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444B1 -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 Google Patents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7444B1 KR101517444B1 KR1020130057169A KR20130057169A KR101517444B1 KR 101517444 B1 KR101517444 B1 KR 101517444B1 KR 1020130057169 A KR1020130057169 A KR 1020130057169A KR 20130057169 A KR20130057169 A KR 20130057169A KR 101517444 B1 KR101517444 B1 KR 101517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member
- wind speed
- main body
- circumferential surface
- outside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4 pretze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각각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 형태를 갖으며 하단 일측으로 통기공(101)이 천공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내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태를 이루며 다단 이격 구성되는 링부재(110)와,상기 본체(100)의 통기공(101)에 연결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휀(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의 하단측 외주면을 통해 송풍휀이 외기를 공급하게 되며 링부재를 거칠 때 링부재 내주면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된 후 확대되는 경로를 이동하도록 하여 유체역학에서의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유속 즉 풍속이 빨라지도록 하면서 상기 링부재와 링부재를 꽈베기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판에 의해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외기가 와류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점차 풍속이 증가되도록 하여 본체 하단으로 개구된 단부측을 통해 외기의 지속적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풍속 및 풍량이 증대되어, 에어컨 등의 실외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풍속 증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100 having both open ends and a hollow shape and having a through hole 10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body 100 has a hollow shape, And a blowing fan 130 connected to the vent hole 101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outside air. The ventilation fan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fan 101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are gradually reduced af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is roughened so as to move the enlarged path so that the flow velocity or wind velocity is increased according to Bernoulli's theorem in fluid mechanics, So that the wind speed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end portion open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With the wind speed and air volume increases by inducing a continuous inflow of the outdoor 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pect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the outdoor unit such as an air conditioner, the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속 증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본체 일단측에 송풍휀을 이용하여 일정 풍압 및 풍량으로 공급하되 그 공급되는 풍압 및 풍력이 본체를 통과하면서 풍속이 증가하면서 풍량이 증대되도록 하여, 외기를 이용하는 실외기의 응축기 등에 적용하여 열교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풍속 증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wind fan at a predetermined wind pressure and air flow rate on one side of a main body constituting a cylindrical body, , A condenser of an outdoor unit using outside air, and the like, so that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풍량과 풍속 등을 활용하기 위한 장치나 장비등이 친환경 산업 증가와 맞물려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친환경 에너지원으로도 풍량과 풍속을 활용하는 것들이 존재한다.Equipment and equipment to utilize wind speed and wind speed are increasing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environment friendly industry, and there are also things that utilize wind speed and wind speed as eco-friendly energy sources.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 10-2013-0030359 호인 깔때기 형의 풍속증가 장치를 갖는 풍력 발전기와, 공개특허 제 10-2012-0113315 호인 나팔 모양의 풍속 증가 장치를 갖는 풍력 발전기가 내장된 자동차 등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선행기술에서는 풍속을 증가시켜 풍력 발전기 또는 자동차 등에 적용되도록 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For example, a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funnel-shaped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0359, and a motor vehicle having a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horn-shaped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3315 In this type of prior art, the wind speed is increased to be applied to a wind power generator or an automobile.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풍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풍속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그 실시를 위한 구성 등이 번잡하고 열역학 제1,2법칙에도 위배 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ior art disclose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wind speed by using wind power, the structure for implementing the wind turbine is troublesome and may violate the first and second laws of thermodynamics.
본 발명은 풍속을 이용하여 적용 가능한 분야인 공조 시스템이나 또는 에어컨의 실외기 등 열교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풍속 증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conditioning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the use of wind speed, or an air speed increasing device for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such as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단이 각각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 형태를 갖으며 하단 일측으로 통기공이 천공되는 본체와, A main body having both ends opened, a hollow shape inside and a vent hole formed at a lower side,
상기 본체 내부에 내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태를 이루며 다단 이격 구성되는 링부재와,A ring member having a hollow shape and spaced apart at a plurality of stages,
상기 본체 하단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를 와류시키기 위해 상기 링부재와 링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띠형상의 가이드판과, A belt-shaped guide plate connecting between the ring member and the ring member to swirl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통기공에 연결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휀으로 구성된다.And an air blowing fan connected to a vent hole of the main body to supply outside air.
