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7736B1 -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 Google Patents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736B1
KR101517736B1 KR1020140152652A KR20140152652A KR101517736B1 KR 101517736 B1 KR101517736 B1 KR 101517736B1 KR 1020140152652 A KR1020140152652 A KR 1020140152652A KR 20140152652 A KR20140152652 A KR 20140152652A KR 101517736 B1 KR101517736 B1 KR 10151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luid
water level
level sensor
washer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한
Original Assignee
이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한 filed Critical 이규한
Priority to KR102014015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736B1/ko
Priority to PCT/KR2015/001303 priority patent/WO2016072561A1/ko
Priority to US15/520,223 priority patent/US20170305392A1/en
Priority to JP2017519673A priority patent/JP6331185B2/ja
Priority to DE112015005034.5T priority patent/DE112015005034T5/de
Priority to CN201580057744.XA priority patent/CN10707420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7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6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including additiona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7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for sensing changes in level only at discrete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를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워셔액의 잔량을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경우 보충할 수 있고, 워셔액 통에 모터펌프와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선 연결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함은 물론 배선을 간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워셔액용 모터펌프와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가 부력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 부력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홀센서와 마그네트가 부착된 부력장치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됨으로써, 자기센서 타입으로 신뢰성을 갖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Motor pump for washer liquid attached water level sensor}
본 발명은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를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워셔액의 잔량을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경우 보충할 수 있고, 워셔액 통에 모터펌프와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선 연결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함은 물론 배선을 간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워셔액용 모터펌프와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가 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 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홀센서와 마그네트가 부착된 부력장치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됨으로써, 자기센서 타입으로 신뢰성을 갖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차량의 각 부분을 제어하도록 여러 장치가 집중 설치되어 있는 바, 특히 조향을 위해 스티어링 휠이 설치되어 있고, 속도계, 온도계, 연료계 등이 집중된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스티어링 휠의 측면에는 전면 유리에 설치된 와이퍼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와이퍼 액(또는 워셔액)을 분출하고 와이퍼 속도 조절 등을 하도록 멀티 평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멀티 펑션 스위치에 의해 와이퍼 모터를 작동시켜서 와이퍼가 전면 유리를 닦게 된다.
또한, 차량의 와이퍼 구동장치는 와이퍼를 구동시켜 전면 유리에 낀 먼지나 눈 또는 비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에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데, 이 장치에 워셔액을 공급하는 기능을 모터펌프가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워셔액 통에 모터펌프와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선 연결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센서가 워셔액 통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를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일체형으로 장착하므로 운전자가 워셔액의 잔량을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경우 보충할 수 있고,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함은 물론 배선을 간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가 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 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홀센서와 마그네트가 부착된 부력장치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자기센서 타입으로 신뢰성을 갖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995-0055333(1995. 12. 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를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워셔액의 잔량을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경우 보충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셔액 통에 모터펌프와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선 연결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함은 물론 배선을 간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셔액용 모터펌프와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가 부력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 부력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홀센서와 마그네트가 부착된 부력장치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됨으로써, 자기센서 타입으로 신뢰성을 갖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는 모터커버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와, 상기 