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8751B1 -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51B1
KR101518751B1 KR1020130141824A KR20130141824A KR101518751B1 KR 101518751 B1 KR101518751 B1 KR 101518751B1 KR 1020130141824 A KR1020130141824 A KR 1020130141824A KR 20130141824 A KR20130141824 A KR 20130141824A KR 101518751 B1 KR101518751 B1 KR 10151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magnetic resonance
pixels
same
luminanc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도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751B1/ko
Priority to US14/529,366 priority patent/US99285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764D tomography; Time-sequential 3D tom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8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76Probabilistic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82Noise reduction or smoothing in the temporal domain; Spatio-temporal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16Bra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동일 조직으로 결정된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TISSUE-PROPERTY-DEPENDENT DENOI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ONTRAST MRI}
본 발명은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공명영상에서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도 인공적인 느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명영상(MRI)이란 자장을 발생시키는 커다란 자석을 구비하는 장치 속에 인체를 들어가게 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체부위에 있는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해 재구성하여 얻어진 영상이다.
이는, 자석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인체에 고주파를 방사하여 인체에서 에코 신호가 발산되면 이를 되받아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영상화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공명영상은 X선을 이용한 검사인 단순 X선 촬영이나 CT와는 달리 비전리 방사선인 고주파를 이용하는 검사이므로 인체에는 사실상 해가 없다는 것이 중요한 장점 중의 하나이다. 인체에 해가 없는 자기장과 비전리 방사선인 라디오 고주파를 이용해 조영제 없이도 CT에 비해 체내 연부조직의 대조도(contrast)가 뛰어나며 수소원자핵을 함유한 조직의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체를 단면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CT와 유사하지만 CT에서는 인체를 가로로 자른 모양인 횡단면 영상이 위주가 되지만 MRI는 환자의 자세 변화없이 원하는 방향에 따라 인체에 대해 횡축 방향, 세로축 방향, 사선 방향 등의 영상을 자유롭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의사는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때문에, 개선된 영상 분석 및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잡음 제거가 필수적이다.
종래의 영상 내에서의 잡음 제거 방법 중 하나는 로우 패스 필터링(Low Pass Filtering: LPF)이다.
로우 패스 필터링은 주변 픽셀들의 평균치를 이용하는 필터로서, 인접한 픽셀간의 상관성이 없을 경우에 효과적이기는 하나, 블러링(Blurring) 현상이 발생하며, 영상의 해상도가 저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median 필터, anisotropic diffusion 필터 등이 개발되었고, 이를 통해 잡음 제거 성능이 개선되기는 하나, 이러한 비선형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영상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세밀한 구조체가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잡음 제거 방법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 특히 영상 분석이 세밀할 필요가 있는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도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는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공명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동일 조직으로 결정된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제1 픽셀과 제2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b-2)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유사도를 통해 상기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휘도값을 가중 평균하여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의 모든 픽셀에 대해 휘도값을 가중 평균을 계산하여 상기 모든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기공명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픽셀들의 동일 조직일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일 조직일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자기공명영상 획득부;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결정하는 동일 조직 판단부; 및 상기 동일 조직으로 결정된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대조도를 갖는 자기공명영상에서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도 인공물을 정확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과정의 순서도.
도 2는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서로 다른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픽셀의 신호 변화(signal evolution)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잡음 제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된 영상과 종래의 기법을 통한 잡음 제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된 영상과 종래의 기법을 통한 잡음 제거된 영상에서의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CNR(carrier to noise ratio)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대조도를 갖는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에서 픽셀의 휘도값 변화를 통해 동일 조직을 확률을 고려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는 자기공명영상 장비에 연결되어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분석 및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장치는 동일 부위에 대해 대조도(contrast)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단계 100).
단계 100은 서로 다른 영상 획득 프로토콜을 통해 동일 부위에 대해 다중 대조도(mutli-contrast)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도 2는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의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은 FLAIR(fluid-attenuated inversion-recovery), T1CE(T1-weighted contrast-enhanced), T1W(T1-weighted) 및 T2W(T1-weight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PDW(proton density weighted), DWI(diffusion-weighted image) 등 고주파 펄스의 이완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장치는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에서 각 픽셀들의 휘도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02).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각 조직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조직에 따라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동일한 조직인 경우, 하나의 픽셀에 대한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의 휘도값은 유사성을 가지게 된다.
