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6882B1 -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882B1
KR101516882B1 KR1020130112780A KR20130112780A KR101516882B1 KR 101516882 B1 KR101516882 B1 KR 101516882B1 KR 1020130112780 A KR1020130112780 A KR 1020130112780A KR 20130112780 A KR20130112780 A KR 20130112780A KR 101516882 B1 KR101516882 B1 KR 10151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heat exchanger
wat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57A (ko
Inventor
강성희
김진국
유병준
김재현
이승현
장경창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882B1/ko
Priority to GB1406229.3A priority patent/GB2518471B/en
Publication of KR2015003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 F24D11/0214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water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24D2200/123Compression type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8Flue gas recu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4Out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8Refrigerant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9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door unit in circulation with outdoor unit in first operation mode, indoor unit in circulation with an other heat exchanger in second operation mode or outdoor unit in circulation with an other heat exchanger in third op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8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recuperated or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공간 냉,난방, 바닥 난방, 사계절 급탕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일러 유닛의 폐열을 회수하여 압축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다목적 고효율 시스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루도록 실내기(100)와 연계되는 실외기(200)와, 물탱크 유닛(300) 및 보일러 유닛(400)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1)으로서,
상기 실외기(20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해주는 4방밸브(220)와;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230)와;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110)로 가거나 실내 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리시버 탱크(240)와;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통과하면서 물탱크 유닛(300)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열 열교환기(250)와; 상기 압축기(210)로 회수되는 냉매로부터 액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290); 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유닛(300)은, 상기 실외기의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면서 물이 순환하여 열원을 얻도록 하는 순환배관(320)(322)이 구비되는 축열조(310);를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유닛(400)은, 목표 온도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순환하는 난방수에 열원을 주도록 하는 제 1열교환기(410)와; 상기 축열조(310)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를 승온시켜서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하는 제 2열교환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조(310)에는, 바닥 난방부(500)를 거친 난방수가 축열조(310)내에서 열원을 얻어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의 제 1열교환기(410)를 통과하면서 순환하도록 연결되는 난방수 유입배관(510) 및 난방수 공급배관(520)이 포함되며, 상기 4방밸브를 거친 냉매가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도록 4방밸브(22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221)으로부터 분기되면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이 형성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30)와 연결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연결배관(221)과,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친 냉매가 리시버 탱크(240)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과의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2바이패스 배관(270)이 연결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Hybrid Heat Pump Boiler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공간 냉,난방, 바닥 난방, 사계절 급탕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면서 축열조에서 열교환기능을 발휘하여 보일러 유닛의 사용을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아도 온수 공급이 이루어져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보일러 유닛의 폐열을 회수하여 압축기로의 액냉매 유입을 방지하여 고효율의 시스템이 제공되도록 한 다목적 고효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 장치이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팽창밸브와 실내 열교환기를 가지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급탕이 제공되는 냉난방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급탕이 공급되는 냉난방 히트펌프는 냉난방과 더불어 급탕을 추가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지만, 급탕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급탕시에 냉방 효율이 저하되거나 또는 냉방 시에 급탕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공간 냉, 난방, 바닥 난방, 사계절 급탕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축한 시스템은 제안되지 못하는 실정이고, 또한, 보일러 유닛의 가동으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활용하는 기술도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압축기로 회수되는 냉매에서 액 냉매를 분리하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가 마련되어 있지만, 열교환기(증발기)를 거친 냉매가 압축기로 재유입시 어큐뮬레이터에서 완벽하게 기액분리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압축기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고, 시스템 전체적으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8770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87705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와 보일러 유닛 및 물탱크 유닛을 일체로 구성하여 공간 냉방, 공간 난방, 바닥 난방, 사계절 급탕이 가능하고, 보일러 유닛의 폐열을 활용하여 고효율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시즌에는 공간 냉방을 하면서 실외기 폐열을 이용하여 축열조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화하는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난방 시즌에는 공간 난방 및 바닥 난방을 동시에 수행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히트펌프를 이루도록 실내기와 연계되는 실외기와, 물탱크 유닛 및 보일러 유닛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으로서,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해주는 4방밸브와; 상기 4방밸브를 거친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로 가거나 실내 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리시버 탱크와; 상기 4방밸브를 거친 냉매가 통과하면서 물탱크 유닛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열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냉매로부터 액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유닛은, 상기 실외기의 축열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물이 순환하여 열원을 얻도록 하는 순환배관이 구비되는 축열조를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유닛은, 목표 온도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순환하는 