전원커넥터케이스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펌핑케이스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모터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커버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팬을 둘러싸고 워셔액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펌핑케이스를 포함하며,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모터펌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팬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하단부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고무패킹과; 상기 팬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 또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관에 삽입되고, 상기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에 삽입되는 부력마그네트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흡입구의 관에 단턱을 형성하며, 홀센서와 마그네트 사이에 고무패킹이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고, 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과, 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는 펌핑 케이스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와; 상기 모터펌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팬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의 하단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에 삽입되며, 홀센서와, 힌지에 의해 마그네트가 연결되는 부력장치의 조합으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자기장하에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자기센서의 일종으로서, InSb, InAs, GaAs 중의 반도체 홀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를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운전자가 워셔액의 잔량을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경우 보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워셔액 통에 모터펌프와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배선 연결되므로 배선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장착함으로써, 배선의 작업성이 용이함은 물론 배선을 간소화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워셔액용 모터펌프와 수위센서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가 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 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홀센서와 마그네트가 부착된 부력장치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됨으로써, 자기센서 타입으로 신뢰성을 갖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성능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측면의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측면의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하단의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하단의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워셔액이 흡입되는 모터 커버의 분기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워셔액이 흡입되는 모터 커버의 분기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측면의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측면의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하단의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하단의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워셔액이 흡입되는 모터 커버의 분기 관에 장착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워셔액이 흡입되는 모터 커버의 분기 관에 장착된 경우에서,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a)와 작동 상태(b)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100)는 전원커넥터케이스(10), 전원커넥터(11), 모터어셈블리(20), 고무패킹(30), 모터커버(40), 팬(50), 펌핑 케이스(60), 흡입구(61), 토출구(62), 단턱(63), 홀센서(70), 마그네트(80), 부력장치(90), 힌지(91)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100)는 모터펌프(100)의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10, 40, 60)와; 상기 모터펌프(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11)와; 상기 전원커넥터(1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A)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61)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62)를 통해 토출되게 팬(50)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2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50)과; 상기 팬(50)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60)의 둘레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61)의 관 또는 펌핑 케이스(60)의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토출되는 토출구(62)의 관에 삽입되며, 마그네트(80)와 홀센서(70)의 조합과, 마그네트(80)와 리드스위치(70)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70, 8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 40, 60)는 모터펌프(100)의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모터커버(4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11)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10)와; 상기 전원커넥터케이스(10)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펌핑 케이스(6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모터어셈블리(20)를 보호하는 모터커버(40)와; 상기 모터커버(40)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팬(50)을 둘러싸고 워셔액의 흡입구(61)와 토출구(62)가 형성되어 있는 펌핑 케이스(60)인 것이다.
