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819B1 -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8819B1 KR101518819B1 KR1020140007222A KR20140007222A KR101518819B1 KR 101518819 B1 KR101518819 B1 KR 101518819B1 KR 1020140007222 A KR1020140007222 A KR 1020140007222A KR 20140007222 A KR20140007222 A KR 20140007222A KR 101518819 B1 KR101518819 B1 KR 101518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phone case
- cover panel
- auxiliary battery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보조 배터리로서, 일면이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패널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부로 구성된 보조 배터리 본체와 상기 덮개패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로 이루어져, 보조 배터리 본체가 휴대폰이 체결되는 휴대폰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와 함께 파지되어 통화할 수 있어, 통화중 외력에 의해 분리 후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 auxiliary battery body formed of a cover panel to be closed,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a charging terminal portion formed in the battery case and fastened to the mobile device, and a mobile phone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body is not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cellular phone is fastened and can be held and held together with the cellular phone case so as to prevent the cellular phone from falling down and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during communication, It is effecti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 본체를 자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서, 보조 배터리 본체가 휴대폰이 체결되는 휴대폰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와 함께 파지되어 통화할 수 있어, 통화중 외력에 의해 분리 후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which prevents an external force during separation from falling down and breakage, and provides a beautiful appearance.
최근에 이르러서는 각종 모바일 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그중에서도 휴대폰, MP 등은 대표적인 모바일 기기로 자리 잡게 되었다.Recently, a variety of mobil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mong which mobile phones and MPs have become popular mobile devices.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본체 및 배터리 그리고 충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배터리를 1-2개 구비하고 있고 1-2일 정도 배터리를 사용한 후,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a mobile phone consists of a main body, a battery, and a charger. Users of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one or two batteries, and after using the battery for about 1-2 days, they are using it with a new battery.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폰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휴대폰 자체에 촬영을 하거나 MP3음악을 저장하여 듣거나 인터넷의 사용 및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어서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용량이 더욱 커지고 오래 사용하게 되었다.Recently, the technology of the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so that the user can shoot the mobile phone itself, listen to the MP3 music, listen to the internet, and watch the DMB broadcasting.
하지만 휴대폰과 함께 제공되는 배터리는 사용시간에 한계가 있고, 음악을 듣거나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방전되어 대용량의 배터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 되었다.However, the battery provided with the mobile phone has a limited use time, and when the user listens to music, watches the broadcast, or shoots the battery, the battery is discharged and a large capacity battery is desperately nee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6-0095507에 의해 휴대폰에 체결되는 보조배터리가 개발되고 있으나, 휴대폰의 충전기소켓에 일단부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휴대폰과 연결시 길이가 길어지거나 넓어져 휴대하기 불편하고, 통화시 차량과 책상들 다른 대상물이나 사람에 걸리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걸림시 휴대폰에서 보조배터리가 분리되어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auxiliary battery which is fastened to a mobile phone by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95507 has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a single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a charger socket of a mobile ph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be worn or widened 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other objects or people are caught in the vehicle and desks during a call.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means the background art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 본체를 자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서, 보조 배터리 본체가 휴대폰이 체결되는 휴대폰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와 함께 파지되어 통화할 수 있어, 통화중 외력에 의해 분리 후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in which a mobile phone case and an auxiliary battery main body are mutually detached and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which can be held together with a cell phone case to be able to talk, hav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보조 배터리로서, 일면이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패널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부로 구성된 보조 배터리 본체와 상기 덮개패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battery case having an open par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pace therein; a cover panel closing the opening part;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a charger terminal unit formed of a charging terminal unit fastened to the mobile device, and a cellular phone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nel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panel.
또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배면패널의 내측면 상부에 서로 맞닿게 한쌍의 상부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 모서리 부분에 하부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 및 상기 하부체결홈에는 제 1 자석이 체결되고, 상기 내측면에는 고정시트가 더 부착되되, 상기 덮개패널에는 상기 자석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 2 자석들이 더 마련되어, 상기 덮개패널에 상기 휴대폰 케이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ase is formed with a pair of upper fastening groove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panel, and lower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case, The cover panel is further provided with second magnets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mobile phone case is attached to the cover panel by magnetic force .
또한, 상기 충전단자부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 케이스에 체결되는 휴대폰의 충전소켓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charging terminal unit may include a cable and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at an end of the cable, the charging terminal being fastened to a charging socket of a cellular phone fastened to the cell phone case.