난방수에 열원을 주도록 하는 제 1열교환기와; 상기 축열조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를 승온시켜서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하는 제 2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조에는, 바닥 난방부를 거친 난방수가 축열조내에서 열원을 얻어 보일러 유닛의 내부의 제 1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순환하도록 연결되는 난방수 유입배관 및 난방수 공급배관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4방밸브를 거친 냉매가 축열 열교환기를 거치도록 4방밸브와 연결되는 연결배관으로부터 분기되면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1바이패스 배관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연결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연결배관과 축열 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리시버 탱크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과의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2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와 4방밸브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페밸브를 구비하는 연결배관과 제 1바이패스 배관의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리시버 탱크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배관과, 리시버 탱크와 실내 열교환기의 사이의 연결배관에는 분기되어 각각 체크밸브와 팽창밸브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또한, 냉매가 축열 열교환기를 거쳐서 리시버 탱크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상에서 분기되어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리시버 탱크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배관과 합류되면서 개폐밸브를 가지는 제 3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일러 유닛으로부터 나와서 바닥 난방부로 난방수가 보내지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배관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와, 상기 3방밸브로부터 분기되어서 바닥 난방부를 거친 난방수가 축열조안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난방수 유입배관과 합류되는 연결배관과, 바닥난방부를 거친 이후의 난방수 유입배관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와, 상기 3방밸브로부터 분기되어 난방수 공급배관과 합류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여, 동파방지 및 바닥 난방 운전시 난방온도가 목표값에 도달하면 난방수가 더 이상 순환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된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와 연결되어서 상기 압축기내로의 액냉매 유입을 방지하도록 실외기의 어큐뮬레이터에 열원을 전달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축열조를 통과하면서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배관과, 이 유입배관내의 물이 보일러 유닛 내부의 제 2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배관과 연결되는 배출배관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유입배관에는 3방밸브가 구비되어서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축열조를 거치지 않고 온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바이패스 유입배관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를 거친 난방수가 바닥난방부로 보내지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배관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와, 상기 3방밸브로부터 분기되어 제 2열교환기를 거쳐서 축열조로부터 나오는 물이 연결배관 및 배출배관을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시 난방수 공급배관으로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간 냉방, 공간 난방, 바닥 난방, 사계절 급탕이 가능하다.
둘째, 보일러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폐열은 히트 파이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압축기의 액냉매 유입을 방지하여 히트펌프의 고효율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냉방시즌에는 공간 냉방을 하면서 실외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축열조의 물을 데워서 온수로 만들어서 물탱크 유닛을 이루는 축열조안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온수 및 바닥난방을 할 경우에, 축열조내의 물과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되므로 보일러 유닛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넷째, 난방 시즌에는 공간 난방 및 바닥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동절기 전력난이 예상되는 경우나 전력 사용량이 상당히 많아 누진세에 의한 전기료의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보일러 유닛의 가동 우선모드를 통해서 에너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냉방 및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냉방 및 축열모드,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냉방 및 축열모드,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난방 및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난방 및 축열모드와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축열모드와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로서 사용되는 시스템은 방법이 아닌 장치를 나타낸 용어임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공간 냉방 및 축열모드, 바닥난방 또는 온수 사용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1)은, 히트펌프를 이루는 실내기(100)와 연계되는 실외기(200)와, 물탱크 유닛(300) 및 보일러 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100)는 실내 열교환기(110)와 송풍기(12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실외기(20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해주는 4방밸브(220)와,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통과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23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친 냉매가 상기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여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는 과정에서 거치도록 하는 리시버 탱크(receiver tank)(240)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리시버 탱크(240)는 액냉매를 저장하는 곳인데, 각 운전 모드별로 최적의 순환에 필요한 냉매량이 다르기 때문에, 각종 운전 모드에 사용되고 남은 냉매가 저장되며, 또한 미세한 냉매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스템 성능 저하를 지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200)에는 물탱크 유닛(300)의 축열조(310)로부터 온수가 순환하여 다시 축열조(3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배관(320)(322)이 연결되는 축열 열교환기(250)가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순환배관(320)상에는 순환펌프(324)가 갖추어져서 축열조(310)로부터 온수를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면서 순환시킨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320)상에는 플래쉬 탱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축열조(310)가 밀폐형 구조이기때문에, 물의 온도 및 부피변화와 순환펌프(324)의 동작에 따른 축열조(310) 내부의 압력변화에 대하여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30)로 가는 과정에서 구비되는 연결배관(221)상에는, 개폐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222)를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친 냉매가 리시버 탱크(24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배관(231)상에는 개폐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232)가 갖추어지고, 이 솔레노이드밸브(232)로부터 분기되어 체크밸브(233)와 팽창밸브(234)를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리시버 탱크(240)를 거친 냉매가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배관(241)상에는, 분기되어 각각 팽창밸브(242)와 체크밸브(243)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221)상에는 분기되어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도록 연결되는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이 구비된다.
