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583B1 - A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A dust coll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5583B1 KR101515583B1 KR1020130150576A KR20130150576A KR101515583B1 KR 101515583 B1 KR101515583 B1 KR 101515583B1 KR 1020130150576 A KR1020130150576 A KR 1020130150576A KR 20130150576 A KR20130150576 A KR 20130150576A KR 101515583 B1 KR101515583 B1 KR 101515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rill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apparatus
- asbesto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면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릴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suction unit provided in a drill with a simple structure to perforate a work surface using a drill or to unscrew a ceiling to remove asbestos- So as to be able to suck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by providing a more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which is formed in an open top shape and is provided at an end of a drill;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suction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
Description
본 발명은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suction unit provided in a drill with a simple structure to perforate a work surface using a drill or to unscrew a ceiling to remove asbestos- So as to be able to suck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by providing a more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종래의 핸드드릴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의 반대측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가 결합되어 있어 기어박스의 일측에 핸들을 결합한 후 노브링으로 이들을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노브링의 일측으로는 드릴비트를 고정하기 위한 드릴척이 스핀들에 고정되어있다.In a conventional hand drill, a gear box having a reduction gear incorporated therein for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a motor is coupled to a side of a knob formed on one side of a main body. The handle is coupled to one side of a gear box, On one side of the ring, a drill bit is fixed to the spindle for fixing the drill bit.
핸드드릴은 작업면에 대고 한 손을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핸들을 파지한 후 손잡이에 형성된 스위치를 누르면서 작업면으로 밀면 드릴비트가 회전하면서 작업면에 구멍을 뚫을 수 있고, 천장의 석면 보드 철거시에도 핸드드릴을 이용하여 나사를 풀어 해체작업을 하게 된다.The hand drill holds the hand grip on the work surface, grasps the handle with the other hand, pushes the switch formed on the handle and pushes it to the work surface, the drill bit can rotate to drill a hole in the work surface, Even when the hand drill is used, the screw is loosened and disassembled.
그러나, 핸드드릴은 집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 시 발생되는 분쇄물과 분진이 날리게 되므로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은 물론 분진으로 인해 실내에 방치되어 있던 물품들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작업을 할 경우에는 더욱 심각해지게 된다.However, since the hand drill is not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the crushed material and dust generated during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re blown off, thus adversely affecting the health of the work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and the ceiling work becomes more serious.
핸드드릴 작업시 발생되는 분쇄물과 분진으로 부터 작업자와 주변 물체, 작업자가 오염물로부터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The worker, the surrounding objects, and the worker are exposed to the contamination from the grinding water and the dust generated in the hand drilling operation without any fear.
특히, 석면텍스와 같은 천장재의 드릴 작업시는 작업자의 오염이 심각하므로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작업자에게 해가 미치지 않도록 별도의 방진 설비를 해야하고, 작업 후에도 이중적으로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Particularly, when drilling a ceiling material such as asbestos tex, the worker's contamination is serious. Therefore, a dustproof mask must be worn to prevent workers from harming them.
이러한 핸드드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2936호에는 핸드드릴 장착용 집진구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드릴의 헤드면에 장착되어 드릴로 파쇠되는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집진구를 구성하고, 상기 집진구는 신축성 튜브 또는 벨로우즈 형상의 튜브로 형성되어 있고 핸드드릴 스패너면에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신축이 되거나 또는 주름진면을 갖는 끼움돌기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of such a hand drill,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22936 discloses a grinding pawl for mounting a hand drill. The main technical construction is as shown in Fig. 1,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es dust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powder tha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hand drill spanner, And a fitting projection surface having a surface is formed.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드릴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단순 포집하는 것으로 작업이 종료된 후 드릴을 이동시키면 집진구에 모인 분진이 외부로 떨어지게 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dust is simply collected at the end of the drill to collec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and when the drill is moved after the work is finished,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hole may fall out.
또한, 집진구의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분진을 자주 비워야 하며, 이 과정에서 분징이 날려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작업자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dust collecting openings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empty the dust frequently, and in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pollution occurs and the health of the worker is adversely affec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ll for a drill, So as to be able to suck dust generated when the screw is unscrew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내벽을 설치하여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dus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forming an inner wall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have a doub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석면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릴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which is formed in an open top shape and installed at an end portion of a drill;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suction part for sucking dust.
상기 본체의 상측 단부에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ighten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상기 작동부는 드릴척에 설치되는 비트부와, 상기 비트부에 설치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ctuating part comprises a bit part provided on the drill bit and a suction fan provided on the bit part.
