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7187B1 -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 Google Patents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187B1
KR101517187B1 KR1020130120104A KR20130120104A KR101517187B1 KR 101517187 B1 KR101517187 B1 KR 101517187B1 KR 1020130120104 A KR1020130120104 A KR 1020130120104A KR 20130120104 A KR20130120104 A KR 20130120104A KR 101517187 B1 KR101517187 B1 KR 10151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m
block body
knitting machin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498A (ko
Inventor
정훈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엠
Priority to KR102013012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1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1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양직편직기에 사용되며, 전, 후 왕복이송운동을 하는 캠이 장착된 캠블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전, 후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면서, 이동되는 캠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지 않아도 블럭체에 일체로 형성된 단속편에 의해 해결이 가능하여, 양말편직기에 사용되는 전, 후 왕복운동의 모든 캠에 적용이 가능하면서, 기존보다 원가가 절감되고 제조가 간단하며, 캠이 블럭체에 확실히 고정되어 이송이 가능토록 한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Cam Block of Open Type for Socks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 내에서 전, 후 왕복운동하는 모든 캠에 적용가능한 커버가 필요없는 오픈타입 캠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편직기는 실린더의 원주방향을 따라 직립 설치되는 편침과, 상기 실린더의 가로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편침 사이에 설치되는 싱커와,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싱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싱커캠과, 상기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편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편침캠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말편직기는 양말을 자동으로 편직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회전하는 실린더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개의 편침(needle)이 회전 중 상하방향으로 운동하여 싱커(sinker)에 걸려있는 실을 잡아 내림으로써 편직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편침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캠의 작동이며, 이러한 캠은 다양한 푸시수단에 의해 실린더의 외주연에 대응된 상태로 전, 후로 왕복이송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푸시수단의 전진에 의해 캠이 전진되도록 하고, 푸시수단을 이동시켰던 유압 또는 공압이 제거되면 전진된 캠이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며,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면서 캠을 왕복이송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 후방향으로 왕복 이송을 하는 양말편직기에 사용되는 다수의 다양한 캠의 경우, 별도의 블럭 내에 끼워져 블럭에 지지되어 전, 후 왕복을 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블럭에는 캠을 끼울 수 있는 설치공간을 외주면에 천공형성하고, 이러한 설치공간 외주면(또는 블럭의 외주면)을 커버로 씌워, 캠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캠을 설치하기 위한 블럭의 경우, 캠 설치 후 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한 후, 이러한 커버를 블럭에 고정시켜 조립해야하기 때문에, 공정수의 증가, 비용증가를 비롯하여, 커버로 덮여진 설치공간 내에서 완전고정되어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말편직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다수의 캠에 있어서, 상기 캠의 전, 후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가이드하면서, 기존과 같이 캠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도 캠을 삽입부(설치공간) 내에 고정시켜 외부로 이탈없이 이동이 가능토록 한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말편직기용 실린더의 외측에 대응되며 고정설치되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체(10); 상기 삽입부(11)에 일단이 삽입되되, 상기 블럭체(10)의 일측에서 실린더를 향해 전, 후 이동가능한 이동체(20); 상기 이동체(20)의 돌출된 일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체(20)와 동반 이동되는 캠부재(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용 캠을 내설하여 전, 후이동방향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럭체에 내설되어 전, 후로 이동되는 캠이 외부로 탈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 후 왕복이동되는 캠이 블럭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필요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 이탈방지용 커버가 불필요함에 따라, 원가절감 및 제조시간 단축,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이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에 다수의 캠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체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캠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캠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의 블럭체에 설치된 캠부재의 전, 후진 작동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양말편직기용 실린더의 외측에 대응되며 고정설치되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체(10); 상기 삽입부(11)에 일단이 삽입되되, 