상기 축열 열교환기(250)는 제 1바이패스 배관(260)과 연결됨과 동시에, 축열 열교환기(250)를 통과한 다음에는 상기 연결배관(231)과 연결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이 구비되어서 냉매가 리시버 탱크(240)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221)상에는 제 2바이패스 배관(270)이 구비되어서 상기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상에는 분기되어 리시버 탱크(240)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기(100)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배관(241)과 연결되는 제 3바이패스 배관(280)이 갖추어진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바이패스 배관(260),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 제 2바이패스 배관(270) 및 제 3바이패스 배관(280)상에는 각각 개폐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262)(263)(271)(281)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실내기(100)에는 연결배관(241)과 연결되어 냉매를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배관(111)과,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친 냉매가 4방밸브(220)를 거치도록 연결되는 연결배관(112)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112)을 통해 냉매가 4방밸브(220)를 거쳐서 압축기(210)로 유입되는 연결배관(223)상에는 어큐뮬레이터(290)가 갖추어진다.
상기 연결배관(112)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113)가 구비되고, 연결배관(112)과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의 사이에는 연결배관(264)이 연결되며, 이 연결배관(264)상에는 개폐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265)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보일러 유닛(400)은 그 내부에 제 1,2열교환기(410)(420)가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 유닛(400)으로부터 나온 난방수가 순환하여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 난방부(500)가 갖추어진다.
또한, 바닥 난방부(500)외에 라디에이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하여 난방수가 순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열교환기(410)는 바닥 난방부(500)를 거치는 난방수가 버너(450)에 의해 열원을 얻도록 하는 난방수 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제 2열교환기(420)는 축열조(310)로부터 나오는 온수가 난방수의 일부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온수 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보일러 유닛(400)에는 축열조(310)와 연결되면서 축열조(310)내로 유입된 물이 보일러 유닛(400)내의 제 2열교환기(420)를 거쳐서 배출되도록 하는 유입배관(430)과 배출배관(432)이 연결되는데, 3방밸브(434)에 3방밸브(434) 이후에는 제 2열교환기(420)를 거치는 유입배관(431)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배관(430)은 축열조(310)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3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급수관(332)과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330)은 축열조(310)안에 물을 공급하는데, 자동충전 워터밸브(auto fill water valve)(330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3방밸브(434)이 한쪽에는 급수관(330)으로부터 분기되는 바이배스 유입배관(333)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열교환기(410)의 상부에는 가열을 위한 버너(4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일러 유닛(400)의 상부에는 보일러 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회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460)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460)에는 이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460)와 연결되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해 실외기(200)의 어큐뮬레이터(290)에 배기가스 열원이 전달되도록 하는 히트 파이프(4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닥 난방부(500)는 난방수가 축열조(310)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난방수 유입배관(510)과, 축열조(310)를 통과한 난방수가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에 구비된 제 열교환기(410)를 거쳐서 다시 바닥 난방부(500)로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을 포함한 구조이다.
상기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이면서 난방수 공급배관(520)상에는 난방수를 축열조(310)로부터 제 1열교환기(410)를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펌프(4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 공급배관(520)의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에는 제 2열교환기(420)를 거쳐서 3방밸브(522)로부터 바이패스되어 제 1열교환기(410)로부터 승온된 난방수가 3방밸브(522)를 통해 제 2열교환기(420)를 거치면서 유입배관(430)과 열교환되어 유입배관(430)내의 물을 온수화하도록 하는 바이패스 배관(44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410)를 거친 난방수가 바닥 난방부(500)로 공급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상에는 2개의 3방밸브(522)(524)가 갖추어진다.
3방밸브(524)는 바닥 난방부(500)를 통과하는 난방수가 축열조(310)로 유입되도록 하는 난방수 유입배관(510)과 연결되어서 바닥난방시 목표 온도값에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온도가 높아진 난방수를 보내지 않게 하기 위해 바이패스시키는 연결배관(525)이 포함된다.
물론, 3방밸브(524)를 통해 바닥 난방시 목표 온도값에 도달하면 난방수를 보내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는 것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동작 자체는 일반적인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되는 연결배관(525)은 동절기에 동파방지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난방수 유입배관(510)상에는 3방밸브(512)가 갖추어져서 난방수 공급배관(52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513)이 갖추어진다.
