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8012B1 - 라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12B1
KR101518012B1 KR1020140016673A KR20140016673A KR101518012B1 KR 101518012 B1 KR101518012 B1 KR 101518012B1 KR 1020140016673 A KR1020140016673 A KR 1020140016673A KR 20140016673 A KR20140016673 A KR 20140016673A KR 101518012 B1 KR101518012 B1 KR 10151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cutting
molded plate
m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구
Original Assignee
(주)엔하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하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엔하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1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47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95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using compute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7/00Machines, apparatus or hand tools for branding, e.g. using radiant energy such as laser beams
    • B44B7/007Machines, apparatus or hand tools for branding, e.g. using radiant energy such as laser beams using a computer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풀면서 공급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한 및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캐리어에 일정한 개수로 수납 보관하도록 한 편리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라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의 라벨 제조장치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타각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해 타각수단을 작동시켜 피성형판을 타각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동바퀴가 저면에 부착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입력부재와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재로 이루어진 제어수단과;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과; 피성형판을 권취시키고 풀면서 피성형판을 공급하기 위한 릴 형태의 피성형판 공급수단과; 상기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수평으로 폄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피성형판 가공수단과; 상기 피성형판을 타각시 일시 고정하는 피성형판 고정수단과;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고정된 피성형판을 타각하는 타각수단과; 상기 타각된 피성형판을 절단수단으로 공급 및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타각된 피성형판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절단된 피성형판을 일정 수량 나누어 담아 보관 및 이동시키는 캐리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라벨 제조장치{Label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라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풀면서 공급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한 및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캐리어 틀체에 일정한 개수로 수납 보관하도록 한 편리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라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항공기 또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재고부품이나 파트에는, 해당 부품이나 파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생산일자나 제조자 또는 시리얼넘버 등이 타각된 태그플레이트가 매달려 있다. 상기 태그플레이트는 일종의 꼬리표로서 해당 부품이나 파트의 이력을 담고 있으며 조립될 때 제거된다.
상기 태그플레이트에 대상물의 이력이나 정보를 각인하는 방법으로 타각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타각은 금속제 태그플레이트에 원하는 문자나 숫자 등을 새기는 일이다. 그런데 종전의 타각 방식은 대부분 수동 타각 방식이다. 즉, 그 하단면에 문자나 숫자가 새겨진 펀치를 태그플레이트용 금속판에 대고 망치로 두드려 문자나 숫자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수동 타각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음은 물론 반복작업으로 인한 빈번한 오류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11296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0868호와 같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타각하고자 하는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부가 상기 이동판의 스텝모터, 상기 타각부의 스텝모터 및 상기 타각부의 타각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안착판에 안착고정된 피 성형 판을 타각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타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11296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0868호는 피 성형 판을 낱장으로 공급한 후 피 성형 판을 타각한 다음 배출시키는 것으로 작업자가 피성형판을 공급하고 다시 타각 후 타각 완료된 피성형판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작업 효율이 감소하고, 단순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지고 피성형판을 공급하기 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1129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408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32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풀면서 공급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한 및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캐리어에 일정한 개수로 수납 보관하도록 한 편리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라벨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타각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해 타각수단을 작동시켜 피성형판을 타각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동바퀴가 저면에 부착된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입력부재와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재로 이루어진 제어수단과;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과; 피성형판을 권취시키고 풀면서 피성형판을 공급하기 위한 릴 형태의 피성형판 공급수단과; 상기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수평으로 폄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피성형판 가공수단과; 상기 피성형판을 타각시 일시 고정하는 피성형판 고정수단과;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고정된 피성형판을 타각하는 타각수단과; 상기 타각된 피성형판을 절단수단으로 공급 및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타각된 피성형판을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절단된 피성형판을 일정 수량 나누어 담아 보관 및 이동시키는 캐리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피성형판 가공수단은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로울러와 하부 로울러의 상단에 인접되게 설치된 상부 로울러와 상부 로울러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로울러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 