또한 상기 링부재는 외기가 유입되는 일단부측 내주면으로부터 배출되는 타단부측 내주면으로 점차 단면적이 축소된 후 확대되도록 만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ring member is curved so as to be gradually enlarged after being reduced in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ne end sid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end side from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하단측 외주면을 통해 송풍휀이 외기를 공급하게 되며 링부재를 거칠 때 링부재 내주면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된 후 확대되는 경로를 이동하도록 하여 유체역학에서의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유속 즉 풍속이 빨라지도록 하면서 상기 링부재와 링부재를 꽈베기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판에 의해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외기가 와류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토록 하여, 점차 풍속이 증가되도록 하여 본체 하단으로 개구된 단부측을 통해 외기의 지속적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풍속 및 풍량이 증대되어, 에어컨 등의 실외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wer fan supplies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the sectional area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member gradually decreases after the ring member is roughened,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vortexed by the guide plate connecting the ring member and the ring member in the shape of a bevel so that the flow velocity or the wind speed is accelerated, The air flow and the air flow rate are increased by inducing the continuous inflow of the outside air through the opened end side,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the outdoor unit such as the air conditioner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사시도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 1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링부재와 링부재를 가이드판을 연결하여서 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링부재의 확대 단면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section view of Fig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ng member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ing member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풍속을 증가시켜 단일 시간내 풍량의 흐름을 최대화 시켜 공조시스템 또는 에어컨의 실외기 등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풍속 증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와 그 내부에 이격 구성되는 링부재(110)와, 상기 링부재(110)들을 연결하는 가이드판(120)고, 상기 본체(100) 하단에 연결되는 송풍휀(13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or an air conditioner by maximizing the flow of wind in a single time by increasing wind speed and includes a
상기 본체(100)는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태로 실시하였는데, 본체(100)는 상하단이 각각 개방되면서 내부는 중공(中空) 형태를 이루도록 하였으녀 본체(100)의 하단 외주면 일측으로는 통기공(101)을 형성하였다.The
상기 통기공(101)은 후술하게 되는 송풍휀(130)과 연결되도록 하여, 송풍휀(130)의 구동에 의해 외기가 통기공(101)을 통해 유입된 후 본체(100)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유동되도록 하였다.The
상기 링부재(110)는 상하부가 각각 개구되면서 내부가 중공(中空) 형태를 갖도록 한 것으로, 링부재(110)의 외주면은 본체(100) 내주면에 용접이나 기타 방법들을 이용하여 적정 간격을 갖으며 이격 시켜 고정하게 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링부재(110)는 본체(100) 하단측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통과되면서 유체역학에서 정의된 베르누이 정리가 적용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벤츄리관 형태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하여 링부재(110)를 통과하는 외기의 풍속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러한 링부재(110)는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다단으로 다수 이격 구성하여 풍속의 점진적 증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2, the
한편 이를 위한 링부재(110)의 단면을 도 4를 통해 설명하면, 외기가 유입되는 단부측 내주면으로부터 점차 단면적 D1 으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단면적 D2가 축소되도록 한 후 외기가 배출되는 단부측 단면적 D3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되, 링부재(110) 내주면이 유선형을 갖으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하였다.4, the cross-sectional area D2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side of the end portion whe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then the cross-sectional area D3 The inner surface of the
여기서 단면적 D1과 단면적 D3는 동일하거나 또는 단면적 D1이 단면적 D3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ectional area D1 and the sectional area D3 may be the same, or the sectional area D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tional area D3.
즉 단면적 D1은 링부재(110)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구 역할을 하게 되고, 단면적 D3는 링부재(110)를 통과하는 외기의 배출구 역할을 하게 되는데, 유입구의 단면적 보다 배출구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므로서, 풍속의 증가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D1 serves as an inlet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한편 상기 만곡면(111)은 유선형을 이루되 외기가 유입되는 단부측으로부터 1/3 지점(h1)까지 곡률(R1)을 작게 하여 링부재(110)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축소되도록 하고, 상기 1/3 지점(h1)부터 외기가 배출되는 단부측까지의 2/3 지점(h2)까지는 곡률(R2)을 크게 하여 완만한 경사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 링부재(110)를 통과하는 외기는 유입되는 지점으로부터 1/3지점(h1)까지는 급속한 곡률(R1)에 의해 풍속이 저항을 받아 급격하게 줄어든 후 상기 곡률(R1)의 지점 즉 1/3지점(h1)을 통과하면서 내부 단면적이 확관 되는 형태에 의해 풍압의 순간적 저하 현상에 의해 풍속이 빨라지며 링부재(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outer air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현상은 유체역학에서의 베르누이 정리에 해당된다.This phenomenon corresponds to the Bernoulli theorem in fluid mechanics.
