에도 형성되는 접지구(15)에 별도의 접지선을 결선하여 금속재질의 외피를 구비하는 전선의 외피에 결선하여 접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또한, 상기 리드선인출홀(12)과 자석(17)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회전방지홀(18)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방지홀(18)은 몸체부(10)에 결합되는 브라켓(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32 : 도 9 참조)가 내삽되어 브라켓(3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 plurality of
도 9와 도 10은 브라켓(30)을 적용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고, 도 11과 도 12는 현장설치용 T바를 적용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FIGS. 9 and 10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
도 9와 도 10 및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기배선용 분기박스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속부재인 형강바에 결합하기 위해, 브라켓(30)을 몸체부(10)에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9, 10, 11, and 12, the branch box for electric wi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와 같은 브라켓(30)의 상단일측에는 결합홀(3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33)에 몸체부(10)의 저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이 내삽되고, 몸체부(10)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자석(17)에 의해 결속된다.A
이때, 상기 결합홀(33)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32)가 몸체부(10)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홀(18)에 내삽되어 브라켓(30)의 결합방향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시공현장에 결속부재인 T바가 가설되어 있는 경우,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몸체부(10)에 구비되는 자석(17)를 이용하여 직결하게 된다.Further, when the T bar, which is a bind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site, it is directly connected using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10)의 하단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돌출턱(11)의 사이에 T바(40)의 결합편(41)이 끼워진 후, 자석(17)에의해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도 13과 도 14는 대구경 M바를 적용한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5와 도 16은 소구경 M바를 적용한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s.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large-diameter M-bar, and Figs. 15 and 16 are illustrations showing an implementation using a small-diameter M-bar.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접지부 배선박스는 배선공사를 위해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속부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M바 있으며, 상기 M바는 현장 상황에 따라 대구경 및 소구경이 구비된다.13 to 16, a grounding unit wir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inding member installed on the site for wiring work, and a typical example thereof is M, Large diameter and small diameter are provid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이와 같은 M바와 결합하기 위해 몸체부(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30)이 적용되는데, 대구경 M바(50)의 경우 도 13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대구경 M바의 개방된 부분에 브라켓(30)이 내삽되어 결합되고, 소구경 M바(60)가 적용될 경우 브라켓(30)의 개방된 부분에 소구경 M바가 내삽되어 결합된다.
In the case of the large
이때, 상기 브라켓(30)의 양측에 형성되는 클립부(3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1a)에 의해 소구경 M바(60)가 걸리도록 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mall-diameter M-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기배선시공시 현장가설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ave the time required for field installation when constructing electric wiring.
이는 기존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체결도구인 볼트 및 너트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문인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y are simply combined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s without using bolts, nuts, cable ties, or other fastening tools used for existing installations.
10 : 몸체부 11 : 돌출턱
12 : 리드선인출홀 13 : 배선삽입홀
14 : 결합홀 15 : 접지구
16 : 접지케이블 17 : 자석
18 : 회전방지홀 20 : 뚜껑부
21 : 결합돌기 30 : 브라켓
31 : 클립부 31a : 걸림턱
32 : 회전방지돌기 33 : 결합홀10: body part 11: protruding jaw
12: lead wire lead-out hole 13: wiring lead-in hole
14: coupling hole 15:
16: grounding cable 17: magnet
18: anti-rotation hole 20: lid part
21: engaging projection 30: bracket
31:
32: rotation preventing projection 33: engaging hole
Claims (8)
내측에 전선을 결선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상으로 저면부 중앙에 리드선인출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리드선인출홀(12)의 저면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일부분을 타공하되 타공된 부분이 잔존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타공된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선삽입홀(13)이 형성되고, 내측 저면부에는 저면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접지를 위한 접지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접지구(15)에는 접지케이블(16)이 결선되며, 상기 돌출턱(11)과 인접한 저면부에 리드선인출홀(1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자석(17)이 구비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측 개방구에 결합되는 뚜껑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A wiring box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A lead wire lead-out hole 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ace portion in the form of a box which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wire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ad wire lead-out hole 12, A plurality of wire insertion holes 13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so as to allow the perforated portion to remain and the operator can remove the bored portion, and the inner bottom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and a through- A grounding cable 16 is connected to the contact strip 15 and a lead wire draw-out hole 1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adjacent to the protrusion 11, (10) having a magnet (17) arranged in a radial manner;
And a lid part (20) coupled to an upper opening of the body part (10).
상기 몸체부(10)의 돌출턱(11)은 원형링형태 또는 부분절개되어 복수개의 턱이 형성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ng step (11) of the body part (10) is a circular ring shape or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jaws are formed by being partially cut.
상기 자석(17)은 리드선인출홀(12)을 중심으로 2개 내지 4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to four of the magnets (17) are radially arranged around a lead wire drawing-out hole (12).
상기 몸체부(10)의 측면 일측에는 뚜껑부(20)를 결속하기 위한 결합홀(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4)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1)가 뚜껑부(20)의 내주면 일측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coupling hole 14 for coupling the lid part 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10 and a coupling projection 2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20 Wherein the grounding part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상기 몸체부(10)의 저면에는 회전방지홀(18)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rotation preventing hole (18) is furth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10).
상기 몸체부(10)의 하단에는 전기배선공사시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3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bracket (30)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0) for engaging with an engaging member installed at a site of an electric wiring work.
상기 브라켓(30)의 상단일측에는 몸체부(10)의 돌출턱(11)을 내삽하기 위한 결합홀(3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3)과 인접하게 회전방지돌기(32)가 형성되어,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홀(18)에 대응하며,양측에는 단부에 걸림턱(31a)이 형성되는 클립부(31)가 형성되어 현장설치용 결합부재인 M바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부 배선박스.
