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0014B1 - 안전 후크 - Google Patents

안전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014B1
KR101520014B1 KR1020140156146A KR20140156146A KR101520014B1 KR 101520014 B1 KR101520014 B1 KR 101520014B1 KR 1020140156146 A KR1020140156146 A KR 1020140156146A KR 20140156146 A KR20140156146 A KR 20140156146A KR 101520014 B1 KR101520014 B1 KR 10152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hook body
low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정
오우준
나현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0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40Crane hooks formed or fitted with load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거운 대상물을 운반할 때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안전 후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는 대상물이 연결된 로프(1)를 상기 후크본체(20)에 걸어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면,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서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밀폐함으로, 로프(1)가 후크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목적지로 운반하여 내려놓아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후크본체(20)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50)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개구부(2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걸린 로프(1)를 빼내기 위해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조작하여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는 종래의 안전 후크와 달리, 대상물을 내려놓으면 자동으로 개구부(21)가 개방되어 손쉽게 로프(1)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 후크{Safety hook}
본 발명은 무거운 대상물을 운반할 때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안전 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에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태의 후크가 구비되어,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에 무거운 대상물을 걸어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후크는 단순히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태로 제작하여 구성됨으로, 후크에 로프를 걸어 대상물을 운반할 때, 다양한 이유로 로프가 후크에서 이탈하여 대상물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개특허 10-2012-0080505호나, 10-2012-007817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후크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별도의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여, 상기 후크에 로프를 건 후, 상기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부를 폐쇄함으로써, 로프가 로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안전 후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안전 후크는 후크에 로프를 걸때 또는 후크에 걸린 로프를 빼낼 때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안전장치를 조작하여야 함으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거운 대상물을 운반할 때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안전 후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에 연결되어 로프(1) 등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크로서, 상기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연결대(10)와,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고리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구비된 후크본체(20)와, 상기 후크본체(20)에 연결되어 후크본체(20)가 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연결대(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랙기어(40)와, 상기 후크본체(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단부에는 상기 랙기어(4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2)가 구비된 회동아암(50)을 포함하여,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걸려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 상기 랙기어(40)와 피니언기어(52)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대(10)에는 상하방향의 관통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고리부(23)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너트부재(24)의 하측면과 상기 연결대(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12)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링형태의 오목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본체(20)의 연결부(22)에는 상기 랙기어(40)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40)에는 상기 오목홈(12a)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랙기어(40)가 상기 오목홈(12a)에 결합된 상태로 후크본체(2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크본체(20)의 연결부(22) 일측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결합되는 브라켓(22b)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22b)과 회동아암(50)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1)를 막았을 때 상호 일치되는 고정공(22c,5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b)의 일측에는 보조탄성부재(6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공(22c,53)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키(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크본체(20) 고리부(23)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a)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는 대상물이 연결된 로프(1)를 상기 후크본체(20)에 걸어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면,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서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밀폐함으로, 로프(1)가 후크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목적지로 운반하여 내려놓아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후크본체(20)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50)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개구부(2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걸린 로프(1)를 빼내기 위해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조작하여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는 종래의 안전 후크와 달리, 대상물을 내려놓으면 자동으로 개구부(21)가 개방되어 손쉽게 로프(1)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의 측단면 분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후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후크를 도시한 것으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에 연결되어 로프(1) 등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 후크는 상기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연결대(10)와,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된 고리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구비된 후크본체(20)와, 상기 후크본체(20)에 연결되어 후크본체(20)가 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연결대(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랙기어(40)와, 상기 후크본체(2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단부에는 상기 랙기어(4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2)가 구비된 회동아암(5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대(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측에는 도르래휠(11)이 구비되어, 상기 도르래휠(11)의 둘레면을 경유하는 와이어에 의해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된다.
이때,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10)의 하측면에는 상기 후크본체(20)의 상단이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공(12)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2)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링형태의 오목홈(12a)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본체(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고리부(23)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24)로 구성되다.
상기 연결부(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12)에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 특히, 상기 고리부(23)가 연장된 쪽의 둘레면에는 상기 랙기어(40)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2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의 중간부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의 기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22b)이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23)는 상기 연결부(22)의 하단에서 선단부가 상기 연결부(22)의 일측으로 이격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22)와 고리부(23)의 사이에 상기 개구부(21)가 형성되며, 무거운 물체에 연결된 로프(1)를 상기 개구부(21)로 삽입하여 상기 고리부(23)에 걸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부(23)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24)는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연결대(10)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부(2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부(22)가 관통공(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너트부재(24)의 하측면과 상기 연결대(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적절한 힘으로, 상기 후크본체(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걸리면 압축되어 후크본체(20)가 탄성적으로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랙기어(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의 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어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결합홈(2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 외측에는 상기 오목홈(12a)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가 승강되더라도 상기 랙기어(40)는 상기 오목홈(12a)에 결합되어 승강되지 않으면서, 도 5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본체(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40)는 상기 후크본체(20)의 오목홈(12a)에 결합된 상태로 후크본체(20)와 함께 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동아암(50)은 길이가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힌지축(51)에 의해 기단부가 상기 연결부(22)의 브라켓(22b)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아암(50)의 기단부에는 상기 랙기어(40)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2)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50)의 선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져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 상기 랙기어(40)와 피니언기어(52)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리부(23)의 삽입홈(23a)에 결합되어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막는다.