상기 전원커넥터(11)는 상기 모터펌프(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어셈블리(20)는 상기 전원커넥터(1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A)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61)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62)를 통해 토출되게 팬(5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팬(5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70, 80)는 상기 팬(50)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60)의 둘레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61)의 관 또는 펌핑 케이스(60)의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토출되는 토출구(62)의 관에 삽입되며, 마그네트(80)와 홀센서(70)의 조합과, 마그네트(80)와 리드스위치(70)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홀센서(70)는 자기장하에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자기센서의 일종으로서, InSb, InAs, GaAs 중의 반도체 홀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반도체 홀 소자는 자기저항소자로도 대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어셈블리(20)와 팬(50) 사이와, 홀센서(70)와 마그네트(80) 사이에 고무패킹(30)이 삽입되거나 또는 모터어셈블리(20)와 팬(50) 사이와, 펌핑 케이스(60)의 둘레 하단부에 고무패킹(30)이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61)의 관에 삽입되는 부력마그네트(80)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흡입구(61)의 관에 단턱(63)을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측면의 관에 장착된 경우, 워셔액용 모터펌프(100)에서 워셔액 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도 2(a))의 경우에는 워셔액 통(A)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펌프(100)의 흡입구(61)의 관으로 유입된 워셔액에 의해 홀센서(70)와 마그네트(80)가 부력에 의해 떨어져 있다가, 워셔액 경고등의 작동 상태(도 2(b))의 경우가 되면, 워셔액 통(A)의 워셔액의 수위가 낮아지고 홀센서(70)가 작동되며, 이때, 마그네트(80)가 이동하여 홀센서(70)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워셔액의 양에 따라 이동되는 위치를 홀센서(70)가 감지한 다음에 이 감지신호가 전기신호로 출력되므로 워셔액의 부족하다는 것을 워셔액 경고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드스위치(70)로도 홀센서와 마찬가지로 워셔액의 부족하다는 것을 워셔액 경고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펌핑 케이스 하단의 관에 장착된 경우, 워셔액용 모터펌프(100)에서 워셔액 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도 5(a))의 경우에는 워셔액 통(A)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펌프(100)의 흡입구(61)의 관으로 유입된 워셔액에 의해 홀센서(70)와 마그네트(8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가, 워셔액 경고등의 작동 상태(도 5(b))의 경우가 되면, 워셔액 통(A)의 워셔액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홀센서(70)의 작동이 끊어지게 되며, 이때, 마그네트(80)가 흡입구(61)의 입구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체형의 홀센서(70)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워셔액의 양에 따라 이동되는 위치를 홀센서(70)가 감지한 다음에 이 감지신호가 전기신호로 출력되므로 워셔액의 부족하다는 것을 워셔액 경고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리드스위치(70)로도 홀센서와 마찬가지로 워셔액의 부족하다는 것을 워셔액 경고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100)는 펌핑 케이스(6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11)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10)와; 상기 모터펌프(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11)와; 상기 전원커넥터(1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A)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61)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62)를 통해 토출되게 팬(50)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2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50)과; 상기 모터어셈블리(20)와 팬(50)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60)의 하단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61)의 관에 삽입되며, 홀센서(70)와, 힌지(91)에 의해 마그네트(80)가 연결되는 부력장치(90)의 조합으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70, 80, 9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를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커넥터케이스(10)는 펌핑 케이스(6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11)를 둘러싸는 것이다.
상기 전원커넥터(11)는 상기 모터펌프(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어셈블리(20)는 상기 전원커넥터(1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A)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61)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62)를 통해 토출되게 팬(5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팬(5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70, 80, 9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20)와 팬(50)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60)의 하단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61)의 관에 삽입되며, 홀센서(70)와, 힌지(91)에 의해 마그네트(80)가 연결되는 부력장치(90)의 조합으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워셔액 통에 장착되는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부착되는 수위센서가 워셔액이 흡입되는 모터 커버의 분기 관에 장착된 경우, 워셔액용 모터펌프(100)에서 워셔액 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워셔액 경고등의 미 작동 상태(도 8(a))의 경우에는 워셔액 통(A)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펌프(100)의 흡입구(61)의 관으로 유입된 워셔액에 의해 힌지(91)에 의해 마그네트(80)와 연결되는 부력장치(90)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하여 마그네트(80)가 홀센서(70)와 떨어지며, 워셔액 경고등의 작동 상태(도 8(b))의 경우가 되면, 워셔액 통(A)의 워셔액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홀센서(70)가 작동되며, 이때, 힌지(91)에 의해 마그네트(80)와 연결되는 부력장치(90)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하여 마그네트(80)가 홀센서(70)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워셔액의 양에 따라 이동되는 마그네트(80)의 위아래로 상하운동을 하면, 이를 홀센서(70)에서 감지한 다음에 이 감지신호가 전기신호로 출력되므로 워셔액의 부족하다는 것을 워셔액 경고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에서, 워셔액의 양에 따라 워셔액 경고등의 색이 변하여 워셔액이 어느 정도 있는지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워셔액이 워셔액 통에 가득 차 있으면 파란색으로, 워셔액이 워셔액 통에 2/3정도 있으면 주황색으로, 워셔액이 적으면 빨간색으로 변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는 각종 차량은 물론 항공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및 적용대상이 광범위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원커넥터케이스 11 : 전원커넥터
20 : 모터어셈블리 30 : 고무패킹
40 : 모터커버 50 : 팬
60 : 펌핑 케이스 61 : 흡입구
62 : 토출구 63 : 단턱