도 3은 서로 다른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픽셀의 신호 변화(signal evolution)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서로 다른 세 개의 픽셀의 휘도값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픽셀(300) 및 제2 픽셀(302)은 서로 다른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휘도값의 변화가 유사한 경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제1 픽셀(300)과 제2 픽셀(302)은 서로 유사한 조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값의 변화가 유사하다는 것은 각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휘도값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의미한다.
반면, 제1 픽셀(300)과 제3 픽셀(304)은 휘도값의 변화의 유사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조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서 T1W 프로토콜에 따르면 조직의 구별이 쉽지 않으나, T2W, T1CE 및 FLAIR와 같은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을 함께 이용하면 조직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102에서, 잡음 제거 장치는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제1 픽셀의 휘도값과 제2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계산한다.
휘도값 차이는 수학식 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1
여기서, r, s: pixel의 위치 (vector로 표현)
S(r): 위치 r 에서의 신호(휘도값)
tn: 대조도 인덱스
S(r,tn): 서로 다른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위치 r 에서의 신호(휘도값)
h(r): noise의 영향을 보상해주는 정규화 factor(위치 r 부분에서 적용)
D(r,s): 위치 r 에 해당하는 tissue와 위치 s에 해당하는 tissue(조직)와의 휘도값 차이
이후, 휘도값 차이 계산을 통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제1 픽셀과 제2 픽셀의 유사도가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2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3
는 위치 r, s 픽셀의 유사도이다.
유사도는 두 픽셀의 차이 정도로서 D(r,s)의 값으로 결정되며 가중치로 정의될 수 있다.
차이 D(r,s)가 크면 클수록, 유사도는 작아지며, 가중 평균시 영향력이 줄어들게 된다. 차이 D(r,s)가 작으면 작을수록, 유사도가 크게 되어, 가중 평균시 영향력이 커지게 된다. 즉, D(r,s)가 작다는 것은, r과 s가 동일 조직일 정도가 높은 것이고 (동일 조직일 확률이 높음), 따라서 가중 평균시 영향력을 높게 한다.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4
는 정규화 상수이다.
B는 위치 r의 주위 영역을 나타내고(즉, 이 영역 내에서만 필터링을 수행함), B는 위치 r의 주위 영역일 수 있고, 이 영역이 전체 영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계산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동일 조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02에서 서로 다른 픽셀이 동일 조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잡음 제거 장치는 제1 픽셀의 휘도값과 제2 픽셀의 휘도값을 이용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한다(단계 104).
단계 104는 조직 정보에 기초한 필터링 과정으로 정의되며, 단계 104에서 잡음 제거 장치는 단계 102에서 계산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휘도값을 가중 평균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하게 된다.
가중 평균에서 사용되는 가중치는 상기한 유사도이다.
수학식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을 위한 수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5
Figure 112013105835741-pat00006
은 위치 r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이다.
단계 104는 하나의 자기공명영상의 모든 픽셀들에 대해 수행되며, 또한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모두에서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기에서는 서로 다른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가중 평균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잡음 제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픽셀들의 동일 조직인 확률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픽셀들의 휘도값 차이를 통해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에 기초하여 가중 평균함으로써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의 비교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잡음 제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잡음 제거 장치는 자기공명영상 획득부(500), 동일 조직 판단부(402) 및 필터링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 획득부(400)는 서로 다른 대조도를 갖는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
동일 조직 판단부(402)는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일 조직 판단부(402)는 휘도값 차이 계산부(410) 및 유사도 계산부(412) 및 임계치 비교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도값 차이 계산부(410)는 서로 다른 대조도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서로 다른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계산하며, 유사도 계산부(412)는 휘도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픽셀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임계치 비교부(414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산된 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필터링부(404)는 동일 조직으로 판단된 픽셀에 대해 미리 계산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가중 평균하여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필터링, 즉 잡음 제거를 수행하기 때문에 경계를 명확히 하면서도 인공물이 제거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된 영상과 종래의 기법을 통한 잡음 제거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를 적용하는 경우 다른 기법에 비해 경계가 명확해지면서 인공적인 느낌이 제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된 영상과 종래의 기법을 통한 잡음 제거된 영상에서의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CNR(carrier to noise ratio)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잡음을 제거하는 경우, SNR 및 CNR이 모두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자기공명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인체의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동일 조직으로 결정된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제1 픽셀과 제2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b-2) 상기 계산된 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유사도를 통해 상기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휘도값을 가중 평균하여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하는 잡음 제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의 모든 픽셀에 대해 휘도값을 가중 평균을 계산하여 상기 모든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하는 잡음 제거 방법.