상기 블럭체(10)의 일측에서 실린더를 향해 전, 후 이동가능한 이동체(20); 상기 이동체(20)의 돌출된 일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체(20)와 동반 이동되는 캠부재(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블럭체(10)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되, 상기 이동체(20)의 몸체부(21)가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2); 상기 삽입공(12)이 블럭체(10)의 외주면까지 개구되도록 하는 연장공(13); 상기 연장공(13)의 내주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에 내설되는 몸체부(21)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단속편(14);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삽입부(11)의 삽입공(1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대응되며 끼워지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캠부재(30)가 고정결합되어 블럭체(10)의 일면에 대향배치되는 헤드부(2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체(10)는 푸싱수단(40)에 의해 이동체(20)가 전진되었을 시 이동체(20)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원상복귀부(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원상복귀부(50)는 상기 블럭체(10)의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는 설치공(51); 상기 설치공(51)에 내설되는 탄성부재(52); 상기 설치공(51)의 단부에서 탄성부재(52)와 결합되는 압착체(53); 상기 블럭체(10)의 타측에서 압착체(53)와 이동체(20)를 상호간 연결하는 연결체(5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블럭체(10)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다수의 캠부재(30)가 이동체(20)에 고정설치되어 각각 개별 또는 동시에 전, 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체(20)를 전진시키기 위해 블럭체(10) 내에 형성되는 푸싱수단(40); 이 더 구비되되, 상기 푸싱수단(40)은 상기 블럭체(10) 내에 천공형성되며 압력이 공급되는 푸싱라인(41); 상기 푸싱라인(41)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블럭체(10)에 푸싱라인(41)과 연통되도록 천공형성되는 유입공(42); 상기 푸싱라인(41) 내에 내설되되,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일단이 블럭체(10)의 일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이동체(20)의 헤드부(22)를 밀어 전진시키는 푸싱체(4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은 블럭체(10), 이동체(20), 캠부재(30), 푸싱수단(40), 원상복귀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럭체(10)는 양말편직기에서 편침과 함께 회전되는 원통형의 실린더(S) 외주연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향설치 및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될 이동체(20) 및 캠부재(30)가 블럭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블럭체(10) 내에서 이동체(20) 및 캠부재(30)가 실린더(S)의 외주연을 향해 전, 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양말 편직기에 있어서 편침의 승강을 선택적으로 안내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S)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블럭체(10)의 경우, 사각단면의 형태를 가지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블럭체(10)에는 삽입부(11)가 형성되어 후술될 이동체(20)가 삽입부(11)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전, 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11)는 삽입공(12), 연장공(13), 단속편(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1)는 블럭체(10)에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이동체(20)의 몸체부(21)가 이러한 삽입부(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몸체부(21)가 삽입부(11)의 길이방향을 향해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삽입부(11)의 천공 형상이 사각단면이라면 상기 이동체(20)의 몸체부(21) 또한 이러한 삽입부(11)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동일한 사각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연장공(13)은 전술된 삽입공(12)을 블럭체(10)의 외주면까지 개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럭체(10)에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삽입공(12)을 블럭체(10)의 외주면까지 개구시킨 부분이 연장공(13)이며, 이러한 연장공(13)은 블럭체(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개구되도록 한다. 즉, 연장공(13)은 삽입공(12)이 외부로 개구되는 오픈타입(Open Type)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속편(14)은 전술된 연장공(13)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공(13)의 내주면 양측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단속편(14)이 상호간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연장공(13)의 폭 크기가 삽입공(12)의 폭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입공(12)에 끼워진 이동체(20)의 몸체부(21)가 연장공(13)에 돌출형성된 단속편(14)에 걸려 블럭체(10)의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20)는 전술된 블럭체(10)의 삽입부(11)에 일단이 내설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11)의 길이방향으로 전, 후 왕복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이동체(20)는 몸체부(21), 헤드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1)는 전술된 삽입부(11)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사각단면체로, 상기 삽입부(1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22)는 이러한 몸체부(21)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블럭체(10)의 외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상기 