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8452B1 -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452B1
KR101518452B1 KR1020150038418A KR20150038418A KR101518452B1 KR 101518452 B1 KR101518452 B1 KR 101518452B1 KR 1020150038418 A KR1020150038418 A KR 1020150038418A KR 20150038418 A KR20150038418 A KR 20150038418A KR 101518452 B1 KR101518452 B1 KR 10151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elt
mounting table
knitting machine
circular kn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식
Original Assignee
(주) 누리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누리텍스 filed Critical (주) 누리텍스
Priority to KR102015003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4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환편기에 실을 공급하기에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환편기용 피더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CONTROL APPARATUS OF YARN-SUPPLY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기에 실을 공급하기에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환편기용 피더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는 상부에 실공급기(2)가 설치되고, 상기 실공급기(2)는 환편기의 상부에 설치된 원형 설치대(1)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니들로 실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공급기(2)의 각 풀리(3)에는 구동벨트(4)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벨트(4)에는 장력조절장치(5)가 설치된다. 이때, 구동시 구동벨트(4)가 느슨해지면 풀리와 롤러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이 끊어지면서 원단에 결함이 발생하므로 구동벨트(4)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력조절장치(5)는 고정간(6)에 안내홈(8)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8)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편(9)에 나사홈(10)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10)에는 상기 장력조절롤러(7)가 축설된 지지대(11)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삽입된 고정나사(12)가 체결되어 지지대(11)가 고정간(6)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간(6) 전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동벨트(4)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력조절장치(5)는 벨트가 늘어났을 때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조여진 고정나사(12)를 풀면 상기 고정나사(12)에 의하여 이동편(9)과 지지대(11)가 고정간(6)에 고정된 상태에서 느슨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편(9)과 지지대(11)가 고정간(6)에서 느슨하여진 상태에서 지지대(11)를 밀거나 당겨 벨트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 고정나사(12)를 조여 지지대 (11)와 이동편(9)을 고정간(6)에 고정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나사(2)를 풀어야 하는 데, 이때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는 환편기의 상부에 구성된 설치대(1)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매우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장력조절롤러(7)의 장력조절시 별도의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나사(2)를 풀고 조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이동편(9)의 경우에 지지대(11)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나사(12)가 고정간(6)의 내부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하부에서는 고정나사(12)가 보이지 않아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시 작업자가 일일이 의자 등을 받쳐놓고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장력조절롤러의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구동벨트의 장력이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장시간 구동 중인 구동벨트는 서서히 구동벨트의 장력상태가 느슨해지는 과정(정확하게는 벨트의 내경이 커지는 현상)을 거치게 되는데, 이처럼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는 구동 중인 구동벨트에 대해서는 환편기를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은 이상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을 수행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6261호(등록일: 2000년07월05일), 발명의 명칭: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3773호(등록일: 2001년05월30일), 발명의 명칭: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발명은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기에 실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중의 환편기에서 실공급기의 각 풀리를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환편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일측에 설치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전단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공급기의 풀리를 연결시키는 구동벨트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측 전방 안내롤러를 통해 이동되는 구동벨트를 가이드하여 상기 타측 전방 안내롤러로 이동시키는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아암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가 신축되면 그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설치대의 중앙부분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회동아암과, 상측에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회동아암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아암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벨트를 가압하게 구성되어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한쌍의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를 이용하여 환편기에 실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을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실린더를 신장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구동벨트의 장력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환편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서 장력유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다른 장력유지수단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서 