  5. 자기공명영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인체의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픽셀들의 동일 조직일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동일 조직일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제1 픽셀과 제2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이 동일 조직일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동일 조직일 확률에 따라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휘도값을 가중 평균하여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하는 잡음 제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인체의 동일 부위에 대한 대조도가 다른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는 자기공명영상 획득부;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동일 조직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결정하는 동일 조직 판단부; 및
    상기 동일 조직으로 결정된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들의 새로운 휘도값을 계산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조직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자기공명영상 각각에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휘도값 차이를 계산하는 휘도값 차이 계산부; 및
    상기 휘도값 차이를 이용하여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잡음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조직 판단부는,
    상기 계산된 유사도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이 동일 조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치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잡음 제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유사도를 통해 상기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휘도값을 가중 평균하여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새로운 휘도값을 결정하는 잡음 제거 장치.
KR1020130141824A 2013-11-21 2013-11-21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51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24A KR101518751B1 (ko) 2013-11-21 2013-11-21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US14/529,366 US9928576B2 (en) 2013-11-21 2014-10-31 Denoi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ontrast MR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24A KR101518751B1 (ko) 2013-11-21 2013-11-21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751B1 true KR101518751B1 (ko) 2015-05-11

Family

ID=5317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824A Active KR101518751B1 (ko) 2013-11-21 2013-11-21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8576B2 (ko)
KR (1) KR101518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51B1 (ko) * 2013-11-21 2015-05-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CN106469438B (zh) * 2015-11-09 2019-04-23 浙江师范大学 基于卡方无偏估计的邻域收缩mri去噪方法
EP3723037B1 (en) 2019-04-10 2024-05-15 Canon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4224195B1 (en) * 2022-02-08 2025-04-02 Siemens Healthineers AG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enoising mr images of different contrasts acquired using the same acquisition technique
US12013452B2 (en) 2022-05-10 2024-06-18 Shanghai United Imaging Intelligence Co., Ltd. Multi-contrast MRI sampling and image reconstr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248A (ja) * 2007-04-27 2008-11-13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9125582A (ja) * 2007-11-21 2009-06-11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0042245A (ja) * 2008-07-17 2010-02-2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20130105534A (ko) * 2012-03-16 2013-09-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합성 장치 및 화상 합성용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2934A (en) * 1993-09-08 1997-02-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daptive digital image signal filtering
US5594807A (en) * 1994-12-22 1997-01-14 Siemens Medic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filtering of images based on similarity between histograms
WO2002086821A1 (fr) * 2001-04-19 2002-10-31 Kabushiki Kaisha Toshiba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image
IL156569A (en) * 2003-06-22 2009-11-18 Ultraspect Ltd Improved single-plane plane emission simulation imaging method
FR2857481A1 (fr) * 2003-07-08 2005-01-14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visages dans une image couleur
US7248725B2 (en) * 2004-01-07 2007-07-24 Ramot At Tel Avia Universit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ultrasound images
US7623691B2 (en) * 2004-08-06 2009-11-2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helical windmill artifact reduction with noise restoration for helical multislice CT
US20080292194A1 (en) * 2005-04-27 2008-11-27 Mark Schmidt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etection and Segmentation of Tumors and Associated Edema (Swelling) in Magnetic Resonance (Mri) Images
US7672540B2 (en) * 2005-07-13 2010-03-02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Nonrigid registration of cardiac perfusion MR images using adaptive local template matching
US8538108B2 (en) * 2005-12-20 2013-09-17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elastic registration of multiple scans of internal properties of a body
CN100463655C (zh) * 2006-07-27 2009-02-25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腹部ct图像自动测量装置
WO2008075740A1 (ja) * 2006-12-20 2008-06-26 Hitachi Medical Corporation 超音波診断装置
GB0708358D0 (en) * 2007-05-01 2007-06-06 Cambridge Entpr Ltd Strain image display systems
US8218905B2 (en) * 2007-10-12 2012-07-10 Claron Technology Inc.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providing efficient registration of 3D image data
CN101919230B (zh) * 2007-12-25 2013-02-13 梅迪奇视觉-脑科技有限公司 降低图像噪声的方法