즉, 상기 회동아암(50)은 상기 후크본체(20)의 브라켓(22b)에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승강될 때 후크본체(20)와 함께 승강되는 반면, 상기 랙기어(40)는 상기 오목홈(12a)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승강되더라도 상기 연결대(10)에 고정된 상태로 승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 상기 랙기어(40)와 피니언기어(52)가 상대운동하여 상기 피니언기어(52)가 상기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50)이 회동하강되어, 상기 개구부(21)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2b)과 회동아암(50)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1)를 막았을 때 상호 일치되는 고정공(22c,5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b)의 일측에는 보조탄성부재(6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공(22c,53)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키(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회동아암(50)이 회동하강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키(60)가 상기 고정공(22c,53)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키(60)를 외측을 잡아당겨 고정키(60)와 고정공(22c,53)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는 한, 회동아암(50)이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 후크는 대상물이 연결된 로프(1)를 상기 후크본체(20)에 걸어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지면,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서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밀폐함으로, 로프(1)가 후크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을 목적지로 운반하여 내려놓아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후크본체(20)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50)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개구부(21)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에 걸린 로프(1)를 빼내기 위해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조작하여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는 종래의 안전 후크와 달리, 대상물을 내려놓으면 자동으로 개구부(21)가 개방되어 손쉽게 로프(1)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10)에는 상하방향의 관통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고리부(23)와, 상기 연결부(2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너트부재(24)의 하측면과 상기 연결대(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부재(24)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탄성부재(30)가 압축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너트부재(24)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후크본체(20)와 랙기어(40) 및 탄성부재(3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2)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링형태의 오목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본체(20)의 연결부(22)에는 상기 랙기어(40)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40)에는 상기 오목홈(12a)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본체(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랙기어(40)가 상기 오목홈(12a)에 결합된 상태로 후크본체(2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자유롭게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본체(20)의 연결부(22) 일측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결합되는 브라켓(22b)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22b)과 회동아암(50)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1)를 막았을 때 상호 일치되는 고정공(22c,5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b)의 일측에는 보조탄성부재(6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공(22c,53)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키(60)가 구비되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키(60)가 고정공(22c,53)에 결합되어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기 회동아암(5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로프(1)가 상기 후크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본체(20) 고리부(23)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3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동아암(50)의 선단부가 상기 삽입홈(23a)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후크본체(20)의 고리부(23)와 회동아암(50)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로프(1)가 고리부(23)와 회동아암(50) 사이의 틈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연결대 20. 후크본체
30. 탄성부재 40. 랙기어
50. 회동아암 60. 고정키

Claims (5)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상측에는 도르래휠(11)이 구비되어 상기 도르래휠(11)의 둘레면을 경유하는 와이어에 의해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고 하측면에는 관통공(12)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2)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링형태의 오목홈(12a)이 형성된 연결대(10);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2)와, 상기 연결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삽입홈(23a)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리부(23)와,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연결대(10)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부(2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연결부(22)가 상기 관통공(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24)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부(23)가 연장된 쪽의 둘레면에는 결합홈(22a)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의 중간부에는 브라켓(22b)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2)와 상기 고리부(23) 사이에는 대상물이 연결된 로프(1)가 삽입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된 후크본체(20);
