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339B1 - A glasses for interior - Google Patents
A glasses for interi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8339B1 KR101518339B1 KR1020130081964A KR20130081964A KR101518339B1 KR 101518339 B1 KR101518339 B1 KR 101518339B1 KR 1020130081964 A KR1020130081964 A KR 1020130081964A KR 20130081964 A KR20130081964 A KR 20130081964A KR 101518339 B1 KR101518339 B1 KR 101518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crack
- present
- piece
- interi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3 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0 laminat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1/00—Manufacture of rippled or crackled 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랙이 형성된 인테리어 유리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유리와;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제2유리와; 크랙이 형성된 상기 제2유리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조각유리와; 상기 제2유리 및 상기 조각유리 위로 접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제공하여, 원하는 형상대로 스케치하여 원하는 모양의 크랙을 형성할 수 있고, 크랙을 형성시킨 뒤에 제3유리를 접합하기 때문에 크랙형성과정에서 제3유리의 파손위험이 사라지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glass panel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glass panel material having crack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second glass bonded to the first glass; A piece of glass adhered to the first glass adjacent to an edge of the second glass on which a crack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glass plate material including a first glass and a second glass and a third glass joined to the second glass and the glass flakes to form a desired shape of a crack to form a desired shap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breakage of the third glass is eliminated during the crack formation proce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랙이 형성된 유리가 조각유리에 둘러쌓여 형성된 인테리어 유리판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glass panel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glass panel material in which a cracked glass is surrounded by a glass pane.
통상의 유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창문이나 현관문 등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서로 볼 수 있도록 한다.The usual glass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building, such as windows and front doors, can be seen by each other.
유리는 최근 들어 일반적인 유리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투시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의 자재로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유리에 색감을 입힌다거나 유리 조각들을 서로 덧대고 붙여서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glass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terior material as well as a perspective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a general glass. At this time, the glass is colored or used as an interior material by attaching and attaching glass pieces to each other.
유리는 깨지거나 금이 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러 장의 유리를 포개어 지도록 접합시켜서 사용하기도 한다.Because the glass is cracked or cracked, it is sometimes used by folding several sheets of glass together.
최근 들어서 유리의 깨지거나 금이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크랙을 형성시키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Recently, a technique of forming cracks using cracked or cracked properties of glass has been introduced.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는 소재 자연무늬가 구성 내장된 접합유리를 개시하고 있다.A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0410683 discloses a laminated glass having a built-in natural pattern.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의 접합유리는 양쪽 면에 외부 투명유리가 구성되고 두 외부유리 사이에 강화유리가 접합된 상태에서 가운데 접합된 강화유리에 2차 충격을 가하여 크랙무늬를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0410683 discloses a bonded glass having an outer transparent glass on both sides and a tempered glass bonded between two outer glass, and a secondary impact is applied to the middle bonded glass to form a crack pattern Lt; / RTI >
그러나,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는 강화유리가 외부투명유리 사이에서 접합된 상태로 충격을 받기 때문에 강화유리의 가장자리에만 충격을 가할 수 있을 뿐 강화유리의 다른 부위에는 타격을 가하여 크랙무늬를 형성시킬 수 없고, 특히 크랙이 형성된 부위에 색감을 입힐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20-0410683 discloses that since the tempered glass is impacted in the state of being bonded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glass, impact can be applied only to the edge of the tempered glass, Crack patterns can not be formed, and there is a limit in particular that a color can not be imparted to a cracked portion.
또한,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는 강화유리가 외부투명 유리 사이에서 접합된 상태에서 충격을 받기 때문에 외부투명 유리와 강화유리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유리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0683 of the prior art discloses that since the tempered glass is impacted in the state of being bonded between the outer transparent glasses, the outer transparent glass and the tempered glas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ll be.
