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7226B1 -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226B1
KR101517226B1 KR1020130088718A KR20130088718A KR101517226B1 KR 101517226 B1 KR101517226 B1 KR 101517226B1 KR 1020130088718 A KR1020130088718 A KR 1020130088718A KR 20130088718 A KR20130088718 A KR 20130088718A KR 101517226 B1 KR101517226 B1 KR 10151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ge
cutting
stage unit
scan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036A (ko
Inventor
민성욱
강상묵
Original Assignee
(주)하드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드램 filed Critical (주)하드램
Priority to KR102013008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2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2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5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in two axial directions, e.g. in a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유닛; 레이저 광원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의 제1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1 스캐너부와,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2 스캐너부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원하는 패턴 형태로 기판 상으로 반사시키는 스캐너 유닛;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지 유닛; 상기 스테이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더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의 커팅 영역과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커팅 영역이 상기 스캐닝 필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커팅 영역 판단 유닛; 및 상기 레이저 광원 유닛, 스캐너 유닛, 엔코더 유닛, 스테이지 유닛, 데이터 저장 유닛 및 커팅 영역 판단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aser cutting system of two dimension on the fly ty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커팅 패턴을 기판 상에 가공 시, 커팅 패턴 데이터의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스테이지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스테이지를 작동시키고, 스테이지의 위치 정보에 따라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여 기판 상에 레이저 커팅을 수행하는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기판 상에 특정 마크를 형성시키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갈바노미터 스캐너를 이용한 레이저 커팅 장치의 레이저 커팅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갈바노미터 스캐너를 이용한 레이저 커팅 장치는 레이저 유닛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생성 및 출력시키고, 출력된 레이저 빔을 하프 미러에 반사시켜 갈바노미터 스캐너로 입사시킨다. 이후, 갈바노미터 스캐너는 입사된 레이저 빔을 X축 갈바노미터와 Y축 갈바노미터를 통해 굴절시켜, 레이저 빔을 제어부에 입력된 경로에 따라 기판 상에 조사되도록 유도시킨다. 갈바노미터는 통상적으로 기판 상에 커팅될 문자나 도형 등의 마크에 대한 레이저 빔의 이동 경로가 입력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에 입력된 경로에 따라 기판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시킴으로써, 기판 상의 소정 부위에 마크를 형성시킨다.
한편,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 내에 마크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제어만으로 기판 상에 마크를 형성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마크의 크기가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날 정도로 큰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어 방식으로 기판 상에 원하는 마크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마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크게 형성하는 방식이 있으나, 갈바노미터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크게 할 경우에는 레이저 빔의 크기도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마크를 미세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판 상에 형성할 마크 패턴이 점차 대형화되면서 마크의 크기가 스캐닝 필드 영역의 크기 보다 큰 경우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크게 형성하지 않으면서 마크를 정교하게 형성하고, 커팅 속도 및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304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커팅 패턴을 기판 상에 가공 시, 커팅 패턴 데이터의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스테이지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스테이지를 작동시키고, 스테이지의 위치 정보에 따라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여 기판 상에 레이저 커팅을 수행하는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유닛; 레이저 광원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의 제1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1 스캐너부와,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2 스캐너부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원하는 패턴 형태로 기판 상으로 반사시키는 스캐너 유닛;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지 유닛; 상기 스테이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더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의 커팅 영역과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커팅 영역이 상기 스캐닝 필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커팅 영역 판단 유닛; 및 상기 레이저 광원 유닛, 스캐너 유닛, 엔코더 유닛, 스테이지 유닛, 데이터 저장 유닛 및 커팅 영역 판단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커팅 영역 판단 유닛의 판단 결과, 커팅 영역이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스캐너 유닛은 상기 엔코더 유닛에서 전송되는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엔코더 유닛에서 전송되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는 스캐너 유닛 제어기;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커팅 예정 패턴의 형태에 상응하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커팅 예정 패턴의 크기 보다는 작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레이저 광원 유닛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조절하거나 또는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는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엔코더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x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엔코더; 및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y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커팅 패턴 분석부와, 상기 커팅 패턴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된 커팅 패턴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엔코더 유닛에서 전송되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는 스캐너 유닛 제어기; 및 상기 커팅 패턴 분석 유닛에서 전송된 커팅 패턴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 및 스테이지 유닛의 구간별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 보다 패턴 형태를 단순화시킨 경로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로 설정한다.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커팅 예정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보다 변곡점의 개수를 줄이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와 상기 스캐너 유닛의 레이저 빔 조사 경로를 비교하여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커팅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커팅 패턴 데이터와 스캐닝 필드 영역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스테이지 유닛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로 스테이지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엔코더 유닛을 통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에 기초로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여 레이저 빔을 커팅 예정 패턴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커팅 패턴을 기판 상에 가공 시, 커팅 패턴 데이터의 분석 자료에 기초하여 스테이지의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스테이지를 작동시키고, 스테이지의 위치 정보에 따라 스캐닝 유닛을 제어하여 기판 상에 레이저 커팅을 수행함으로써, 스캐너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크게 형성하지 않으면서 마크를 정교하게 형성하고, 커팅 속도 및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a는 엔코더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며, 도 5b는 제어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커팅 패턴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팅 패턴 분석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의 종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커팅 패턴 분석 파라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5a는 엔코더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며, 도 5b는 제어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커팅 패턴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 유닛(100), 광학 유닛(200), 스캐너 유닛(300), 엔코더 유닛(400), 스테이지 유닛(500), 데이터 저장 유닛(600), 커팅 영역 판단 유닛(700) 및 제어 유닛(900)을 포함한다.
