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895B1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6895B1 KR101516895B1 KR1020130152333A KR20130152333A KR101516895B1 KR 101516895 B1 KR101516895 B1 KR 101516895B1 KR 1020130152333 A KR1020130152333 A KR 1020130152333A KR 20130152333 A KR20130152333 A KR 20130152333A KR 101516895 B1 KR101516895 B1 KR 1015168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design body
- present
- case
- phone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은,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디자인본체; 및 휴대폰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디자인본체의 결합부에 의한 가압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 후 그 결합부의 임의이탈을 방지되게 하는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를 통과한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ular phone case molding unit. The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body having a shape of a molding such as jewelry or an accessory and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And a resiliently deformable portion that elastically deforms due to a pressing for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design body and prevents elastic disloca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fter elastic restoration, And a case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휴대폰 외관의 다양성 및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그 휴대폰 케이스에 보석이나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조형물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및 외관 디자인에 관한 선택의 폭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capable of attaching a molding such as jewelry or an accessory to a cellular phone case for enhancing variety and aesthetics of a user's mobile phone appear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having improved structure so as to improve a user's convenience and a choice of appearance design.
휴대폰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생활용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근자에는 이러한 휴대폰의 외관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개성 또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시도로, 기성품인 휴대폰에 다양한 디자인의 케이스를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악세사리 제품을 함께 사용하여 왔다.Cell phones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indispensable necessities of everyday life. In recent yea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versify the appearance of such mobile phones to emphasize the user's personality or image, and have used various designs of ready-made mobile phones combined with cases or accessories.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그 디자인이 천편일률적이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mobile phone cas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roduce various designs because its design is thin and uniform.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에 다양한 이미지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쉽게 다양한 디자인 제품을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개발이 요구된 것이다.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roduct that enables various images to be produced on a mobile phone case, and a use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various design produ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휴대폰에 다양한 이미지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을 채택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sculpture which enables various images to be displayed on a user's mobile phone, Unit. ≪ / RTI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은,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을 가지고,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디자인본체; 및 휴대폰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디자인본체의 결합부에 의한 가압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 후 그 결합부의 임의이탈을 방지되게 하는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를 통과한 상기 결합부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sign body having a molding shape such as a jewel or an accessory and having a coupling part; And a resiliently deformable portion that elastically deforms due to a pressing for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design body and prevents any dis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after elastic restoration, And a case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상기 탄성변형부는, 인접한 요소들 사이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변형리브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a plurality of deformed ribs having slits formed between adjacent elements.
상기 수용부에는 환 형상의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환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ring-shaped annular groove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at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is a ring sp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and is engaged.
상기 케이스는,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와 디자인본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보호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디자인본체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상기 탄성변형부 및 수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case includes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and a base unit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design body and coupled to the protective cover and having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nd the accommodation part to which the engagement part of the design body is coupled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은, 보석 또는 악세사리 형상을 가지는 디자인본체를 사용자의 휴대폰 케이스에 견고히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쉽게 다양한 디자인 제품을 휴대폰 케이스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폰에 다양한 이미지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결국, 이러한 장점에 의해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매출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firmly support a design body having a shape of a jewel or an accessory to a mobile phone case of a user, So that various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user's cellular phone and various designs can be easily replac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s a resul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by this advantage, and the sales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간 결합부위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locking portion between component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mbining proces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 간 결합부위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llular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은, 디자인본체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ellular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sign body and a case.
상기 디자인본체(110)는,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1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본체(110)는, 합성수지, 금속 또는 글래스 재질 등 보석이나 악세사리의 연출이 가능한 모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자인본체(110)의 결합부(111)는, 상기 케이스(1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좁은 부분과 외경이 큰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20)는, 탄성변형 및 복원동작에 의해 상기 디자인본체(110)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즉,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디자인본체(110)의 결합부(111)에 의한 가압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 후 그 결합부(111)의 임의이탈을 방지되게 하는 탄성변형부(121)를 구비한다.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 탄성변형부(121)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요소들 사이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변형리브들이 채용됨으로써, 상기 디자인본체(110)의 결합부(111)와의 작용으로 탄성변형을 일으키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deformed ribs in which slits are formed between adjacent elements are adopted as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탄성변형부(121)를 통과한 상기 결합부(111)가 안착되는 수용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22)에는, 상기 결합부(11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은, 보석 또는 악세사리 형상을 가지는 디자인본체(110)를 사용자의 휴대폰에 견고히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가 쉽게 다양한 디자인 제품을 케이스(12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폰에 다양한 이미지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교체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결국, 이러한 장점에 의해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매출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The mobile phone case mo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firmly support a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케이스(320)의 수용부에 환 형상의 환형홈(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20)의 탄성변형부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채용된 변형리브 대신에, 상기 환형홈(324)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 스프링(322)이 채용되었다.3 (a), in this embodiment, an
즉, 디자인 본체(310)의 결합부(311)는 상기 환형홈(324)에 끼워져 있는 링 스프링(322)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환형홈(324)을 통과하게 되고, 통과 이후 도 3의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20)의 수용홈(326)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311)가 상기 수용홈(326)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링 스프링(322)의 탄성 복원에 의해 그 복원력보다 큰 힘이 상기 디자인 본체(310)에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결합부(311)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스(400)가 보호커버(410)와 베이스 유닛(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mbodiment shown in this figure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즉, 상기 케이스(400)는,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410)와, 상기 보호커버(410)와 디자인본체(510) 사이에 마련되는 베이스 유닛(420)을 구비한다.That is, the
상기 베이스 유닛(420)은, 상기 보호커버(410)와 별도로 제작되어 그 보호커버(4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디자인본체(510)의 결합부(511)가 결합되는 탄성변형부(411) 및 수용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탄성변형부(411) 및 수용부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유닛에 탄성변형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자인본체에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유닛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디자인본체에 탄성변형부 및 수용부가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unit and the accommodating unit are formed on the base unit, and the engaging unit is provided on the design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upling portion and an elastic deform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in the design bod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디자인본체(610)에 탄성변형리(611)브들이 마련되어 있고, 케이스(620)에 수용홈(621)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in this embodiment, the resilient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리(611)브들에 의한 변형 후 복원으로, 상기 디자인본체(610)와 케이스(620)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nables the coupling between th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색다른 이미지 변화를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케이스와 디자인 본체를 탄성변형 동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이러한 탄성변형 동작에 의한 결합을 가능하게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ase and the design body to be combin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peration when the user intends to perform a different image change through the cellular phon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implemented to enable the coupling by the elastic deformation oper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태블릿 PC, PDA,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MP),이북(e-book)리더와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ablet PC, a PDA, a portable game machine, a digital camera, a portable media player (PMP), an e-book read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obile devices.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Do.