또한, 상기 보조배터리 본체는 전면부 모서리를 따라 라운드부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 케이스와 보조배너리 본체를 함께 파지시 전면부 모서리 부분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main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round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fron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front corner portion from being caught when the user grasps the cellular phone case and the auxiliary banner main body together.
또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패널에는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게 끼움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패널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열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ver panel so as to be guided in the guide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ver panel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etaining groove. And at least one radiating fin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본 발명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는 휴대폰 케이스와 보조 배터리 본체를 자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서, 보조 배터리 본체가 휴대폰이 체결되는 휴대폰의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와 함께 파지되어 통화할 수 있어, 통화중 외력에 의해 분리 후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ell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ell phone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main body to be mutually detached and attached by a magnetic force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main body is no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ll ph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dropping and being broken due to an external force during communication, and also providing an attractive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있어, 보조 배터리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있어,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면이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auxiliary battery main body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case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ss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ell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an exampl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있어, 보조 배터리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있어,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면이며, 도 5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battery bod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ellular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mobile phone case in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bile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bile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portable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10)(이하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는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보조 배터리로서, 이에 이와같은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10)는 보조 배터리 본체(20)와 휴대폰 케이스(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an auxiliary battery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bile phone cas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battery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device, The
상기 보조 배터리 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21)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21)에 접착 또는 융착고정되는 덮개패널(22)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23)와 상기 배터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 케이스(21)의 하부에 형성되어 휴대폰 케이스(30)에 고정되는 모바일 기기(100)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부(24)로 구성된다.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휴대폰 케이스(30)는 도 1에서와 같이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패널(22)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휴대폰이 탈착가능하게 끼움고정된다.1, the
이러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30)는 배면패널의 내측면 상부에 서로 맞닿게 한쌍의 상부체결홈(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 모서리 부분에 하부체결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31) 및 상기 하부체결홈(32)에는 제 1 자석(40)이 끼움되어 고정되거나 끼움된 후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측면에는 고정시트(50)가 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고정시트(50)는 상기 제 1 자석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접착면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시트지가 사용되며 상기 고정시트(50)를 대체하여 박판의 패널로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본체(30)의 상기 덮개패널(22)에는 상기 제 1 자석(4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 2 자석(60)들이 더 마련되어, 상기 덮개패널(22)에 상기 휴대폰 케이스(30)가 자력에 의해 덮개패널(22)에 부착된다. 상기 제 2 자석들(6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기 덮개패널(22)을 사출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인서트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면에 상기 상부체결홈(31) 및 상기 하부체결홈(32)과 부착시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하부결합홈을 형성한 후 상기 상부,하부결합홈에 억지끼움 또는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즉, 상기 보조 배터리 본체(20)와 상기 휴대폰 케이스(30)는 상호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휴대폰 케이스(30)에 체결되는 휴대폰(1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석(40) 및 제 2 자석(60)들이 휴대폰 케이스(30) 및 덮개패널(22)의 상부에는 맞닿게 배치되어 있고, 하부 모서리 부분에는 떨어져 배치됨으로서, 휴대폰 케이스(30)에 보조배터리 본체(20)의 상,하부가 바뀌어 충전단자부가 상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부착시 대응되는 자석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호 자력에 의해 상호 붙지 않게 되고, 도면상 충전단자부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시 상호 부착되어 상호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2 and 3, the