따라서 상기 현상을 발생시키는 링부재(110)를 본체(100) 내부에 적정 간격으로 이격 시켜 다단 형성하게 되면, 상기한 현상이 반복 진행되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풍속은 점진적 증가 형태를 띠면서 단일시간내 유동하는 풍량을 증대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한편, 본체(100) 내부를 유동하는 외기에 와류 현상을 발생시키게 될 경우, 풍속 및 풍량 증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vortex phenomenon is caused in the outside air flowing in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링부재(110)와 링부재(110)간을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가이드판(120)을 이용하여 연결하였다.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가이드판(12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꽈배기 형태로 링부재(110)와 링부재(110)를 연결하여 하나의 링부재(110)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가이드판(120)에 의해 직진성 유동 경로를 거치지 않고 링부재(110)와 링부재(110) 사이를 와료 형태로 통과하도록 하여, 유속을 더욱 가속화 하도록 하였다.At least two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단측 외주면 일측으로 천공되는 통기공(101)에는 외기를 본체(100) 내부측으로 불어넣어 주기 위한 송풍휀(130)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A blowing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송풍휀(130)을 구동시켜 송풍휀(130)으로부터 외기가 통기공(101)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면, 공급된 외기는 본체(100)의 최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링부재(110)를 통과하게 된다.When the
최하단측 링부재(110)를 통과하면서, 링부재(110) 내부 단면적의 축소 및 확관 영역을 거쳐 유속이 증가하게 되면 그 유속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본체(100) 하단의 개구된 부위로부터 송풍휀(130)의 구동과는 무관하게 외기가 강제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 된다.If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최초의 링부재(110)를 통과한 외기는 다음의 링부재(110)를 통과하기 전까지 링부재(110)와 링부재(110)를 연결하는 꽈배기 형태의 가이드판(120)에 의해 와류 현상을 일으키며 투입된 외기의 유속을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이와 같이 링부재(110)를 통과할 때 마다 유속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이에 상대적으로 유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본체(100) 하단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유속 및 유량 즉 풍속과 풍량은 점진적은 증가를 이루게 되어 최종적으로 본체(100) 상단측을 통해 상당한 풍속과 풍량을 갖는 외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The flow rate gradually increases with each passing through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산업 분야에서 적용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즉, 에어컨 실외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학교나 공공기관의 건축물 창문틀의 프레임에 적용하여 에어컨 실외기를 대체할 수 있는 등 적용 가능한 분야에 따라 선택적 채용이 가능하게 된다.
In other words, it can be applied to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lternatively, it can be applied to a frame of a window frame of a building of a school or a public institution to replace a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100; 본체 101; 통기공
110; 링부재 111; 만곡면
120; 가이드판 130; 송풍휀100; A
110;
120; A
Claims (4)
상기 본체(100) 내부에 내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태를 이루며 다단 이격 구성되는 링부재(110)와,
상기 본체(100)의 통기공(101)에 연결되어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휀(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속 증가 장치.
A main body 100 having both ends opened, a hollow shape inside and a vent hole 101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A ring member 110 having a hollow shape and spaced apart at a plurality of stages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0,
And an air blowing fan (130) connected to the vent hole (101) of the main body (100) and supplying outside air.