따라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0683호에 의하면 크랙무늬를 형성하는데 매우 조심스러운 작업공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도중 외부유리가 파손될 위험성까지 안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Utility No. 20-0410683, it takes a very careful work process to form a crack pattern, so that the work takes a long time and the outer glass may be damaged during the work.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제공하여, 제2유리에 크랙을 형성시킨 뒤에 제3유리로 마감을 함으로써 제2유리에 용이하게 골고루 크랙을 형성할 수 있으며, 크랙형성 과정에서 제3유리의 파손 위험이 전혀 없도록 하고, 제2유리 주위로 조각유리를 설치가능하게 됨으로써 조각유리가 다양한 색깔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ior glass plate, which can easily crack evenly on the second glass by forming a crack on the second glass and then finishing with the third gla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breakage of the third glass and to install the glass flakes around the second glass so that the glass flakes can be made of various colors of glass to create various interior effects.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유리와;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제2유리와; 크랙이 형성된 상기 제2유리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조각유리와; 상기 제2유리 및 상기 조각유리 위로 접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glass; A second glass bonded to the first glass; A piece of glass adhered to the first glass adjacent to an edge of the second glass on which a crack is formed; And a third glass bonded onto the second glass and the piece glass.
또한, 상기 크랙은 제1크랙과; 상기 제1크랙과 사이각을 이루면서 상기 제1크랙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크랙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Further, the crack includes a first crack; And a second crack extending from the first crack at an angle between the first crack and the second crack.
또한, 상기 제2유리는 상기 조각유리와 높이 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Further, the second glass includes an interior glass plate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lass flakes.
또한, 상기 크랙에는 도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rack includes an interior glass plat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paint.
또한, 상기 조각유리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조각유리로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iece glass includes an interior glass plat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of glas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유리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glass is opaqu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원하는 형상대로 스케치하여 원하는 모양의 크랙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esired shape of a crack can be formed by sketching according to a desired shape.
둘째, 크랙을 형성시킨 뒤에 제3유리를 접합하기 때문에 크랙형성과정에서 제3유리의 파손위험이 사라지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third glass is bonded after forming the cra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breakage of the third glass is eliminated during the crack formation.
셋째, 크랙이 형성된 제2유리 주위로 조각유리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glass can be installed around the cracked second glass, various interior effects can be created.
넷째, 제2유리와 조각유리가 인접하는 부위에서 V커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cutting effect can be obtain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glass and the glass flak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의 전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의 모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단계의 일부모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각유리가 제2유리의 가장자리에 인접될 때 인접한 부분이 각면 처리가 된 모습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second 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glas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view of a finishing ste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eighboring portion of the glass is faced when the glass piece is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econd gla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1유리(100)는 두께가 3mm인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유리(200)는 제1유리(1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조각유리(400)가 제2유리(2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제1유리(100)위에 접합된다.The
제2유리(200)는 제1유리(100) 또는 조각유리(400)와 다른 색상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제2유리(200)는 조각유리(400)와 높이차를 이룰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200)는 조각유리(4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제2유리(200)의 상면과 제3유리(300)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사이공간(미도시)에 의하여 빛의 굴절 및 입체적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제1사이공간(미도시)에는 사진, 액자, 기타 자연무늬 부재 등이 설치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가 연출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refraction and the stereoscopic effect of light can be maximized by the first space (not shown)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200)는 조각유리(40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조각유리(400)의 상면과 제3유리(300)의 하면, 그리고 제2유리(200)의 측면은 제2사이공간(미도시)을 이루게 된다.The
제2사이공간(미도시)은 빛의 굴절 및 입체적 효과를 이끌어내게 되고, 제2사이공간(미도시)에 앞서 언급한 사진, 액자, 기타 자연무늬 부재 등이 설치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space (not shown) leads to the refraction and the stereoscopic effect of light, and the photo, frame and other natural pattern members mentioned above can be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not shown), thereby maximizing the interior effect I can do it.
