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152B1 -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폴리시 공급 시스템,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 및 폴리시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폴리시 공급 시스템,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 및 폴리시 공급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8152B1 KR101518152B1 KR1020137017751A KR20137017751A KR101518152B1 KR 101518152 B1 KR101518152 B1 KR 101518152B1 KR 1020137017751 A KR1020137017751 A KR 1020137017751A KR 20137017751 A KR20137017751 A KR 20137017751A KR 101518152 B1 KR101518152 B1 KR 101518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policy
- mobile terminal
- state
- base s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이동 관리 노드가 무선 기지국에 이동 단말의 상태 제어를 요구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가 상태 제어 요구를 송신할 때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기지국이 이동 단말에 대한 상태 제어를 실행할 때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서 무선 기지국이 이동 관리 노드로부터 상태 제어 요구를 수신할 때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서 무선 기지국이 이동 관리 노드로부터 상태 제어 요구를 수신할 때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이동 단말이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접속 및 핸드오버를 개시할 때에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태 제어를 개시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 도면.
도 18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이동 관리 노드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접속 통지를 수신할 때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22는 제5 실시 형태에서 이동 관리 노드가 특정한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태 제어를 결정할 때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 도면.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에서 이동 관리 노드가 특정한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태 제어를 개시할 때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제6 실시 형태에서 체크 항목 관리부(208)가 관리하는 체크 항목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26은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27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이동 관리 노드가 이동 단말의 통신 감시를 개시할 때로부터 이동 관리 노드가 특정한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태 제어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의 처리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 관리 노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 폴리시의 예를 도시하는 표.
도 31은 배경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2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100: 무선 기지국
101: 코어측 인터페이스
102: 무선 인터페이스
103: 상태 제어부
104: 감시부
105: 타이머 기능
106: IDLE 천이 개시부
103B: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부
107: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블록부
113C: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부
108: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무선 제어부
103H: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상태 제어부
107H: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블록부
200: 이동 관리 노드
201: 인터페이스
202: 제어 결정부
203: 단말 관리부
204: 폴리시 관리부
205: 폴리시 통지부
204B: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폴리시 관리부
204C: 제3 실시 형태에서의 폴리시 관리부
202D: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결정부
203D: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 관리부
204C: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결정부
206: 제5 실시 형태에서의 가입자 서버 인터페이스
202F: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결정부
204F: 제6 실시 형태에서의 폴리시 관리부
207: 제6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감시부
208: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체크 항목 관리부
209: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블록 개시 통지부
210: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블록 정지 통지부
300: 이동 단말
400: 가입자 서버
Claims (34)
-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 및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폴리시 공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의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이용되는 제1 제어 폴리시를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 천이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상태 천이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상태 사이에서 천이하는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시간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을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상태 사이에서 천이시키는 계기가 되는 요구 또는 이벤트를 블로킹(blocking)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또는 상기 이벤트를 블로킹하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블로킹을 해제(deactivating)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로킹을 해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에 있고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않을 경우의 간헐 수신의 시간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폴리시를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간헐 수신의 시간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적용하는 대상의 이동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일체로 배치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과 일체로 배치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폴리시 공급 수단과 통신 가능한 제어 장치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이용되는 제1 제어 폴리시를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 천이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상태 천이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에서 천이하는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하여 상기 시간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을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에서 천이시키는 계기가 되는 요구 또는 이벤트를 블로킹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또는 상기 이벤트를 블로킹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블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로킹을 해제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에 있고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않을 경우의 간헐 수신의 시간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폴리시를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으로부터 또한 