US7705593B1 (en) * 2008-10-20 2010-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atherosclerotic plaque hemorrhage
US8317705B2 (en) * 2008-12-10 2012-11-27 Tomtec Imaging Systems Gmbh Method for generating a motion-corrected 3D image of a cyclically moving object
US8605970B2 (en) * 2008-12-25 2013-12-10 Medic Vision-Imaging Solutions Ltd. Denoising medical images
US8346011B2 (en) * 2009-06-26 2013-01-0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Reducing noise in an image
US20110306869A1 (en) * 2010-06-15 2011-12-1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omographic image
US9230354B2 (en) * 2010-10-29 2016-01-0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molecular breast imaging energy spectrum imaging and analysis
US8649585B2 (en) * 2010-11-15 2014-02-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retrospective image combination under minimal total deformation constrain for free-breathing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motion correction
KR101426591B1 (ko) * 2012-03-13 2014-08-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의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8923582B2 (en) * 2012-05-31 2014-12-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aided detection using pixel intensity values
US20140303486A1 (en) * 2013-03-07 2014-10-09 Adventist Health System/Sunbelt, Inc. Surgical Navigation Plann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WO2014201119A2 (en) * 2013-06-11 2014-12-18 Adventist Health System/Sunbelt, Inc. Intra-operative fiducial system and method for neuronavigation
KR101518751B1 (ko) * 2013-11-21 2015-05-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JP6191517B2 (ja) * 2014-03-14 2017-09-06 富士通株式会社 検出装置、検出プログラム、及び検出方法
US9547057B2 (en) * 2014-09-05 2017-01-17 Hyperfine Research, Inc. Noise suppression methods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248A (ja) * 2007-04-27 2008-11-13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9125582A (ja) * 2007-11-21 2009-06-11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0042245A (ja) * 2008-07-17 2010-02-2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20130105534A (ko) * 2012-03-16 2013-09-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합성 장치 및 화상 합성용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28576B2 (en) 2018-03-27
US20150139516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Deep learning for image enhancement and correction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state-of-the-art and challenges
Sijbers et al. Automatic estimation of the noise variance from the histogram of a magnetic resonance image
Friedli et al. Improvement of renal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readout-segmented echo-planar imaging at 3 T
KR101518751B1 (ko) 다중 대조도 자기공명영상에서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CN100468459C (zh) 基于边缘检测的局域化抗混叠方法
US9194927B2 (en) Simple method to denoise ratio image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Poonawalla et al. Diffusion-tensor MR imaging of cortical lesions in multiple sclerosis: initial findings
Uetani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deep learning-based reconstruction specialized for denoising in high-frequency domain: usefulness in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cisternography of the cerebellopontine angle
US10534057B2 (en) Method for dixon MRI, multi-contrast imaging and multi-parametric mapping with a single multi-echo gradient-recalled echo acquisition
KR101359206B1 (ko) 자기공명영상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Sneag et al. Prospective respiratory triggering improves high‐resolution brachial plexus MRI quality
Chahid et al. A New ROI-Base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image denoising using the Squared Eigenfunctions of the Schrödinger Operator
Mathen et al. Analysis of MRI enhancement techniques for contrast improvement and denoising
WO2018210233A1 (en) Intravoxel incoherent motion mri 3-dimensional quantitative detection of tissue abnormality with improved data processing
US10725133B2 (en) Field-mapping and artifact correction in multispectral imaging
Merrem et al. Rapid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without susceptibility artifacts: Single-shot STEAM with radial undersampling and iterative reconstruction
Kafali et al. Phase‐correcting non‐local means filtering for diffusion‐weighted imaging of the spinal cord
EP1790991B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volving a Wiener filter
Li et al. The central vein sign in multiple sclerosis lesions: Susceptibility relaxation optimization from a routine MRI multiecho gradient echo sequence
Shaw et al. Recent Computational advances in denoising for magnetic resonance diffusional kurtosis imaging (DKI)
Zhao et al. k-space weighted image average (KWIA) for ASL-based dynamic MR angiography and perfusion imaging
Goodburn et al. Removing rician bias in diffusional kurtosis of the prostate using real‐data reconstruction
Kuo et al. Toward quantitative fast diffusion kurtosis imaging with b‐values chosen in consideration of signal‐to‐noise ratio and model fidelity
US11112480B2 (en) Compressed sensing with regularization parameter
WO2019229758A1 (en) Local transform-based data fusion for high resolution dynamic m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5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