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23B1 - 블럭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블럭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9823B1 KR101519823B1 KR1020140009903A KR20140009903A KR101519823B1 KR 101519823 B1 KR101519823 B1 KR 101519823B1 KR 1020140009903 A KR1020140009903 A KR 1020140009903A KR 20140009903 A KR20140009903 A KR 20140009903A KR 101519823 B1 KR101519823 B1 KR 1015198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block
- pipe
- insertion groove
-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턱이 삽입홈에 결합되어 밀착됨으로써, 제1관과 제2관을 통과하는 기체 또는 유체가 누수 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증대시키는 블럭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의 결합 구조의 제1블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의 결합 구조의 제2블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의 결합 구조의 플랜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의 결합 구조의 플랜지에 블럭이 결합된 단면도이다.
120: 제1블럭 122: 제1관
124, 134: 플랜지수납부 125, 135: 밀착면
126, 136: 돌출턱 128, 138: 내입홈
129, 139: 결합면 130: 제2블럭
132: 제2관
Claims (7)
- 상측면과 하측면에 내측으로 내입된 삽입홈이 형성된 플랜지;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제1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의 외측 하측면에 상기 플랜지의 상부가 삽입되는 플랜지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의 내주면 하측 끝단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의 상측면에 내입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제1블럭; 및
상측면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제2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의 외측 상측면에 상기 플랜지의 하부가 삽입되는 플랜지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의 내주면 상측 끝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측면에 내입된 삽입홈에 결합되는 돌출턱이 형성된 제2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럭의 제1관 하측과 제2블럭의 제2관 상측 사이에 플랜지가 결합될 때 돌출턱이 삽입홈에 결합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관과 제2관을 통과하는 기체 또는 유체가 누수 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증대시키며,
상기 돌출턱은,
상기 제1관 또는 제2관의 중심축과 평행한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쪽의 단면적을 작게하는 탄성력증대수단을 부여하여 플랜지의 삽입홈에 밀착되어 압축력을 받을 때 탄성변형이 생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갖는 블록의 겹합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에는,
상기 돌출턱의 표면에서 내부로 향하는 내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의 결합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홈은,
상기 플랜지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폭을 갖으며 제1관 또는 제2관의 중심축을 향하여 내입되어, 상기 돌출턱의 하부에 내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의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삽입홈의 곡률반경과, 상기 돌출턱에서 상기 삽입홈과 밀착되는 밀착면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밀착면과 삽입홈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관과 제2관을 통과하는 기체 또는 유체가 누수 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의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삽입홈과 돌출턱의 관계는,
수학식 H₁=αH, H₂=βH
0.03<α<0.05
0.07<β<0.1
(여기서, H는 플랜지의 상측면과 삽입홈의 최하단 끝점까지의 높이, H₁은 플랜지와 제1블럭이 결합되었을 때, 플랜지의 상측면과 제1블럭의 내입홈 하측면까지의 높이, H₂는 플랜지와 제1블럭의 압축력에 의해 돌출턱이 변형됨으로 인해, 플랜지의 상측면과 만나는 임의의 지점(A)이 압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임의의 지점(A)과 플랜지 상측면과의 거리)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고,
상기 플랜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은, 상기 플랜지의 삽입홈에 제1블럭 및 제2블럭의 돌출턱이 결합될 때 상기 플랜지수납부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의 결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의 최단거리는,
수학식 γ(L₁+L₂)=L,
1.03<γ<1.05
(여기서, L은 플랜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의 최단거리이고, L₁은 제1블럭의 돌출턱 최끝단점과 제1블럭의 결합면 사이의 거리, L₂는 제2블럭의 돌출턱 최끝단점과 제2블럭의 결합면 사이의 거리.),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의 결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9903A KR101519823B1 (ko) | 2014-01-27 | 2014-01-27 | 블럭의 결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9903A KR101519823B1 (ko) | 2014-01-27 | 2014-01-27 | 블럭의 결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9823B1 true KR101519823B1 (ko) | 2015-05-14 |
Family
ID=5339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9903A Active KR101519823B1 (ko) | 2014-01-27 | 2014-01-27 | 블럭의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982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0524U (ja) * | 1992-10-30 | 1994-05-31 | 株式会社土屋製作所 | 弾性パッキンを有するフランジ部シール構造 |
JPH072674U (ja) * | 1993-06-11 | 1995-01-13 |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 環状シール部材 |
JPH10176754A (ja) * | 1996-12-17 | 1998-06-30 | Kurata:Kk | 接合具及び接合シール構造 |
KR20070056990A (ko) * | 2005-11-29 | 2007-06-04 |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유체용 가스켓 |
-
2014
- 2014-01-27 KR KR1020140009903A patent/KR10151982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0524U (ja) * | 1992-10-30 | 1994-05-31 | 株式会社土屋製作所 | 弾性パッキンを有するフランジ部シール構造 |
JPH072674U (ja) * | 1993-06-11 | 1995-01-13 |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 環状シール部材 |
JPH10176754A (ja) * | 1996-12-17 | 1998-06-30 | Kurata:Kk | 接合具及び接合シール構造 |
KR20070056990A (ko) * | 2005-11-29 | 2007-06-04 |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유체용 가스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08368B2 (en) | Coupling having seal with lip projections | |
US10883636B2 (en) | Fluid fitting | |
KR102139467B1 (ko) | 파이프 연결용 피팅장치 | |
KR101005763B1 (ko) | 파이프 연결용 소켓 | |
US11255474B2 (en) | Tubular joint | |
EP2943710A1 (en) | Fitting for joining tubes and method of joining tubes | |
JPWO2019093311A1 (ja) | 鋼管用ねじ継手 | |
US20140054888A1 (en) | Hammer union assembly, hammer union seal theref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ammer union seal | |
CN104048127A (zh) | 具有反向倒钩的压接接头 | |
US20150198270A1 (en) | Threaded joint for pipes | |
KR101519823B1 (ko) | 블럭의 결합 구조 | |
KR101367655B1 (ko) |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 |
TWI444556B (zh) | 具有偏移形心之密封環 | |
CN105387296B (zh) | 一种管道对接压接连接件及其对接压接方法 | |
US20150114133A1 (en) | Measuring Tube for a Flow Measuring Device | |
KR20150122922A (ko) | 배관 연결용 센터링 유닛 | |
KR20120034274A (ko) | 금속관 연결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연결 방법 | |
KR200493485Y1 (ko) | 배관용 고무링 | |
CN104870880B (zh) | 密封元件和装置 | |
KR20200104039A (ko) | 덕트용 소켓링 구조체 | |
WO2019204951A1 (zh) | 一种管件连接结构 | |
KR20160128012A (ko) | 내부 압력에 의한 기밀 증가형 가스켓 및 그를 위한 플랜지 배관 | |
CN208457203U (zh) | 一种隧道逃生管道对接用密封接头 | |
KR102226048B1 (ko) |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 |
KR200492249Y1 (ko) | 관 이음구용 고무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