및 이동플레이트를 탄성으로 받치고 있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에는 피성형판의 폭(넓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폭 가이드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폭 가이드부는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부에 폭 조절통공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폭 조절통공으로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피성형판 고정수단은 본체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배드의 하단에는 가압실린더가 설치되며, 배드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공에 삽입된 가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가압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 상부의 단턱에는 피성형판을 받쳐주는 가압패드가 설치되며, 배드의 상부면에는 설치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홀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피성형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와 판형의 피성형판 이동실린더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의 상부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이격된 고정홀더판과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타각된 피성형판을 절단수단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홀더부재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의 양 측면에 일끝단이 부착되며 이동홀더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되 반대측 끝단은 공회전되는 로울러가 설치된 처짐방지부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이동홀더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처짐방지부는 고정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에 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처짐방지부에는 피성형판의 좌우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동홀더부재는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이 구비되며 센서가 설치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이동홀더판을 하부로 잡아당겼다가 자기력을 해지하면 가이드봉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은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절단공이 구비된 하금형과 상기 절단공에 삽입되면서 절단공 위에 놓여진 피성형판을 절단하는 칼날이 구비된 상금형 및 상금형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캐리어수단은 격벽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수용공간을 다수 구비하며 저면에는 걸림부가 구비된 캐리어틀체와 본체에 올려진 상기 캐리어틀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스토퍼와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이동스토퍼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동스토퍼는 실린더부재가 신장 될 때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절첩되면 캐리어틀체의 저면에 구비된 걸림부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풀면서 공급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한 피성형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캐리어에 일정한 개수로 수납 보관하도록 한 편리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벨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벨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요부인 피성형판 가공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요부인 피성형판 가공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요부인 피성형판 고정수단 및 타각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요부인 피성형판 고정수단 및 타각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절단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절단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캐리어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캐리어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캐리어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벨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라벨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라벨 제조장치(1)는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입력부재(11) 바람직하게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되는 프로그램은 저장부재(12)에 저장되며 상기 입력부재(11)과 저장부재(1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제어수단(10)에는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13)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바퀴(21)가 저면에 부착된 본체(20)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피성형판(T)을 권취시키고 풀면서 피성형판(T)을 공급하기 위한 릴 형태의 피성형판 공급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T)을 수평으로 폄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피성형판 가공수단(40)과 상기 피성형판(T)을 타각시 일시 고정하는 피성형판 고정수단(50)과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고정된 피성형판(T)을 타각하는 타각수단(60)과 상기 타각된 피성형판(T)을 좌우 흔들림 없이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수단(70)과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하는 절단수단(80)과 절단된 피성형판(T)을 일정 수량 나누어 담아 보관 및 이동시키는 캐리어수단(90)으로 대별 구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피성형판 가공수단(40)은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로울러(42)와 하부로울러(42)의 상단에 인접되게 설치된 상부로울러(43)와 상부로울러(43)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44)와 상기 상부로울러(43)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44)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45) 및 이동플레이트(44)를 탄성으로 받치고 있는 탄성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이동플레이트(44)에는 가이드통공이 형성되며 가이드통공을 관통하여 하우징(41)에 연결된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조절부(45)는 탄성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이동플레이트(44)를 가압하거나 또는 가압력을 해지시켜 하부로울러(42)와 상부로울러(43)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상부로울러(43)와 하부로울러(42)는 권취되어 풀려진 피성형판(T)의 수평도를 잡아주면서 변형된 피성형판(T)을 곧게 펼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끼워진 피성형판(T)의 들뜸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41)의 전단부에는 피성형판(T)의 폭(넓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폭 가이드부(47)를 더 부착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폭 가이드부(47)는 하우징(41)에 구비된 연결부(41a)에 폭 조절통공(41b)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폭 조절통공(41b)으로 로울러(47a)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구조이다.