몸체부(21)는 블럭체(10)의 삽입부(11)에 내설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헤드부(22)는 블럭체(10)의 외측에서 이러한 몸체부(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21)가 전진하며 헤드부(22) 또한 전진하게 되고, 몸체부(21)가 후진하면 헤드부(22) 또한 후진하되 블럭체(10)의 외부 일측면에 걸려 접촉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캠부재(30)는 전술된 이동체(20)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20)가 전, 후진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캠부재(30) 또한 이동체(20)와 함께 동반작동되어 상기 실린더(S)의 외주연을 향해 전진되거나 또는 실린더(S)의 외주연에서 멀어지도록 후진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캠부재(30)가 이동체(20)의 헤드부(22)에 고정된 상태로 실린더(S)의 외주연에 근접하여 전진하게 되면, 실린더(S)와 함께 회전되는 편침이 캠부재(30)의 외주면에 상부 또는 하부측에 밀착되어, 상기 캠부재(30)의 형상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물론,상기 캠부재(30)가 후진하게 되면, 편침은 캠부재(30)에 의해 상승이나 하강을 하지않고 실린더(S)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푸싱수단(40)은 전술된 이동체(20)를 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푸싱수단(40)은 푸싱라인(41), 유입공(42), 푸싱체(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싱라인(41)은 전술된 블럭체(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푸싱라인(41)의 일단이 블럭체(10)의 일측까지 관통되도록 하되, 관통된 푸싱라인(41)의 일측이 이동체(20)의 헤드부(22) 후면에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상기 푸싱라인(41)에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ex: 공압 등)이 공급되도록, 상기 푸싱라인(41)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블럭체(10)에 유입공(42)을 천공형성하여, 공압 제공을 위한 외부의 구동모터(공압모터), 구동펌프(공압펌프), 공압탱크 등의 공압장치가 호스로 유입공(42)에 연결되도록 하는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푸싱체(43)는 전술된 푸싱라인(41)에 내설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푸싱라인(41) 중 일측의 유입공(42)을 통해 푸싱라인(41) 내로 공압이 제공되면, 제공된 공압에 의해 상기 푸싱라인(41)이 블럭체(10)의 개구된 일측면을 향해 밀려 돌출됨으로써, 상기 이동체(20)의 헤드부(22)를 밀어 전진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체(20)의 헤드부(22)가 블럭체(10)의 외주연 일측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 전 최초상태에서, 상기 이동체(20)를 전진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푸싱수단(40)의 푸싱라인(41)으로 공압을 주입하면, 주입된 공압에 의해 상기 푸싱라인(41) 내 푸싱체(43)가 푸싱라인(41)의 개구된 블럭체(10)의 일측으로 일정길이 토출되면서, 블럭체(10)의 외주연 일측에 접촉되어 있는 이동체(20)의 헤드부(22)를 밀게 되고, 이에 몸체부(21)는 삽입부(11) 내에서 슬라이딩되고 헤드부(22) 또한 전진하게 되어, 결국 이동체(20) 전체가 블럭체(1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전진하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푸싱수단(40)은 블럭체(10)에 삽입부(11)가 한개 형성되어 이동체(20) 또한 한개일 경우에는 단일개가 사용되지만, 삽입부(11)가 다수개 형성되어, 전, 후진 왕복운동되는 이동체(20)의 개구가 증가하게 되면, 증가된 이동체(20) 개수만큼 푸싱수단(40) 또한 다수 형성하여 각각의 이동체(20)의 전진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원상복귀부(5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푸싱수단(40)에 의해 이동체(20)가 전진된 이후, 공급되었던 공압이 제거되면 상기 원상복귀부(50)에 의해 원상태 원위치로 이동체(20)가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원상복귀부(50)는 설치공(51), 탄성부재(52), 압착체(53), 연결체(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공(51)은 전술된 블럭체(10) 내에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설치공(51)의 일단은 블럭체(10)의 타측(이동체(20)의 헤드부(22)가 전, 후진 되는 일측의 반대측)면까지 관통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전술된 설치공(51) 내부에 내설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체(53)는 전술된 설치공(51) 내에서 일측이 탄성부재(5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며, 타측은 블럭체(10)의 타측 외부로 일정길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54)는 블럭체(10)의 타측 외부에서 전술된 압착체(53)의 타측에 일단이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전술된 이동체(20)의 몸체부(21) 타단과 연결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이동체(20)가 푸싱수단(40)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전진되는 이동체(20)에 의해 연결체(54) 또한 블럭체(10)의 타측면을 향해 전진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체(54)의 전진에 의해 압착체(53) 또한 전진하면서 탄성부재(52)를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이동체(20)를 전진시켰던 푸싱수단(40)에 제공된 공압을 제거하게 되면, 압착되었던 탄성부재(52)가 인장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압착체(53)와 연결체(54)가 후진하게 되어, 결국 연결체(54)와 타단이 연결된 몸체부(21) 또한 후진하게 되어, 결국 몸체부(21)가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원상복귀부(50)는 전, 후진 왕복이동하는 이동체(20)의 개수에 비례하여 블럭체(10)에 형성되어, 다수개 이동체(20) 각각의 후진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블럭체(10)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양말편직기에서 다수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럭체(10) 내에서 형성되는 삽입부(11) 또한 다수개가 천공형성되어, 다수개의 이동체(20) 및 캠부재(30)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다수의 캠부재(30)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전, 후 왕복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블럭체 11: 삽입부
