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9224B1 -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24B1
KR101519224B1 KR1020130121185A KR20130121185A KR101519224B1 KR 101519224 B1 KR101519224 B1 KR 101519224B1 KR 1020130121185 A KR1020130121185 A KR 1020130121185A KR 20130121185 A KR20130121185 A KR 20130121185A KR 101519224 B1 KR101519224 B1 KR 10151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orque
regenerative braking
esc
torque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80A (ko
Inventor
박균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2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60W10/18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hydraul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60W20/14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in conjunction with braking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자세제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된 ESC와,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장착된 모터를 포함하며, 차량이 제동됨에 ESC가 작동될 때, 모터와 연결된 휠의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비되되, ESC는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필요제동력에서 회생제동시스템이 작동되어 발생되는 회생제동력을 빼고 남은 나머지제동력을 유압으로 휠에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생 제동 시스템과 ESC 사이의 협조 제어를 통하여 회생제동이 극대화되어 연비가 향상되며, 제동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SC-CONTROL-SYSTEM USING REGENERATIVE BRAKE AND CONTROL-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가 장착된 차량에 구비된 회생제동 시스템과 ESC(차량자세제어장치; 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의 작동이 연계되 제동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회생제동이 구현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량의 본격적인 상용화로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기술 중 회생제동시스템은 운전자 제동 시, 휠의 회전관성을 전기에너지로 환원시키는 기술로 그 중요도가 높아져 가고 있다.
또한, ESC는 다양한 노면환경에서 운전자의 의도와 다르게 차량의 거동이 불안정해질 경우를 판단하여 차량의 브레이크를 통해 차량자세를 제어하는 장치로써 선진국에서는 탑재를 의무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회생제동은 ESC 제어 개입 시 회생제동을 하지 않고 유압제어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ESC제어 개입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회생제동장치에 잦은 ON/OFF가 발생되고 회생제동량을 순간적으로 유압제어가 대신해야 하므로, 유압제동 제어에 대한 부하가 가중되며, 결국 회생 제동의 효율 또한 떨어지는 아쉬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0009호(2008.01.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4709호(2005.12.01.)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ESC 제어 개입시 회생 제동 장치와, ESC 사이에 협조 제어를 통하여 회생제동이 극대화됨으로써 연비 향상의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제동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자세제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된 ESC와,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장착된 모터를 포함하며, 차량이 제동됨에 ESC가 작동될 때, 모터를 정지하여 모터와 연결된 휠의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비되되, ESC는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필요제동력에서 회생제동시스템이 작동되어 발생되는 회생제동력을 빼고 남은 나머지제동력을 유압으로 휠에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ESC는 차량에 구비된 ABS, TC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에 따르면, ESC와 함께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모니터링단계와, 차량의 곡선 주행 또는 정차시, 각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연산하는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와, ESC가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ESC작동판단단계와, ESC가 작동시,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근거로 각 휠의 목표회생제동토크, 목표유압제동토크를 산출하여 차량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목표치연산단계와,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동되어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생제동력을 HCU로 전달하는 회생제동단계와, 회생제동력 및 필요제동토크 증감량 또는 목표회생제동토크 및 목표유압제동토크를 비교하여 제동에 필요한 나머지제동력을 각 휠에 가하는 추가유압제동력공급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ESC가 비작동 시, 회생제동단계는 목표치연산단계 수행 없이 진행될 수 있으며, 회생제동단계는, 휠 중 전륜휠의 최대 또는 실행가능한 회생제동전륜토크량을 계산하는 회생전륜토크량계산단계와, 회생제동전륜토크량 만큼이 전륜휠에 가해지는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와,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 이후, 전륜휠의 회전력을 차량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전륜휠토크량송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목표치연산단계는,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에서 연산된 각 휠(W)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0 보다 큰지를 판단하되, 필요제동토크가 0 보다 클 때,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로 산출되며, 필요제동토크가 0 보다 작을 때, 제동토크감산단계가 수행되어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 