따라서, 제 1열교환기(410)를 거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상의 3방밸브(524)를 통해 분기되는 연결배관(525)내를 흐르는 난방수는 3방밸브(512)에서 분기되어 연결배관(513)을 통해 보일러 유닛(400)으로 유입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과 합류되는 순환구조를 가져서 겨울철 동파 방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열조(310)에는 축열조(310)안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관(312)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330)상에는 배출배관(432)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34)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334)상에는 믹싱밸브(335)와 역류방지용 체크밸브(336)가 구비되어서 믹싱밸브(335)의 제어를 통해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보일러 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배관(432)를 통해 배출되는 온수의 목표 온도값으로 맞추는 것인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최종적으로 목표 온수를 정확히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믹싱밸브(335)의 제어를 통해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열조(310)의 상부에는 릴리프 밸브(340)를 두어서 축열조(310)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는 경우에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릴리프 밸브(340)의 왼쪽에 도시된 P는 압력 스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개폐밸브의 일례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운전조건을 결정하게 되는데, 개폐밸브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외에 전동 볼 밸브 등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각 모드별로 구분하여 동작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 냉방 및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10)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가 4방밸브(220)를 거쳐서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친 다음, 리시버 탱크(240)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팽창밸브(242)를 거쳐서 저온화된 상태로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10)를 지나면서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여 공간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112)을 통해 다시 4방밸브(220)를 거쳐서 어큐뮬레이터(290)를 지난 다음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압축기(2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연결배관(221)을 거쳐서 실외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는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222)는 개방된 상태이고, 제 1,2 바이패스 배관(260)(270)상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262)(271)는 폐쇄된 상태이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친 냉매가 연결배관(231)을 통해 리시버 탱크(240)로 이동하는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232)는 개방된 상태이고, 팽창밸브(234)는 닫힌 상태에서 체크밸브(233)를 통과하여 리시버 탱크(240)로 유입된다.
또한, 냉매는 리시버 탱크(240)를 통과한 다음, 연결배관(241)을 통해 팽창밸브(242)를 통과하여 연결배관(111)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110)로 이동하는데, 이때 체크밸브(243)는 역방향으로 구비되어서 냉매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만일, 바닥난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일러 유닛(400)을 가동하여 바닥난방부(500)를 통해 난방수가 순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보일러 유닛(400) 내부에 구비된 난방수 공급펌프(440)의 동작으로 바닥 난방부(500)를 거친 난방수는 온도가 떨어진 상태로 난방수 유입배관(510)을 통해 축열조(310)안으로 들어가고, 다시 축열조(310)안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난방수 공급배관(520)을 통해 승온된 상태로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로 유입되어서 제 1열교환기(410)를 거쳐서 바닥 난방부(500)로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 제 1열교환기(410)에서는 목표 온도까지 난방수가 승온되도록 버너(450)에 의한 가열에 의해 열원을 얻는다.
또한, 보일러 유닛(400)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원(폐열)을 히트 파이프(47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90)로 전달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290)를 통과하여 압축기(210)로 회수되는 냉매의 기액 분리가 보다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히트 파이프(470)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90)내에서 증발이 일어나므로, 이를 통과하는 냉매가 압축기(210)로 회수될 때,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수 모드시에는 급수관(330)을 통해 축열조(310)안을 거친 물이 유입배관(430) 및 3방밸브(434)를 통해 보일러 유닛(400)의 제 2열교환기(420)에서 열교환에 의해 열원을 얻어서 다시 배출배관(432)을 통해 온수 공급이 이루어진다.
만일, 축열조(310) 내부의 청소를 위해 물을 비워두거나 또는 축열 관련 부품의 고장시 또는 축열조(310) 내부의 물의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축열조(310)를 거치지 않고 급수관(330)으로부터 바로 바이패스 유입배관(333)을 통해 3방밸브(434)를 통과하여 보일러 유닛(400)내의 제2 열교환기(420)을 거치면서 열교환에 의해 온수화시킨 다음, 배출배관(432)을 통해 온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소비자가 바닥 난방 및 온수의 사용을 원하면, 보일러 유닛(400)을 가동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 냉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1
도 2는 공간 냉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공간 냉방 및 축열 모드는 동시에 운전이 되는데, 먼저 압축기(210)를 거친 냉매가 4방밸브(220)를 거쳐서 연결배관(221)을 경유하여 제 1바이패스 배관(26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262)는 개방된 상태이고, 솔레노이드 밸브(222)는 폐쇄된 상태이다.
상기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을 통과하는 냉매는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게 되고,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을 통해 연결배관(231)을 거쳐서 리시버 탱크(240)로 유입된다.