12: 삽입공 13: 연장공
14: 단속편 20: 이동체
21: 몸체부 22: 헤드부
30: 캠부재 40: 푸싱수단
41: 푸싱라인 42: 유입공
43: 푸싱체 50: 원상복귀부
51: 설치공 52: 탄성부재
53: 압착체 54: 연결체

Claims (6)

  1. 양말편직기용 실린더의 외측에 대응되며 고정설치되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체(10);
    상기 삽입부(11)에 일단이 삽입되되, 상기 블럭체(10)의 일측에서 실린더를 향해 전, 후 이동가능한 이동체(20);
    상기 이동체(20)의 돌출된 일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체(20)와 동반 이동되는 캠부재(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11)는 블럭체(10)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되, 상기 이동체(20)의 몸체부(21)가 대응되며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12)과, 상기 삽입공(12)이 블럭체(10)의 외주면까지 개구되도록 하는 연장공(13)과, 상기 연장공(13)의 내주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2)에 내설되는 몸체부(21)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단속편(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는
    상기 삽입부(11)의 삽입공(1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대응되며 끼워지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캠부재(30)가 고정결합되어 블럭체(10)의 일면에 대향배치되는 헤드부(2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체(10)는
    푸싱수단(40)에 의해 이동체(20)가 전진되었을 시 이동체(20)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한 원상복귀부(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원상복귀부(50)는
    상기 블럭체(10)의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는 설치공(51);
    상기 설치공(51)에 내설되는 탄성부재(52);
    상기 설치공(51)의 단부에서 탄성부재(52)와 결합되는 압착체(53);
    상기 블럭체(10)의 타측에서 압착체(53)와 이동체(20)를 상호간 연결하는 연결체(5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는
    상기 블럭체(10)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다수의 캠부재(30)가 이동체(20)에 고정설치되어 각각 개별 또는 동시에 전, 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0)를 전진시키기 위해 블럭체(10) 내에 형성되는 푸싱수단(40); 이 더 구비되되,
    상기 푸싱수단(40)은
    상기 블럭체(10) 내에 천공형성되는 푸싱라인(41);
    상기 푸싱라인(41)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블럭체(10)에 푸싱라인(41)과 연통되도록 천공형성되는 유입공(42);
    상기 푸싱라인(41) 내에 내설되되, 공급되는 압력에 의해 일단이 블럭체(10)의 일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이동체(20)의 헤드부(22)를 밀어 전진시키는 푸싱체(43);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6. 삭제
KR1020130120104A 2013-10-08 2013-10-08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Expired - Fee Related KR10151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104A KR101517187B1 (ko) 2013-10-08 2013-10-08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104A KR101517187B1 (ko) 2013-10-08 2013-10-08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98A KR20150041498A (ko) 2015-04-16
KR101517187B1 true KR101517187B1 (ko) 2015-05-04

Family

ID=5303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1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7187B1 (ko) 2013-10-08 2013-10-08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971B1 (ko) * 2023-11-01 2024-04-18 (주)썬테크 고정수단을 갖는 패턴 재봉기용 팔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784Y1 (ko) * 2001-02-23 2001-09-25 국제나이론 주식회사 양말편직기의 캠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784Y1 (ko) * 2001-02-23 2001-09-25 국제나이론 주식회사 양말편직기의 캠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98A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529B1 (en) Toe closing apparatus
KR101517187B1 (ko) 양말편직기용 오픈타입 캠블럭
CN204470450U (zh) 一种冲压机床快速脱模模具
CN203245256U (zh) 一种具有除尘装置冲床
US10064414B2 (en) Injecting machine for injecting brine into meat pieces
CN204868013U (zh) 一种组合冲压装置
KR20110101078A (ko) 특히 편물기 등을 위한 스트라이핑 얀 핑거를 위한 실 파지 및 절단 장치
EP2822390B1 (en) Injecting machine for injecting brine into meat pieces
CN204724730U (zh) 自动铆接回流条触点设备
CN204036386U (zh) 活塞o型圈组装装置
KR100912488B1 (ko) 걸림수단이 구비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성형지그
KR101463054B1 (ko) 덧버선 편직을 위한 양말편직기의 캠 유닛 작동장치
CN204218964U (zh) 一次性直线切割吻合器的吻切驱动装置
KR101510739B1 (ko) 사출기의 나사성형장치
CN104306038B (zh) 一次性直线切割吻合器的吻切驱动装置
CN209504756U (zh) 薄壁注塑件顶出模具
CN209551157U (zh) 工件压紧装置
KR101524183B1 (ko) 양말편직기용 스티치캠 작동장치
CN203807722U (zh) 后袋线缝制装置
CN109366150A (zh) 一种针织大圆机的可编程插针器
CN205588635U (zh) 一种堵头塑料件的上料定位装置
EP2684473A1 (en) Lower washer supply device of clothes hook and eye attaching apparatus
CN203166295U (zh) 全自动换向片装配机的芯体上料装置
KR101496115B1 (ko) 프레스 장치
CN203294750U (zh) 产品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