취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간헐 수신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를 또한 행하는 제어 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적용하는 대상의 이동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요구를 상기 폴리시 공급 수단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기지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과 일체로 배치되는 제어 장치. -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과 통신 가능한 폴리시 공급 시스템으로서,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 대상으로 할 제어 대상 단말을,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이동 단말 중에서 결정하고, 상기 제어 대상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적용될 제1 제어 폴리시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한 제1 제어 요구를 상기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태 천이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상태 사이에서 천이하는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이동 단말을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에서 천이시키는 계기가 되는 요구 또는 이벤트를 블로킹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는 상기 블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폴리시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이 상기 CONNECTED 상태에 있고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않을 경우의 간헐 수신의 시간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폴리시를 또한 결정하고,
상기 통지 수단은 상기 제2 제어 폴리시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요구를 상기 제어 수단에 또한 통지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 또는 핸드오버하는 것을 계기로 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결정할 때에,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가입자 정보의 하나로서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취득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이동 단말의 통신 특성에 따라 결정된 복수의 제어 폴리시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의 통신 특성에 대응하는 제어 폴리시를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로서 결정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1개의 통신 단말 중에서 통신 특성이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단말을 상기 제어 대상 단말로서 결정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CONNECTED 상태와 상기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의 빈도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조건,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소정의 시간 이상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요구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기지국 또는 상기 제어 대상 단말과 일체로 배치되는 폴리시 공급 시스템. -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이용되는 제1 제어 폴리시를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폴리시 공급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과 통신 가능한 폴리시 공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폴리시 공급 방법으로서,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의 대상으로 할 제어 대상 단말을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이동 단말 중에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적용될 제1 제어 폴리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한 제1 제어 요구를 상기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시 공급 방법. -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이용되는 제1 제어 폴리시를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폴리시 공급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코어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제어 수단과 통신 가능한 폴리시 공급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폴리시 공급 방법을 컴퓨터에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폴리시 공급 방법은,
CONNECTED 상태와 IDLE 상태 사이의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 대상으로 할 제어 대상 단말을 상기 무선 기지국에 접속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이동 단말 중에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단말에 대한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에 적용되는 제1 제어 폴리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폴리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천이에 관한 제어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한 제1 제어 요구를 상기 제어 수단에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00992 | 2011-01-06 | ||
JPJP-P-2011-000992 | 2011-01-06 | ||
PCT/JP2011/006475 WO2012093434A1 (ja) | 2011-01-06 | 2011-11-21 |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ポリシ供給システム、状態遷移の制御方法、及びポリシ供給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1574A KR20130101574A (ko) | 2013-09-13 |
KR101518152B1 true KR101518152B1 (ko) | 2015-05-06 |
Family
ID=4645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7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8152B1 (ko) | 2011-01-06 | 2011-11-21 |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폴리시 공급 시스템,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 및 폴리시 공급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098176B2 (ko) |
EP (1) | EP2663155A4 (ko) |
JP (2) | JPWO2012093434A1 (ko) |
KR (1) | KR101518152B1 (ko) |
CN (1) | CN103299702B (ko) |
BR (1) | BR112013017458B1 (ko) |
RU (2) | RU2627241C1 (ko) |
WO (1) | WO20120934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525B1 (ko) * | 2010-11-02 | 2012-04-17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장치의 보안 방법 |
WO2013039146A1 (ja) * | 2011-09-16 | 2013-03-21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
CN107659908B (zh) | 2012-07-18 | 2021-06-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数据连接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
JP5993663B2 (ja) * | 2012-08-31 | 2016-09-14 | 株式会社Nttドコモ | 無線基地局装置、無線基地局制御装置及び遷移制御方法 |
EP2905981B1 (en) | 2012-10-04 | 2019-05-15 | NEC Corporation |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core network apparatus and methods of these |
ES2599167T3 (es) | 2012-10-29 | 2017-01-31 | Alcatel Lucent | Optimización de carga de señalización de red y/o de consumo de potencia de equipo de usuario en un sistema móvil de paquetes |
CN104936207A (zh) * | 2014-03-21 | 2015-09-23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用于建立小数据传输连接的方法 |
EP3314829B1 (en) * | 2015-06-29 | 2022-02-2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Communication policy control in a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system |