도7과 같이 조각유리(400)가 제2유리(200)와 인접한 부분은 각면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V커팅의 느낌을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portion of the
조각유리(400)의 가장자리와 제2유리(200)의 가장자리부가 모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조각유리(400)와 제2유리(200)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조각 유리의 가장자리와 제2유리(200)의 가장자리 사이 공간은 V자형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edges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각유리(400)는 복수개가 인접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다.A plurality of pieces of
보다 상세하게는, 조각유리(400)는 제2유리(200)에 인접하면서 제1유리(100)에 접합되는 제1조각유리(미도시)와, 제1조각유리(미도시)와 인접하면서 제1유리(100)에 접합되는 제2조각유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따라서, 제1조각유리(미도시)와 제2유리(200) 사이, 그리고, 제2조각유리(미도시)와 제1조각유리(미도시)사이에는 각각 V홈이 형성된 듯한 효과를 연출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는 도7에서 표현되고 있다.Therefore, the effect of forming a V-groove between the first glass pane (not shown) and the
제2유리(200) 및 조각유리(400)와 제1유리(100) 사이에는 접합용 EVA필름 또는 PVB액상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유리(200)와 조각유리(400)는 제1유리(100)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EVA film for bonding or the PVB liquid adhesive can be used between the
조각유리(400)는 제2유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2유리(200)를 포위하도록 제1유리(100)위로 접합될 수 있다.The
조각유리(400)들이 밀리지 않도록 조각유리(400)와 제2유리(200)를 테이프 등으로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다음으로 제2유리(200)를 타격하여 자연스러운 크랙을 형성시킨다.Next, the
크랙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제2유리(200)에 망치 등 도구를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이룩할 수도 있고 기타 제2유리(200)에 크랙을 형성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The method of forming the crack can be achieved by hitting the
크랙이 형성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in which cracks are form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제2유리(200)의 표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스케치한다.First, the image to be expressed is sketched on the surface of the
제2유리(200)의 표면에는 칼 등으로 구상한 형상을 스케치하게 되기 때문에 칼로 홈이 파인 형태로 스케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sphere shape is sketched on the surface of the
이때, 유리를 녹여 홈을 형성시킨는 화학약제를 스케치도구로 사용하여 스케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ketch using a chemical agent which forms a groove by melting glass as a sketch tool.
타격도구를 사용하여 스케치를 따라서 두드려 작은 크랙들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striking tool can be used to tap into the sketch to form small cracks.
크랙은 스케치 주위로 얇고 가늘게 퍼지듯이 번지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crack is formed by spreading thinly and thinly around the sketch, so that a more natural pattern is formed.
다음으로 크랙이 형성된 제2유리(200)와 조각유리(400) 위로 앞서 언급한 접합용 필름을 깔고 그 위로 제3유리(300)를 접합시키게 되고 제3유리(300)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접합가마에서 소성작업도 가능하다.Next, the above-mentioned bonding film is laid over the cracked
제3유리(300)는 두께가 3mm인 투명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유리(2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조각유리(400)가 각각 인접되도록 배치되고 있으며, 제2유리(200) 및 조각유리(400)의 아래로는 제1유리(100)가 접합되어 있고 제2유리(200) 및 조각유리(400)의 위로는 제3유리(300)가 접합되어 있다.A
제3유리(300)와 제1유리(100)는 모두 두께가 3mm인 투명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각유리(400)및 제2유리(200)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조각유리(400) 및 제2유리(20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제2유리(200)는 두께가 5mm인 강화유리로 이루어져 자연스러운 크랙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The
조각유리(400)는 두께가 5mm인 투명 비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정도이다.4 is a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접합단계(S1)는 제1유리(100)에 제2유리(200)를 접합하고, 제2유리(2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제1유리(100)에 조각유리(4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The joining step S1 includes joining the
다음으로 크랙형성단계(S2)에서 접합단계(S1)를 거친 뒤 제2유리(200)에 크랙을 형성시킨다.Next, a crack is formed in the
마감단계(S3)는 크랙형성단계(S2)에서 크랙인 형성된 제2유리(200)와 제2유리(200)에 인접하여 설치된 조각유리(400) 위로 제3유리(300)를 접합시키는 단계로서 인테리어 유리판재가 완성되는 단계이며, 마감단계(S3)에서는 제3유리(300)가 접합된 상태에서 접합가마에 넣어 소성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nishing step S3 is a step of bonding the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유리(200)에 크랙이 단절되어 형성된 모습도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rack is cut off in a
제1크랙(210)은 제2유리(200)에서 연속적이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크랙(220)은 제1크랙(210)과 사이각을 이루면서 제1크랙(210)으로부터 잔가지를 이루면서 뻗어 나가 형성된다.The
제1크랙(210)을 먼저 스케치하여 제2유리(200)위에 형성시킨 뒤에 제1크랙(210)을 따라 타격을 가함으로써 제2크랙(22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크랙에는 도료가 포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rack includes a paint.
