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74B1 -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 Google Patents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9874B1 KR101519874B1 KR1020140091040A KR20140091040A KR101519874B1 KR 101519874 B1 KR101519874 B1 KR 101519874B1 KR 1020140091040 A KR1020140091040 A KR 1020140091040A KR 20140091040 A KR20140091040 A KR 20140091040A KR 101519874 B1 KR101519874 B1 KR 101519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king member
- lighting
- emergency
- rope
- stri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236644 Lav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2/00—Systems of electric lighting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상황에서 각기 구비되어 있는 비상용품을 비상탈출용 망치에 집약시켜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에 관한 것으로,
경보수단을 갖는 거치함과, 상기 거치함에 착탈되도록 안치되는 타격부재와 자루부로 타격구가 구성되되, 상기 타격부재에는 전방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가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에는 난간과 같이 높이가 있는 곳에서 인명구조 또는 탈출시 사용할 수 있도록 로프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망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mergency escape hammering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by collecting emergency supplies provided in emergency situations on an emergency escape hammer,
Wherein the striking member comprises a striking member having an alarm means and a striking member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riking member and a striking hole formed in the striking member, wherein the striking member is illuminated forward,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escape hammer provided with a rope for use in rescue or esc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상황시 유리를 파손하여 탈출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망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상황에서 각기 구비되어 있는 비상용품을 비상탈출용 망치에 집약시켜 비상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hammering apparatus capable of breaking a glass in an emergency and opening an escape rou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hammering apparatus for emergency situ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emergency escape hammer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oping.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용 망치는 차량 또는 건물 등에 비치되어 사고 등의 비상상황에서 출입문을 개문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비치하고 있으며,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비치된 비상망치로 주변 유리창을 파손하여 탈출로를 개척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Generally, the emergency escape hammers are provided in the case of emergency such as an accident or the like when the emergency escape hammers can not be opened in a vehicle or a building. In case of an emergency, emergency hammers are used to break the surrounding windows and provide an escape route It is used to pioneer.
이러한 비상탈출용 망치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0316376호와 같이 개발되어 차량이나 건물에 비치되어 실사용 되고 있으나 비상탈출용 망치를 비치하기 위한 거치함에 단순히 거치되어 있어 잦은 도난을 당하고 있으며, 비상탈출용 망치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케이블타이 또는 철선 등으로 고정시켜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탈출용 망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n emergency escape hammer is developed as shown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0316376 and is used in a vehicle or a building and used for practical purposes. However, it is frequently stolen because it is simply mounted on a mount for providing an emergency escape ham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mmer for emergency escape can not be use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by fixing the escape hammer with a cable tie or a wire to prevent the hammer from being stolen.
또한, 상기 비상탈출용 망치는 단순히 유리창을 파손하기 위한 망치로서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화재와 같이 연기가 발생해 시야를 가리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비치된 위치를 쉽게 찾지 못하게 되며, 유리창을 파손하기 위한 행동에서도 타격반경이 작아 여러번의 타격을 하여야 탈출로를 개척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대피를 하는 데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hammer for emergency escape has merely a function as a hammer for damaging the windshield, so that it is not easy to find the position of the windshield when the situation where the smoke is generated and the sight is blocked occurs, It is possible to exploit the escape route if the hitting radius is small and the hitting is repeated several times, thus causing many problems in the rapid evacuation.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0374763호와 같이 유리를 파손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비상조명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유리를 파손하기 위해 유리절단날로 유리에 흠집을 낸후 망치돌기를 사용하여 재차 가격하는 이중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그 동작 또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유리를 절단하기 위해 파지하고 유리를 절단하는 과정에 이후 파지 방향을 바꿔 절단된 부분을 망치돌기로 가격하여야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인해 비상탈출을 준비하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하게 대피로를 개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0374763, a portable emergency lighting device capable of destroying glass has been developed. However, in order to damage the glass, the glass is scratched with a glass cutting blade, And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continuously. Instead, the process of grasping the glass to cut the glass and cutting the glass is followed b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gripping direction is changed and the cut portion is priced with the hammer projection. It takes a lot of time to develop the evacuation route quick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비상탈출용 망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위급상황 시 사용이 쉽도록 비상탈출용 망치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되고, 비상탈출용 망치의 도난 및 위급상황 시 이를 신호할 수 있도록 되며, 탈출로를 개척하기 위해 유리를 파손함은 물론 전방을 비출 수 있는 조명과 난간과 같은 곳에서 탈출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상탈출용 망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mergency escape hammering, and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hammer for emergency escape so that it is easy to use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hammer which can be used when escaping from a place such as a lighting and a railing which can damage the glass to open the escape rou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보수단을 갖는 거치함과, 상기 거치함에 착탈되도록 안치되는 타격부재와 자루부로 타격구가 구성되되, 상기 타격부재에는 전방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가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에는 난간과 같이 높이가 있는 곳에서 인명구조 또는 탈출시 사용할 수 있도록 로프가 구비된 비상탈출용 망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ounting unit having an alarm unit, a striking member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riking member, and a striking unit having a striking member, The section provides an emergency escape hammer with a rope for use in lifeguarding or escape from a height as high as a rail.
