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19B1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6119B1 KR101516119B1 KR1020140041563A KR20140041563A KR101516119B1 KR 101516119 B1 KR101516119 B1 KR 101516119B1 KR 1020140041563 A KR1020140041563 A KR 1020140041563A KR 20140041563 A KR20140041563 A KR 20140041563A KR 101516119 B1 KR101516119 B1 KR 101516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 main
- ceiling
- present
- t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보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티바와 고정클립의 새로운 결합 방식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장치 전체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티바에 결합홈을 형성하거나 돌기부를 형성하여서 고정클립과 결합되도록 하여 무단으로 크로스 티바가 분리되지 않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장치 전체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크로스 티바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외관의 미려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including a main tee and a cross tee which are fixedly installed on a ceiling and can be installed with a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by stably installing the ceiling, and also by stabilizing the enti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groove is formed in a cross tee or a protrusion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fixing clip so as to prevent the cross te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dlessly, thereby facilitating construction and securing the entir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further to prevent the cross tiba from twisting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고정 설치되어 보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 티바와 고정클립의 새로운 결합 방식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장치 전체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including a main tee and a cross tee which are fixedly installed on a ceiling and can be installed with a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by stably installing the ceiling, and also by stabilizing the entire apparatus.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상가, 공장 및 학교와 같은 건축물의 천정에는 천정으로 지나가는 각종 설비들을 커버하여 미려감을 향상시키고자 천정 시공 장치를 통해서 보드판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the ceiling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shop, a factory, and a school is provided with a board through a ceiling construction device to cover a variety of facilities passing through the ceiling to improve the sense of touch.
상기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천정 시공 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이용한 시공 장치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다른 시공 장치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고 그 시공 방법이 간편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Various types of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es used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However, a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a main tee and a cross tee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his is becaus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compared to other construction apparatus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is simple.
이러한 메인 티바와 크로스 티바를 이용한 천정 시공 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46434호에 소개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는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88316호에도 소개되어 있다.This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using a main tee bar and a cross te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6434 and is also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8316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는 공보를 참조로 하면, 메인티바, 크로스 티바 및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고정클립이 메인티바에 결속됨에 따라 크로스 티바 상부에 안치되는 보드판이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드판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다. 물론, 상기 고정클립의 결합 구조로 인해 보드판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설치 과정 특히, 크로스 티바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문제와, 설치 후에도 크로스 티바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메인티바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비틀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Particularly, referring to the publication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in board includes a main tever, a cross tab, and a fixing clip. When the fixing clip is bound to the main tee, So that the board board can be stably installed. Of course,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ing clip, the board can be stably install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tee is dropped and the cross tee is separated from the main tee Or twisting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로스 티바와 고정클립의 새로운 결합 방식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장치 전체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osstie bar and a fixing clip,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for a buil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의 하면에 격자틀 형상으로 설치되어서 보드판을 설치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 양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성된 메인티바; 상기 메인티바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면에 직교방향으로 안치되어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되,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드판을 안치하기 위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크로스 티바; 및 상기 메인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에 의해서 메인티바의 몸체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의 몸체를 수용하되 상기 크로스 티바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서 상기 크로스 