WO2017007138A1 (ko) | 2015-07-07 | 2017-01-12 | 주식회사 밸류엔지니어링 | 이온주입기용 리펠러, 캐소드, 챔버 월, 슬릿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
US10264611B2 (en) * | 2016-03-29 | 2019-04-16 | Htc Corporation |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sume procedure |
JP6712560B2 (ja) * | 2017-03-17 | 2020-06-24 | Kddi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20113808A (ja) * | 2017-05-09 | 2020-07-27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amf、smf、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7912A1 (en) | 2002-02-08 | 2003-08-14 | Fujitsu Limited |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3370A (ja) * | 1998-04-28 | 1999-11-09 | Toshiba Corp |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とそのデータ通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
US6601195B1 (en) * | 1999-09-09 | 2003-07-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witch adapter testing |
JP2004080584A (ja) * | 2002-08-21 | 2004-03-11 | Fuji Photo Film Co Ltd | 携帯情報端末 |
US7636331B2 (en) | 2004-04-19 | 2009-12-22 | Lg Electronic Inc. |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MX2008009802A (es) | 2006-01-31 | 2008-10-14 | Interdigital Tech Corp | Metodo y sistema para realizar procedimientos de actualizacion celular y actualizacion del area de encaminamiento mientras una unidad transmisora/receptora inalambrca esta en un estado inactivo. |
CN101022653B (zh) * | 2006-02-15 | 2010-12-0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移动性管理状态转换的控制方法 |
JP4744377B2 (ja) | 2006-06-30 | 2011-08-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
US8743825B2 (en) * | 2006-08-17 | 2014-06-03 | Nokia Corporation | Handov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
EP2387283B1 (en) * | 2007-11-13 | 2018-11-28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e/mode transitioning |
JP5020154B2 (ja) | 2008-01-11 | 2012-09-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Csgセル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
EP2273823B1 (en) | 2008-04-08 | 2018-09-12 | NTT DoCoMo, Inc. |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radio network controller, exchange station, and integration device |
JP5132455B2 (ja) | 2008-07-15 | 2013-01-30 | 富士電機株式会社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 |
JP5163582B2 (ja) | 2009-03-31 | 2013-03-13 | 日本電気株式会社 |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
US20100291939A1 (en) * | 2009-05-15 | 2010-11-18 | Yu-Chih Jen | Method of Handl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
US8351358B2 (en) | 2009-05-27 | 2013-01-08 | Venturi Wireless, Inc. | Channel state transition optimization |
JP5638774B2 (ja) | 2009-06-19 | 2014-12-10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車両用ミラー装置 |
WO2010145145A1 (zh) | 2009-09-27 | 2010-12-2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状态转换方法及装置 |
KR20110048468A (ko) * | 2009-11-02 | 2011-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g 셀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A2824011C (en) * | 2011-01-06 | 2019-04-30 | Nec Corporation | Policy determination system, policy determin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US8937880B2 (en) * | 2012-05-09 | 2015-01-20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tate transi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
-
2011
- 2011-11-21 KR KR1020137017751A patent/KR101518152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1-21 RU RU2016104046A patent/RU2627241C1/ru active
- 2011-11-21 WO PCT/JP2011/006475 patent/WO201209343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1-21 EP EP11854773.6A patent/EP2663155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1-11-21 US US13/993,502 patent/US10098176B2/en active Active
- 2011-11-21 CN CN201180064403.7A patent/CN103299702B/zh active Active
- 2011-11-21 BR BR112013017458-7A patent/BR112013017458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11-21 RU RU2013136566/08A patent/RU2579965C2/ru active
- 2011-11-21 JP JP2012551749A patent/JPWO2012093434A1/ja active Pending
-
2017
- 2017-01-04 JP JP2017000101A patent/JP639911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67912A1 (en) | 2002-02-08 | 2003-08-14 | Fujitsu Limited | Station apparatus,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in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TS36.300 V9.4.0, 2010.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3017458A2 (pt) | 2020-10-13 |
JP6399114B2 (ja) | 2018-10-03 |
EP2663155A1 (en) | 2013-11-13 |
JPWO2012093434A1 (ja) | 2014-06-09 |
US20130273900A1 (en) | 2013-10-17 |
US10098176B2 (en) | 2018-10-09 |
BR112013017458B1 (pt) | 2022-11-16 |
CN103299702B (zh) | 2017-07-07 |
RU2579965C2 (ru) | 2016-04-10 |
RU2627241C1 (ru) | 2017-08-04 |
JP2017060203A (ja) | 2017-03-23 |
CN103299702A (zh) | 2013-09-11 |
RU2013136566A (ru) | 2015-02-20 |
WO2012093434A1 (ja) | 2012-07-12 |
KR20130101574A (ko) | 2013-09-13 |
EP2663155A4 (en) | 2016-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8152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폴리시 공급 시스템, 상태 천이의 제어 방법, 및 폴리시 공급 방법 | |
JP6777192B2 (ja) | 移動管理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これらの方法 | |
CN113228736B (zh) | 条件切换中的暂停-恢复 | |
US9661571B2 (en) | Method of determining expiration period of timer, network nod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RU2569361C1 (ru) |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sgw, способ связи в терминале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 |
US20120329458A1 (en) | Method for reducing signalling | |
KR101681624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 sgw,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 sgw 의 수신 방법, 및 단말기의 수신 방법 | |
US20160029431A1 (en) | Method of determining expiration period of timer, network node, base st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