110:디자인 본체 111:결합부
120:케이스 121:탄성변형부
122:수용부 122a:수용홈110: design body 111:
120: Case 121: Elastic deformation part
122: receiving
Claims (4)
상기 탄성변형부는, 인접한 요소들 사이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변형리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A design body having a molding shape such as a jewel or an accessory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And a resiliently deformable portion that elastically deforms due to a pressing for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design body and prevents any dis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after elastic restoration, And a case having a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housing is formed,
Wherei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a plurality of deformed ribs having slits formed between adjacent elements.
상기 수용부에는 환 형상의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환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링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3. The method of claim 2,
An annular groove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a ring sp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상기 케이스는,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와 디자인본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보호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디자인본체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상기 탄성변형부 및 수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조형물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includes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phone, and a base unit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design body and coupled to the protective cover and having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and the accommodation part to which the engagement part of the design body is coupled Wherein the mobile phone casing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2333A KR101516895B1 (en) | 2013-12-09 | 2013-12-09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2333A KR101516895B1 (en) | 2013-12-09 | 2013-12-09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6895B1 true KR101516895B1 (en) | 2015-05-04 |
Family
ID=5339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23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16895B1 (en) | 2013-12-09 | 2013-12-09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689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8686B1 (en) * | 2020-07-07 | 2021-12-13 | 주식회사 플렉스앤락 | Lunch-basket container |
KR20240053193A (en) * | 2022-10-17 | 2024-04-24 | 아이피엑스 주식회사 | Custom decoration apparatus and case |
KR20250000139U (en) * | 2023-07-14 | 2025-01-21 |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 Case for mobile pho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8845B1 (en) * | 2011-09-08 | 2012-07-02 | 주식회사 다스텍 | Protection cover for multimedia device and finger holder for multimedia device |
KR200465624Y1 (en) * | 2011-08-19 | 2013-03-04 | 경 환 양 | Cellular phone case with decoration |
KR200467184Y1 (en) * | 2013-02-04 | 2013-06-05 | 정대원 | Case for potable phone |
-
2013
- 2013-12-09 KR KR1020130152333A patent/KR1015168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624Y1 (en) * | 2011-08-19 | 2013-03-04 | 경 환 양 | Cellular phone case with decoration |
KR101148845B1 (en) * | 2011-09-08 | 2012-07-02 | 주식회사 다스텍 | Protection cover for multimedia device and finger holder for multimedia device |
KR200467184Y1 (en) * | 2013-02-04 | 2013-06-05 | 정대원 | Case for potable phon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8686B1 (en) * | 2020-07-07 | 2021-12-13 | 주식회사 플렉스앤락 | Lunch-basket container |
KR20240053193A (en) * | 2022-10-17 | 2024-04-24 | 아이피엑스 주식회사 | Custom decoration apparatus and case |
KR102699932B1 (en) * | 2022-10-17 | 2024-08-29 | 아이피엑스 주식회사 | Case with customizable decorations |
KR20250000139U (en) * | 2023-07-14 | 2025-01-21 |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 Case for mobile phone |
KR200499039Y1 (en) | 2023-07-14 | 2025-04-15 |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 Case for mobile 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368608A1 (en) | Gasket for smartwatch cover | |
CN105423088B (en) | Attach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 |
USD925561S1 (en) |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radial menu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86758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a certain cell phone case with a universal decorative pattern layer | |
KR102170500B1 (en) | Wearable device | |
JP3178127U (en) | Screw-free metal mobile phone cover structure | |
TWI619448B (en) | Wearable device and wristband thereof | |
US9277793B2 (en) | User configurable wearable device | |
KR101516895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KR101925871B1 (en) | Smart phone case | |
KR101516366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KR200473760Y1 (en) | Mount for mobile | |
KR20160094195A (en) | Wearable device | |
KR20160002387U (en) | Edge-replaceable smartphone case using thermoplastic poly urethane elastomer | |
JP3177647U (en) | Fall prevention band for smartphone | |
KR101516896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WO2017132857A1 (en) | Connector applied on ring and ring of combined structure | |
KR101516367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KR101516369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JP2014175767A (en) | Decoration protective member for plate-like portable terminal device | |
US20180367181A1 (en) | Portable product lanyard | |
JP3181588U (en) | Decoration | |
KR101550362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KR101516368B1 (en) | Mobile phone case design unit | |
CN203608245U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