티바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부재의 끝단에서 절곡되어서 상기 보드판을 상면을 구속하는 연장부가 형성된 고정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uilding board on a lower surface of a fixing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A main body having a body formed with hooks on both sides thereof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tebar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form a lattice frame shape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de cross tiba;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main body of the tee bar is formed by a pair of vertical face members bent downward from the top face member and formed in each of the vertical face members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body of the cross-tip bar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of the cross-bar and restraining the cross-ba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nd a fixing clip having an extension for restri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바람직하게 상기 크로스 티바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 대신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클립의 수직면부재 내벽에 걸려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protrusions are formed instead of the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body of the cross-tab, so that they are caught by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face member of the fixing clip and are not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 티바에 결합홈을 형성하거나 돌기부를 형성하여서 고정클립과 결합되도록 하여 무단으로 크로스 티바가 분리되지 않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장치 전체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크로스 티바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외관의 미려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 groove is formed in a cross tee or a protrusion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a fixing clip so as to prevent the cross te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dlessly, thereby facilitating construction and securing the entir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further to prevent the cross tiba from twisting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티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티바와 고정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및 횡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ed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Quot; a " and "b" in Fig.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cross-tie and the fixing cl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티바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ed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A" and "b" in Fig.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cli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보드판(300)을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100)는 크게 메인 티바(110), 크로스 티바(120) 및 고정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우선, 상기 메인티바(110)는 천정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양 측에 걸림턱(113)이 형성된 몸체(112) 및 상기 몸체(112) 하면 양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메인티바는 천정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고정장치(200)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천정에 매설되는 볼트(210), 상기 볼트(210)에 체결되는 행거(220), 상기 행거(220)에 안치되는 챤넬(230) 및 상기 챤넬(230)과 상기 메인티바를 결속하는 연결클립(240)을 포함하는데, 이 구성 및 결속관계는 종래 기술에서 이미 언급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그리고, 미부호 설명이나 상기 메인티바(110)의 양 끝단에는 메인티바(110)를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또한 종래 기술에서 언급되어 있는 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unillustrated descriptions and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the
다음으로, 상기 크로스 티바(120)는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결합홈(126)이 형성된 몸체(122) 및 상기 몸체(122)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되며, 보드판(300)을 안치하기 위한 플랜지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메인티바(110)의 플랜지부(114) 양 측에 직교방향으로 안치되어서 격자틀 형상을 가지며, 이 안치 방식 또한 종래에서 언급하고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Next, the
한편, 상기 크로스 티바(120)는 종래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몸체(122)의 상면에 결합홈(126)이 형성된 큰 차이가 있으며, 이는 차후 시공 상태에서 다시 언급할 것이나 상기 고정클립(130)과 단단히 결속되기 위함임을 인지해야 된다.The
이때, 상기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22)는 도 2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나" 및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2)에 형성된 결합홈(126) 대신 "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28)가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클립(130)은 상기 메인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부재(132)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134)에 의해서 메인티바(110)의 몸체(112)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부재(134)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22)를 수용하되 상기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12)에 형성된 결합홈(126)에 끼움 결합되어서 상기 크로스 티바(120)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제2수용홈(138)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부재(134)의 끝단에 외향 절곡 형성되어서 보드판(300)의 상면을 밀착하여서 구속하도록 하는 연장부(1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면부재(134) 내벽 상측에는 돌출부(139)가 형성되어 있다.Lastly, the