본 발명은 전면 점등표시부에 녹색등이 점등되어 있어 화재발생으로 연기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탈출용 망치가 거치된 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거치함에서 비상탈출용 망치를 이탈시켰을 때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주변으로 비상상황을 알리게 됨은 물론 비상탈출용 방치를 훔치려고 시도하였을 때 도난방지 기능으로도 사용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en light is illuminated on the front lighting display unit, so that when the smoke is generated due to the fire, the emergency escape hammer is easily detected. When the escape hammer is removed from the station, It can be used as an anti-theft function when an attempt is made to steal an escape escape as well as to inform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surrounding area.
또한, 화재와 같은 상황에서 비상탈출용 망치를 꺼냅과 동시에 타격구의 일측에 조명부가 자동으로 점등이 되어 별도의 조작작동 없이도 조명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탈출로로 사용되는 부분이 높이가 있는 난간일 때 자루부에 구성된 로프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 situation such as a fire, when the hammer for emergency escape is removed, the lighting uni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t one side of the hitting unit, so that the lighting can be used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he rope constructed in the bag portion can be util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망치에 여러기능이 집약되어 있어 비상상황에서 빠른대처로 탈출로를 개척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functions are integrated in the hammer for emergency escape, the escape route can be opened with quick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격구의 다른 실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함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거치함에 타격구가 결합된 상태 및 장착감지수단을 예시한 단면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mpact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act b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itting unit is coupled to a 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타격구(200)가 착탈결합되며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거치함(100)과, 상기 거치함(100)에 착탈결합되는 타격구(200)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ised of a
상기 거치함(100)의 상부는 일정크기의 함체로 본체부(110)가 형성되고, 그 하부측에는 타격구(20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21)가 형성된 착탈체결부(120)로 구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상기 본체부(110)에는 착탈체결부(120)에서 타격구(200)가 이탈됐을 때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수단이 구비되고, 전면은 어두운 곳에서 타격구(200)가 구비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내부에 구비된 위치표시조명(114)에 의해 녹색으로 등화되는 표면에 망치표시가 그려진 점등표시부(111)가 구성된다.The
상기 경보수단은 착탈체결부(120)에서 타격구(200)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비상신호를 주변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타격구(200)를 감지하는 장착감지수단과, 상기 장착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12)와, 제어부(112)의 감지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113) 및 점등표시부(111)의 후방에서 점등되는 위치표시조명(114)으로 구성된다.The alarm means senses the detachment of the
상기 장착감지수단은 결합돌기(121)에 무게감지센서(115)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광으로 감지하는 광감지센서(116)와, 알에프아이디(117)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알에프아이디(117)를 사용할 경우 인식태그(117a)는 타격구(200)에 설치되고, 인식태그(117a)를 판독하는 검출인식부(117b)는 본체부(110)에 설치된다.The mounting sens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착탈체결부(120) 전면으로는 거치된 타격구(200)의 사용설명서가 표기된 투명의 안내판(122)이 체결구성된다.