및 목표회생제동토크가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동토크감산단계는, 각 휠 중 어느 한 휠에 가해진 유압제동토크에 비하여 필요제동토크의 절대값이 큰지를 판단하되, 유압제동토크가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에 비하여 클 때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를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음수값으로 산출하고, 유압제동토크가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에 비하여 작을 때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는, 각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를 0 으로 설정하고,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의 음수값을 목표회생제동토크량으로 산출하고, 각 휠의 어느 한 휠의 반대편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을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반대편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회생 제동 시스템과 ESC 사이의 협조 제어를 통하여 회생제동이 극대화되어 연비가 향상되며, 제동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의 절차도,
도 4는 도 3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의 목표치연산단계에서의 절차도,
도 5는 ESC 동작시 각 휠의 목표 회생 및 유압제동 토크의 연산 예시도,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회생제동토크와 유압제동토크의 비교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의 작동 상태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은 차량자세제어를 위해 차량(C)에 장착된 ESC(100)와, 차량(C)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장착된 모터(200)를 포함하며, 차량(C)이 제동됨에 ESC(100)가 작동될 때, 모터(200)를 정지하여 모터(200)와 연결된 휠(W)의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회생제동시스템(300)이 구비되되, ESC(100)는 차량(C)을 제동하기 위한 필요제동력에서 회생제동시스템(300)이 작동되어 발생되는 회생제동력을 빼고 남은 나머지제동력을 유압으로 휠(W)에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차량(C)은 하이브리드 차량(C) 또는 전기 차량(C)으로써, 전기력이 변환되어 휠(W)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ESC(100)는 차량(C)에 구비된 ABS, TC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데, 차량(C)에 구비된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을 주행환경에 맞게끔 각 휠에 배분하여 차량(C)이 과도한 구동력 또는, 과하거나 과소한 제동력으로 인하여 도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ESC(100), 회생제동시스템(300), 차량(C) 구동용 모터(200)는 각각 ECU가 장착되며, 각각의 ECU는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어 차량(C)에 구비된 HCU와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은 유압제동토크(F1)와 회생제어토크(F2)가 동시에 제어됨으로써, 각 휠(W)에 적합한 제동력을 제공하여 차량(C)의 선회시 발생가능한 요레이트(Y1)를 목표 요레이트(Y2)로 축소시키게 되어 차량(C)의 안정된 선회를 가능하게 하며, 회생제동시스템(300)의 효율이 향상되어 연비가 향상되며, ESC(100)와 회생제동시스템(300)이 협조됨으로써 서로 간의 간섭이 배제되어 제동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의 절차도 이고, 도 4는 도 3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의 목표치연산단계에서의 절차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방법은, ESC(100)와 함께 회생제동시스템(300)이 구비된 차량(C)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모니터링단계(S100)와, 차량(C)의 곡선 주행 또는 정차시, 각 휠(W)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연산하는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S200)와, ESC(100)가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ESC작동판단단계(S300)와, ESC(100)가 작동시,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근거로 각 휠(W)의 목표회생제동토크, 목표유압제동토크를 산출하여 차량(C)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목표치연산단계(S400)와, 회생제동시스템(300)이 구동되어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생제동력을 HCU로 전달하는 회생제동단계(S500)와, 회생제동력과 필요제동토크 증감량 또는 목표회생제동토크 및 목표유압제동토크를 비교하여 제동에 필요한 나머지제동력을 각 휠(W)에 가하는 추가유압제동력공급단계(S600)를 포함한다.
ESC(100)가 비작동 시에, 회생제동단계(S500)는, 목표치연산단계(S400) 수행 없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태모니터링단계(S100)는 차량(C)의 주행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로, 차량(C)이 주행하는 도로 환경에 맞게끔 차량(C)에 구비된 휠(W)에 가해질 제동력을 분배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S200)는 차량(C)이 곡선 주행 또는 정차시, 운전자가 브레이킹 함에 따라, 각 휠(W)에 가해진 제동력 외에,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며 회생제동시스템(30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각 휠(W)에 추가될 적합한 제동력, 다시 말해서 각 휠(W)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ESC작동판단단계(S300)는 차량(C)에 구비된 ABS, TCS가 차량(C) 주행환경에 따라 작동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목표치연산단계(S400)는 ESC작동판단단계(S300)에서 ESC(100)가 작동되어 각 휠(W)에 유압제동토크가 가해지는 중으로 판단되면, 각 휠(W)의 목표유압제동토크, 목표회생제동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목표치연산단계(S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S200)에서 연산된 각 휠(W)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0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토크증감량판단단계(S410)와, 필요제동토크가 0 보다 클 때, 각 휠(W) 중 어느 한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목표유압제동토크로 산출하게 되는 제동토크가산단계(S420)와, 필요제동토크가 0 보다 작을 때, 수행되는 제동토크감산단계(S430)를 포함한다.