그리고, 상기 고정클립(130)은 제1수용홈(136)이 결합시 살짝 벌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탄성력 있는 판상의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천정 시공 장치(100)는 크로스 티바(120)의 새로운 구성을 통해서 고정클립(130)과 결속력을 높여 설치가 쉬우면서도 안정감은 향상되는데 하기의 시공예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나"는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티바와 고정클립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B line sectional view, and "a" and "b" in Fig.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tie and a fixing clip engagement relationshi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로 하면, 다수의 메인 티바(1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200)인 챤넬(230)에 연결클립(240)을 매개로 병설하게 되는데, 메인 티바(11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113)을 연결클립(240)에 콱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200)인 볼트(210)는 천정에 미리 매설되며, 상기 볼트(210)에 결합되는 행거(220) 및 챤넬(230)은 이후에 설치되는데, 이는 종래에도 이미 제안되어 있으므로 상술은 생략하였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계속해서, 상기 메인티바(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메인티바(110) 사이로 크로스 티바(120)를 수평 방향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 크로스 티바(120)가 상기 메인티바(110)의 플랜지부(114)에 안치되면서 직교방향을 이루도록 한다.When th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티바(110)와 크로스 티바(120)의 직교 부분에 고정클립(130)을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클립(130)의 제1수용홈(136)은 메인티바(110)의 몸체(112)를 수용하도록 하고, 제2수용홈(138)은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22)를 수용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제2수용홈(138)의 상측이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22)에 형성된 결합홈(126)에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하게 된다.5, the
이렇게 상기 크로스 티바(120)가 일렬로 설치 완료되면 보드판(300)을 메인티바(110)의 플랜지부(114)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넣어 상기 크로스 티바(120)의 플랜지부(124)에 후단부가 안치되도록 한 다음, 먼저 설치된 크로스 티바(120)의 전측으로 다른 크로스 티바(120)를 메인티바(110)의 플랜지부(114) 상측에서 밀어 넣으면서 보드판(300)의 선단부가 플랜지부(124)에 안치되도록 하면서 역시 고정클립(130)을 통해서 구속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하면에 보드판(3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 티바(120)는 물론이고 보드판(300)을 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게 되므로 천정에 설치된 고정장치(20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도 7의 "가" 및 "나"를 참조로 하면, 고정클립(130)의 제1수용홈(136)은 메인티바(110)를 수용하도록 결합하고, 수직면부재(134)에 형성된 제2수용홈(138)은 크로스 티바(120)를 수용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2수용홈(138)의 상측이 크로스 티바(120)의 몸체(122)에 형성된 결합홈(126)으로 끼움되면서 결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크로스 티바는 좌우로 흔들림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시공 과정에서 낙하되는 경우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여 안정감이 향상 될 것은 물론이고 다른 크로스 티바와 어긋나지 않고 일자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미려감 또한 크게 향상될 것이다.7, the first receiving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고정클립(130)의 수직면부재(134) 내벽에는 돌출부(139)가 형성되어 있어 메인티바(110)의 걸림턱(113)에 걸리게 되므로 역 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기한 결속력을 더욱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클립(130)의 수직면부재(134)에 형성된 연장부(135)가 보드판(300)의 상면을 하향 밀착 고정하게 됨으로써 보드판(300)이 외풍 등으로 인해 상측으로 들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크로스 티바(120)와 보드판(300)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Since the projecting portion 139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티바(120'')에 돌기부(128)가 형성된 경우에는 고정클립(130)의 수직면부재(134) 내벽에 상기 돌기부(128)가 걸려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이 역시 크로스 티바(120)의 분리를 방지하고자 구성된 것이다.8, when the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constitut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sclosed concepts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to accomplish the invention and similar purposes.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he invention to the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천정 시공 장치 110 : 메인티바
112 : 몸체 113 : 걸림턱
114 : 플랜지부 120 : 크로스 티바
122 : 몸체 124 : 플랜지부
130 : 고정클립 132 : 상면부재
134 : 수직면부재 136 : 제1수용홈
138 : 제2수용홈 200 : 고정장치
300 : 보드판100: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110: main teba
112: body 113:
114: flange portion 120: cross tiba
122: body 124: flange portion
130: fixing clip 132: upper surface member
134: vertical surface member 136: first receiving groove
138: second receiving groove 200: fastening device
300: board
Claims (2)
상기 고정장치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 양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성된 메인티바;
상기 메인티바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면에 직교방향으로 안치되어 격자틀 형상을 형성하되,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보드판을 안치하기 위한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크로스 티바; 및
상기 메인티바와 크로스 티바의 직교된 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부재로부터 하향 절곡된 한 쌍의 수직면부재에 의해서 메인티바의 몸체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직교된 크로스 티바의 몸체를 수용하되 상기 크로스 티바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서 상기 크로스 티바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부재의 끝단에서 절곡되어서 상기 보드판을 상면을 구속하는 연장부가 형성된 고정클립;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1. A ceiling construction apparatus for installing a building board on a lower surface of a fixing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A main tever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device, the main tever comprising a body formed with hooks at both sides thereof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tebar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form a lattice frame shape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Made cross tiba;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main body of the tee bar is formed by a pair of vertical face members bent downward from the top face member and formed on the vertical face member,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body of the orthogonal cross body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of the cross body to restrain the cross body from being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 fixing clip in which an extension portion for restri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is formed;
And a ceiling mounted on the ceiling.