A
상기 타격구(200)는 유리를 파손하기 위한 타격부재(210)와, 상기 타격부재(210)에 일측으로 결합된 자루부(220)로 구성된다.The
상기 타격부재(210)는 착탈체결부(120)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21)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착탈공(2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상기 타격부재(210)의 일측은 유리를 타격하여 파손이 쉽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타격면(21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시 사용할 수 있는 조명부(213)가 구성되며, 일측면으로는 자루를 체결할 수 있도록 숫나사가 형성된 자루체결부(214)가 형성되고, 자루체결부(214) 반대측으로는 타격구(200)를 문을 강제로 개방하기 위해 지렛대로 사용하기 위한 삽입걸림편(215)이 형성된다.One side of the
상기 타격면(212)은 강화유리등을 파손하기 위해 선단에 강도가 높은 탄소강을 용접접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조명부(213)는 조명소켓(230)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체결공(213a)과, 소켓체결공(213a)의 내측에 조명소켓(230)의 조명스위치(231)가가 착탈공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위치삽입공(213b) 및 상기 소켓체결공(213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터리와 엘이디를 포함하는 조명소켓(230)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타격부재(210)에 체결되는 자루부(200)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자루체결부(214)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The
상기 자루부(220)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에서 인명구조 또는 탈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로프(240)가 구비되며, 내부에 삽입된 로프(24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1)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자루부(220) 내부에 삽입된 로프(240)를 고정하기 위해 자루체결부(214)의 하측면에는 고정고리(214a)가 형성되고, 고정고리(214a)에는 로프(240)의 일단이 고정되게 묵이고 타측단에는 당김고리(24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A
상기 당김고리(241)는 일측면을 개방할 수 있도록 게이트(241a)가 형성되어 탈출 또는 구인시 로프(240)를 쉽게 몸체 착용할 수 있는 고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당김고리(241)는 일단이 인출공(221)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인위적으로 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로프(240)가 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거치함(100)를 차량이나 건물의 벽면에 못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후 거치함(100)의 하부에 형성된 착탈체결부(120)의 결합돌기(121)에 타격부재(2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착탈공(211)을 끼워 타격구(200)를 거치하게 되며, 이후 그 전면을 투명 재질로 형성된 안내판(122)을 부착하여 도난에 대한 주의력을 환기시킴과 아울러 비상상황 시 타격구(200)의 사용법을 알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거치함(100)에 거치된 타격구(200)는 착탈체결부(120)에서 타격구(200)가 이탈되면 장착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2)에 신호하게 되고, 제어부(112)는 점등표시부(111)를 점등하며 스피커(113)를 통해 비상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The
이와 같이 발생된 비상신호는 비상상황을 그 주변으로 알리는 역할을 하나 도난을 방지하는 역할로도 사용된다.The emergency signal generated in this way serves to inform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but also serves as a role to prevent the theft.
상기 타격구(200)는 타격부재(210)의 일측에 뾰족하게 생긴 타격면(212)을 통해 유리를 파손하여 탈출로를 개척하는데 사용하게 되며, 타격면(212)에 탄소강을 결합하여 강화유리와 같이 강도가 높은 유리를 더 쉽게 파손할 수 있게 형성되며, 자루부(220)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휘두르는 반경이 길어져 작은 힘으로도 유리를 쉽게 파손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타격부재(210)의 일측에는 조명부(213)가 구성되어 있어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시 연기에 의해 앞이 보이지 않는 등의 상황에서 전방을 비춰 탈출로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조명설치공에 삽입된 조명소켓(230)은 후방으로 돌출된 스위치가 착탈공(211)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눌림상태가 지속되다 망치가 거치함(100)에서 이탈될 때 조명스위치(231)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전원이 인가되어 자동으로 조명이 점등되어 어두운 장소일 경우 조명스위치(231)를 찾기 위한 행동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게 된다.An
상기 중공으로 형성된 자루부(220)에는 로프(240)가 삽입되어 자루체결부(21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자루부(220)에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당김고리(241)에 고정되어 있어, 비상시 난간과 같은 곳에서 탈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김고리(241)는 일면이 게이트(241a)로 형성되어 로프(240)를 쉽게 고리형태로 감아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대피나 구조를 위해 사용된다.The
상기 비상탈출용 망치 두 개의 당김고리(241)를 게이트(241a)를 이용하여 결속하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탈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wo
상기 타격부재(210)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삽입걸림편(215)은 비상상황에서 엘리베이터 도어, 비상탈출로의 도어 등이 잘 열리지 않을 경우 도어의 틈새로 삽입걸림편(215)을 삽입하고 자루를 눌러 지렛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door or the emergency escape route is not opened easily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100 : 거치함