레이저 광원 유닛(100)은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레이저 광원 유닛(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의 파워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빔 파워 조절기(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광학 유닛(200)는 레이저 광원 유닛(100)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조절하거나 또는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학 유닛(200)은 미러부(210)와 초점 렌즈부(230)로 구성되며, 미러부(210)는 레이저 광원 유닛(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을 스캐너 유닛(200)으로 반사시킨다. 초점 렌즈부(230)는 스캐너 유닛(200)의 후단 및 스테이지 유닛(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스캐너 유닛(200)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을 기판(10) 상에 초점이 배치되도록 조절한다.
스캐너 유닛(300)은 레이저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의 수직 변위와 수평 변위를 조절하여 레이저 광을 원하는 패턴 형태로 기판 상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스캐너 유닛(300)은 커팅 패턴 데이터 및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9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스캐너 유닛(300)은 제1 스캐너부(310)와 제2 스캐너부(320)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제1 스캐너부(310)는 레이저 광원 유닛(100)으로부터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제1축 방향(예를 들면, x축)의 변위를 조절하고, 제2 스캐너부(320)는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예를 들면, y축)의 변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스캐너부(310)는 제1 갈바노 미러(311)와 제1 갈바노 미러 구동부(312)를 포함하며, 제2 스캐너부(320)는 제2 갈바노 미러(321)와 제2 갈바노 미러 구동부(322)를 포함한다.
제1 갈바노 미러(311)는 레이저 빔을 반사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갈바노 미러 구동부(312)는 제1 갈바노 미러(3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 갈바노 미러(311)를 지지하면서, 제1 갈바노 미러(311)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2 갈바노 미러(321)는 레이저 빔을 반사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갈바노 미러 구동부(322)는 제2 갈바노 미러(3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2 갈바노 미러(321)를 지지하면서, 제2 갈바노 미러(321)를 회동시킨다.
제1 갈바노 미러(311)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은 제2 갈바노 미러(321)로 입사되며, 제2 갈바노 미러(321)에 입사된 레이저 빔은 기판 방향으로 반사되며, 기판 상에 조사되어 커팅 패턴을 형성한다.
스테이지 유닛(500)은 기판(10)을 지지하며, 기판(10)을 2축 방향 즉,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엔코더 유닛(400)은 제1 엔코더(410)와 제2 엔코더(420)를 포함하며, 제1 엔코더(410)는 스테이지 유닛(500)에 결합되어 스테이지 유닛의 x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엔코더(420)는 스테이지 유닛(500)에 결합되어 스테이지 유닛의 y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엔코더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는 기판(10)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며, 스테이지 유닛(500)의 이동 경로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커팅 영역 판단 유닛(700)은 기판(10)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의 커팅 영역과 스캐너 유닛(300)의 가공 영역 즉, 스캐너 유닛(300)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커팅 영역이 스캐닝 필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제어 유닛(900)으로 전송한다.
커팅 영역이 스캐닝 필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어 유닛(900)은 스캐닝 유닛의 동작 시 스테이지 유닛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커팅 영역이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경우에는 제어 유닛(9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테이지 유닛(500)의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절하며, 스캐너 유닛(300)은 엔코더 유닛(400)에서 전송되는 스테이지 유닛(5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된다.