다시 말해서, 제1크랙(210)에는 도료가 포함되어 컬러를 연출하고, 제2크랙(220)에는 도료가 불포함되어 무색의 자연무늬를 이룰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반대로, 제2크랙(220)에는 도료가 포함되어 컬러를 연출하고, 제1크랙(210)에는 도료가 불포함되어 무색의 자연무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On the contrary,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제1크랙(210)이 단속적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단계의 일부모습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각유리가 제2유리의 가장자리에 인접될 때 인접한 부분이 각면 처리가 된 모습도이다.FIG. 6 is a partial view of a finishing ste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jacent portion is subjected to a facet treatment when the flakes are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econd glas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는 투명유리 대신 거울이나 착색유리(미도시) 또는 그래픽시트(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1유리(100)는 불투명 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는 벽면 시공시에 벽면의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유리(100)가 투명유리 대신 거울이나 착색유리(미도시) 또는 그래픽시트(미도시) 처리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마감단계(S3)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Furth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제1유리 200 : 제2유리
300 : 제3유리 400 : 조각유리
S1 : 접합단계 S2 : 크랙형성단계
S3 : 마감단계100: first glass 200: second glass
300: Third glass 400: Piece glass
S1: joining step S2: crack forming step
S3: Closing phase
Claims (6)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제2유리와;
크랙이 형성된 상기 제2유리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유리에 접합되는 조각유리와;
상기 제2유리 및 상기 조각유리 위로 접합되는 제3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유리는 상기 조각유리와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유리가 상기 조각유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면, 상기 제2유리의 상면과 상기 제3유리의 하면 사이에 제1사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리가 상기 조각유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면, 상기 조각유리의 상면과 상기 제3유리의 하면과 상기 제2유리의 측면 사이에 제2사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유리판재.A first glass;
A second glass bonded to the first glass;
A piece of glass adhered to the first glass adjacent to an edge of the second glass on which a crack is formed;
And a third glass bonded onto the second glass and the piece glass,
The second glass is provided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glass piece,
A firs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las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glass when the second glass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lass flakes,
And a second space is form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piece glass and a lower surface of the third glass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glass when the second glass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iece glass. .
상기 조각유리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조각유리로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유리판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ece glas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of glass adjacent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964A KR101518339B1 (en) | 2013-07-12 | 2013-07-12 | A glasses for interi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964A KR101518339B1 (en) | 2013-07-12 | 2013-07-12 | A glasses for interi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671A KR20150007671A (en) | 2015-01-21 |
KR101518339B1 true KR101518339B1 (en) | 2015-05-07 |
Family
ID=5257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1964A Active KR101518339B1 (en) | 2013-07-12 | 2013-07-12 | A glasses for interi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8339B1 (en) |
-
2013
- 2013-07-12 KR KR1020130081964A patent/KR10151833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671A (en) | 2015-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1916C (en) | Bent, veneer-encapsulated heat-treated safety glass pan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US905177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heat gain reduction in a window assembly | |
US5840391A (en) | Decorative glass sheet with simulated beveled pan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
CN207503194U (en) | A kind of cover board and touch screen | |
KR101518339B1 (en) | A glasses for interior | |
KR101518340B1 (en) | A glasses for interior | |
GB2550838A (en) | Improvement to double glazing leaded and stained glass | |
KR101189813B1 (en) | Pair glass with decor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210446B1 (en) | Pair glass with decoration panel and molding | |
KR101584282B1 (en) | Decoration pair glass to express fine desig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410683Y1 (en) | Laminated glass with material natural pattern | |
WO2012150476A1 (en) | Glass panel with formed edges and method of making it | |
KR101518338B1 (en) | A glasses for interior | |
RU79134U1 (en) | STAINED GLASS AND FENCE PANEL | |
GB2313144A (en) | Double glazed unit with internal vacuum formed bevelled sheet | |
GB2169239A (en) | Decorative laminated windows | |
JP2005105653A (en) | Fitting with double glazing | |
EP3760808B1 (en) | Decorative tile with stereoscopic image display | |
KR200175108Y1 (en) | Pair glasses having rubber finishing sheet | |
GB2140348A (en) | A laminate | |
AU2018286476A1 (en) | Artisanal glass pane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
RU184349U1 (en) | PANEL DECORATIVE | |
RU184439U1 (en) | Stereoscopic decorative tiles | |
KR101518705B1 (en) | Decoration glass with decoration plat capable of free arrangement and surface treated pattern | |
KR101517006B1 (en) | Method of producing glass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4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