한편 피성형판 고정수단(50) 및 타각수단(60)의 설치구조는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배드(51)의 하단에는 가압실린더가 설치되며, 배드(51)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공(52)에 삽입된 가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가압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52) 상부의 단턱에는 피성형판(T)을 받쳐주는 가압패드(55)가 설치되며, 배드(51)의 상부면에는 설치공(5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홀더(5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피성형판 고정수단(50)의 상부에는 통상의 타각수단(60)이 제어수단(10)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수단(80)으로 공급 및 안내하는 가이드수단(70)은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성형판(T)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71)와 도면상 미 도시된 별도의 에어공급장치에 연결되어 판형의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상부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이격된 고정홀더판(73)과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2-1)의 끝단에 설치되어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수단(8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홀더부재(74)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양 측면에 일끝단이 부착되며 이동홀더부재(74)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4-1)에 끼워지되 반대측 끝단은 공회전되는 로울러(71-1)가 설치된 처짐방지부(71)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이동홀더판(75)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처짐방지부(71)는 고정바디(71-2)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71-3)에 로울러(7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처짐방지부(71)에는 피성형판(T)의 좌우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71-4)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재(71-4)는 고정바디(71-2)에 형성된 가이드홈(71-5)을 따라 이동되도록 2개의 로울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홀더부재(74)는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4-1)이 구비되며 센서(74-2)가 설치된 솔레노이드(74-3)를 사용하여 이동홀더판(75)을 하부로 잡아당겼다가 자기력을 해지하면 가이드봉(74-6)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이동홀더판(75)은 가이드봉(74-6)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절단수단(80)은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며 절단공(81a)이 구비된 하금형(81)과 상기 절단공(81a)에 삽입되면서 절단공(81a) 위에 놓여진 피성형판(T)을 절단하는 칼날(82)이 구비된 상금형(83) 및 상금형(83)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84)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캐리어수단(90)은 첨부도면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수용공간(91a)을 다수 구비하며 저면에는 걸림부(91b)가 구비된 캐리어틀체(91)와 본체(20)에 올려진 상기 캐리어틀체(91)를 이동시키는 이동스토퍼(92)와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힌지 회동되도록 이동스토퍼(92)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93)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이동스토퍼(92)는 실린더부재(93)가 신장 될 때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절첩되면 캐리어틀체(91)의 저면에 구비된 걸림부(91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은 먼저 제어수단(10)의 입력부재(11)를 이용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저장부재(12)에 저장되고 상기 입력부재(11)에 의해 입력되는 내용은 디스플레이수단(13)에 나타남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0)을 작동시킨 후 첨부도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성형판 공급수단(30)에 권취되어 있는 피성형판(T)의 끝단을 작업자가 피성형판 가공수단(40)의 상부로울러(43) 및 하부로울러(42) 사이를 통과시키고 피성형판 고정수단(50)의 가압패드(55)와 가이드홀더(56) 사이로 끼워 경유시킨 후 가이드수단(70)에 물리도록 설치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피성형판(T)의 설치가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조절부(45)를 이용하여 탄성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이동플레이트(44)를 가압하거나 또는 가압력을 해지시켜 하부로울러(42)와 상부로울러(43)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이동조절부(45)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상부로울러(43)와 하부로울러(42)는 다음과 같은 역할이 있다. 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로울러(42)는 공급되는 피성형판(T)을 받쳐 지지하며, 탄성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이동플레이트(44)에 축설된 상부로울러(43)는 공급되는 피성형판(T)의 두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부로울러(41)를 이용하여 가압하면 변형된 피성형판(T)을 곧게 펼치 피성형판(T)의 평활도를 잡아주면서 공급되는 피성형판(T)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수평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피성형판(T)을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공회전하는 상부로울러(43)와 하부로울러(42) 사이에 삽입되는 피성형판(T)의 공급시 로울러 사이에서 좌우로 흔들리면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41)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피성형판(T)의 폭(넓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폭 가이드부(47)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폭 가이드부(47)의 간격 조절은 하우징(41)에 구비된 연결부(41a)에 폭 조절통공(41b)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폭 조절통공(41b)으로 폭 가이드부(47) 바람직하게는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폭 조절통공(41b)에서 로울러(47a)의 위치를 조절하여 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피성형판 가공수단(40)을 통과한 피성형판(T)은 타각수단(60)에 의하여 프로그램된 내용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된다. 상기 타각수단(60)의 타각시 피성형판(T)의 고정은 첨부도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성형판 고정수단(50)에 의하여 일시 고정된다.