다르게는, 상기 덮개패널(20)에 상기 제 2 자석을 대체하여 내면에 금속패널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metal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보조배터리 본체(20)에는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온/오프 스위치의 신호를 전달받아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충전단자부(24)는 상기 배터리(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케이블(241)과 상기 케이블(241)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 케이스(30)에 체결되는 휴대폰(100)의 충전소켓에 체결되는 충전단자(242)로 이루어진다.The
즉, 도 5에서와 같이 휴대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충전소켓에 충전단자(242)가 끼움되도록, 플랙시블한 구조로 형성된 충전단자부(24)의 케이블(241)이 절곡되면서 충전소켓에 충전단자(242)를 연결하여, 휴대폰(100)이 체결되는 휴대폰 케이스(30)의 하부에 보조 배터리 본체(20)를 배치시키지 않고 휴대폰 케이스(30)의 배면에 보조 배터리 본체(20)를 부착,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보조배터리 본체(20)는 전면부 모서리를 따라 라운드부(25)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 케이스(30)와 보조 배터리 본체(20)를 함께 파지시 보조배터리 본체(20)의 전면부 모서리 부분이 걸림되거나 날카로운 모서리에 피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고, 곡선의 라운드부(25)에 의해 피부와의 밀착면적이 늘어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안정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auxiliary battery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 케이스(30)의 배면패널에는 걸림홈(331)을 갖는 가이드홈(33)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패널(22)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221)에는 상기 걸림홈(331)에 걸림되게 끼움되도록 걸림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패널(22)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긴 방열핀(223)이 더 형성된다.6, a
즉, 통화과정중 휴대폰(100)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보조배터리 본체(2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방출시키도록 금속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긴 방열핀(223)을 형성시키거나 부착시키게 된다.That is, a long radiating
또한, 방열핀(223)을 형성시킴으로 인해 간격이 멀어지면서 자력에 의한 부착력이 떨어져 휴대폰 케이스(30)에서 보조배터리 본체(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홈에 가이드돌기(221)가 걸림되게 끼움되어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10 : 휴대 단말기용 보조배터리 20 : 보조배터리 본체
30 : 휴대폰 케이스 40 : 제 1 자석
50 : 고정시트 60 : 제 2 자석
21 : 배터리 케이스 22 : 덮개패널
221 : 가이드 돌기 222 : 걸림돌기
223 : 방열핀
23 : 배터리 24 : 충전단자부
241 : 케이블 242 : 충전단지
25 : 라운드부
31 : 상부체결홈 32 : 하부체결홈
33 : 가이드홈 331 : 걸림홈
100 : 휴대폰10: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20: auxiliary battery body
30: mobile phone case 40: first magnet
50: fixing sheet 60: second magnet
21: Battery case 22: Cover panel
221: Guide protrusion 222:
223:
23: Battery 24: Charging terminal
241: Cable 242: Charging complex
25:
31: upper fastening groove 32: lower fastening groove
33: guide groove 331:
100: Mobile phone
Claims (5)
일면이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덮개패널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부로 구성된 보조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덮개패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배면패널의 내측면 상부에 서로 맞닿게 한쌍의 상부체결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 모서리 부분에 하부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체결홈 및 상기 하부체결홈에는 제 1 자석이 체결되고, 상기 내측면에는 고정시트가 더 부착되되,
상기 덮개패널에는 상기 자석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제 2 자석들이 더 마련되어, 상기 덮개패널에 상기 휴대폰 케이스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A secondary battery connected to and used by a mobile device,
An auxiliary battery body including a battery case having an open par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pace therein, a cover panel closing the opening part,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ase, and a charging terminal part formed on the battery case, ; And
And a mobile phone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panel,
The mobile phone case is formed with a pair of upper fastening groove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panel and a lower fastening groove is formed at both side edges thereof,
The first magnet is fastened to the upper fastening groove and the lower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sheet is further attached to the inner side surface,
Wherein the cover panel is further provided with second magnets to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magnet so that the mobile phone case is attached to the cover panel by magnetic force.
상기 충전단자부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 케이스에 체결되는 휴대폰의 충전소켓에 체결되는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unit comprises a cable and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at an end of the cable and fastened to a charging socket of the cell phone fastened to the cell phone case.
상기 보조배터리 본체는 전면부 모서리를 따라 라운드부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 케이스와 보조배너리 본체를 함께 파지시 전면부 모서리 부분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round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front portion so as to prevent a corn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from being caught when the user grasps the cellular phone case and the auxiliary banner main body together.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패널에는 걸림홈을 갖는 가이드홈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게 끼움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패널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방열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groove having a latching groove is formed on a back panel of the cellular phone case so as to face each other,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ver panel so as to be guided in the guide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ver panel so as to engage with the retaining groove,