제동토크감산단계(S430)는, 각 휠(W) 중 어느 한 휠에 가해진 유압제동토크에 비하여 필요제동토크의 증감량의 절대값이 큰지를 판단하는 제동력크기판단단계(S431)와, 유압제동토크가 필요제동토크의 증감량의 절대값에 비하여 클 때, 각 휠(W) 중 어느 한 휠의 필요제동토크증감량의 절대값의 음수값을 목표유압제동토크로 산출하는 목표유압제동토크계산단계(S432)와, 유압제동토크가 필요제동토크의 증감량의 절대값에 비하여 작을 때, 수행되는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S433)를 포함한다.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S433)는, 각 휠(W)의 목표유압제동토크를 0 으로 설정하고, 각 휠(W)의 어느 한 휠의 필요제동토크의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의 음수값을 목표회생제동토크로 산출하고, 각 휠(W)의 어느 한 휠(W)의 반대편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을 목표유압제동토크로 산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토크가산단계(S420)와, 목표유압제동토크계산단계(S432)와,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S433)는 그 수행 조건 상황에서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목표유압제동토크 또는 새로운 목표회생제동토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회생제동단계(S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W) 중 전륜휠의 최대 또는 실행가능한 회생제동전륜토크량을 계산하는 회생전륜토크량계산단계(S510)와, 회생제동전륜토크량 만큼의 회전력이 전륜휠(W)에 가해지는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S520)와,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S520) 이후, 전륜휠(W)의 회전력을 차량(C)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전륜휠토크량송신단계(S530)를 포함한다.
상태모니터링단계(S100)와,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S200)와, ESC작동판단단계(S300)와, 목표치연산단계(S400)는 ESC(100)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되며, 회생제동단계(S500)에 포함되는 회생전륜토크량계산단계(S510)는 회생제동시스템(300)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되며, 회생제동단계(S500)에 포함되는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S520)와, 전륜휠토크량송신단계(S530)는 모터(200)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되며, 추가유압제동력공급단계(S600)는 회생제동시스템(300)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도 5는 ESC 동작시 각 휠(W)의 목표 회생 및 유압제동 토크의 연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적용된 차량(C)의 ESC(100) 동작 상태에서의 회생제동토크(F2), 유압제동토크(F1)와 필요제동토크증감량을 예시적으로 화살표로써 각 휠(W)에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의 중간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이 곡선 주행 진입 또는 정차를 위한 브레이킹시, 각 휠(W)에서 발생되는 유압제동토크(F1)와 회생제동토크(F2)는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됨으로써 유압제동토크량(F1)과 회생제동토크(F2)가 주행환경에 따른 차량(C)의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안정적인 주행에 필요한 각 휠(W)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F3)에 따라 가감되어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제동토크량(F1)과 회생제동토크(F2)의 크기가 변경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는 필요제동토크증감량(F3)이 0보다 클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b는 필요제동토크증감량(F3)이 0보다 작으며, 필요제동토크증감량의 절대값이 유압제동토크량보다 작을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c는 필요제동토크증감량(F3)이 0보다 작으며, 필요제동토크증감량의 절대값이 유압제동토크량보다 클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회생제동토크와 유압제동토크의 비교그래프이다.
도 6의 a에는 계단그래프로써 ESC작동(a1)과 필요제동토크(a2)의 크기가 도시되었으며, 도 6의 b에는 계단그래프로써 본 발명이 적용됨으로써 발생하는 회생제동토크(F2)와 유압제동토크(F1)가 도시되었으며, 도 6의 c에는 계단그래프로써 종래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발생하는 회생제동토크(F2')와 유압제동토크(F1')가 도시되었다.
도 6의 b와 도 6의 c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이 적용됨으로써 회생제동토크(F2)에 빗금친 부분만큼의 회생제동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추가적으로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적용됨으로써 종래기술의 회생제동에서 ESC(100) 간섭에 의해 변환하지 못하였던 휠(W)의 회전력이 발전에 사용됨으로써 에너지 효율, 다시 말해서 연비가 향상된다.
또한, 본 기술은 그래프 상에 계단으로 도시된 영역의 높이차가 크지 않아 유압제동 및 회생제동이 구현되기 위한 제어가 용이하고 신속한 것을 알 수 있다.