상기 피성형판 고정수단(50)의 작동은 제어수단(10)에서 신호를 받은 배드(51)의 하단에 설치된 가압실린더가 작동하여 설치공(52)에 삽입되어 있는 가압헤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설치공(52) 상부의 단턱에 설치되어 있는 피성형판(T)을 받쳐주는 가압패드(55)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패드(55)에는 피성형판(T)이 지나가고 있으므로 피성형판(T)도 미세하게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가압패드(55)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홀더(56)에 의해 피성형판(T)의 양측이 물리게 된다.
따라서 가압패드(55)와 가이드홀더(56) 사이를 통과하는 피성형판(T)이 고정되게 되며, 이때 피성형판(T)의 상부에 위치하는 타각수단(60)에 의해 프로그램된 내용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되는 것이며, 상기 타각수단(60)은 일반적인 수단으로 이의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타각수단(60)에 의한 타각이 완료되면 가압실린더가 작동하여 전개되어 있던 피스톤로드를 접으면 피스톤로드 끝단에 설치된 가압헤드가 하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압패드(55)를 가압하고 있던 압력이 해지되면서 가압패드(55)와 가이드홀더(56)가 이격되면서 물고 있던 피성형판(T)이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각이 완료된 피성형판(T)은 절단수단(80)으로 공급 및 안내하는 가이드수단(70)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수단(7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 끝단에 설치된 이동홀더부재(74)를 피성형판 고정수단(50)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홀더부재(74)는 솔레노이드(74-3)에 의해 이동홀더판(75)이 가이드봉(74-6)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진 상태이므로 피성형판(T)은 건들이지 않고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4-1)에 삽입한 이동홀더판(75)을 따라 유동이 방지되면서 이동되며. 센서(74-2)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한편 이동홀더부재(74)가 피성형판 고정수단(40) 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74-3)가 작동하여 가이드봉(74-6)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이동홀더부재(74)를 잡아당겨 피성형판(T)을 홀딩하게 된다.
상기 피성형판(T)을 홀딩한 상태에서 다시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를 작동하여 전개되어 있는 피스톤로드을 절첩시키면 끝단에 설치된 이동홀더부재(74)가 절단수단(80) 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이동홀더부재(74)가 피성형판(T)을 홀딩한 상태에서 이동되면 실질적으로 피성형판(T)의 공급 간격 및 공급시간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처짐방지부(71)의 로울러에 피성형판(T)이 걸쳐져 있어 처짐이 방지되며, 바람직하게는 피성형판(T)이 잡아 당겨질 때 좌우로 흔들리면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폭가이드부(47)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유동방지부재(71-4)에 의하여 피성형판(T)의 좌우 이동 및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71-4)는 공회전하는 로울러이기 때문에 피성형판(71-4)의 이동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작동 길이는 타각한 내용과 인접하는 타각 내용과의 간격으로 상기 타각 완료된 피성형판(71-4)은 절단수단(80)으로 이동되어 절단수단(80)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절단수단(8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84)가 작동하여 칼날(82)이 구비된 상금형(83)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칼날(82)이 하금형(81)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공(81a)으로 삽입되면서 타각되어진 피성형판(T)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된 피성형판(T)은 절단공(81a)을 통해 배출되면서 가압되어 있던 상금형(83)은 다시 상부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절단수단(80)과 타각수단(60)은 동시에 작동되며 절단수단(80)과 타각수단(60)의 완료 후 피성형판이동실린더(72)가 작동하여 피성형판(81a)을 절단수단(80) 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절단된 피성형판(81a)은 배출되면서 캐리어수단(90)에 일정 수량씩 적재 보관된다. 상기 캐리어수단(90)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캐리어틀체(91)의 수용공간(91a)에 일정량씩 적재되며, 일정량의 피성형판(81a)이 적재되면 실린더부재(9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밀어내면 이동스토퍼도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스토퍼에 걸려 있는 캐리어틀체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펼치어진 피스톤로드가 절첩될 때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일방향으로 힌지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된 이동스토퍼(92)가 실린더부재(93)가 신장 될 때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절첩되면 캐리어틀체(91)의 저면에 구비된 걸림부(91b)에 의해 회전됨으로 초기 위치로 복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을 풀면서 공급하여 음각 또는 양각으로 타각한 피성형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캐리어틀체에 일정한 개수로 수납 보관하도록 한 편리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 : 라벨 제조장치 T : 피성형판