이때, 제 3바이패스 배관(280)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81)는 폐쇄된 상태이고, 솔레노이드 밸브(263)는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리시버 탱크(24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241)을 통해 팽창밸브(242)를 통과하여 저온화된 상태로 연결배관(111)을 지나서 실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실내로 냉기를 토출하여 공간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112)을 거쳐서 4방밸브(220)를 통과하여 어큐뮬레이터(290)를 지나서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축열 모드 운전시에는, 순환펌프(324)의 가동으로 축열조(310)안의 물을 순환배관(320)을 통해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쳐서 순환배관(322)을 통해 다시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축열 열교환기(250)에서는 축열조(310)에서 나온 물이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을 거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서 열원을 얻은 상태로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된다.
또한, 보일러 유닛(400)의 가동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폐열로 인해 배기가스 열교환기(460)에서 열원을 얻는 히트 파이프(47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90)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압축기(210)로 회수되는 냉매를 다시 고온,고압으로 압축할때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소비자가 바닥 난방 및 온수공급을 희망하는 경우, 보일러 유닛(400)을 가동하면 되는데, 축열모드 운전에 의해 축열조(310)로 회수된 물이 온수화되므로, 바닥 난방부(500)를 거치면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진 난방수가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저하되고, 축열조(310)안에서 다시 승온되어서 난방수 공급배관(520)을 통해 보일러 유닛(400) 내부의 제 1열교환기(410)를 거치면서 더욱 열원을 얻은 상태로 바닥 난방부(500)로 공급된다.
이때, 축열조(310)에서 나오도록 연결된 유입배관(430)은 3방밸브(432)를 거쳐서 유입배관(431)을 지나 보일러 유닛(400) 내부의 제 2열교환기(420)를 거치면서 열교환에 의해 승온된 상태로 배출배관(432)를 통해 온수가 공급된다.
상기 유입배관(430)은 급수관(33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 급수관(332)과 연결되어서 급수관(330)을 통해 물이 축열조(310)안으로 유입되어서 유입배관(430)으로 이동하여 보일러 유닛(400)을 거쳐서 승온된 상태로 배출배관(432)을 통해 온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축열조(310)가 축열된 상태에서 축열조(310)의 내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유입배관(430)(431) 및 배출배관(432)를 거치는 물은 축열조(310)를 거치면서 열교환에 의해 승온된 상태로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를 지나게 되므로 보일러 유닛(400)의 가스 소비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축열조(310)에 의해 온도가 상당히 높게 설정되는 경우, 축열조(310)에서 열교환되어 통과하는 물(온수)은 보일러 유닛(400)의 작동없이 소비자가 원하는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공간 냉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2
도 3은 공간 냉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의 다른 실시 예로서, 축열조(310)의 물의 온도가 높을 경우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축열 열교환기(250) 이외에 실외 열교환기(230)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압축기(21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고압화된 상태로 4방밸브(220)를 거쳐서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을 통해 축열 열교환기(250)를 통과하게 되는데, 축열 열교환기(250)를 통과한 냉매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을 통해 리시버 탱크(240)로 가지 않고, 제 2바이패스 배관(270)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2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3)는 폐쇄된 상태이고, 제 1,2바이패스 배관(260)(270)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2)(271)는 개방된 상태이며, 솔레노이드 밸브(222)는 폐쇄된 상태이다.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친 냉매는 체크밸브(233)를 통과하여 리시버 탱크(240)안으로 유입된 다음, 다시 연결배관(241)을 통해 팽창밸브(242)를 거치면서 저온화된 상태로 연결배관(111)을 지나 실내 열교환기(110)를 통과하면서 공간 냉방이 이루어진다.
실내 열교환기(23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112)를 통해 4방밸브(220) 및 어큐뮬레이터(290)를 거쳐서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축열 모드 운전시와 온수 공급을 위한 축열조(310)안의 물을 순환시키고 보일러 유닛(400)을 가동시키는 동작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모드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간 난방 및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
도 4는 공간 난방 및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공간 냉방시와 반대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압축기(210)를 통해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4방밸브(220)를 지나서 연결배관(112)을 통해 바로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치면서 공간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111)을 통해 체크밸브(243)를 통과하여 연결배관(241)를 지나서 리시버 탱크(240)안으로 유입된다.
리시버 탱크(24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231)를 통해 팽창밸브(234)를 지나면서 저온화된 상태로 실외 열교환기(230)를 통과하여 연결배관(221)을 통해 4방밸브(220)를 거쳐서 연결배관(223)을 통해 어큐뮬레이터(290)를 지나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이때, 제 1,2,3바이패스 배관(260)(270)(280)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2)(271)(281)는 폐쇄된 상태이고, 또한 연결배관(264)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5)도 폐쇄된 상태이며,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3)도 폐쇄된 상태이다.