70 : 홀센서(또는 리드스위치) 80 : 마그네트
90 : 부력장치 91 : 힌지
100 : 모터펌프 A : 워셔액 통

Claims (6)

  1.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있어서,
    모터커버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와, 상기 전원커넥터케이스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펌핑케이스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모터어셈블리를 보호하는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커버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팬을 둘러싸고 워셔액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펌핑케이스를 포함하며, 모터펌프의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와;
    상기 모터펌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팬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하단부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고무패킹과;
    상기 팬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 또는 펌핑 케이스의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관에 삽입되고, 상기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에 삽입되는 부력마그네트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흡입구의 관에 단턱을 형성하며, 홀센서와 마그네트 사이에 고무패킹이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고, 마그네트와 홀센서의 조합과, 마그네트와 리드스위치의 조합 중에서 어느 하나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에 있어서,
    펌핑 케이스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전원커넥터를 둘러싸는 전원커넥터케이스와;
    상기 모터펌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커넥터와;
    상기 전원커넥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워셔액 통에 저장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거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팬과;
    상기 모터어셈블리와 팬이 장착되는 펌핑 케이스의 하단 둘레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셔액이 흡입되는 흡입구의 관에 삽입되며, 홀센서와, 힌지에 의해 마그네트가 연결되는 부력장치의 조합으로 워셔액의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자기장하에 전기저항이 변화되는 자기센서의 일종으로서, InSb, InAs, GaAs 중의 반도체 홀 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KR1020140152652A 2014-11-05 2014-11-05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Active KR10151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52A KR101517736B1 (ko) 2014-11-05 2014-11-05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PCT/KR2015/001303 WO2016072561A1 (ko) 2014-11-05 2015-02-10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US15/520,223 US20170305392A1 (en) 2014-11-05 2015-02-10 Fluid level sensor-attached motor pump for washer fluid
JP2017519673A JP6331185B2 (ja) 2014-11-05 2015-02-10 水位センサーが装着されたウォッシャ液用モーターポンプ
DE112015005034.5T DE112015005034T5 (de) 2014-11-05 2015-02-10 Motorpumpe für Waschflüssigkeit mit angeschlossenem Flüssigkeitsstandgeber
CN201580057744.XA CN107074209A (zh) 2014-11-05 2015-02-10 附着有水位传感器的清洗液用电机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652A KR101517736B1 (ko) 2014-11-05 2014-11-05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736B1 true KR101517736B1 (ko) 2015-05-04

Family

ID=5339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652A Active KR101517736B1 (ko) 2014-11-05 2014-11-05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05392A1 (ko)
JP (1) JP6331185B2 (ko)
KR (1) KR101517736B1 (ko)
CN (1) CN107074209A (ko)
DE (1) DE112015005034T5 (ko)
WO (1) WO20160725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064B1 (ko) * 2016-01-18 2016-03-14 이규한 일체형 워셔액용 모터펌프
KR102012634B1 (ko) * 2018-02-20 2019-08-21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센서 내장형 워셔액용 모터펌프
US11697399B2 (en) 2019-04-10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Washer fluid 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284B (en) 2017-11-10 2021-09-22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densate pump
US10974699B2 (en) 2018-11-06 2021-04-13 Volvo Car Corporation Estimating consumption of washer fluid
CN112313484B (zh) 2018-11-20 2024-12-06 开利公司 冷藏柜中的水位感测
US10974845B2 (en) 2018-12-13 2021-04-13 Rosemount Aerospace, Inc. Fluid reservoirs for vehicles
CN110065506A (zh) * 2019-05-31 2019-07-30 湖南联诚轨道装备有限公司 轨道交通车辆刮雨器用洗涤装置
US11400894B2 (en) 2019-06-07 2022-08-02 Rosemount Aerospace Inc. Dynamic control of aircraft windscreen wiper and wash system configuration parameters
DE102023203819A1 (de) * 2023-04-25 2024-10-31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sorgungsmodul für ein Reinig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158A (ko) * 2008-08-21 2010-03-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US20100133356A1 (en) * 2002-10-02 2010-06-03 Sbr Investments Company Llc Vehicle windshield cleaning system
KR20120062433A (ko) * 2010-12-06 2012-06-14 (주) 보쉬전장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액모터펌프
KR20130055117A (ko) * 2011-11-18 2013-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586Y2 (ko) * 1976-06-10 1981-09-22
JPS6030387U (ja) * 1983-08-05 1985-03-01 進興電器株式会社 モ−タ−ポンプ装置
DE3730006A1 (de) * 1987-09-08 1989-03-16 Swf Auto Electric Gmbh Fluessigkeitspumpe, insbesondere pumpe fuer eine scheibenwaschanlage eines kraftfahrzeugs
ES2026412A6 (es) * 1990-11-15 1992-04-16 Transpar Iberica Sa Bomba para lavaparabrisas provista de dispositivo sensor de nivel.