상기 크로스 티바의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 대신 돌기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클립의 수직면부재 내벽에 걸려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trusions are formed in place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body of the cross-tabs so as to be caught by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urface member of the fixing clip and are not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1563A KR101516119B1 (en) | 2014-04-04 | 2014-04-04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1563A KR101516119B1 (en) | 2014-04-04 | 2014-04-04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6119B1 true KR101516119B1 (en) | 2015-05-04 |
Family
ID=5339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1563A Active KR101516119B1 (en) | 2014-04-04 | 2014-04-04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611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4814A (en) * | 2017-12-01 | 2019-06-11 | 주식회사 한성케이 | Damping bracket and ceiling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KR102284791B1 (en) | 2020-11-02 | 2021-08-02 | 주식회사 조은데코 | Seismic reinforcement type ceiling finishing apparatus |
KR20210107505A (en) * | 2020-02-24 | 2021-09-01 | (주)무진기업 | Fix clip of constructing ceiling pane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1629U (en) * | 2008-05-13 | 2009-11-18 | 주식회사 한국호머 | Combined structure of main and cross tee for ceiling board installation |
KR20110088316A (en) * | 2010-01-28 | 2011-08-03 | (주)무진기업 | Building ceiling construction device |
-
2014
- 2014-04-04 KR KR1020140041563A patent/KR1015161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11629U (en) * | 2008-05-13 | 2009-11-18 | 주식회사 한국호머 | Combined structure of main and cross tee for ceiling board installation |
KR20110088316A (en) * | 2010-01-28 | 2011-08-03 | (주)무진기업 | Building ceiling construction devic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4814A (en) * | 2017-12-01 | 2019-06-11 | 주식회사 한성케이 | Damping bracket and ceiling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KR102173311B1 (en) * | 2017-12-01 | 2020-11-03 | 주식회사 한성케이 | The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of ceiling finishing using damping bracket |
KR20210107505A (en) * | 2020-02-24 | 2021-09-01 | (주)무진기업 | Fix clip of constructing ceiling panel |
KR102357493B1 (en) * | 2020-02-24 | 2022-02-04 | (주)무진기업 | Fix clip of constructing ceiling panel |
KR102284791B1 (en) | 2020-11-02 | 2021-08-02 | 주식회사 조은데코 | Seismic reinforcement type ceiling finishing apparatus |
KR20220059390A (en) | 2020-11-02 | 2022-05-10 | 주식회사 조은데코 | Seismic reinforcement type ceiling finish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15112300A (en) | HIDDEN CEILING SYSTEM | |
KR101569481B1 (en) | Ceiling panel fixing system | |
RU2543015C2 (en) | Earthquake-proof clamp | |
CA2838361C (en) | Seismic separation clip for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s | |
RU2016112858A (en) | CEILING PARTITION SYSTEM | |
KR20080030603A (en) | Clips, methods and devices, and drop clip assemblies for hanging grid ties | |
KR101516119B1 (en)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
US9145985B2 (en) | Trapeze conduit support system | |
KR20080026077A (en) | Ceiling finishing clips and channel connectors | |
US8997426B1 (en) | Ceiling panel clip | |
KR101205957B1 (en) | Fixing apparatus for finishing pannel | |
KR101683968B1 (en) | Furring strip bracket | |
KR101123408B1 (en)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
KR101432969B1 (en) | Multi Deck Pack | |
US20020100248A1 (en) | Suspended ceiling assembly | |
KR101516118B1 (en)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
KR100763871B1 (en) | Ceiling plate construction device of building | |
KR200465511Y1 (en) | Installing structure of ceiling panel | |
KR101458198B1 (en) | Apparatus for finishing a ceiling | |
KR101145086B1 (en) |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ceiling board | |
KR20140040592A (en) | A clip bar system | |
KR20160149969A (en) | Install ceiling panel support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hanger | |
KR200463894Y1 (en) | Banding clamp of pipe for Removable fence | |
KR101581915B1 (en) | Fixing structure of wall and construction for using fastener | |
RU176687U1 (en) | CLAMMER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