보일러 유닛(400)의 가동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에 의해 배기가스 열교환기(460)에서 열원을 얻는 히트 파이프(470)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90)는 온도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되는 냉매의 압축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바닥 난방 및 온수 모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공간 난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
도 5는 공간난방 및 축열 모드와 바닥난방 또는 온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난방 및 축열 모드 운전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먼저 압축기(210)를 통해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4방밸브(220)를 지나서 연결배관(112)을 통해 바로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치면서 공간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111)을 통해 체크밸브(243)를 통과하여 연결배관(241)를 지나서 리시버 탱크(240)안으로 유입된다.
리시버 탱크(24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231)를 통해 팽창밸브(234)를 지나면서 저온화된 상태로 실외 열교환기(230)를 통과하여 연결배관(221)을 통해 4방밸브(220)를 거쳐서 연결배관(223)을 통해 어큐뮬레이터(290)를 지나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또한, 축열모드 운전시에는 압축기(210)를 통해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연결배관(112)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110)로 이동함은 물론, 분기되어서 연결배관(264)을 통해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친 다음,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을 통해 제 3바이패스 배관(280)을 거쳐서 연결배관(241)과 합해져서 리시버 탱크(240)안으로 유입된다.
물론, 제 1,2바이패스 배관(260)(270)과 연결배관(261)상의 솔레노이드 밸브(262)(271)(263)는 폐쇄된 상태로 있다.
한편, 축열모드 운전시 순환펌프(324)의 가동으로 순환배관(320)(322)을 통해 축열조(310)안의 물이 순환되는데,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승온된 상태로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축열 열교환기(250)에서 고온의 냉매 일부가 통과하게 되므로, 축열조(310)안의 물이 순환배관(320)(322)를 통해 순환하면서 축열 열교환기(250)에서 통과하는 냉매로부터 열원을 얻는 것이다.
바닥 난방과 온수 모드는 보일러 유닛(400)의 가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의거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축열 모드 및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 ]
도 6은 축열 모드 및 바닥 난방 또는 온수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축열 모드 운전시에는 순환펌프(324)의 가동으로 축열조(310)안의 물이 순환배관(320)(322)을 통해 순환하는 과정에서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면서 열원을 얻어서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된다.
이때에는 실내기(100)의 작동은 정지한 상태로서, 압축기(210)를 통해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4방밸브(220)를 통해 연결배관(112)으로 가지 않고 연결배관(264)을 통해 제 1바이패스 배관(260)과 합해져서 축열 열교환기(250)를 통과하여 리시버 탱크(240)안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축열 열교환기(250)에서 축열조(310)로부터 나온 물이 열교환되어 승온된 상태로 다시 축열조(310)안으로 회수된다
한편, 상기 리시버 탱크(240)를 거친 냉매는 연결배관(231)을 통해 팽창밸브(231)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230)를 거쳐서 연결배관(221)을 통해 4방밸브(220)를 지나서 어큐뮬레이터(290)를 거쳐서 다시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바닥 난방과 온수 공급은 보일러 유닛(400)의 가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의거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운전 조건에 따라 냉매량이 다른데, 이때 남은 냉매는 리시버 탱크(240)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 유닛(4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폐열은 히트 파이프(470)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90)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어큐뮬레이터(290)내의 냉매를 더욱 증발시켜서 액냉매를 제거하여 압축기(210)로 액냉매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히트펌프의 고효율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 유닛(300)을 이루는 축열조(310)안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온수 및 바닥 난방을 할 경우에, 축열조(310)내의 물과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되므로 보일러 유닛(300)의 사용을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고도 온수 공급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100 : 실내기
110 : 실내 열교환기
111,112 : 연결배관
113 : 솔레노이드 밸브
120 : 송풍기
200 : 실외기
210 : 압축기
220 : 4방밸브
221 : 연결배관
222 : 솔레노이드 밸브
223 : 연결배관
230 : 실외 열교환기
231 : 연결배관
232 : 솔레노이드 밸브
233 : 체크밸브
234 : 팽창밸브
240 : 리시버 탱크
241 : 연결배관
242 : 팽창밸브
243 : 체크밸브
250 : 축열 열교환기
260 : 제 1바이패스 배관
261 :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
262,263,,265,271,281 : 솔레노이드 밸브
264 : 연결배관
270 : 제 2바이패스 배관
280 : 제 3바이패스 배관
290 : 어큐뮬레이터
300 : 물탱크 유닛
310 : 축열조
312 : 드레인관
320,322 : 순환배관
324 : 순환펌프
330 : 급수관
330a : 자동충전 워터밸브
332 : 분기 급수관
333 : 바이패스 유입배관
334 : 연결배관
340 : 릴리프 밸브
350 : 플래쉬 탱크(flash tank)
400 : 보일러 유닛