제어 유닛(900)은 레이저 광원 유닛(100), 광학 유닛(200), 스캐너 유닛(300), 엔코더 유닛(400), 스테이지 유닛(500), 데이터 저장 유닛(600), 커팅 영역 판단 유닛(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900)은 레이저 광원 유닛 제어기(910), 스캐너 유닛 제어기(920) 및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를 포함하며, 레이저 광원 유닛 제어기(910)는 레이저 광원 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레이저 광원 유닛 제어기(910)는 레이저 빔의 세기, 레이저 빔의 온, 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스캐너 유닛 제어기(920)는 스캐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캐너 유닛 제어기(920)는 엔코더 유닛(400)에서 전송되는 스테이지 유닛(500)의 위치 정보와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스캐너 유닛(300)의 제1 갈바노 미러 구동부(312)와 제2 갈바노 미러 구동부(322)를 제어하여 레이저 빔이 기판(10) 상의 커팅 예정 영역에 조사되도록 한다.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기판(10) 상에 커팅될 패턴 형태(즉, 커팅 예정 패턴)에 상응하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커팅 예정 패턴의 크기 보다는 작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한다. 이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는 스캐너 유닛(300)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도 6 참조). 그리고 나서,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따라 스테이지 유닛(500)을 이동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커팅 패턴 분석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며, 도 9는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의 종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은 레이저 광원 유닛(100), 광학 유닛(200), 스캐너 유닛(300), 엔코더 유닛(400), 스테이지 유닛(500), 데이터 저장 유닛(600), 커팅 영역 판단 유닛(700), 커팅 패턴 분석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팅 패턴 분석 유닛(800)을 추가로 포함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커팅 패턴 분석 유닛(800)은 커팅 패턴 분석부(810)와 데이터 전송부(830)를 포함한다. 커팅 패턴 분석부(810)는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부(830)는 커팅 패턴 분석부(810)에서 분석된 결과를 제어 유닛(900)으로 전송한다.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커팅 패턴 분석 유닛(800)에서 전송된 커팅 패턴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스테이지 유닛(500)의 이동 경로 및 스테이지 유닛(500)의 구간별 이동 속도를 설정하고, 이를 데이터 저장 유닛(600)에 저장한다. 즉,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 보다 패턴 형태를 단순화시킨 경로(예를 들면, 커팅 예정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보다 변곡점의 개수를 줄이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함)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로 설정한다.
또한,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와 스캐너 유닛의 레이저 빔 조사 경로를 비교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정한다. 이때,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930)는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935)를 기초로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를 설정한다.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935)는 커팅 패턴의 시작점 및 종단점의 유무(931), 커팅 패턴 길이 대 스테이지 이동 거리 비율(932) 및 커팅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933)를 고려하여 각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조절한다. 즉, 임의의 구간 내에 커팅 패턴의 시작점 및 종단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타 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리게 설정한다. 그리고, 임의의 구간 내에 커팅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가 타 구간 보다 많은 경우에는 타 구간에 비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설정한다. 임의의 구간 내에서 커팅 패턴 길이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거리로 나눈 값이 타 구간에 비하여 큰 경우에는 타 구간에 비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설정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커팅 패턴 분석 파라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스캐닝 필드 영역(fn)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S2) 보다 패턴 형태를 단순화시킨 경로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m2)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단위 스캐닝 필드 영역(fn)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보다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의 변곡점의 개수를 작게 형성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캐닝 필드 영역(f1)과 스캐닝 필드 영역(f2)를 비교해 보면, f1 영역의 커팅 예정 패턴 길이(A1~A2)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거리(B1~B2)로 나눈 값 보다 f2 영역의 커팅 예정 패턴 길이(A2~A3)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거리(B2~B3)로 나눈 값이 더 크다. 이러한 경우, f1 영역에서의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속도 보다 f2 영역에서의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설정하여 스캐닝 유닛(300)이 레이저 빔을 커팅 예정 패턴에 조사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보상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팅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100).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한다(S200).
커팅 패턴 데이터와 스캐닝 필드 영역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S300). 이때,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 보다 패턴 형태를 단순화시킨 경로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를 설정한다(S400).
설정된 스테이지 유닛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로 스테이지 유닛을 작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S500).