110 : 본체부 111 : 점등표시부 112 : 제어부
113 : 스피커 114 : 위치표시조명 115 : 무게감지센서
116 : 광감지센서 117 : 알에프아이디 117a : 인식태그
117b : 검출인식부
120 : 착탈체결부 121 : 결합돌기 122 : 안내판
200 : 타격구
210 : 타격부재 211 : 착탈공 212 : 타격면
213 : 조명부 214 : 자루체결부 215 : 삽입걸림편
213a : 소켓체결공 213b : 스위치삽입공 214a : 고정고리
220 : 자루부 221 : 인출공
230 : 조명소켓 231 : 조명스위치
240 : 로프 241 : 당김고리 241a : 게이트100: Mounting
110: main body 111: lighting display 112:
113: Speaker 114: Position indicator light 115: Weight sensor
116: light detection sensor 117:
117b:
120: detachable fastening portion 121: engaging projection 122:
200:
210: striking member 211: detachable ball 212: striking face
213: illumination part 214: bag fastening part 215:
213a:
220: spool 221: drawer
230: Lighting socket 231: Lighting switch
240: rope 241: pulling
Claims (4)
상기 결합돌기(121)에 끼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착탈공(211)이 형성된 타격부재(210)와, 타격부재(210) 일측으로 자루부(220)가 결합되어 타격구(200)가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10)에는 타격구(200)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타격구(200)를 감지하는 장착감지수단과, 상기 장착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12)와, 제어부(112)의 감지 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113) 및 점등표시부(111)의 후방에서 점등되는 위치표시조명(114)으로 구성된 경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재(210)의 일측에 형성된 타격면(212)의 타측으로는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시 사용할 수 있는 조명부(213)가 구성되고,
상기 자루부(220)에는 일정 높이의 난간에서 인명구조 또는 탈출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로프(2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detachable coupling part 120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therefrom is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100)
A striking member 210 in which a detachable hole 211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and held by the engaging projection 121 and a striking member 200 which is coupled to the striking member 220 at one side of the striking member 210;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ensing means for sensing a blowing hole 200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by detecting the detachment of the striking means 200 and a controller 112 fo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mounting sensing means A speaker 113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2 and a position indicating light 114 illuminated from the rear of the lighting indication unit 111,
An illuminating unit 21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riking surface 212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iking member 210 and can be used when an accident such as a fire occur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20) is provided with a rope (240) for lifesaving or escaping in a railing of a certain height.
상기 장착감지수단은
상기 결합돌기(121)에 무게감지센서(115)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광으로 감지하는 광감지센서(116)로 구성된 것과, 알에프아이디(117)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되,
상기 알에프아이디(117)를 구성하는 인식태그(117a)는 타격구(200)에 설치되고, 인식태그(117a)를 판독하는 검출인식부(117b)는 본체부(11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sensing means
A light detection sensor 116 configured to detect light by the light detection sensor 115 and a light detection sensor 117 dispos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121,
The recognition tag 117a constituting the RFID ID 117 is installed in the hit port 200 and the detection recognition section 117b for reading the recognition tag 117a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Multipurpose Emergency Hammer.
상기 조명부(213)는 조명소켓(230)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켓체결공(213a)과, 소켓체결공(213a)의 내측에 조명소켓(230)의 조명스위치(231)가 착탈공(21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위치삽입공(213b) 및 상기 소켓체결공(213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베터리와 엘이디를 포함하는 조명소켓(2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unit 213 includes a socket fixing hole 213a for inserting and coupling the lighting socket 230 and a lighting switch 231 of the lighting socket 230 inside the socket fixing hole 213a, And a lighting socket (230) including a switch insertion hole (213b) formed to protrude into the socket fixing hole (211) and a battery and an LE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ocket fixing hole (213a).