장력유지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에서 벨트장력표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는 환편기 상부에 설치되는 실공급기(2)의 구동벨트(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공지의 환편기에 적용되되, 환편기에 설치된 실공급기(2)들의 각 풀리(3)에 연결된 구동벨트(4)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는 설치대(100), 전방 가이드롤러(210), 후방가이드 롤러(220), 실린더(300), 링크부재(400), 회전축(500), 회동아암(600) 및 장력조절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대(100)는 환편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공급기(2)의 일측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설치대(100)는 후술하는 전방 가이드롤러(210), 후방가이드 롤러(220), 실린더(300) 및 장력조절롤러(7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실공급기(2)들이 설치되는 원형 설치대(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210)는 상기 설치대(100)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공급기(2)의 풀리(3)를 연결시키는 구동벨트(4)를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20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풀리(P)를 연결시키는 구동벨트(4)의 양단이 가이드되게 구성된다.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설치대(1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일측 전방 안내롤러(210)를 통해 이동되는 구동벨트(4)를 가이드하여 상기 타측 전방 안내롤러(210)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00)는 상기 설치대(10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00)는 상기 설치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장력조절롤러(700)가 구동벨트(4)를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신장될 때 스텝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장력조절롤러(700)에 대한 구동벨트(4)의 가압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벨트(4)의 늘어난 정도에 따라 실린더(300)가 신장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구동벨트(4)의 장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00)는 환편기의 하측에 마련되는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재(400)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아암(3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400)는 상기 실린더(300)가 신축되면 그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400)는 실린더(300)가 신장되면 그 일단이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타단이 전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구성되고, 실린더(300)가 축소되면 그 일단이 전측으로 이동되면서 타단이 후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00)은 상기 설치대(100)의 중앙부분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대(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500)은 지지대(510)의 중앙부분에 미도시된 베어링체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아암(600)은 상기 회전축(50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아암(600)은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510)에 설치된 회전축(500)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장력조절롤러(700)는 상측에 상기 링크부재(4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회동아암(6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장력조절롤러(700)는 장력조절롤러의 축(710) 상단에 링크부재(4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장력조절롤러의 축(720) 하단에 회동아암(6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롤러(700)는 상기 실린더(300)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동아암(600)이 회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아암(600)의 단부에 결합된 장력조절롤러(700)는 구동벨트(4)를 가압하여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환편기용 실공급기(2)의 각 풀리(3)에 결합되는 구동벨트(4)는 오랜 사용 또는 온도 또는 작업환경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이때, 환편기의 구동시 구동벨트(4)가 느슨해지면 풀리와 롤러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이 끊어지면서 원단에 결함이 발생하므로 구동벨트(4)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도 4의 상태에서 구동벨트의 장력 조절이 필요할 때, 조작스위치를 작동시켜 실린더(300)를 신장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아암(310)이 신장되면서 실린더(300)의 단부에 결합된 링크부재(400)의 일단이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링크부재(400)의 타단이 전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축 상단에 링크부재(4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축 하단에 회동아암(6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장력조절롤러(700)는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동아암(600)이 회전하면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아암(600)의 회전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회전된 장력조절롤러(700)는 구동벨트(4)를 가압하게 되고, 장력조절롤러(700)의 가압에 의해 구동벨트(4)의 장력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00)는 스텝 이동되면서 신장되기 때문에 구동벨트(4)를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는 환편기에 실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동력을 연결하는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을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실린더를 신장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구동벨트의 장력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구동벨트(4)는 장력유지수단(800)을 통해 환편기의 작동중에도 그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유지수단(800)은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00)이 중앙에 설치되게 상기 회전축을 감싸 설치되며 내면 일측에 제1스프링 고정홈(811)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아암(600)이 회전하도록 일정각도 절개된 회전절개부(812)가 형성되는 본체(8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절개부(812)에 의해 회동아암(600)의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00)을 나선형으로 감는 형태로 스파이럴 스프링(8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820)의 일단은 상기 본체(810)의 제1스프링 고정홈(811)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5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스프링 고정홈(520)에 끼움 결합된다. 