엔코더 유닛을 통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S600), 스테이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여 레이저 빔을 커팅 예정 패턴에 조사한다(S60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레이저 광원 유닛
200 : 광학 유닛
300 : 스캐너 유닛
400 : 엔코더 유닛
500 : 스테이지 유닛
600 : 데이터 저장 유닛
700 : 커팅 영역 판단 유닛
800 : 커팅 패턴 분석 유닛
900 : 제어 유닛

Claims (12)

  1. 레이저 커팅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 유닛;
    레이저 광원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레이저 빔의 제1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1 스캐너부와, 상기 제1축 방향과 수직인 제2축 방향의 변위를 조절하는 제2 스캐너부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저 빔을 원하는 패턴 형태로 기판 상으로 반사시키는 스캐너 유닛;
    기판을 지지하며, 상기 기판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지 유닛;
    상기 스테이지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더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유닛;
    상기 기판 상에 커팅될 커팅 패턴 데이터의 커팅 영역과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커팅 영역이 상기 스캐닝 필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커팅 영역 판단 유닛;
    상기 레이저 광원 유닛, 스캐너 유닛, 엔코더 유닛, 스테이지 유닛, 데이터 저장 유닛 및 커팅 영역 판단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커팅 패턴 분석부와, 상기 커팅 패턴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상기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로 구성된 커팅 패턴 분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엔코더 유닛에서 전송되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는 스캐너 유닛 제어기; 및 상기 커팅 패턴 분석 유닛에서 전송된 커팅 패턴 분석 데이터를 기초로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 및 스테이지 유닛의 구간별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와 상기 스캐너 유닛의 레이저 빔 조사 경로를 비교하여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되,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커팅 패턴의 시작점 및 종단점의 유무, 커팅 패턴 길이 대 스테이지 이동거리 비율 및 커팅 패턴의 변곡점 개수와 같은 스테이지 유닛 이동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초로 각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영역 판단 유닛의 판단 결과, 커팅 영역이 스캐닝 필드 영역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스캐너 유닛은 상기 엔코더 유닛에서 전송되는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커팅 예정 패턴의 형태에 상응하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커팅 예정 패턴의 크기 보다는 작게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 유닛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의 광 경로를 조절하거나 또는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는 광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 유닛은,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x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1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엔코더; 및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y축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스캐너 유닛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커팅 예정 패턴 보다 패턴 형태를 단순화시킨 경로를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유닛 제어기는 상기 커팅 예정 패턴의 변곡점의 개수보다 변곡점의 개수를 줄이되, 스캐닝 필드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커팅 패턴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커팅 패턴 데이터와 스캐닝 필드 영역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 조절 파라미터를 기초로 구간별 스테이지 유닛 이동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스테이지 유닛 이동 경로와 이동 속도로 스테이지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엔코더 유닛을 통하여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스테이지 유닛의 위치 정보에 기초로 스캐너 유닛을 제어하여 레이저 빔을 커팅 예정 패턴에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커팅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0088718A 2013-07-26 2013-07-26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51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18A KR101517226B1 (ko) 2013-07-26 2013-07-26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718A KR101517226B1 (ko) 2013-07-26 2013-07-26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036A KR20150014036A (ko) 2015-02-06
KR101517226B1 true KR101517226B1 (ko) 2015-05-06

Family

ID=5257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18A Active KR101517226B1 (ko) 2013-07-26 2013-07-26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2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463A (ja) 2001-06-05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1463A (ja) 2001-06-05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036A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3583B (zh) 具有测量功能的激光加工系统
JP2008006460A5 (ko)
KR20070096856A (ko) 레이저 용접 장치 및 레이저 용접 장치의 레이저광 조정방법
KR102050532B1 (ko) 3차원 레이저 패터닝 장치
JP2008119718A (ja) レーザ加工装置
US20180021886A1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with workpiece position adjusting capability relative to focal point of laser beam
CN105397281A (zh) 激光加工装置
JP7396851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026356B1 (ko) 레이저 스캐닝 장치
JP5519123B2 (ja) レーザ加工機
JP6592547B2 (ja) レーザ光の芯出し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JP2006218482A5 (ko)
JP2007222902A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KR101554389B1 (ko) 레이저 가공장치
JP2010274267A (ja) レーザー加工機
KR101796198B1 (ko) 레이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가공방법
KR101451972B1 (ko) 인필드 온더 플라이 기능을 이용한 레이저 다이렉트 패터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780544B2 (ja) レーザ溶接装置
KR101517226B1 (ko) 2d 온 더 플라이 타입 레이저 커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88395A (ja) レーザ加工方法、レーザ加工装置及びソーラパネル製造方法
CN109693035B (zh) 激光加工机的控制装置、激光加工方法及激光加工机
KR102076790B1 (ko) 3차원 레이저 컷팅 장치
TWI830120B (zh) 雷射加工裝置
WO2023276745A1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光の焦点位置の自動補正方法
JP200800646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