410 : 제 1열교환기
420 : 제 2열교환기
430,431 : 유입배관
432 : 배출배관
434 : 3방밸브
440 : 난방수 공급펌프
442 : 바이패스 배관
450 : 버너
460 :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
470 : 히트 파이프
500 : 바닥 난방부
510 : 난방수 유입배관
512 : 3방밸브
513 : 연결배관
520 : 난방수 공급배관
522,524 : 3방밸브
525 : 연결배관

Claims (11)

  1. 히트펌프를 이루도록 실내기(100)와 연계되는 실외기(200)와, 물탱크 유닛(300) 및 보일러 유닛(400)이 일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1)으로서,
    상기 실외기(200)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해주는 4방밸브(220)와;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230)와;
    실내기의 실내 열교환기(110)로 가거나 실내 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리시버 탱크(240)와;
    상기 4방밸브(220)를 거친 냉매가 통과하면서 물탱크 유닛(300)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축열 열교환기(250)와;
    상기 압축기(210)로 회수되는 냉매로부터 액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290); 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유닛(300)은,
    상기 실외기의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면서 물이 순환하여 열원을 얻도록 하는 순환배관(320)(322)이 구비되는 축열조(310);를 포함하며,
    상기 보일러 유닛(400)은,
    목표 온도로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순환하는 난방수에 열원을 주도록 하는 제 1열교환기(410)와;
    상기 축열조(310)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를 승온시켜서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열교환하는 제 2열교환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조(310)에는,
    바닥 난방부(500)를 거친 난방수가 축열조(310)내에서 열원을 얻어 보일러 유닛(400)의 내부의 제 1열교환기(410)를 통과하면서 순환하도록 연결되는 난방수 유입배관(510) 및 난방수 공급배관(520)이 포함되며,
    상기 4방밸브를 거친 냉매가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치도록 4방밸브(22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221)으로부터 분기되면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이 형성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30)와 연결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냉매가 흐르도록 하는 연결배관(221)과, 축열 열교환기(250)를 거친 냉매가 리시버 탱크(240)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과의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 2바이패스 배관(27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와 4방밸브(220)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연결배관(112)과 제 1바이패스 배관(260)의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배관(26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리시버 탱크(240)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연결배관(231)과, 리시버 탱크(240)와 실내 열교환기의 사이의 연결배관(111)에는 분기되어 각각 체크밸브(233)(243)와 팽창밸브(234)(2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냉매가 축열 열교환기(240)를 거쳐서 리시버 탱크(240)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1바이패스 연결배관(261)상에서 분기되어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리시버 탱크(240)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배관(241)과 합류되면서 개폐밸브를 가지는 제 3바이패스 배관(28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유닛(400)으로부터 나와서 바닥 난방부로 난방수가 보내지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524)와, 상기 3방밸브(524)로부터 분기되어서 바닥 난방부(500)를 거친 난방수가 축열조(310)안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난방수 유입배관(510)과 합류되는 연결배관(525)과, 바닥난방부(500)를 거친 이후의 난방수 유입배관(510)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512)와, 상기 3방밸브(512)로부터 분기되어 난방수 공급배관(520)과 합류되는 연결배관(513)을 포함하여, 동파방지 및 바닥 난방 운전시 난방온도가 목표값에 도달하면 난방수가 더 이상 순환하지 않도록 바이패스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보일러 유닛(40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된 배기가스 회수 열교환기(460)와, 상기 압축기(210)내로의 액냉매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외기의 어큐뮬레이터(290) 사이에 열원을 전달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열조(310)와 연결되는 급수관(33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축열조(310)를 통과하면서 급수관(330)과 연결되는 유입배관(430)(431)과, 이 유입배관(430)(431)내의 물이 보일러 유닛 내부의 제 2열교환기(420)를 거치면서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유입배관(430)(431)과 연결되는 배출배관(4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입배관(430)(431)에는 3방밸브(434)가 구비되어서 급수관(330)으로부터 분기되어 축열조(310)를 거치지 않고 온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바이패스 유입배관(33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410)를 거친 난방수가 바닥난방부(500)로 보내지도록 하는 난방수 공급배관(520)상에 구비되는 3방밸브(522)와, 상기 3방밸브(522)로부터 분기되어 제 2열교환기(420)를 거쳐서 축열조(310)로부터 나오는 물이 연결배관(430)(431) 및 배출배관(432)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시 난방수 공급배관(520)으로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배관(4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KR1020130112780A 2013-09-23 2013-09-23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Active KR10151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80A KR101516882B1 (ko) 2013-09-23 2013-09-23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GB1406229.3A GB2518471B (en) 2013-09-23 2014-04-07 Hybrid heat pump boil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80A KR101516882B1 (ko) 2013-09-23 2013-09-23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57A KR20150033157A (ko) 2015-04-01