20 : 본체 30 : 피성형판 공급수단
40 : 피성형판 가공수단 41 : 하우징
41a : 연결부 41b : 조절통공
42 : 하부로울러 43 : 상부로울러
45 : 이동조절부 46 : 탄성스프링
47 : 폭 가이드부 47a : 로울러
50 : 피성형판 고정수단 71-1 : 로울러
71-2 : 고정바디 71-3 : 브라켓
72 : 이동실린더 73 : 고정홀더판
74 : 이동홀더부재 75 : 이동홀더판
81 : 하금형 83 : 상금형
84 : 실린더부재 90 : 캐리어수단
92 : 이동스토퍼 93 : 실린더부재

Claims (12)

  1.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타각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해 타각수단을 작동시켜 피성형판을 타각하는 라벨 제조장치에 있어서,
    이동바퀴가 저면에 부착된 본체(20)와;
    본체에 설치되어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입력부재(11)와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재(12)로 이루어진 제어수단(10)과;
    입력되는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13)과;
    피성형판을 권취한 릴 형태의 피성형판 공급수단(30)과;
    상기 릴 형태로 권취된 피성형판(T)을 수평으로 폄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피성형판 가공수단(40)과;
    상기 피성형판(T)을 타각시 일시 고정하는 피성형판 고정수단(50)과;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고정된 피성형판(T)을 타각하는 타각수단(60)과;
    상기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수단(80)으로 공급 및 안내하는 가이드수단(70)과;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하는 절단수단(80)과;
    절단된 피성형판(T)을 일정 수량 나누어 담아 보관 및 이동시키는 캐리어수단(90)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피성형판 가공수단(40)은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부로울러(42)와 하부로울러(42)의 상단에 인접되게 설치된 상부로울러(43)와 상부로울러(43)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44)와 상기 상부로울러(43)가 축설된 이동플레이트(44)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45) 및 이동플레이트(44)를 탄성으로 받치고 있는 탄성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1)의 전단부에는 피성형판(T)의 폭(넓이)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폭 가이드부(47)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 가이드부(47)는 하우징(41)에 구비된 연결부(41a)에 폭 조절통공(41b)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폭 조절통공(41b)으로 로울러(47a)가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성형판 고정수단(50)은 본체(2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배드(51)의 하단에는 가압실린더가 설치되며, 배드(51)의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공(52)에 삽입된 가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가압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52) 상부의 단턱에는 피성형판(T)을 받쳐주는 가압패드(55)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5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홀더(5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70)은 피성형판(T)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71)와 판형의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상부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이격된 고정홀더판(73)과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 끝단에 설치되어 타각된 피성형판(T)을 절단수단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홀더부재(74)와 상기 피성형판 이동실린더(72)의 양 측면에 일끝단이 부착되며 이동홀더부재(74)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4-1)에 끼워지되 반대측 끝단은 공회전되는 로울러(71-1)가 설치된 처짐방지부(71)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이동홀더판(7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71)는 고정바디(71-2)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71-3)에 로울러(7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71)에는 피성형판(T)의 좌우 이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71-4)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더부재(74)는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74-1)이 구비되며 센서(74-2)가 설치된 솔레노이드(74-3)를 사용하여 이동홀더판(75)을 하부로 잡아당겼다가 자기력을 해지하면 가이드봉(74-6)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80)은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며 