상기 본체는 내측에 내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ner wall on the inner side.
여기서, 상기 본체 또는 내벽의 상측 단부에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wrinkl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r the inner wall.
한편,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흡입관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흡입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by a suction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ction port is provided in a main body installed in a drill in a simple structure, and dust generated when a work is loosened to drill a work surface using a drill or to remove a ceiling asbestos tex or the like is sucked So that a more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내측에 내벽을 설치하여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wall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to constitute a double structure,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dus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핸드드릴 장착용 집진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석면 집진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view showing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석면 집진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10)에 설치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12)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흡입부(13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suction port is provided in a main body installed on a drill so that dust can be sucked when drilling a work surface using a drill or removing a screw to remove a ceiling asbestos- As shown in FIG. 2, the asbesto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드릴(10)에 설치되어 드릴(10) 작동 시 발생되는 먼지 등 이물질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10)에 고정할 수 있게 바닥부에 설치공(112)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상기 설치공(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드릴(1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거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드릴(10)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단부에는 벽면이나 천장 등의 작업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부재(114)가 더 구비되어 드릴(10) 작업 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pen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드릴(10)의 드릴척(12)에는 작동부(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작동부(120)는 상기 드릴척(12)에 결합 설치되는 비트부(122)와 상기 비트부(122)에 설치되는 흡입팬(124)으로 형성되어 드릴척(12)이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하여 나사를 풀 때 발생되는 분진이 본체(110)의 내측으로 흡입되도록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흡입부(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32)에 흡입관(134)을 연결하고 흡입관(134)의 타측에는 흡입펌프(136)가 설치되는 것으로, 드릴(10) 작업 시 발생되어 본체(110)의 내측으로 모인 분진을 흡입펌프(136)로 흡입하여 본체(110)의 내측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10) 작업 종료 후에 작업면에서 석면 집진장치(100)를 분리하더라도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분리된 나사도 흡입펌프(136)에 모을 수 있게 된다.
A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100')의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내벽(118)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내벽(118)은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구(116)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설치된다.3 and 4, an
따라서, 작업면을 본체(110)와 내벽(118)으로 2중으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드릴(10) 작업 시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2중으로 차단되어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더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work surface is formed in two by the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면 집진장치(100")의 상기 본체(110) 및 내벽(118)이 작업면에 밀착되는 단부에는 주름부(110a,118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주름부(110a,118a)는 드릴(10) 작업 시 작업면에 천공 또는 나사 체결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면으로 비트부(122)가 삽입됨에 따라 주름부(110a,118a)에 의해 상기 본체(110) 및 내벽(118)이 작업면 측으로 접혀지며 이동하게 되어 드릴(10)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5,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 및 내벽(118)은 고무, 합성고무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드릴(10) 작업 시 드릴(10)의 이동에 의해 본체(110) 및 내벽(118)의 형상이 변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6,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석면 집진장치(100,100',100")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sbestos
먼저, 드릴(10)의 드릴척(12)에는 흡입팬(124)이 설치된 비트부(122)가 결합되고 본체(110)가 설치된다.First, the
그리고, 작업 시에는 상기 본체(110)의 단부에 구비된 밀착부재(114)에 의해 본체(110)가 작업면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In operation, the
또한, 흡입펌프(136)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32)에 연결 설치되어 드릴 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게 되어 본체(110)의 내측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는 내벽(118)이 형성되어 석면 집진장치(100')의 벽면을 2중으로 형성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n
또한, 상기 본체(110) 및 내벽(118)을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거나, 주름부(110a,118a)를 형성함으로써 드릴 작업에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이더라도 작업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집진장치(100,100,10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10)에 설치되는 본체(110)에 흡입부(130)를 구비하여 드릴(10)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의 철거를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10)의 내측에 내벽을 설치하여 2중으로 형성하여 분진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asbesto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드릴에 설치되는 본체에 흡입부를 구비하여 드릴을 이용하여 작업면을 천공하거나, 천장의 석면텍스 등을 철거하기 위해 나사를 푸는 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석면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suction unit provided in a drill with a simple structure to perforate a work surface using a drill or to unscrew a ceiling to remove asbestos- So as to be able to suck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by providing a more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10: 드릴 12: 드릴척
100,100',100": 석면 집진장치
110: 본체 112: 설치공
114: 밀착부재 116: 지지구
118: 내벽 120: 작동부
122: 비트부 124:흡입팬
130: 흡입부 132: 흡입구
134: 흡입관 136: 흡입펌프
110a,118a: 주름부10: Drill 12: Driller
100, 100 ', 100 ": Asbestos dust collector
110: main body 112: installation hole
114: tight contact member 116:
118: inner wall 120:
122: bit portion 124: suction fan
130: Suction part 132: Suction part
134: Suction pipe 136: Suction pump
110a, 118a:
Claims (6)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릴의 단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로 이루어되,
상기 작동부는 드릴척에 설치되는 비트부와,
상기 비트부에 설치되는 흡입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집진장치.