DE60204845T2 (de) * 2002-04-09 2006-04-27 Kautex Textron Gmbh & Co. Kg Waschflüssigkeitspumpe
KR100831100B1 (ko) * 2006-12-06 2008-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펌프
JP5101348B2 (ja) * 2008-03-06 2012-12-19 アスモ株式会社 ポンプ装置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CN201653500U (zh) * 2009-09-27 2010-11-24 苏州工业园区易辰电子系统有限公司 液位传感器
US9003878B2 (en) * 2011-12-22 2015-04-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Variable orientation fluid level sensor with optional slosh guard
CN202511849U (zh) * 2012-03-22 2012-10-31 武汉钢铁(集团)公司 低水位检测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3356A1 (en) * 2002-10-02 2010-06-03 Sbr Investments Company Llc Vehicle windshield cleaning system
KR20100023158A (ko) * 2008-08-21 2010-03-0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KR20120062433A (ko) * 2010-12-06 2012-06-14 (주) 보쉬전장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액모터펌프
KR20130055117A (ko) * 2011-11-18 2013-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064B1 (ko) * 2016-01-18 2016-03-14 이규한 일체형 워셔액용 모터펌프
KR102012634B1 (ko) * 2018-02-20 2019-08-21 한진전자공업주식회사 센서 내장형 워셔액용 모터펌프
US11697399B2 (en) 2019-04-10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Washer fluid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5392A1 (en) 2017-10-26
JP6331185B2 (ja) 2018-05-30
JP2017536498A (ja) 2017-12-07
WO2016072561A1 (ko) 2016-05-12
DE112015005034T5 (de) 2017-08-03
CN107074209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36B1 (ko)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CN111002950B (zh) 传感器清洁装置及其自主车辆
CN113329920B (zh) 车辆用清洁系统
US20160031421A1 (en) Washer liquid heating apparatus integrated into washer reservoir
US9849862B2 (en) Washer liquid heating apparatus integrated into washer reservoir
KR20050006757A (ko) 우적 감응형 윈드 시일드 와이퍼 시스템
US6435837B1 (en) Pump arrangement for liquid tanks
KR100831100B1 (ko) 자동차의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펌프
WO2009063506A2 (en) A fluid level sensor
KR102641676B1 (ko) 차량용 워셔액 수위 감지장치
KR101094254B1 (ko) 일체형 레벨센서하우징을 갖는 와셔액리저버
US20100307237A1 (en) Fluid level sensor
KR102012634B1 (ko) 센서 내장형 워셔액용 모터펌프
US20180118172A1 (en) Washer system and method
US9676370B2 (en) Washer fluid delivery system
KR100820399B1 (ko) 차량용 레인센서 장치
KR100588871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US20230176182A1 (en) Foreign substance detection system
KR100401726B1 (ko) 자동차용 플립업 글래스의 와셔 노즐 연결 구조
KR20120062433A (ko)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액모터펌프
US10012126B2 (en) Reservoir assembly
KR20120062441A (ko) 수평형 와셔액 레벨센서 어셈블리
KR20170105195A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KR200406834Y1 (ko) 차량의 공기분사 와이퍼구조
KR20070033549A (ko) 차량용 와셔액 경고등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