상기 본체(100) 하단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를 와류시키기 위해 상기 링부재(110)와 링부재(110) 사이를 꽈배기 형태로 연결하는 띠형상의 가이드판(120)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풍속 증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belt-shaped guide plates 120 connecting the ring member 110 and the ring member 110 in the form of a prism are formed to swirl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0 Including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상기 링부재(110)는 외기가 유입되는 일단부측 내주면으로부터 배출되는 타단부측 내주면으로 점차 단면적이 축소된 후 확대되도록 내주면이 유선형을 갖으며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면(111)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풍속 증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member 110 includes a curved surface 111 having a streamlin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eing convex inward so as to be gradually enlarged after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ne end side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상기 만곡면(111)은 외기가 유입되는 단부측으로부터 1/3 지점(h1)까지 곡률(R1)을 작게 하여 링부재(110)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축소되도록 하고, 상기 1/3 지점(h1)부터 외기가 배출되는 단부측까지의 2/3 지점(h2)까지는 곡률(R2)을 크게 하여 완만한 경사로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풍속 증가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urved surface 111 is formed such that the curvature R1 is reduced from the end side to the 1/3 point h1 from the end side whe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so that the sectional area of the ring member 110 is sharply reduced and the 1/3 point h1 ) To the 2/3 point (h2) to the end where the outside air is discharged, the curvature (R2) is increased to have a gentle slo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169A KR101517444B1 (en) | 2013-05-21 | 2013-05-21 |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169A KR101517444B1 (en) | 2013-05-21 | 2013-05-21 |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7046A KR20140137046A (en) | 2014-12-02 |
KR101517444B1 true KR101517444B1 (en) | 2015-05-04 |
Family
ID=524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1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7444B1 (en) | 2013-05-21 | 2013-05-21 |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74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0707B1 (en) * | 2018-10-29 | 2019-07-16 | 주식회사 애니텍 | Air purifier for classroom |
CN113123985A (en) * | 2021-04-28 | 2021-07-16 | 杭州杭锅通用设备有限公司 | Built-in air chamber structure of incinerator and accounting method for improving air spee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98928B2 (en) | 2000-01-27 | 2004-12-08 | 松下電工株式会社 | Hair dryer |
KR100853350B1 (en) | 2007-11-28 | 2008-08-21 | 김희구 | Wind power generator |
JP4338608B2 (en) | 2004-09-07 | 2009-10-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Hair dryer |
JP2010520414A (en) | 2007-03-06 | 2010-06-10 | セント ルイス ユニバーシティ | Hubless windmill |
-
2013
- 2013-05-21 KR KR1020130057169A patent/KR10151744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98928B2 (en) | 2000-01-27 | 2004-12-08 | 松下電工株式会社 | Hair dryer |
JP4338608B2 (en) | 2004-09-07 | 2009-10-07 | 三洋電機株式会社 | Hair dryer |
JP2010520414A (en) | 2007-03-06 | 2010-06-10 | セント ルイス ユニバーシティ | Hubless windmill |
KR100853350B1 (en) | 2007-11-28 | 2008-08-21 | 김희구 | Wind power gene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7046A (en) | 2014-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12433B1 (en) | Air purifier and wind tunnel thereof | |
CN210345663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109827244A (en) | Air duct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WO2018024159A1 (en) | Microbubble generation device | |
CN107747763A (en) |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KR101517444B1 (en) | Wind speed increasing device | |
CN104390268A (en) | Ceiling air conditioner and air supplying method using same | |
WO2020160602A1 (en) | Fan | |
CN106837871A (en) | Axial-flow windwheel, axial flow blower and air-conditioner | |
CN210373766U (en) | Vortex ring generating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WO2016140572A1 (en) | Enthalpy exchanger | |
CN211854205U (en) | Vortex ring generating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209689045U (en) | Air-conditioned wind tunnel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with it | |
CN105841241B (en) | Cabinet air conditioner | |
CN113389775B (en) | A vortex ring exciter based on pressure loss control | |
CN204227642U (en) | Through-flow ducting assembly and vertical air-conditioner indoor unit | |
US20020117224A1 (en) | Conduit bundle for controlling fluid flow | |
KR101936303B1 (en) | Heat exchange unit having turbulent flow producing device | |
CN210688476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EP2503255A2 (en) | A system including a building ceiling having one or more integrated air inlet diffuser devices, and a metal ceiling plate for a suspended ceiling | |
CN204267434U (en) | A kind of constant-current stabilizer for blower fan air inlet | |
CN210373765U (en) | Vortex ring generating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CN105546642A (en) | Cabinet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CN107809061B (en) | Ion wind gener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RU161241U1 (en) | AIR AND HEAT CURT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