상기 자루부(22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하부면에는 로프(24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221)이 형성되고, 자루부(220) 내부에 삽입된 로프(240)를 고정하기 위해 자루체결부(214)의 하측면에는 고정고리(214a)가 형성되어 로프(240)가 고정되며, 로프(240)의 타측단에는 당김고리(241)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당김고리(241)는 일단이 인출공(221)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일면은 개방할 수 있도록 게이트(241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비상탈출용 망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220 is hollow and has a drawer 221 for pulling out the rope 240. The handle 220 is fastened to the handle 220 by fastening the handle 240, A fixing ring 214a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part 214 to fix the rope 240 and a pulling ring 241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240,
Wherein the pulling hook (241) is formed to have a width that allows one end to be inserted and hooked into the take-out hole (221), and a gate (241a) is formed to open the other e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040A KR101519874B1 (en) | 2014-07-18 | 2014-07-18 |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040A KR101519874B1 (en) | 2014-07-18 | 2014-07-18 |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9874B1 true KR101519874B1 (en) | 2015-05-21 |
Family
ID=5339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10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9874B1 (en) | 2014-07-18 | 2014-07-18 |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987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311B1 (en) | 2017-07-27 | 2017-10-11 | 유지씨 주식회사 | Emergency escape multi-function hammer for easy portability |
KR102030804B1 (en) * | 2019-07-10 | 2019-10-10 | (주)우석엔지니어링 | A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00034259A (en) | 2018-09-21 | 2020-03-31 | 이선하 | Emergency bus hammer to shatter the window and grapes |
CN111623667A (en) * | 2020-05-14 | 2020-09-04 | 广州慈宇安防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tactical stick |
KR102555179B1 (en) * | 2023-05-08 | 2023-07-13 | 대한민국 | Safety hammer for rescuing disaster victim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3901A (en) * | 1998-06-04 | 1999-12-24 | Aoki Denki Kogyo Kk | Emergency signal lamp with emergency escape device |
KR20040106041A (en) * | 2003-06-10 | 2004-12-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urglarproof means of escape hammer for bus |
KR20050053404A (en) * | 2003-12-02 | 2005-06-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Hammer for an emergency escape from a vehicle |
KR20080023074A (en) * | 2006-09-07 | 2008-03-12 | 김태형 | ATV escape tool |
-
2014
- 2014-07-18 KR KR1020140091040A patent/KR1015198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3901A (en) * | 1998-06-04 | 1999-12-24 | Aoki Denki Kogyo Kk | Emergency signal lamp with emergency escape device |
KR20040106041A (en) * | 2003-06-10 | 2004-12-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urglarproof means of escape hammer for bus |
KR20050053404A (en) * | 2003-12-02 | 2005-06-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Hammer for an emergency escape from a vehicle |
KR20080023074A (en) * | 2006-09-07 | 2008-03-12 | 김태형 | ATV escape tool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311B1 (en) | 2017-07-27 | 2017-10-11 | 유지씨 주식회사 | Emergency escape multi-function hammer for easy portability |
KR20200034259A (en) | 2018-09-21 | 2020-03-31 | 이선하 | Emergency bus hammer to shatter the window and grapes |
KR102030804B1 (en) * | 2019-07-10 | 2019-10-10 | (주)우석엔지니어링 | A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1623667A (en) * | 2020-05-14 | 2020-09-04 | 广州慈宇安防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tactical stick |
KR102555179B1 (en) * | 2023-05-08 | 2023-07-13 | 대한민국 | Safety hammer for rescuing disaster victim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9874B1 (en) | Versatile Emergency Escape Hammer | |
US9254560B2 (en) | Auto emergency tool | |
CN100419805C (en) | Security apparatus for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tag | |
JP4589378B2 (en) | Aircraft door improvements | |
WO2006052964A3 (en) | Identification/surveillance device with removable tack button | |
EP2599924A1 (en) | Apparatus for fixing the rear glass of an operator cab on construction machinery | |
JP2011015794A (en) | Checking equipment for safety belt | |
KR101359709B1 (en) | Safety hammer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 |
KR200439195Y1 (en) | Emergency Destroying Glass Breaker | |
KR20090101034A (en) | Emergency exit guide | |
US20140044509A1 (en) |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pare wheel of a vehicle | |
AU2011288922A1 (en) | Safety equipment bag | |
KR20120012586A (en) | Multipurpose LED Safety Tripod | |
EP1877309B1 (en) | Improvements in aircraft doors | |
CN109662419B (en) | Self-propelled luggage and operating status display mechanism | |
KR20160099199A (en) | Versatile Camping Hammer | |
KR101721962B1 (en) | Handle device for public transport | |
KR200449417Y1 (en) | Portable traffic safety sign | |
JP2011222053A (en) | Safety tool for live-line approach alarm and live-line approach alarm method | |
CN205516049U (en) | Multi -purpose vehicle(MPV) breaks window ware | |
KR20150085570A (en) | Danger display equipment | |
CN109523736B (en) | Fire alarm button device | |
JP2015515293A5 (en) | ||
KR101717049B1 (en) | tent | |
CN107042001B (en) | Lifesaving hamm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