절단공(81a)이 구비된 하금형(81)과 상기 절단공(81a)에 삽입되면서 절단공(81a) 위에 놓여진 피성형판(T)을 절단하는 칼날(82)이 구비된 상금형(83) 및 상금형(83)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수단(90)은 격벽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수용공간(91a)을 다수 구비하며 저면에는 걸림부가 구비된 캐리어틀체(91)와 상기 캐리어틀체(91)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토퍼(92)와 상기 이동스토퍼(92)가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9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스토퍼(92)는 실린더부재(93)가 신장 될 때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절첩되면 캐리어틀체(91)에 걸려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KR1020140016673A 2014-02-13 2014-02-13 라벨 제조장치 Active KR10151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673A KR101518012B1 (ko) 2014-02-13 2014-02-13 라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673A KR101518012B1 (ko) 2014-02-13 2014-02-13 라벨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012B1 true KR101518012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673A Active KR101518012B1 (ko) 2014-02-13 2014-02-13 라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548A (zh) * 2018-07-24 2018-11-13 山东招金金银精炼有限公司 一种金属薄片的压印工装、系统及方法
KR20230150100A (ko) 2022-04-21 2023-10-30 킨코스코리아(주) 라벨 펀칭 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9414A (en) * 1994-07-15 1999-07-06 Systec Engineering Knauer Gmbh & Co. Kg Label inser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84622B1 (ko) * 2005-01-06 2007-02-20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용 라벨 공급장치
US20130205964A1 (en) * 2010-10-29 2013-08-15 Fuji Seal International, Inc. Label produc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9414A (en) * 1994-07-15 1999-07-06 Systec Engineering Knauer Gmbh & Co. Kg Label inser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84622B1 (ko) * 2005-01-06 2007-02-20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용 라벨 공급장치
US20130205964A1 (en) * 2010-10-29 2013-08-15 Fuji Seal International, Inc. Label produc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548A (zh) * 2018-07-24 2018-11-13 山东招金金银精炼有限公司 一种金属薄片的压印工装、系统及方法
CN108790548B (zh) * 2018-07-24 2024-01-23 山东招金金银精炼有限公司 一种金属薄片的压印工装、系统及方法
KR20230150100A (ko) 2022-04-21 2023-10-30 킨코스코리아(주) 라벨 펀칭 장치 및 그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282A (en) Markless press brake material protector
JP6950967B2 (ja) 穿孔装置及びその穿孔装置を備えた刺繍ミシン
EP3262201B1 (en) Method for producing motifs on leather and related leather punching machine
KR101518012B1 (ko) 라벨 제조장치
US20060260377A1 (en) Automated bending machine
US11813766B2 (en) Punching/perforation machine and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frame mechanism for clamping the material unit
KR100876577B1 (ko) 프레스머신
JP2010094740A (ja) ワークを切削加工および/または成形加工により加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工作機械
JPWO2019202637A1 (ja) パンチング装置
US2845011A (en) Stripping machine
KR20130128178A (ko) 자동화 채널 벤딩기의 소재 공급장치
JPH08197158A (ja) 形鋼穴明け機
EP1941982A1 (en) Film feeding machine
JP2618344B2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成形機
CN108943125A (zh) 一种纸板打孔机
US3849816A (en) Binding machine
CN216992266U (zh) 一种液压裁断机
JP4661227B2 (ja) ラベル貼付装置
KR100655527B1 (ko)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
US1380492A (en) Machine for punching and cutting tape
KR200263594Y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US5603274A (en) Clamp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KR100431632B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JP2002234074A (ja) 表皮材巻き込み装置
JPS63228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