즉,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820)의 탄성력은 회동아암(600)이 구동벨트(4) 측으로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장력유지수단(800)은 상기 본체(810)의 상면을 마감하는 커버(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력유지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가 작동할 때, 장시간 구동 중인 구동벨트(4)는 서서히 구동벨트의 장력상태가 느슨해지는 과정(정확하게는 벨트의 내경이 커지는 현상)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본체(810)와 회전축(500)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820)에 의해 회동아암(600)이 구동벨트(4) 측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구동벨트(4)의 장력이 느슨해진 만큼 장력조절롤러(700)가 구동벨트(4)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편기를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고도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구동 중인 구동벨트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구동벨트의 장력이 느슨해진 만큼 대응되게 장력을 보상하여, 환편기의 작동중에도 구동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벨트장력표시수단을 통해 환편기의 작동중 구동벨트(4)의 사용에 따른 가변길이를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타를 통해 구동벨트(4)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00)의 후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220)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설치대(1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 슬릿(12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9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0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120)과 대응되게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봉(920)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910)의 하단에는 가이드 슬릿(120)을 관통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920)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더(9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00)의 후단과 이동플레이트(910)를 연결하여 구동벨트(4)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94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910)가 스프링(940)의 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여 구동벨트(4)의 늘어난 길이를 표시하는 벨트장력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장력표시수단은, 상기 설치대(10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91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감지판(911)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이동플레이트(910)가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센서(950)와, 상기 감지센서(950)에서 수신된 이격거리 값을 변환하여 변환값을 송신하는 제어부(960)와, 상기 제어부(960)에서 변환된 변환값에 대한 신호를 송신받아 이동플레이트(910)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9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편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 중인 구동벨트(4)가 온도상승 혹은 마모현상에 의하여 늘어나 느슨하게 되면, 이동플레이트(910)와 설치대(10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940)의 장력에 의하여 항상 구동벨트(4)의 긴장된 장력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벨트(4)의 느슨해지는 정도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스프링(940)의 장력방향인 전방으로 이동플레이트(910)가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벨트(4)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이동된 이동플레이트(910)의 위치는 감지센서(950)에 의하여 실시간 측정되고, 이렇게 측정된 거리정보는 제어부(960)에서 변환되어 모니터(97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플레이트(910)의 이동한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출력하는 벨트장력표시수단을 통하여, 작업자는 구동벨트(4)의 사용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이로부터 실린더(300)를 신장하여 구동벨트(4)의 장력상태를 조정하거나 구동벨트(4)의 마모 상태가 한계점인 경우에는 구동벨트(4)를 교체시점을 정확히 확인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설치대 210: 전방 가이드롤러
220: 후방가이드 롤러 300: 실린더
400: 링크부재 500: 회전축
600: 회동아암 700: 장력조절롤러

Claims (3)

  1. 환편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공급기의 일측에 설치된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의 전단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공급기의 풀리를 연결시키는 구동벨트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측 전방 안내롤러를 통해 이동되는 구동벨트를 가이드하여 상기 타측 전방 안내롤러로 이동시키는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아암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게 설치되되, 상기 실린더가 신축되면 그 일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한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설치대의 중앙부분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회동아암과,
    상측에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회동아암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아암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벨트를 가압하게 구성되어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한쌍의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는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환편기의 작동중에도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중앙에 설치되게 상기 회전축을 감싸 설치되며 내면 일측에 제1스프링 고정홈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아암이 회전하도록 일정각도 절개된 회전절개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회전축을 나선형으로 감는 형태로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제1스프링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스프링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상면을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의 후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게 구성되되, 상기 설치대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가이드 슬릿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가 구성되며,