8. The method of claim 7,
A locking hole 33 for inserting the protrusion 11 of the body 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30 and a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32 is formed adjacent to the locking hole 33 The clip portion 3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 so as to form a locking protrusion 31a at the ends of the clip portion 31, Wherein the grounding portion wiring box comprises a ground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527A KR101521460B1 (en) | 2014-11-06 | 2014-11-06 | Grounded wir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3527A KR101521460B1 (en) | 2014-11-06 | 2014-11-06 | Grounded wir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1460B1 true KR101521460B1 (en) | 2015-05-20 |
Family
ID=5339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3527A Active KR101521460B1 (en) | 2014-11-06 | 2014-11-06 | Grounded wir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1460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633U (en) * | 2015-11-02 | 2017-05-11 | 티에스케이블(주) | Wiring box with a lid having a hin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KR101883794B1 (en) * | 2017-12-05 | 2018-07-31 | 주식회사 엔투 | Bracket device for junction box and cable connector |
USD894146S1 (en) | 2017-11-06 | 2020-08-25 | Primex Manufacturing Ltd. | Networking enclosure assembly |
KR102617799B1 (en) * | 2023-02-03 | 2023-12-27 | 박건순 | 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ed oun-touch wiring pipe module |
KR102618337B1 (en) * | 2023-02-03 | 2023-12-27 | 박건순 | An one-touch wiring box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94140A (en) * | 1996-06-21 | 1998-04-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iring box |
KR200423753Y1 (en) * | 2006-05-19 | 2006-08-11 | 세홍산업 주식회사 | Branching Mechanism for Ceiling Wiring |
KR20120005110A (en) * | 2010-07-08 | 2012-01-16 | 신원호 | Integrated Electrical Box |
KR20130029187A (en) * | 2011-09-14 | 2013-03-22 | 김경복 | Tube wiring rosin connection box |
-
2014
- 2014-11-06 KR KR1020140153527A patent/KR1015214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94140A (en) * | 1996-06-21 | 1998-04-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Wiring box |
KR200423753Y1 (en) * | 2006-05-19 | 2006-08-11 | 세홍산업 주식회사 | Branching Mechanism for Ceiling Wiring |
KR20120005110A (en) * | 2010-07-08 | 2012-01-16 | 신원호 | Integrated Electrical Box |
KR20130029187A (en) * | 2011-09-14 | 2013-03-22 | 김경복 | Tube wiring rosin connection box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633U (en) * | 2015-11-02 | 2017-05-11 | 티에스케이블(주) | Wiring box with a lid having a hin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KR200485500Y1 (en) * | 2015-11-02 | 2018-01-16 | 티에스케이블(주) | Wiring box with a lid having a hin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USD894146S1 (en) | 2017-11-06 | 2020-08-25 | Primex Manufacturing Ltd. | Networking enclosure assembly |
US11114830B2 (en) | 2017-11-06 | 2021-09-07 | Primex Manufacturing Ltd. | Networking enclosure assembly with magnetic alignment and interlocking, adaptable to be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and positions |
KR101883794B1 (en) * | 2017-12-05 | 2018-07-31 | 주식회사 엔투 | Bracket device for junction box and cable connector |
KR102617799B1 (en) * | 2023-02-03 | 2023-12-27 | 박건순 | 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ed oun-touch wiring pipe module |
KR102618337B1 (en) * | 2023-02-03 | 2023-12-27 | 박건순 | An one-touch wiring box |
KR20240122308A (en) * | 2023-02-03 | 2024-08-12 | 박건순 | An one-touch wiring pipe module used one-touch wiring box |
KR102702207B1 (en) * | 2023-02-03 | 2024-09-04 | 박건순 | An one-touch wiring pipe module used one-touch wiring bo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1460B1 (en) | Grounded wiring box | |
EP3142204B1 (en) | Seal member, and seal structure for multicore cable | |
US8704089B2 (en) | Foundation member with cable theft deterrent device | |
US10211565B2 (en) | Plastic sealing internal sheath for a conductor connection, connection part, cover nut and sealed connection between two conductors | |
CN103928787A (en) | Structure Of Connector | |
KR101830353B1 (en) | Electric lamp cable equipped with wire separation rod | |
KR101619941B1 (en) | Grounded wiring box with bracket | |
KR10164878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modularization electric wiring using grounded wiring box with bracket | |
KR200485500Y1 (en) | Wiring box with a lid having a hing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 |
KR101876859B1 (en) | Ground-integrated wiring harness protector | |
KR20160000451U (en) | The connector of electric cable pipe | |
EP3649702B1 (en) | Covering element for an alternator pole | |
JP2020178397A (en) | Installation device for pipeline materials of buried electric circuit equipment | |
CN106159829A (en) | A kind of wire harness fixing device and line card thereof | |
KR100759291B1 (en) | Pole transformer live branch loop for power distribution | |
US20150021087A1 (en) | Self Contained Pre-Wired Device | |
KR20110105067A (en) | Submarine cable connector | |
CN205355343U (en) | High voltage connector socket convenient to loading and unloading | |
KR200225086Y1 (en) | Plug and receptacle for distributing the electric wires in the structure | |
KR101178797B1 (en) | electric wire connector for drain water off power line | |
JP2015099764A (en) | Vehicle side connector | |
CN103795016B (en) | Wall-hung type distribution box | |
JP2016181328A (en) | Lamp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0332963B1 (en) | Receptacle for distributing the electric wires in the structure | |
KR200382290Y1 (en) | A cabl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