In the asbestos dust collecting apparatus,
A main body provided at an end of the drill,
An operat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sucti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sucking dust,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bit portion provided on the drill bit,
And a suction fan installed in the bit portion.
상기 본체의 상측 단부에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tightening member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본체는 내측에 내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ner wall on the inner side thereof.
상기 본체 또는 내벽의 상측 단부에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a wrinkle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or the inner wall.
상기 흡입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흡입관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흡입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집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unit includes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suction pump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by a suctio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576A KR101515583B1 (en) | 2013-12-05 | 2013-12-05 | A dust coll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0576A KR101515583B1 (en) | 2013-12-05 | 2013-12-05 | A dust coll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5583B1 true KR101515583B1 (en) | 2015-04-27 |
Family
ID=5305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0576A Active KR101515583B1 (en) | 2013-12-05 | 2013-12-05 | A dust coll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558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9718B1 (en) * | 2018-08-16 | 2018-12-14 | 최순진 | drilling Apparatus for groove of roll on door |
KR20190114624A (en) * | 2018-03-30 | 2019-10-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Variabl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router |
CN111673918A (en) * | 2020-07-09 | 2020-09-18 | 孙小猛 | A dust collector for decoration and punching |
KR20230047625A (en) * | 2021-10-01 | 2023-04-10 | 한덕운 | A dril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7318A (en) * | 2004-04-09 | 2005-10-27 | Hitachi Koki Co Ltd | Drilling machine |
KR20090095968A (en) * | 2008-03-07 | 2009-09-10 | 박재철 | Drilling machine for preventing scatter of dust |
-
2013
- 2013-12-05 KR KR1020130150576A patent/KR1015155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7318A (en) * | 2004-04-09 | 2005-10-27 | Hitachi Koki Co Ltd | Drilling machine |
KR20090095968A (en) * | 2008-03-07 | 2009-09-10 | 박재철 | Drilling machine for preventing scatter of dus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624A (en) * | 2018-03-30 | 2019-10-10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Variabl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router |
KR102144704B1 (en) * | 2018-03-30 | 2020-08-18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Variabl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router |
KR101929718B1 (en) * | 2018-08-16 | 2018-12-14 | 최순진 | drilling Apparatus for groove of roll on door |
CN111673918A (en) * | 2020-07-09 | 2020-09-18 | 孙小猛 | A dust collector for decoration and punching |
KR20230047625A (en) * | 2021-10-01 | 2023-04-10 | 한덕운 | A drill |
KR102545900B1 (en) * | 2021-10-01 | 2023-06-21 | 한덕운 | A dri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5583B1 (en) | A dust collector | |
JP5431653B2 (en) | Processing equipment | |
EP3576905A1 (en) | Accessory device for a hand-held power tool | |
GB2067106A (en) | Dust removal during drilling | |
CN210758494U (en) | Novel electric hand drill | |
KR101076577B1 (en) | Punching apparatus for connecting drill | |
EP1084008A1 (en) | Dust collection device | |
DE102017201565A1 (en) | Accessory device for a hand tool | |
CN106002462A (en) | Device for removing cuttings from machine tool | |
JP5432303B2 (en) | Processing equipment | |
CN105817674A (en) | Mechanical dustproof drilling device | |
CN106584371A (en) | Dust collecting device for electric tool | |
JP3134914U (en) | Electric drill with dust absorption function | |
JP2007168186A (en) | Dust collecting cover | |
AU2007100367A4 (en) | Drill Shroud | |
KR200472781Y1 (en) | Grinder worktable | |
CN205628817U (en) | Scavenging machine for pipeline | |
CA2814044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debris | |
KR100531204B1 (en) | Dust protector of hammer drill | |
JP5611890B2 (en) | Chip recovery method and chip recovery device for continuous water cutting | |
CN201783923U (en) | Handles for machined surface pneumatic machines | |
KR200318542Y1 (en) | hand drill dust assitant device | |
KR101254272B1 (en) | Apparatus for forming a hole | |
KR101650488B1 (en) | Pfc cleaning system of the exhaust air duct | |
KR20110122936A (en) | Dust Collector for Hand Dr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