100: ESC 200: 모터
300: 회생제동시스템 W: 휠
C: 차량
S100: 상태모니터링단계 S200: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
S300: ESC작동판단단계 S400: 목표치연산단계
S410: 토크증감량판단단계 S420: 제동토크가산단계
S430: 제동토크감산단계 S431: 제동력크기판단단계
S432: 목표유압제동토크계산단계 S433: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
S500: 회생제동단계 S510: 회생전륜토크량계산단계
S520: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 S530: 전륜휠토크량송신단계
S600: 추가유압제동력공급단계

Claims (8)

  1. 차량자세제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된 ESC;
    상기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장착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이 제동됨에 따라 상기 ESC가 작동될 때, 상기 모터를 정지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된 휠의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비되되,
    상기 ESC는 상기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필요제동력에서 상기 회생제동시스템이 작동되어 발생되는 회생제동력을 빼고 남은 나머지제동력을 유압으로 상기 휠에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SC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ABS, TC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3. ESC와 함께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모니터링단계;
    상기 차량의 곡선 주행 또는 정차시, 각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연산하는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
    상기 ESC가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는 ESC작동판단단계;
    상기 ESC가 작동시,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을 근거로 상기 각 휠의 목표회생제동토크, 목표유압제동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목표치연산단계;
    상기 회생제동시스템이 구동되어 회생제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생제동력을 상기 HCU로 전달하는 회생제동단계;
    상기 회생제동력과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 또는 상기 목표회생제동토크 및 상기 목표유압제동토크를 비교하여 제동에 필요한 나머지제동력을 상기 각 휠에 가하는 추가유압제동력공급단계;를 포함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SC가 비작동 시,
    상기 회생제동단계는 상기 목표치연산단계 수행 없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단계는,
    상기 휠 중 전륜휠의 최대 또는 실행가능한 회생제동전륜토크량을 계산하는 회생전륜토크량계산단계와,
    상기 회생제동전륜토크량 만큼이 상기 전륜휠에 가해지는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와,
    상기 회생제동토크제어실행단계 이후, 상기 전륜휠의 회전력을 상기 차량에 구비된 HCU로 전달하는 전륜휠토크량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치연산단계는,
    상기 필요제동토크연산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각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0 보다 큰지를 판단하되,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0 보다 클 때,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상기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로 산출되며,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이 0 보다 작을 때, 제동토크감산단계가 수행되어 상기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 및 목표회생제동토크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토크감산단계는,
    상기 각 휠 중 어느 한 휠에 가해진 상기 유압제동토크에 비하여 상기 필요제동토크의 증감량의 절대값이 큰지를 판단하되,
    상기 유압제동토크가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 비하여 클 때 상기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를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의 음수값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압제동토크가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 비하여 작을 때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생제동토크계산단계는,
    상기 각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를 0 으로 설정하고,
    상기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상기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의 음수값을 목표회생제동토크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각 휠의 어느 한 휠의 필요제동토크 증감량의 절대값에서 상기 유압제동토크를 감산한 값을 상기 각 휠 중 어느 한 휠의 반대편 휠의 목표유압제동토크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방법.
KR1020130121185A 2013-10-11 2013-10-11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1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85A KR101519224B1 (ko) 2013-10-11 2013-10-11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185A KR101519224B1 (ko) 2013-10-11 2013-10-11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80A KR20150042480A (ko) 2015-04-21
KR101519224B1 true KR101519224B1 (ko) 2015-05-15

Family

ID=5303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1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9224B1 (ko) 2013-10-11 2013-10-11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80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0765B1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EP3127738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073941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6278974B2 (ja) 制動力制御システム
JP5736673B2 (ja) 複合ブレーキの制動力協調制御装置
JP6618073B2 (ja) 制動制御装置
JP5723261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US9283936B2 (en) 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WO2016035665A1 (ja) 車両の横滑り防止制御装置
JP6056340B2 (ja) 制動制御装置
KR20130013482A (ko) 인휠 모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WO2015016326A1 (ja) 車両制御装置
KR20180057277A (ko) 회생제동 협조제어 시 제동 제어 방법
CN110816281B (zh) 用于车辆回收式制动控制的控制单元、装置和方法
JPWO2014054148A1 (ja) 車輪制御装置、車両、車輪制御方法
JP2008301590A (ja) 電動車両
JP6120010B2 (ja) 車両
KR102416064B1 (ko) 회생 및 마찰 제동 혼합을 위한 측방향 동적 제어
JP2009214566A (ja) 4輪駆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
JP6585446B2 (ja) 車両の制駆動力制御装置
KR101519224B1 (ko) 회생제동을 이용한 esc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5030314A (ja) 車両制御装置
JP568330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5650087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CN120134948A (zh) 再生扭矩控制方法以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