Wherein at least one radiating fin is furth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222A KR101518819B1 (en) | 2014-01-21 | 2014-01-21 |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222A KR101518819B1 (en) | 2014-01-21 | 2014-01-21 |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8819B1 true KR101518819B1 (en) | 2015-05-11 |
Family
ID=5339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7222A Active KR101518819B1 (en) | 2014-01-21 | 2014-01-21 |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881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316Y1 (en) * | 2015-12-25 | 2017-04-27 | 박남태 | Smartphone Cradle |
KR101735531B1 (en) * | 2016-10-05 | 2017-05-15 | 주식회사 태창이노베이션 | The cover module of smart phone |
KR20170068282A (en) * | 2015-12-09 | 2017-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ccessory apparatus |
KR200484281Y1 (en) * | 2016-11-28 | 2017-08-22 | 손상묵 | Smart phone for charge package |
KR20180089723A (en) | 2017-02-01 | 2018-08-09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uxiliary battery module of variable capacity type |
KR101945842B1 (en) * | 2016-12-13 | 2019-02-08 | 최주호 |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
KR20200055314A (en) | 2018-11-13 | 2020-05-21 | 정원혁 | battery with the case |
KR102506528B1 (en) | 2022-10-05 | 2023-03-03 | 장석호 | Portable power storage device with self-generation and Nano-Capacitor storage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11227A (en) * | 2002-09-19 | 2004-04-08 | Tdk Corp | Auxiliary power supply |
KR20110136327A (en) * | 2010-06-14 | 2011-12-21 | (주)펀셀 |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
KR20120007004U (en) * | 2011-04-01 | 2012-10-10 | 주식회사 뉴지로 | cover type assistance battery pack |
-
2014
- 2014-01-21 KR KR1020140007222A patent/KR1015188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11227A (en) * | 2002-09-19 | 2004-04-08 | Tdk Corp | Auxiliary power supply |
KR20110136327A (en) * | 2010-06-14 | 2011-12-21 | (주)펀셀 |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
KR20120007004U (en) * | 2011-04-01 | 2012-10-10 | 주식회사 뉴지로 | cover type assistance battery pack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8282A (en) * | 2015-12-09 | 2017-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ccessory apparatus |
KR102521736B1 (en) * | 2015-12-09 | 2023-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charging accessory apparatus |
KR200483316Y1 (en) * | 2015-12-25 | 2017-04-27 | 박남태 | Smartphone Cradle |
KR101735531B1 (en) * | 2016-10-05 | 2017-05-15 | 주식회사 태창이노베이션 | The cover module of smart phone |
CN109982601A (en) * | 2016-11-28 | 2019-07-05 | 孙相默 | Charging pa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484281Y1 (en) * | 2016-11-28 | 2017-08-22 | 손상묵 | Smart phone for charge package |
WO2018097539A1 (en) * | 2016-11-28 | 2018-05-31 | 손상묵 | Charging pack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101945842B1 (en) * | 2016-12-13 | 2019-02-08 | 최주호 |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
KR20180089723A (en) | 2017-02-01 | 2018-08-09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uxiliary battery module of variable capacity type |
KR20200055314A (en) | 2018-11-13 | 2020-05-21 | 정원혁 | battery with the case |
KR102506528B1 (en) | 2022-10-05 | 2023-03-03 | 장석호 | Portable power storage device with self-generation and Nano-Capacitor storage structure |
EP4350935A2 (en) | 2022-10-05 | 2024-04-10 | Suk Ho Jang | Portable power storage device with a self-generation and nano-capacitor storage structure |
US12289036B2 (en) | 2022-10-05 | 2025-04-29 | Suk Ho Jang | Portable power storage device with a self-generation and nano-capacitor storage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8819B1 (en) | Spare battery of mobile phone | |
US20150195009A1 (en) | Wireless charge and discharge wrist band for placing cell phone | |
CN204231644U (en) | Can to wireless headset storage and the wearable electronic of charging | |
KR101066162B1 (en) | Bar-type Cell Phone Cases | |
CN203827002U (en) | Dual-purpose multifunctional power supply device for watch type mobile phone and flat-plate type mobile phone | |
KR101892546B1 (en) | Mobile phone cover | |
US10547928B1 (en) | Wireless earphone | |
KR101945842B1 (en) |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 |
US9331731B2 (en) | Wireless charge wristband-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11083262B2 (en) | Wearable storage case opening and closing based on press buckle | |
KR20160043199A (en) | Bluetooth earphone-integrated mobile terminal case | |
KR102415970B1 (en) | Battery change type earbuds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KR20120097156A (en) |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 |
CN202424796U (en) | Protective shell applicable to IPHONE4 or IPHONE4S mobile phone | |
KR200486136Y1 (en) |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 |
KR101794164B1 (en)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
CN210986146U (en) |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 |
CN205753462U (en) | A kind of magnetic assembled moving power protection shell | |
CN204836260U (en) |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who is fit for outdoor exercises | |
CN206498461U (en) | A charging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charging earphones | |
CN210870200U (en) | Bluetooth headset box that charges | |
US20160044146A1 (en) | Solar Integrated Mobile and Electronic Devices with Backside Solar Panels | |
KR20110109668A (en) | Cell phone case with connector cover | |
CN201039441Y (en) | Radio earplug and charger combined device | |
KR20170121831A (en) | Hand that holds the stove Phone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