KR101516882B1 true KR101516882B1 (ko) 2015-05-04

Family

ID=5077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80A Active KR101516882B1 (ko) 2013-09-23 2013-09-23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6882B1 (ko)
GB (1) GB25184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830B1 (ko) 2021-12-23 2022-06-22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혹한기 히트펌프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659B1 (ko) * 2015-05-15 2016-06-1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CN105020890A (zh) * 2015-06-13 2015-11-04 朱瑞瑞 热泵室外取热装置
CN105276665B (zh) * 2015-11-09 2017-12-26 天津商业大学 生活废水余热回收家庭供热系统
KR101809621B1 (ko) 2016-04-18 2018-01-19 대성쎌틱에너시스 주식회사 온수기 시스템
CN106196258A (zh) * 2016-06-28 2016-12-07 四川自然道节能科技有限公司 热水节能系统及其控制方法
GR20170100077A (el) * 2017-02-20 2018-10-31 Νεκταριος Παναγιωτη Ταλιαδουρος Αντλια θερμοτητας διπλης ενεργειας
CN107120826A (zh) * 2017-06-16 2017-09-01 大连恒通和科技有限公司 模块气电联供热水系统
CN109708334A (zh) * 2018-12-24 2019-05-03 武汉科技大学 基于发廊污水源与空气源热泵三联供复合系统
CN109974254A (zh) * 2019-03-21 2019-07-05 陈碧贤 空调空气能热水器运行程序集成控制及热水优先控制方法
CN110925921A (zh) * 2019-12-17 2020-03-27 惠州市江明机电科技有限公司 节能冷暖双供应系统
KR102389835B1 (ko) * 2021-08-24 2022-04-21 이준민 심야전기를 이용한 냉난방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563765B1 (ko) * 2021-08-24 2023-08-07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이토믹 히트 펌프 장치
BE1030824B1 (nl) * 2022-08-30 2024-03-26 Koutermolen nv Thermische en vermogensmodule voor een logistiek gebouw
KR102789304B1 (ko) * 2022-12-28 2025-03-31 최진민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92Y1 (ko) * 2004-03-03 2004-06-04 에너지마스타 주식회사 히트펌프용 리시버 탱크
KR101255760B1 (ko) * 2012-05-30 2013-04-17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131B1 (ko) * 2010-10-29 2012-11-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복합 냉난방 온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92Y1 (ko) * 2004-03-03 2004-06-04 에너지마스타 주식회사 히트펌프용 리시버 탱크
KR101255760B1 (ko) * 2012-05-30 2013-04-17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830B1 (ko) 2021-12-23 2022-06-22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혹한기 히트펌프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18471B (en) 2016-10-19
GB2518471A (en) 2015-03-25
GB201406229D0 (en) 2014-05-21
KR20150033157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882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CN100501253C (zh) 复合制冷采暖系统
KR101255760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JP5327308B2 (ja) 給湯空調システム
US11092360B2 (en) Intelligent heat pump system having dual heat exchanger structure
CN101208564B (zh) 热水供给装置
US9765977B2 (en) Heat-accumulating hot-water-supplying air conditioner
KR101380555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KR100998483B1 (ko) 지열히트펌프를 이용한 모듈멀티형 냉난방시스템
KR101864636B1 (ko) 폐열회수형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시스템
CN102506479A (zh) 一种空调系统
KR101606531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일러 시스템
KR101151006B1 (ko) 지열 열펌프 시스템
JP5067958B2 (ja) 地中熱利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水熱利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0619444B1 (ko)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수축열식 냉난방시스템
JP2008134045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13083439A (ja) 給湯空調システム
JP2013083439A5 (ko)
JP2010286144A (ja) 蓄熱式給湯空調システム
JP5751599B2 (ja) 給湯冷暖房システム
KR101116927B1 (ko) 지열 열펌프 시스템
JP2015124910A (ja) 給湯空調システム
KR101304998B1 (ko) 지열 및 공기열을 이용한 축열탱크와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JP5166840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5150225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