    상기 설치대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과 대응되게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단에는 가이드 슬릿을 관통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대의 후단과 이동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구동벨트의 장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여 벨트의 늘어난 길이를 표시하는 벨트장력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장력표시수단은, 상기 설치대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감지판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이동플레이트가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이격거리 값을 변환하여 변환값을 송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변환값에 대한 신호를 송신받아 이동플레이트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KR1020150038418A 2015-03-19 2015-03-19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Active KR10151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18A KR101518452B1 (ko) 2015-03-19 2015-03-19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18A KR101518452B1 (ko) 2015-03-19 2015-03-19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452B1 true KR101518452B1 (ko) 2015-05-11

Family

ID=5339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18A Active KR101518452B1 (ko) 2015-03-19 2015-03-19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45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893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压力稳定型输纱机构
CN105438891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张力可调型输纱机构
CN105442173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张力可调型针织机
KR102126946B1 (ko) * 2020-02-10 2020-07-08 김모환 메탈릭사 급사장치
CN116288902A (zh) * 2023-04-19 2023-06-23 安徽佳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张力可调型针织机
KR102599655B1 (ko) * 2023-05-03 2023-11-06 박영신 환편기용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
WO2025030895A1 (zh) * 2023-08-08 2025-02-13 江苏欣战江纤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假捻变形丝机的进丝张力控制设备
KR102837917B1 (ko) 2025-03-27 2025-07-24 (주)대한로프 선박 로프용 소선 장력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750A (ja) * 1993-03-30 1994-11-01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テークダウン装置
JP2000238611A (ja) * 1999-02-23 2000-09-0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テンションレデューサ
KR200206308Y1 (ko) * 2000-07-07 2000-12-01 신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편기의 서브롤러 어셈블리
KR200233773Y1 (ko) * 2001-03-03 2001-09-26 장병규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750A (ja) * 1993-03-30 1994-11-01 Sipra Patentwickl & Beteiligung Gmbh テークダウン装置
JP2000238611A (ja) * 1999-02-23 2000-09-05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におけるテンションレデューサ
KR200206308Y1 (ko) * 2000-07-07 2000-12-01 신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편기의 서브롤러 어셈블리
KR200233773Y1 (ko) * 2001-03-03 2001-09-26 장병규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893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压力稳定型输纱机构
CN105438891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张力可调型输纱机构
CN105442173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张力可调型针织机
KR102126946B1 (ko) * 2020-02-10 2020-07-08 김모환 메탈릭사 급사장치
CN116288902A (zh) * 2023-04-19 2023-06-23 安徽佳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张力可调型针织机
KR102599655B1 (ko) * 2023-05-03 2023-11-06 박영신 환편기용 가이드 롤러 어셈블리
KR102632162B1 (ko) * 2023-05-03 2024-01-31 박영신 원단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환편기 롤러 구조
WO2025030895A1 (zh) * 2023-08-08 2025-02-13 江苏欣战江纤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假捻变形丝机的进丝张力控制设备
KR102837917B1 (ko) 2025-03-27 2025-07-24 (주)대한로프 선박 로프용 소선 장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452B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장력조절장치
KR101030464B1 (ko) 균일한 벨트장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 및 산업용 팬의 구동모터 베이스
CN203824854U (zh) 一种智能耐磨试验机
US4146190A (en) Web winding control system
CN211254097U (zh) 一种皮带张紧装置
CN209554151U (zh) 一种输送带纠偏装置
US6685010B2 (en) Device for inward and/or outward transfer of material to be conveyed
PL2134481T3 (pl) Walec prasujący z dwiema osiami obrotu
JP5052951B2 (ja) ベルトコンベア及びそのベルト緊張度合い調整装置
EP0237493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fabric tension during knitting in automatic flat knitting machines
CN212374609U (zh) 一种电线张力缓冲架
US2514293A (en) Wrapping and twisting machine
KR101258224B1 (ko)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101926733B1 (ko) 탄소섬유 공급설비용 탄소섬유 피딩장치
CN211077795U (zh) 一种ud布生产用验布台
CN108818633A (zh) 一种干燥剂切料机
KR101989504B1 (ko) 탄소섬유 공급설비용 탄소섬유 커팅장치
KR101528619B1 (ko) 제과,제빵 포장전단계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조정장치
KR101304285B1 (ko) 피스결합기용 피스 공급장치
CN209481919U (zh) 自动送纬纱装置
JP3952340B2 (ja) 伸縮テープ用フィーダー
KR101980145B1 (ko) 탄소섬유 공급설비
JP2007244358A (ja) 練製食品加工機の生地処理コンベア
JP6085840B2 (ja) 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CN218144019U (zh) 一种新型伸缩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