    상기 너트부재(24)의 하측면과 상기 연결대(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외측에 끼워지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후크본체(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걸리면 압축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탄성적으로 하강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0);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의 측면에 기어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부(22)의 결합홈(2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 외측에는 상기 오목홈(12a)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승강되더라도 상기 오목홈(12a)에 의해 승강되지 않으면서, 상기 후크본체(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오목홈(12a)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크본체(20)와 측방향으로 회전되는 랙기어(40);
    힌지축(51)에 의해 기단부가 상기 연결부(22)의 브라켓(22b)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후크본체(20)가 승강될 때 상기 후크본체(20)와 함께 승강되고, 기단부에는 상기 랙기어(4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2)가 구비되어 선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후크본체(20)가 하강되면 상기 랙기어(40)와 상기 피니언기어(52)의 작용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리부(23)의 삽입홈(23a)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본체(20)의 개구부(21)를 막는 회동아암(50); 을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22b)과 상기 회동아암(50)에는 상기 회동아암(5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개구부(21)를 막았을 때 상호 일치되는 고정공(22c,5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2b)의 일측에는 보조탄성부재(6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공(22c,53)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키(60)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본체(20)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회동아암(50)이 회동하강되면 상기 고정키(60)가 상기 고정공(22c,53)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키(60)를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고정키(60)와 상기 고정공(22c,53)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는 한 상기 회동아암(50)이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후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56146A 2014-11-11 2014-11-11 안전 후크 Active KR10152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46A KR101520014B1 (ko) 2014-11-11 2014-11-11 안전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46A KR101520014B1 (ko) 2014-11-11 2014-11-11 안전 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014B1 true KR101520014B1 (ko) 2015-05-22

Family

ID=5339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146A Active KR101520014B1 (ko) 2014-11-11 2014-11-11 안전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0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798A (zh) * 2017-09-28 2018-02-16 江苏众众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吊钩
KR101880166B1 (ko) * 2018-01-23 2018-07-20 윤병운 톤 백 걸이장치
KR102431124B1 (ko) * 2022-04-29 2022-08-11 엠티중공업(주) 중장비용 견인 고리의 안전장치
CN115548957A (zh) * 2022-08-12 2022-12-3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防脱钩出线平梯
CN116812741A (zh) * 2023-08-30 2023-09-29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泉州分院 一种起重机吊钩智能防脱钩装置
KR20240047643A (ko) 2022-10-05 2024-04-12 송찬혁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276A (ja) * 1993-03-19 1994-09-27 Matsuji Kobayashi 自動車用クレーンのフック装置
KR19980056001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호이스트 및 스포트건 훅크의 안전장치
KR200220765Y1 (ko) * 2000-11-22 2001-04-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잠금장치가 부착된 크레인후크
CN104098022A (zh) * 2014-07-04 2014-10-15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自脱绳式吊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276A (ja) * 1993-03-19 1994-09-27 Matsuji Kobayashi 自動車用クレーンのフック装置
KR19980056001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호이스트 및 스포트건 훅크의 안전장치
KR200220765Y1 (ko) * 2000-11-22 2001-04-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잠금장치가 부착된 크레인후크
CN104098022A (zh) * 2014-07-04 2014-10-15 中建安装工程有限公司 自脱绳式吊钩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798A (zh) * 2017-09-28 2018-02-16 江苏众众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吊钩
KR101880166B1 (ko) * 2018-01-23 2018-07-20 윤병운 톤 백 걸이장치
KR102431124B1 (ko) * 2022-04-29 2022-08-11 엠티중공업(주) 중장비용 견인 고리의 안전장치
CN115548957A (zh) * 2022-08-12 2022-12-3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供电分公司 防脱钩出线平梯
KR20240047643A (ko) 2022-10-05 2024-04-12 송찬혁 호이스트용 후크장치
CN116812741A (zh) * 2023-08-30 2023-09-29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泉州分院 一种起重机吊钩智能防脱钩装置
CN116812741B (zh) * 2023-08-30 2023-11-28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泉州分院 一种起重机吊钩智能防脱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014B1 (ko) 안전 후크
CN101400921B (zh) 具有链长度缩减装置的吊钩
CN106829731B (zh) 一种自动脱钩装置
CN105846344A (zh) 可自动闭锁的跟斗滑车
GB2425521C (en) Crane.
KR102096251B1 (ko) 크레인의 안전용 후크장치
US3949497A (en) Releasable latching apparatus for a benthic grab
CN203116934U (zh) 一种脱钩器
CN208218205U (zh) 一种吊钩结构
CN203033724U (zh) 一种窨井盖开启装置
CN106144964B (zh) 顶盖吊具、开启及关闭硬开顶集装箱的顶盖的操作方法
KR101019024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후크
CN208394620U (zh) 防脱钩吊具
CN206872279U (zh) 一种新型起重机械吊钩的挂钩防脱钩装置
KR20180073235A (ko) 크레인용 훅의 접이식 안전걸쇠
KR20160076616A (ko) 반자동 샤클
EP2215000A1 (de) Vorrichtung mit einem einhängekörper zum anhängen eines gegenstandes
CN207581194U (zh) 用于回转支承的起吊装置
CN210825114U (zh) 一种金属盘具装卸吊钩
KR20120080505A (ko) 크레인 후크의 안전 고리 장치
CN202518937U (zh) 一种吊钩
CN213229056U (zh) 一种新型救生艇释放钩
CN202967883U (zh) 自锁式吊钩
US1908784A (en) Quick-opening snatch block
CN212174230U (zh) 一种保险吊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